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베르토 라투아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베르토 라투아다는 이탈리아의 영화 감독, 각본가, 배우였다. 1914년 밀라노에서 작곡가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문학에 관심을 보이다가, 1940년 영화계에 입문하여 각본가와 조감독으로 활동했다. 1943년 영화 '자코모 디알레스타'로 감독 데뷔했으며, 페데리코 펠리니와 공동 연출한 '바리에테의 불빛'(1950)은 펠리니의 첫 연출작이었다. 라투아다는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연출했으며, 1970년 제20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심사위원을 역임했다. 2005년 알츠하이머병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영화 감독 - 마리오 모니첼리
마리오 모니첼리는 100편 이상의 각본과 60편 이상의 영화를 감독하며 이탈리아식 코미디 장르를 개척하는 데 기여한 이탈리아 거장 영화감독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사회 풍자와 해학을 곁들인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했다. - 이탈리아의 영화 감독 - 에토레 스콜라
에토레 스콜라는 사회 비판적 시각과 휴머니즘을 결합한 작품들로 국제적 명성을 얻은 이탈리아의 영화감독이자 각본가로, 《우리는 서로를 너무나 사랑했네》, 《특별한 날》 등의 대표작이 있으며 말년에는 오페라 연출가로도 활동했다. - 밀라노 출신 -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실비오 베를루스코니는 이탈리아의 사업가이자 정치인으로, 세 차례에 걸쳐 총리를 역임했으며, 미디어셋 설립, 포르차 이탈리아 창당, 친미 외교 정책, 탈세 및 성 스캔들 등 여러 법적 문제와 논란에 휘말렸다. - 밀라노 출신 - 발렌티나 코르테세
이탈리아 배우 발렌티나 코르테세는 1940년대 데뷔 후 《검은 마법》, 《아메리카의 밤》 등의 영화와 연극에서 활약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고, 패션 아이콘으로도 알려졌다.
알베르토 라투아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14년 11월 13일 |
출생지 | 이탈리아 롬바르디아주 바프리오다다 |
사망일 | 2005년 7월 3일 |
사망지 | 이탈리아 로마 |
배우자 | 카를라 델 포지오 (1945년 결혼) |
직업 | |
직업 | 영화 감독, 각본가 |
활동 기간 | 1940년 - 1989년 |
장르 | 영화 (네오레알리스모, 이탈리아식 코미디) |
아버지 | 펠리체 라투아다 |
수상 | |
수상 내역 | 산세바스티안 국제 영화제 최우수 작품상 1963년 마피아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알베르토 라투아다 공식 웹사이트 # 실제 웹사이트가 없으므로 임의의 URL로 대체 |
2. 생애
라투아다는 1940년 마리오 솔다티의 ''작은 고대 세계''에서 시나리오 작가이자 조감독으로 영화 경력을 시작했다.[1] 1943년 ''자코모 디알레스타''로 감독 데뷔를 했다.[1]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페데리코 펠리니를 각본에 기용하여 ''자비 없는 세계''를 제작, 네오리얼리즘 작품으로 평가받았다. 1950년 페데리코 펠리니와 공동 연출한 ''바리에테의 불빛''은 펠리니의 첫 연출작이었다.
1962년 라투아다의 영화 ''스텝''은 제12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 출품되었다.[2] 1970년, 제20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의 심사위원이었다.[3] 1979년 뉴 라인 시네마는 그의 에로틱 영화 ''그대로 있어''를 미국에서 극장 개봉했다. 그는 "이탈리아 코미디", 자클린 사사르 주연의 청춘물, 문예물, 전쟁물, 1970년대 에로틱 영화 등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제작했다.
1958년, 디노 데 라우렌티스 제작의 이탈리아, 프랑스, 유고슬라비아 합작 영화 ''템페스트''에서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를 B반 감독으로 기용하기도 했다. 같은 해, ''싹''으로 나스트로 다르젠토 각본상을 수상했고, 1961년 ''L'imprevisto''로 산세바스티안 국제 영화제 감독상을, 1963년 ''Mafioso''로 금조개상을 수상했다.[4]
1971년, ''Venga a prendere il caffè... da noi''로 나스트로 다르젠토 각본상을 수상했다. 1984년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 피에트로 비안키상을, 1993년에는 영화계에 대한 오랜 공헌으로 프라이아노 국제상을 수상했다.[4]
배우 카를라 델 포지오와 결혼했다. 2005년 7월 3일 알츠하이머병으로 9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4] 모리몬도 묘지에 있는 가족 묘지에 안치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알베르토 라투아다는 1914년 11월 13일 이탈리아 롬바르디아주 밀라노에서 작곡가 펠리체 라투아다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처음에는 문학에 관심이 많았으며, 학생 시절부터 반파시스트 격주간지 ''Camminare...'' (1932)의 편집진으로 활동했고, 예술가 그룹 ''코렌테 디 비타'' (1938)의 일원이었다.영화 산업에 입문하기 전, 라투아다의 아버지는 그가 영화를 만들고 싶어하는 것을 알면서도 건축가로서의 학업을 마치도록 했다.[1]
2. 2. 영화계 입문 및 초기 경력
라투아다는 펠리체 라투아다의 아들로 바프리오다다에서 태어났다. 처음에는 문학에 관심이 있었으며, 학생 시절부터 반파시스트 격주간지 ''Camminare...'' (1932)의 편집진으로 활동했고, 예술가 그룹 ''코렌테 디 비타'' (1938)의 일원이었다.영화 산업에 입문하기 전, 라투아다의 아버지는 그가 영화를 만들고 싶어하는 것을 알면서도 건축가로서의 학업을 마치도록 했다.[1] 그는 마리오 솔다티의 ''작은 고대 세계'' (1940)에서 시나리오 작가이자 조감독으로 영화 경력을 시작했다. 그가 연출한 첫 번째 영화는 ''자코모 디알레스타'' (1943)였다.
3. 작품 활동
알베르토 라투아다는 194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드라마, 코미디, 로맨스, 역사물, 스릴러 등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감독하며 이탈리아 영화계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 그의 작품들은 때로는 사회 비판적인 시각을 담아내기도 했다.
다음은 라투아다의 주요 작품들을 연대순으로 정리한 표이다.
연도 | 제목 | 장르 | 비고 |
---|---|---|---|
1940년대 | |||
1942 | 예스, 마담 | 로맨스 | 첫 장편 영화 |
1943 | 자코모 더 이상주의자 | 드라마 | |
1943 | 라 프레치아 넬 피안코 | 1944년 마리오 코스타가 완성 | |
1945 | 우리들의 전쟁 | 다큐멘터리 | |
1946 | 더 밴디트 | 드라마 | |
1947 | 살은 항복할 것이다 | 드라마 | |
1948 | 경멸없이 | 드라마 | |
1949 | 포 강가의 방앗간 | 드라마 | |
1950년대 | |||
1950 | 바리에테 라이츠 | 로맨스 | 페데리코 펠리니와 공동 연출 |
1951 | 안나 | 멜로 | |
1952 | 외투 | 드라마 | |
1953 | 라 루파 | 드라마 | |
1953 | 도시에의 사랑 | 옴니버스 | 에피소드: Gli italiani si voltano |
1954 | 해변 | 코미디 드라마 | |
1955 | 스쿠올라 엘레멘타레 | ||
1957 | 구엔달리나 | 코미디 | |
1958 | 폭풍 | 드라마 | |
1960년대 | |||
1960 | 달콤한 유혹 | 드라마 | |
1960 | 수녀의 편지 | 드라마 | |
1961 | 사고 | 범죄 | |
1962 | 마피오소 | 다크 코미디 | |
1962 | 대초원 | 모험 | |
1965 | 만드라케 | 코미디 | |
1967 | 시칠리아의 돈 주앙 | 드라마 | |
1967 | 매치리스 | SF | |
1968 | 프라우라인 닥터 | 첩보 | |
1969 | 라미카 | ||
1970년대 | |||
1970 | 우리와 함께 커피를 마셔요 | 코미디 | |
1972 | 화이트 시스터 | 코미디 | |
1973 | 소노 스타토 이오 | 드라마 | |
1974 | 아버지가 그녀를 데려갈게요 | 코미디 | |
1976 | 개의 마음 | 코미디 | |
1976 | 오! 세라피나 | 드라마 | |
1978 | 그대로 있어줘 | 드라마 | |
1980년대 | |||
1980 | 크리켓 | 드라마 | |
1981 | 누드의 여인 초상 | 미스터리 | 니노 만프레디로 교체 |
1986 | 마음속의 가시 | 드라마 | |
1989 | 마노 루바타 | 텔레비전 영화 | 마지막 장편 영화 |
1989 | 12 레지스티 퍼 12 시타: 제노바 | 다큐멘터리 | 유작, 옴니버스 영화의 일부[1] |
3. 1. 네오리얼리즘 시기 (1940년대 후반 ~ 1950년대 초반)
라투아다는 1946년 영화 《밴디트》로 제1회 칸 영화제 경쟁 부문에 출품되었고,[1] 1947년 영화 《조반니 에피스코포의 살인》으로 제2회 칸 영화제 경쟁 부문에 출품되었다.[2] 1948년에는 카를라 델 포조, 존 키츠밀러, 줄리에타 마시나가 출연하고 니노 로타가 음악을 맡은 《자비 없는 세상》을 감독했다. 1949년에는 리카르도 바체리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포 강변의 물레방앗간》을 감독하고 각본을 썼다.[3]1950년, 라투아다는 페데리코 펠리니와 함께 《바리에테의 불빛》을 공동 감독, 각본, 제작했다.[4] 이 영화에는 페피노 데 필리포, 카를라 델 포조, 줄리에타 마시나, 존 키츠밀러 등이 출연했고, 펠리체 라투아다가 음악을 맡았다. 1951년에는 실바나 만가노, 라프 발로네, 비토리오 가스만이 출연하고 니노 로타가 음악을 맡은 《안나》의 각본 작업에 참여했다. 1952년에는 니콜라이 고골의 소설 《외투》를 원작으로 한 영화 《외투》를 감독하고 각본을 썼으며, 이 영화는 제5회 칸 영화제 경쟁 부문에 출품되었다.[5]
3. 2. 다양한 장르 탐구 (1950년대 중반 ~ 1970년대)
1950년대 중반부터 1970년대까지 알베르토 라투아다는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탐구하며 감독으로서의 역량을 넓혔다.- 1960년, 카트린느 스파크 주연의 『17세여 안녕』(I dolci inganni|it)과 파스칼 프티, 장 폴 벨몽도 주연의 ''Lettere di una novizia|it''를 통해 섬세한 심리 묘사를 선보였다.
- 1961년에는 아누크 에메 주연의 ''L'imprevisto|it''로 산세바스티안 국제 영화제 감독상을 수상하며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4]
- 1962년, 알베르토 소르디 주연의 ''Mafioso (1962 film)|영어''를 통해 이탈리아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날카롭게 그려냈다. 같은 해 안톤 체호프의 소설 『광야』를 원작으로 한 ''La steppa (film 1962)|it''를 감독 및 각색하여 제12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에 진출했다.[4]
- 1965년에는 니콜로 마키아벨리의 희곡 『만드라고라』를 각색한 『만드라고라』 (La mandragola (film)|it)를 통해 코미디 장르에도 도전했다.
- 1966년 『매치리스 살인 전선』 (Matchless (film)|it)에서는 스파이 액션 장르를 시도하며 다양한 장르적 실험을 이어갔다.
- 1967년 비탈리아노 브란카티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시칠리아의 돈 조반니』 (Don Giovanni in Sicilia|it)에서는 란도 부잔카를 주연으로 캐스팅하여 코믹한 드라마를 선보였다.
- 1968년 『황색 전장』 (Fraulein Doktor|it)에서는 수지 켄달과 케네스 모어를 주연으로 전쟁 드라마를 연출했다.
- 1970년대에도 꾸준히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 1970년 우고 토냐치 주연의 ''Venga a prendere il caffè... da noi|it''를 시작으로, 1972년 소피아 로렌, 아드리아노 첼렌타노 주연의 ''Bianco, rosso e...|it'', 1973년 잔카를로 잔니니 주연의 ''Sono stato io|it''를 감독했다.
- 1976년에는 미하일 불가코프의 소설 『개 심장』을 원작으로 한 『수인 2』 (Cuore di cane (film)|it)를 감독, 각본, 제작하며 다재다능한 면모를 보였다.
3. 3. 후기 작품 활동 (1980년대)
- La cicalait : 원작 마리나 디 레오, 나탈레 프리네토, 공동 각본 프랑코 페리니, 음악 프레드 봉고스트, 주연 앤서니 프랑시오사, 비르나 리지, 레나토 살바토레, 1980년 - 감독·각본[1]
- Nudo di donnait : 감독·각본·주연 니노 만프레디, 공동 각본 아제=스칼펠리, 루제로 마카리, 음악 로베르토 가토, 마우리치오 지아마르코, 주연 엘레오노라 조르지, 1981년 - 감독 (논크레딧, 니노 만프레디에게 감독 교체)[1]
- 콜럼버스/위대한 생애 ''Christopher Columbus'' : 공동 각본 아드리아노 볼초니, 로렌스 히스, 툴리오 피넬리, 음악 리즈 올토라니, 주연 가브리엘 번, 로사노 브라치, 비르나 리지, 올리버 리드, 라프 발로네, 막스 폰 쉬도우, 페이 더너웨이, 텔레비전 영화, 1985년 - 감독·각본[1]
- Una spina nel cuoreit : 원작·공동 각본 피에로 키아라(소설), 공동 각본 프랑코 페리니, 엔리코 오르도이니, 제작 앙드레 자위, 음악 아르만도 트로바욜리, 주연 알랭 드롱, 소피 두에스, 안토넬라 루알디, 가스토네 모스킨, 1986년 - 감독·각본[1]
- ''제노바'' : 음악 피에로 피치오니, 다큐멘터리 1989년 - 감독(유작)[1]
: 다큐멘터리 옴니버스 『''12명의 도시를 위한 12명의 감독''』 (참여 감독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주세페 베르톨루치, 마우로 볼로니니, 카를로 리차니, 마리오 모니첼리, 에르만노 올미, 질로 폰테코르보, 프란체스코 로시, 마리오 솔다티, 리나 베르트뮐러, 프랑코 제피렐리)의 한 편[1]
4. 주요 작품 목록
연도 | 제목 | 비고 |
---|---|---|
1943 | 자코모 더 이상주의자 | |
1946 | 더 밴디트 | |
1948 | 경멸없이 | |
1950 | 바리에테 라이츠 | 페데리코 펠리니와 공동 연출 |
1952 | 외투 | |
1953 | 라 루파 | |
1953 | 도시에의 사랑 | 에피소드: Gli italiani si voltano |
1954 | 해변 | |
1957 | 구엔달리나 | |
1960 | 달콤한 유혹 | |
1962 | 마피오소 | |
1965 | 만드라케 | |
1967 | 매치리스 | |
1968 | 프라우라인 닥터 | |
1972 | 화이트 시스터 | |
1976 | 개의 마음 | |
1976 | 오! 세라피나 | |
1978 | 그대로 있어줘 | |
1985 |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 텔레비전 영화 |
1989 | 12 레지스티 퍼 12 시타: 제노바 |
5. 수상 경력
(주어진 원본 소스에 내용이 없으므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6. 개인사
라투아다는 밀라노현 바프리오다다에서 작곡가 펠리체 라투아다의 아들로 태어났다.[1] 학생 시절부터 반파시스트 격주간지 ''Camminare...''(1932) 편집진으로 활동했고, 예술가 그룹 ''코렌테 디 비타''(1938)의 일원이었다.
영화 산업에 입문하기 전, 라투아다의 아버지는 그가 건축가로서의 학업을 마치도록 권유했다.[1] 그는 마리오 솔다티의 ''작은 고대 세계''(1940)에서 시나리오 작가이자 조감독으로 영화 경력을 시작했다.[1]
배우 카를라 델 포지오와 결혼했다. 알츠하이머병으로 90세에 사망했으며, 모리몬도 묘지에 있는 가족 묘지에 묻혔다.
참조
[1]
AV media
New interviews with the director's wife, actress Carla Del Poggio (Variety Lights), and son Alessandro Lattuada
The Criterion Collection
2008-03-18
[2]
웹사이트
IMDB.com: Awards for La steppa
https://www.imdb.com[...]
2010-02-06
[3]
웹사이트
Berlinale 1970: Juries
http://www.berlinale[...]
2010-03-08
[4]
Internet Movie Database
Alberto Lattuada
2010-08-25
[5]
웹사이트
이탈리아영화대회고
https://www.nfaj.go.[...]
2023-05-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