맨위로가기

외투 (소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외투》는 니콜라이 고골의 단편 소설로, 가난한 9등관 아카키 아카키예비치가 낡은 외투를 대신할 새 외투를 마련하려다 겪는 비극적인 이야기를 그린다. 아카키는 새 외투를 얻지만 강도에게 빼앗기고, 외투를 되찾으려다 죽음을 맞이한다. 이후 그의 유령이 나타나 외투를 빼앗는다는 소문이 퍼진다. 이 소설은 '작은 인간'의 비참한 현실과 사회의 부조리를 묘사하며, 여러 차례 영화, 연극, 발레 등으로 각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니콜라이 고골의 단편소설 - 코 (소설)
    니콜라이 고골이 1836년에 발표한 단편 소설 《코》는 상트페테르부르크를 배경으로 8등관 코발료프가 자신의 코가 사라진 것을 발견하고 찾아 헤매는 기이한 이야기로, 사회적 지위와 외모에 대한 집착, 부조리한 현실을 풍자적으로 묘사하며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다.
  • 니콜라이 고골의 단편소설 - 네프스키 거리 (소설)
    니콜라이 고골이 1835년에 발표한 단편 소설인 네프스키 거리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중심 거리인 네프스키 대로를 배경으로 낭만주의 화가 피스카레프와 현실주의 장교 피로고프의 이야기를 통해 당시 러시아 사회의 허위와 모순, 사회적 환상과 개인의 좌절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며 문학적 사실주의 특징을 보여준다.
  • 1842년 단편소설 - 구덩이와 진자
    에드거 앨런 포의 단편 소설 "구덩이와 진자"는 스페인 종교 재판소 감옥에 갇힌 화자가 구덩이, 진자, 좁혀오는 벽과 같은 극한 상황 속에서 겪는 고문과 죽음의 공포를 현실적으로 묘사하여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었다.
  • 1842년 단편소설 - 적사병의 가면극
    에드거 앨런 포의 단편 소설 《적사병의 가면극》은 가상의 질병인 '적사병'이 창궐하는 동안 은둔한 프로스페로 왕자와 귀족들이 벌이는 가면무도회와 그 파국을 묘사하며 죽음을 피하려는 인간의 헛된 시도를 그리고, 다양한 예술 분야에 영감을 주어 각색되었다.
  • 러시아를 배경으로 한 소설 - 암병동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의 소설 《암병동》은 1955년 소련 암 병동을 배경으로 주인공 올레그 코스토글로토프의 투병 과정과 병원 내 권력 다툼을 통해 스탈린 시대의 억압과 개인의 고뇌, 죽음에 대한 성찰을 그린 작품이다.
  • 러시아를 배경으로 한 소설 - 오블로모프
    19세기 러시아 농노제 사회의 무기력한 지주 일리야 일리치 오블로모프의 삶과 몰락을 통해 사회 문제와 인간 본성을 탐구하는 이반 곤차로프의 소설로, '오블로모프주의'라는 용어를 탄생시키며 러시아 문학의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었다.
외투 (소설) - [서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고르 그라바리에 의한 표지 (1890년대)
이고르 그라바리에 의한 표지 (1890년대)
원제Шинель (시넬)
저자니콜라이 고골
국가러시아 제국
언어러시아어
장르단편 소설
발표일1842년
기타
영향"외투"의 유명세로 인해 표도르 도스토옙스키는 "우리 모두는 고골의 '외투'에서 나왔다"라고 말했다.

2. 줄거리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한 관청에서 서류를 베껴 쓰는 일을 하는 하급 관리(9등관) 아카키 아카키예비치는 3월 23일에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달력에서 이름을 찾으려다 실패하고 아버지의 이름을 따 '아카키'라고 이름 지었다.[1] 아카키는 세례를 받을 때 울음을 터뜨렸다.[1]

아카키는 400RUB의 적은 연봉을 받고, 동료들에게 무시와 괴롭힘을 당했지만 자신의 일에 만족하며 살았다.[2] 그러던 어느 날, 그의 낡은 외투가 더 이상 수선할 수 없을 정도로 망가져 재봉사 페트로비치에게 새 외투를 맞추기로 결심한다.[2] 새 외투의 가격은 80RUB로, 아카키에게는 큰 돈이었다.[5] 그는 차를 마시지 않고, 밤에 촛불을 켜지 않는 등 넉 달 동안 허리띠를 졸라매 돈을 모았다.[2] 예상치 못한 수입까지 더해져 마침내 새 외투를 마련하게 되었다.[5]

새 외투를 입고 출근한 날, 동료들은 아카키를 축하해 주었고, 부과장은 그의 새 외투를 기념하는 저녁 식사에 초대했다.[2] 그러나 축하 파티에 다녀오는 길에 아카키는 강도를 만나 외투를 빼앗기고 만다.[2]

외투를 찾기 위해 경찰서와 '중요한 인물'을 찾아갔지만, 도움을 받지 못하고 오히려 면박만 당했다.[2] 충격과 후두염으로 아카키는 결국 죽음을 맞이하고, 그의 유령이 칼린킨 다리 근처에 나타나 사람들의 외투를 빼앗는다는 소문이 퍼진다.[2] '중요한 인물' 역시 아카키의 유령에게 외투를 빼앗기고, 이후 아카키의 유령은 사라진다.[2] 그 후에는 아카키보다 키가 크고 콧수염이 난 다른 유령이 나타났다는 소문이 돌았다.[2]

3. 등장인물


  • '''아카키 아카키예비치 바슈마치킨(Акакий Акакиевич Башмачкин)''':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한 관청에서 서류 필사 업무를 하는 9등관이다. 소심하고 무능력한 '작은 인간'으로 묘사되며, 400루블의 적은 연봉과 직장 동료들의 무시와 괴롭힘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일에 만족하며 살아간다.[2] 새 외투를 구매하기 위해 노력한다.
  • '''페트로비치(Григорий Петрович)''': 농노 출신의 외눈박이 재봉사로, 아카키에게 새 외투를 맞출 것을 제안한다.[2]
  • '''중요한 인물''(Значительное лицо): 아카키가 도움을 요청하러 간 고위 관료이다. 권위적이고 냉담한 인물로, 비서를 거치지 않고 자신에게 곧바로 요구한 것을 이유로 아카키를 질책한다.[2]
  • '''바슈마치킨의 집주인''': 아카키에게 외투 도난 사건을 지방 경찰서장에게 신고하라고 조언하는 노부인이다.[2]
  • '''지방 경찰서장''': 훔쳐간 외투에 대한 아카키의 보고를 듣는 관리. 경찰은 아카키에게 마치 범죄자인 것처럼 당황스러운 질문을 하며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한다.[2]
  • '''조언을 해주는 직원''': 아카키의 동료로, 아카키에게 훔쳐간 외투를 찾도록 도와줄 정부 기관의 저명 인사를 찾아가라고 조언한다.[2]
  • '''의사''': 아카키가 목에 염증이 생기자 호출된 의사. 그는 아카키의 집주인에게 관을 주문하라고 말한다.[2]
  • '''수염을 기른 강도들''': 아카키의 새 외투를 훔쳐가는 남자들이다.[2]
  • '''페트로비치의 아내''': 화자가 페트로비치가 다툴 때 "천한 여자이자 독일 여자"라고 부른다고 말하는 평범한 외모의 여성이다.[2]

4. 작품 분석 및 해석

고골은 소설 첫 부분에서 주인공 아카키의 이름을 중요하게 다룬다. "그에게 다른 이름을 줄 수 있는 상황은 전혀 아니었다..."라고 말하며,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아카키'는 "무해한" 또는 "악의가 없는"을 의미한다고 설명한다. 이는 그의 유령이 폭력으로 내몰릴 수밖에 없었던 굴욕감을 보여준다. 그의 성 바시마치킨은 '바시마크'라는 신발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누군가의 손아귀에 있다" 또는 "안해에게 휘둘린다"는 의미로 사용된다.[3]

아카키는 내성적이고 희망이 없지만, 사회적 또는 물질적 성공에 대한 기대 없이 기능하는 존재에서 외투로 인해 자존감과 기대를 높이는 존재로 발전한다. 그는 비인간적인 존재로서 그의 위치에 유머러스하게 적합한 인물로 묘사된다. 내면의 삶이 없기 때문에 복사하는 것과 같은 관료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즐기며, 관료적인 업무의 본질에 의해 억압받지 않는다. 고골은 아카키가 항상 "같은 장소, 같은 태도, 같은 직업으로 보였기 때문에 나중에 그가 머리가 벗겨진 채 속옷 차림으로 태어났다고 단언되었다"고 묘사한다. 아카키에게 단순히 복사하는 대신 문서의 사소한 변경을 요청받았을 때, 그는 그것을 할 수 없었다.[4] 아카키는 "사랑으로 일했고" 복사 외에는 아무것도 갈망하지 않았다.[5]

블라디미르 나보코프는 《러시아 문학 강의》에서 고골과 그의 소설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푸시킨, 현실적인 톨스토이, 절제된 체호프는 모두 비합리적인 통찰의 순간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문장을 흐리게 하면서 동시에 갑작스러운 초점 이동의 가치가 있는 비밀스러운 의미를 드러냈다. 그러나 고골에게는 이러한 변화가 그의 예술의 바로 기초가 되었고, 문학적 전통의 정자로 논리적인 방식으로 합리적인 생각을 쓰려고 할 때마다 재능의 흔적을 잃었다. 《외투》에서처럼 그가 진정으로 마음 가는 대로 하고 개인적인 심연의 가장자리에서 어슬렁거렸을 때, 그는 러시아가 아직 배출한 가장 위대한 예술가가 되었다."[17]

4. 1. 작은 인간

'작은 인간'은 능력과 사회성이 부족하여 사회로부터 멸시와 소외를 받는 인물을 뜻한다. 아카키 아카키예비치는 이러한 '작은 인간'의 전형이다. 작가 니콜라이 고골은 아카키를 통해 당시 러시아 사회의 병폐, 특히 관료 사회 구성원들의 부조리함을 비판한다. 동시에, 고골은 보잘것없는 '작은 인간' 아카키 자체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시각을 보여준다.[3]

아카키는 내성적이고 소극적인 인물로, 사회적, 물질적 성공에 대한 기대 없이 살아간다. 그는 내면세계가 결여된 채, 필사 업무와 같은 기계적인 관료 업무에만 몰두한다. 고골은 아카키가 항상 "같은 장소, 같은 태도, 같은 직업으로 보였기 때문에 나중에 그가 머리가 벗겨진 채 속옷 차림으로 태어났다고 단언되었다"고 묘사하며 그의 무미건조한 삶을 풍자한다.[4] 아카키는 단순한 필사를 넘어 문서의 사소한 변경을 요구받았을 때, 이를 수행하지 못할 정도로 경직된 사고방식을 지녔다.[5]

아카키는 동료들에게 "냉담하게 독재적인 방식"으로 대우받고 "비웃음과 조롱"을 당한다.[10] 평소에는 반응하지 않던 아카키도 결국 "나를 내버려 둬! 왜 나를 모욕하는가?"라고 외치며 감정을 드러낸다. 이 말을 들은 한 신입 직원은 큰 충격을 받고, 아카키와 그의 "마음을 찢는 말"을 잊지 못한다. 그 말에는 "나는 네 형제다"라는 메시지가 담겨 있었기 때문이다. 이 젊은이는 아카키를 통해 "인간에게 얼마나 많은 비인간성이 있는가"를 깨닫게 된다.[10]

아카키의 외투는 그에게 단순한 관료적 도구가 아닌, 인간으로서의 정체성을 부여한다.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 보면, 아카키의 물질적 욕망은 그에게 인간성을 부여하는 긍정적인 요소이다. 이 이야기는 사적 소유와 물질주의를 비난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물질적 재화에 대한 관심을 통해 성취감을 얻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아카키는 외투를 통해 사회적 소외와 멸시를 극복하고, 공동체의 포용과 진정한 존경을 경험하게 된다.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보면, 아카키의 억압된 리비도는 필사 업무로 승화된다.[11] 그러나 외투를 얻은 후, 그는 억눌렸던 성적 관심을 표현하기 시작한다. 아카키는 "어떤 여성을 따라 왜 그런지 모르고 심지어 달리기 시작했다."[12] 또한 "아주 예쁜 방식으로 발을 드러낸 아름다운 여성을 묘사한 그림을 보기 위해 호기심에 가게 앞에서 멈췄다."[13] 그는 이전에 알지 못했던 감정을 느끼며, 외투를 마치 연인처럼 소중하게 대한다. 외투 제작을 의뢰했을 때 아카키는 마치 "결혼한 것처럼" 자신의 존재가 충만해졌다고 느꼈다.[14]

아카키는 관료 계층 내에서 낮은 지위에 있으며, 계층적 사다리를 올려다보는 그의 모습은 소설에 잘 기록되어 있다. 해롤드 맥팔린에 따르면, 아카키는 계층과 사회에서 가장 낮은 계급은 아니지만, 관료적 언어를 내면화하여 비공무원을 마치 같은 세상의 일부인 것처럼 묘사하고 대한다.[16]

4. 2. 아카키의 죽음: 개인적 죽음인가, 사회적 죽음인가

아카키 아카키예비치는 열병으로 인해 죽음을 맞이했는데, 이는 개인적인 질병으로 인한 죽음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그의 죽음은 단순한 개인적 차원을 넘어선 사회적 의미를 지닌다. 아카키의 삶을 억압했던 당시 러시아 사회의 궁핍한 환경과 가난한 서민들의 고통스러운 삶, 그리고 그를 냉대했던 직장 동료들과 권위적인 고위 관리의 횡포는 그의 죽음을 사회적 타살로 해석할 여지를 남긴다.[3]

아카키는 적은 연봉과 동료들의 괴롭힘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일에 만족하며 살아왔다. 하지만 낡은 외투를 수선하는 대신 새 외투를 장만해야 했고, 빠듯한 월급으로 인해 힘겨운 절약 생활을 해야 했다. 어렵게 마련한 새 외투는 그에게 큰 기쁨을 주었지만, 강도에게 외투를 빼앗기고, 외투를 되찾기 위해 찾아간 경찰서와 '중요한 인물'에게서 냉대와 모욕을 당하면서 깊은 절망에 빠진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아카키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결국 그는 후두염과 열병으로 이어져 제대로 된 치료조차 받지 못한 채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4]

아카키의 죽음은 당시 러시아 사회의 물질만능주의와 부조리한 현실을 비판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동료들의 위선적인 칭찬에 순진하게 기뻐했던 아카키의 모습은 순수함을 잃지 않은 인물로 묘사되지만, 그의 죽음은 결국 물질적인 것에 의해 좌우되는 사회의 냉혹함을 드러낸다.

4. 3. 외투의 상징성

아카키에게 외투는 단순한 옷 이상의 의미였다. 외투는 그의 사회적 지위와 자존감을 상징했다.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 외투는 물질적 욕망을 상징하며, 아카키는 외투를 통해 인간성을 회복하고 사회적 소외에서 벗어나고자 한다.[11] 그는 외투를 얻은 후, 이전에는 느껴보지 못했던 감정들을 경험하며, 심지어 성적인 관심까지 표현하게 된다.[12][13] 외투를 제작하는 과정은 아카키에게 마치 "결혼한 것처럼" 자신의 존재를 더 충만하게 느끼게 했다.[14]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외투는 억압된 리비도의 상징으로 해석될 수 있다.[11] 외투를 잃어버린 사건은 그의 삶을 파멸로 이끄는 결정적인 계기가 된다.

4. 4. '인도주의적 구절'

비평가들은 서술 방식이 희극에서 비극으로 갑자기 전환되는 유명한 "인도적인 구절"에 주목했다.[9] 아카키는 자신의 임무에 의해 억압받지 않지만, 그를 "냉담하게 독재적인 방식"으로 대하고 "그를 비웃고 조롱"하는 동료들에 의해 억압받는다. 아카키는 보통 반응하지 않지만, 마침내 "나를 내버려둬! 왜 나를 모욕하는가?"라고 외치도록 유발된다. 이것을 들은 한 신입 직원은 멈추지 못하고, 아카키와 그의 "마음을 찢는 말"을 결코 잊지 못했는데, 그 말은 "나는 네 형제다"라는 말없는 메시지를 담고 있었다. 아카키를 기억하며 그는 "인간에게 얼마나 많은 비인간성이 있는가"에 전율했다.[10]

동료의 언급은 이야기의 한 가지 가능한 해석을 강조한다. "결국 사람의 마음에서 얼마나 적은 인간적인 감정이 발견되었는가; 교육받은 사람들과 어디에서나 선하고 존경받는 사람으로 간주되는 사람들조차도 얼마나 많은 거친 태도와 잔혹성이 발견되었는가."

화자의 아카키에 대한 묘사는, 젊은이 자신처럼, 독자를 무심한 조롱에서 심각한 동정심으로 이끌어간다.

4. 5. 스카즈(Skaz) 기법

고골은 구술 스토리텔링 전통에서 파생되거나 연관된 러시아어 구어체인 스카즈 기법으로 "외투"를 썼다.[3] 이 기법은 번역하기 어렵지만, 작품에 생동감과 현실감을 부여한다.

5. 각색

니콜라이 고골의 소설 '외투'는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었다.

1926년 그리고리 코진체프와 레오니트 트라베르그가 소련에서 무성 영화로 만들었고, 1952년에는 알베르토 라투아다 감독이 이탈리아에서 영화화했다. 1959년에는 알렉세이 바탈로프 감독의 소련 영화가 나왔다. 잭 클레이튼 감독의 1955년 영국 단편 영화 '맞춤 외투'는 울프 맹코비츠의 연극을 바탕으로 런던 이스트 엔드의 가난한 유대인들의 이야기로 재탄생했다. 유리 노르슈테인은 1980년대 초부터 애니메이션 영화로 제작 중이나 미완성이다.

니콜라이 고골의 탄생 200주년을 기념하여 러시아에서 발행한 기념 우표에 그려진 '외투', 2009년


라디오 드라마로는 마이클 레드그레이브 경이 주연한 극장 로열[21]과 CBS 라디오 미스터리 극장[21] 버전, BBC 라디오 4 각색본[21]이 있다.

게르만 오쿠네프는 발레 버전을 작업했고, 모리스 패니치와 웬디 고를링은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의 음악을 사용한 각색 작품을 만들었다.[21]

5. 1. 영화


  • 《외투》(1916) – 레이 버거가 감독한 미국의 무성 영화
  • 《외투》(1926) – 그리고리 코진체프와 레오니트 트라베르그가 감독한 소련 무성 영화
  • 《외투》(1951) – 베를린에서 W.슐레이프가 연출한 마르셀 마르소의 마임 연극 영화
  • 《외투(Il Cappotto)》(1952) – 알베르토 라투아다가 감독한 이탈리아 영화
  • 《각성》(The Awakening) (1954) - 더글러스 페어뱅크스 주니어의 텔레비전 시리즈를 위한 각색 작품으로, 버스터 키튼이 출연하며, 이야기는 이름 없는 전체주의 국가로 옮겨졌다.
  • 《맞춤 외투(The Bespoke Overcoat)》(1955) – 잭 클레이튼이 감독한 오스카상을 수상한 영국 단편 영화로, 울프 맹코비츠의 1953년 동명 연극을 기반으로 한다. 여기에서 이야기는 런던의 이스트 엔드로 옮겨졌고, 주인공들은 의류업에 종사하는 가난한 유대인들이다.
  • 《외투(The Overcoat)》(1959) – 알렉세이 바탈로프가 감독한 소련 영화
  • 《외투》(1976) – 심코 나캄이 각색하고 자말 모하마드가 감독한 이라크 쿠르드 TV 영화
  • 《나이 셰르와니》(1986) – 샴 베네갈이 제작한 인도 DD National 텔레비전 시리즈 카타 사가르를 위한 각색 작품
  • 《외투》(1997) – 그리스 영화
  • 《외투》(2001) – CBC가 제작한 캐나다 TV 영화
  • 《외투(The Overcoat)》 – 유리 노르슈테인과 프란체스카 야르부소바가 제작한 미완성 애니메이션 영화로, 1980년대 초부터 작업 중이다.
  • 《외투》(2017) – 제이슨 왓킨스, 팀 키, 비키 페퍼다인 및 알렉스 맥퀸이 출연하고 패트릭 마일스가 각색 및 감독한 단편 영화
  • 《외투》(2018) – 휴 오코너가 각색하고 션 뮬렌 & 멜리스 아룰레프가 감독했으며, 킬리언 머피와 알프레드 몰리나가 출연하는 애니메이션 특별판.

5. 2. 연극 및 기타

고골의 이야기는 라디오 드라마 ''극장 로열''에서 두 차례 각색되었는데, 첫 번째는 1953년 10월 11일, 두 번째는 1954년 8월 4일에 방송되었으며, 두 버전 모두 마이클 레드그레이브 경이 아카키 역을 맡았다.[21]

한스 콘리드는 1977년 3월 3일 ''CBS 라디오 미스터리 극장''에서 각색된 작품에서 아카키 역을 맡았다.[21]

2002년 4월 3일, BBC 라디오 4 시리즈 ''세 명의 이반, 두 명의 이모와 외투''에서 짐 포이저가 각색하고 스티븐 무어가 아카키 역을 맡은 작품을 방송했다.[21] 이 버전에서 아카키의 유령이 외투를 빼앗는 중요 인물은 아카키의 직속 상관인 보르조프 대령이며, 결말은 아카키의 유령이 (이야기에서처럼 썰매를 타고 집으로 가는 대신) 그의 사무실을 방문하여 외투와 보르조프의 중요 인물 메달(그리고 설탕을 뿌린 러스크 봉지)을 가져가는 것으로 변경되었다.[21]

러시아 작곡가 게르만 오쿠네프는 1973년 사망 당시 '외투'의 발레 버전을 작업하고 있었으며, 이 작품은 V. 사포즈니코프에 의해 완성되고 오케스트라로 편곡되었다.[21]

모리스 패니치와 웬디 고를링이 각색한 최근 작품은 러시아 작곡가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의 다양한 음악에 맞춰 댄스와 마임을 사용하여 배우들이 공연했다.[21] CBC에서 영화 버전이 제작되었다.

덴마크 안무가 플레밍 플린트는 데니스 나하트와 클리블랜드-산호세 발레단을 위해 이 버전을 만들었다.[21] 이 주요 역할은 1990년 여름 에든버러 페스티벌에서 열린 세계 초연에서 루돌프 누레예프가 연기했다.[21]

6. 참고: 주요 일본어 번역

번역자출판사출판 연도
히라이 하지메이와나미 문고1949년 / 2006년 (개정판)
요시하라 타케야스다이가쿠쇼린1963년
요시카와 히로토고단샤 문예 문고1999년
에이헨바움 편, 후나키 유타카 번역군조사2004년
우라 마사하루코분샤 고전 신역 문고2006년
코지마 히로코미치타니2009년


  • 히라이 하지메 번역판은 '''외부 링크'''의 아오조라 문고에 전문이 게재되어 있다.

참조

[1] 간행물 The Art of Translation https://newrepublic.[...] 2020-05-24
[2] 웹사이트 Gogol's The Cloak (The Overcoat): A Study Guide http://www.cummingss[...]
[3] 웹사이트 быть под башмаком | Перевод быть под башмаком? http://dic.academic.[...]
[4] 문서 Gogol 3–6
[5] 서적 The Overcoat Coradella Collegiate Bookshelf Editions 2004
[6] 서적 Bartleby the Scrivener Penguin Books 1986
[7] 논문 Bartleby, the Absurd Hero 2000
[8] 문서 "The Russian Story and Mr. Gogol's Stories" 1835
[9] 논문 The Structure of Gogol's 'The Overcoat' 1963
[10] 문서 Gogol 3–5
[11] 서적 Out from Under Gogol's Overcoat: A Psychoanalytic Study Ardis 1982
[12] 문서 Gogol 27
[13] 문서 Gogol 25
[14] 문서 Gogol 19
[15] 서적 Gogol From the Twentieth Century: Eleven Essays Princeton UP
[16] 논문 'The Overcoat' As a Civil Service Episode
[17] 서적 Lectures on Russian Literature Harcourt Brace Jovanovich
[18] 뉴스 20 Years of Toil, 20 Minutes of Unique Film https://www.washingt[...] 2005-05-31
[19] 뉴스 The Overcoat (2017) https://www.imdb.com[...]
[20] 뉴스 The Overcoat (2018) https://www.imdb.com[...]
[21] 웹사이트 The Overcoat http://www.culturevu[...] culturevulture.net
[22] 문서 ドストエフスキーの全著作および書簡に、この言葉は存在しない(『作家の日記』に書いたとする松岡正剛の記述は誤り)。
この言葉(''Nous sommes tous sortis du Manteau de Gogol'')の初出は、フランスの外交官で文人のウージェーヌ=メルシオール・ド・ヴォギュエ(Eugène Melchior de Vogüé, 1848-1910)がその著作『ロシア小説』(Le Roman russe, 1886年刊)のドストエフスキーを論じた章で、「四十年来文学の歴史に深く関わってきた一人物」の口に託した言葉であり、それがあたかもドストエフスキーその人の発言であるかのように誤って広まったとされている(青山太郎著『ニコライ・ゴーゴリ』(河出書房新社、1986年9月)、411ページ)。

[23] 문서 オーランドー・ファイジズ『ナターシャの踊り ロシア文化史』(鳥山祐介ほか訳、白水社、2021)の322p訳注1に、ヴォギュエの言葉とある。
[24] 저널 고골의 「외투」에 나타난 기호의 세계: 어긋난 기호들의 결합, 부유하는 기표들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