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요 경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 경종은 요나라의 제4대 황제이다. 세종의 차남으로, 목종이 암살된 후 거란과 한족 장교들의 지지를 받아 즉위했다. 즉위 후 한족 관료를 등용하고 부패를 일소하는 등 개혁 정치를 시도했으며, 북송과의 전쟁을 준비했으나 교착 상태에 이르렀다. 말년에는 건강이 악화되어 부인 소씨가 섭정했고, 982년 사냥 중 사망했다. 그의 아들 요 성종이 뒤를 이었으며, 예지황후 소씨가 섭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82년 사망 - 오토 1세 폰 슈바벤 공작
    오토 1세 폰 슈바벤 공작은 973년부터 슈바벤 공작, 976년부터 바이에른 공작을 역임했으며 오토 2세에 의해 임명되어 하인리히 2세의 반란을 진압했고 이탈리아 원정 중 사망했다.
  • 948년 출생 - 미나모토노 요리미쓰
    미나모토노 요리미쓰는 헤이안 시대 후기 귀족이자 무장으로 후지와라 섭관가의 가신으로 활동하며 여러 국의 수령을 역임하고 '조정의 수호자'로 불렸으며 '슈텐도지 퇴치' 설화의 주인공이자 가인으로도 활동한 인물이다.
  • 948년 출생 - 말 세크날 막 돔날
    말 세크날 막 돔날은 975년부터 1022년까지 미데 왕국의 왕이었으며, 980년부터 1002년, 그리고 1014년부터 1022년까지 에린의 지고왕을 역임하면서 타라 전투와 글렌마마 전투에서 활약하고 브라이언 보루와 경쟁하고 협력하며 아일랜드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요 경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휘 (이름)야율명의(耶律明扆), 한풍 이름은 야율현(耶律賢)
자 (字)현녕(賢寧)
묘호경종(景宗)
시호효성강정황제(孝成康靖皇帝), 효성황제(孝成皇帝)
존호천찬황제(天贊皇帝)
생몰948년 9월 1일 ~ 982년 10월 13일
능묘건릉(乾陵), 현재의 랴오닝성진저우시베이전시에 위치
통치
재위 기간969년 3월 13일 ~ 982년 10월 13일 (응력 19년 2월 23일 ~ 건형 4년 9월 24일)
연호보녕(保寧): 969년 ~ 979년
건형(乾亨): 979년 ~ 982년
칭호천찬황제(天贊皇帝)
가계
아버지야율 완(耶律 阮)
어머니소살갈지
황후소작(蕭綽)
후궁발해비(渤海妃)
자녀야율 융서(耶律 隆緒)
야율 융경(耶律 隆慶)
야율 융우(耶律 隆祐)
야율 요사노(耶律 姚師奴)
야율 관음녀(耶律 觀音女)
야율 장수녀(耶律 長壽女)
야율 연수녀(耶律 延壽女)
야율수哥
생애
출생천록(天祿) 2년 7월 25일 (948년 9월 1일)
즉위응력(應曆) 19년 2월 23일 (969년 3월 13일)
사망건형(乾亨) 4년 9월 24일 (982년 10월 13일)
기타
무덤건릉(乾陵)
존호천찬황제(天贊皇帝)

2. 생애

세종의 차남으로, 969년 목종이 시해되자 뒤를 이어 즉위했다. 경종은 한족 관료를 등용하고 부패를 단속하는 등 여러 개혁을 추진했다. 북송과의 갈등 속에서 북한을 지원했지만, 송나라에 의해 북한이 멸망하자 직접 군대를 이끌고 송나라와 전쟁을 벌였다. 그러나 전쟁은 교착 상태에 빠졌고, 잦은 사냥과 질병으로 건강이 악화되어 982년 3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

2. 1. 즉위 과정

969년 목종이 암살되자, 거란과 한족 장교들의 지지를 얻어 즉위했다.[3] 세종의 차남으로, 목종의 뒤를 이을 후계자로 중신들에게 추대되었다.[3] 즉위 후 한족 관료를 채용하기 시작하였고 남부대신 진공(요진공)을 임명하였다. 이때부터 요나라는 유목민 사회에서 봉건 사회로 변하기 시작하였다. 부패를 일소하기 위해 뇌물 수수자와 경쟁력이 없는 이들을 해고하였으며, 비판을 받아들여 사냥을 줄였다.[3]

2. 2. 개혁 정치

세종의 차남으로, 969년 목종이 암살된 후 거란과 한족 장교들의 지지를 얻어 즉위했다.

한족 관료를 등용하기 시작하여 남부대신 진공(요진공)을 임명했다. 이때부터 요나라는 유목민 사회에서 봉건 사회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부패를 일소하기 위해 뇌물 수수자와 능력이 없는 이들을 해고했으며, 비판을 수용하여 사냥을 줄였다.[3]

북한을 멸망시킨 과의 전쟁을 준비하였고, 여러 차례 전투 후 교착 상태에 도달하였다. 979년 5월, 송 태종은 연운 16주를 수복하고자 타이위안을 출발해 요나라에 원정군을 보냈으나 크게 패했다. 초기에는 두 성을 쉽게 공략했지만, 현재의 베이징인 연경 공략에는 실패했다. 경종 본인도 화살을 맞고 부상을 입었으며, 이후 사냥에 다시 몰두하여 요나라 내부에서 반발이 거세졌다.[3]

2. 3. 송나라와의 전쟁

979년 5월 송 태종은 연운 16주를 수복하고자 타이위안에서 출발하여 요나라에 원정군을 보냈으나 크게 패하였다. 처음에는 두 개의 성을 손쉽게 공략하였지만, 지금의 베이징인 연경을 공략하는 데는 실패하였다. 송 태종 본인도 화살을 맞고 상처를 입었다. 이 상처로 인해 경종은 사냥에 다시 몰두하게 되었고, 이는 요나라 내부의 반발을 불러 일으켰다.[3]

경종의 북송과의 갈등은 송나라가 북한을 침공했을 때 발생했다. 요나라의 증원군은 송나라 군대에 의해 궤멸되었고, 송나라는 이후 북한을 멸망시켰다. 송나라 군대는 승세를 몰아 요나라의 남경인 베이징을 공격했다. 그러나 요나라 군대는 송나라 군대를 완전히 격파했고, 송 태종은 전장에서 도망쳤다. 이후 여러 차례 전투가 벌어졌으나, 요나라와 송나라는 교착 상태에 빠졌다.[3]

2. 4. 말년과 죽음

979년 5월 송 태종은 연운 16주를 수복하고자 타이위안에서 출발하여 요나라에 원정군을 보냈지만 크게 패하였다. 처음에는 두 개의 성을 손쉽게 공략하였지만, 지금의 베이징인 연경을 공략하는 데는 실패하였다. 경종 본인도 화살을 맞고 상처를 입었다. 상처를 입은 후 사냥에 다시 몰두해서 요나라 내부에서 반발이 다시 거세졌다.

한때 요 경종은 몸이 쇠약해지고 많은 질병에 시달려 때로는 조정 회의에서 일어설 수조차 없었다. 이로 인해 그의 아내 소씨가 국가의 큰일을 관리하게 되었다.

982년 10월 13일, 요 경종은 사냥 여행 중 야영지에서 병으로 사망했다.[3] 그의 유언에 따르면 아들 성종(982–1031)이 뒤를 이었지만, 성종의 나이가 11세에 불과했으므로 소씨가 섭정했다.[3] 건형 4년(982년) 운주(현재의 산서성 대동시)에서 향년 34세로 붕어했다.

3. 가계

요 경종의 황후 예지황후 소씨는 요 성종, 효정황태숙 야율융경, 초효정왕 야율융우, 관음녀, 장수녀, 연수녀를 낳았다.[6] 발해 출신 후궁은 예율숙가를 낳았다. 모씨는 야율약사노를 낳았다. 혼련은 아들인 요 성종의 후궁이 되었으나 소생은 없다.

3. 1. 조부모와 부모


  • '''조부''' : 의종(義宗) 문헌제(文獻帝) 야율배
  • '''조모''' : 유정황후(柔貞皇后) 소씨(蕭氏)
  • '''부''' : 세종(世宗) 효화제(孝和帝) 야율완
  • '''모''' : 회절황후(懷節皇后) 소사지

3. 2. 황후

예지황후 소씨는 요 경종의 황후이다. 이름은 연연(燕燕)이고, 경종의 사촌이다. 蕭綽|소작중국어이라고도 불린다.[6]

봉호시호이름(성씨)별칭재위 기간생몰년도국구(장인/장모)능묘비고
황후(皇后)예지황후(睿智皇后)소작(蕭綽)蕭綽|소작중국어[6]969년 ~ 982년953년 ~ 1009년위왕(魏王) 소사온(蕭思溫)
연국대장공주(燕國大長公主) 야율여불고(耶律呂不古)
건릉(乾陵)


3. 3. 후궁

봉호시호이름(성씨)별칭생몰년도비고
발해비(渤海妃)발해 출신
황태비(皇太妃)호련(胡輦)? ~ 1007년
예지황후 소씨睿智皇后소연연(蕭燕燕)953년 ~ 1009년
모씨(某氏)
혼련(胡輦)아들인 예율융서의 후궁이 됨; 소생 없음
예지소황후소작(蕭綽)승천황태후(承天皇太后)


3. 4. 황자

순서봉호시호이름생몰년도생모비고
1양왕(梁王)야율융서972년 ~ 1031년예지황후 소씨제6대 황제 (요 성종)
2황태숙(皇太叔)효정(孝貞)야율융경973년 ~ 1016년예지황후 소씨[7]
3제왕(齊王)효정(孝靖)야율천덕979년 ~ 1012년예지황후 소씨[8]
4야율정가예지황후 소씨요절
5야율약사노? ~ 981년요절


3. 5. 황녀

순번봉호이름생몰년도생모부마비고
1진진국대장공주
(秦晋國大長公主)
야율관음녀(耶律 觀音女)969년 ~ 1045년예지황후 소씨소계선(蕭繼先)[9]
2위국장공주
(魏國長公主)
야율장수녀(耶律 長壽女)975년 ~ 1017년예지황후 소씨소배압(蕭排押)[10]
3조국공주
(趙國公主)
야율연수녀(耶律 延壽女)976년 ~ 996년예지황후 소씨소항덕(蕭恒德)[11]
4공주(公主)야율숙가(耶律 淑哥)발해노준(盧俊)
소신노(蕭神奴)


4. 연호

연호기간간지비고
보녕 (保寧)969년 ~ 979년기사(己巳) ~ 기묘(己卯)
건형 (乾亨)979년 ~ 982년기묘(己卯) ~ 임오(壬午)


5. 대중문화

2020년 중국 TV 드라마 연운대에서 경초가 연기했다.[1]

참조

[1] 서적 Liao Shi, vol.05
[2] 서적 Liao Shi, vol.09
[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6, Alien Regimes and Border States, 907-1368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8
[4] 문서 died early after birth
[5] 문서 "『[[遼史]]』世宗本紀に、「天禄二年秋七月壬申、皇子賢生」との記述がある。[[ユリウス暦]]で換算すれば948年9月1日となる。"
[6] 문서 귀비(貴妃)/승천황태후(承天皇太后)/성신선헌황후(聖神宣獻皇后)
[7] 문서 항왕(恆王)/양왕(梁王)/진왕(晉王)/진진왕(秦晉王)
[8] 문서 정왕(鄭王)/오왕(吳王)/초왕(楚王)/제인효왕(齊仁孝王)
[9] 문서 제국공주(齊國公主)/진국장공주(晉國長公主)/조위국장공주(趙魏國長公主)/연국대장공주(燕國大長公主)
[10] 문서 오국공주(吳國公主)/위국공주(衛國公主)
[11] 문서 월국공주(越國公主)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