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마산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용마산역은 1996년 10월 11일 서울 지하철 7호선 장암역~건대입구역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지하철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3개의 출구가 있다. 역 주변에는 서울중곡초등학교, 용마산, 용마폭포공원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중랑구의 전철역 - 신내역
신내역은 서울특별시 중랑구에 있는 경춘선과 서울 지하철 6호선 환승역으로, 2013년 경춘선이 먼저 개통하고 2019년 6호선이 개통되었으며, 중랑공영차고지, 서울의료원 등이 주변에 위치한다. - 서울 중랑구의 전철역 - 봉화산역
봉화산역은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동에 있는 서울 지하철 6호선 전철역으로, 2000년 개통하여 2면 3선 혼합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서울교통공사 신내차량사업소, 홈플러스 신내점, 서울의료원 등이 인접해 있다. -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 - 보라매역
보라매역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7호선과 서울 경전철 신림선이 지나며, 2000년에 7호선이 개통되어 영업을 시작했고 2022년 신림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 - 논현역
논현역은 서울 지하철 7호선과 신분당선이 지나는 강남구의 지하철역으로, 2000년에 7호선이 개통되었고 2022년 신분당선 연장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다양한 시설이 주변에 위치해 있다. - 1996년 개업한 철도역 - 행신역
행신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에 있는 경의·중앙선과 KTX가 정차하는 지상역으로, 수도권 서부 지역의 중요한 KTX 환승 거점 역할을 수행하며 이용객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1996년 개업한 철도역 - 신길역
신길역은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5호선의 환승역으로, 각 노선은 지상/지하에, 쌍상대식/상대식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 주변에는 여러 교육기관과 공공시설이 자리 잡고 있다.
용마산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주소 | 서울특별시 중랑구 면목4동 76-1 |
좌표 | '' |
운영 기관 | 서울교통공사 |
노선 | '' |
승강장 | 2 |
선로 | 2 |
구조 | 지하 |
개업일 | 1996년 10월 11일 |
한국어 역명 | |
한글 | 용마산역 |
한자 | '' |
로마자 표기 | Yongmasan-yeok |
역 정보 (추가) | |
역 번호 | '|723}}' |
역 종류 | '' |
역 등급 | '' |
기점 역 | 장암 |
킬로미터 | 15.1 km |
전보 약호 | '' |
노선 정보 | |
노선 | '' |
영업 거리 | 장암 기점 15.1 km |
이전 역 | 722 사가정 |
이전 역 간 거리 | 0.8 km |
다음 역 | 724 중곡 |
다음 역 간 거리 | 0.9 km |
통계 | |
승차 인원 (2015년) | 6,524명 |
승강 인원 (2015년) | 12,704명 |
기타 정보 | |
부역명 | 용마폭포공원 |
![]() |
2. 역사
(내용 없음 - 하위 섹션 '연혁'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을 피해 생략)
2. 1. 연혁
- 1996년 10월 11일 : 서울 지하철 7호선 장암역~건대입구역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 2016년 1월 23일 : 3번 출구 에스컬레이터가 개통되었고, 심야 주박역으로 지정되었다.
3. 역 구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갖춘 지하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은 지하 4층에 있어 역 깊이가 깊은 편이며, 출구는 총 3개가 있다. 승강장이 곡선 형태로 되어 있어 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간격이 넓으므로, 승하차 시 발이 빠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3. 1.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갖춘 지하역으로, 전면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은 지하 4층에 있어 역 깊이가 깊은 편이며, 곡선 승강장이기 때문에 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간격이 넓어 승하차 시 발 빠짐에 주의해야 한다.개찰구는 지하 1층에 1곳 있으며, 화장실은 개찰구 밖에 있다. 승강장과 연결되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으나, 상행 방면 엘리베이터는 지하 3층까지만 운행하므로, 지하 3층에서 하행 방면 엘리베이터로 환승해야 개찰구 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 출구는 1번부터 3번까지 총 3곳이 있으며, 지상 연결용 엘리베이터도 설치되어 있다. 안내상의 승강장 번호는 별도로 지정되어 있지 않다.
3. 2. 시설
승강장은 2면 2선의 곡선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으로, 전면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개찰구는 지하 1층, 승강장은 지하 4층에 있으며, 역 깊이가 깊은 편이다. 승강장이 곡선 형태이므로 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간격이 넓어, 승하차 시 발이 빠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지상으로 연결되는 엘리베이터도 있다. 다만, 상행 방면 승강장에 있는 엘리베이터는 지하 3층까지만 운행하며, 지하 3층에서 개찰구와 하행 승강장을 연결하는 엘리베이터로 환승해야 한다.
개찰구는 1곳 있으며, 화장실은 개찰구 밖에 있다. 출구는 1번부터 3번까지 총 3개가 있다.
4. 역 주변
5. 이용객 변동
wikitext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 7호선 | 승차 | 6,257 | 7,466 | 7,781 | 8,272 | 8,043 | 7,909 | 7,744 | 7,630 | 7,491 | 7,282 | [2] |
하차 | 5,545 | 6,459 | 6,738 | 7,246 | 7,087 | 7,014 | 6,862 | 6,718 | 6,657 | 6,549 | ||
승하차 | 11,802 | 13,924 | 14,520 | 15,518 | 15,131 | 14,922 | 14,606 | 14,348 | 14,148 | 13,831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colspan="2" | | |||
-- 7호선 | 승차 | 7,325 | 7,282 | 6,864 | 6,643 | 6,528 | 6,523 | 6,513 | 6,427 | colspan="2" | | ||
하차 | 6,601 | 6,559 | 6,227 | 6,065 | 6,069 | 6,180 | 6,100 | 5,981 | colspan="2" | | |||
승하차 | 13,926 | 13,840 | 13,091 | 12,708 | 12,597 | 12,703 | 12,613 | 12,408 | colspan="2" | |
6. 인접한 역
장암 방면
석남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