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련산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련산층은 경상 누층군의 최하부 지층으로, 주로 역암으로 구성되며, 영양군, 봉화군, 울진군, 영덕군 등 경상북도 동해안 지역에 분포한다. 지역에 따라 선캄브리아기 변성암류 또는 백악기 화강암류를 부정합으로 덮으며, 상위의 동화치층과는 점이적인 관계를 보인다. 울련산층은 경상 누층군 내 다른 지층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다양한 지질도폭의 층서 대비표를 통해 층서적 위치와 층서 설정의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영덕 대부정합, 죽도산 퇴적암, 경정리 백악기 퇴적암 등 국가지질공원의 지질 유산으로도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역암 지층 - 신라 역암층
신라 역암층은 백악기에 형성된 역암 지층으로, 경상 분지 내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며 화산 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암석 성분을 포함하고 퇴적 시기는 약 1억 년 전으로 추정된다. - 역암 지층 - 청량산층
청량산층은 경상북도 봉화군 청량산에서 유래한 지층으로, 역암, 사암, 이암, 이회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거 청량산층군으로 불릴 때는 역암 위주의 청량산층과 화산암류의 오십봉층으로 나뉘었고, 영양군에서는 청량산층원과 현무암류가 특징인 오십봉층원으로 구분된다. - 이암 지층 - 다대포층
다대포층은 부산 다대포 일대의 백악기 후기 퇴적층으로, 양산-동래단층의 주향이동으로 형성된 분지를 채우며, 적색층과 응회질 사암으로 구성되어 공룡알 화석, 지질 및 퇴적 구조를 보존하고, 부산국가지질공원 지질유산으로 지정되었으나 일부 지역의 접근성 제한과 층서 대비 논쟁이 있다. - 이암 지층 - 고성층
경상남도 고성군 일대에 분포하는 고성층은 붉은색 이암, 사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룡 발자국, 공룡 알, 거북 알 화석 등 다양한 화석과 고성층과 제4기 지층을 절단하는 단층이 발견된다. - 중생대 아시아 - 영동군
영동군은 충청북도 남부에 위치하며, 소백산맥과 노령산맥이 만나는 지점으로 높은 산지를 이루고 있으며, 포도, 감 등의 특산물과 영동난계국악축제로 유명하다. - 중생대 아시아 - 곤드와나
곤드와나는 고생대와 중생대에 존재했던 초대륙으로, 현재의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남극,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등을 포함했으며, 판게아 분열 이후 서곤드와나와 동곤드와나로 나뉘어 각 대륙이 이동하면서 생물 지리학적 분포 패턴에도 영향을 미쳤다.
울련산층 | |
---|---|
지질 정보 | |
이름 | 울련산층 |
시대 | 중생대 |
시기 | 백악기 |
![]() | |
유형 | 퇴적암 |
주 암질 | 이암, 사암, 역암 |
나머지 암질 | 셰일 |
이름 따옴 | 경상북도 영양군 수비면 울련산 |
상위 단위 | 경상 누층군 |
하층 | 선캄브리아기 평해층군 (울진군 평해읍) 원남층군 원남층 (영양군 일월면) 중생대 경정동층 (영덕군) |
상층 | 동화치층/가송동층 |
두께 | 최대 700 m (영양군 북부) 첨멸 (일월산 부근) 최대 500 m (평해도폭) |
분포 지역 | |
지역 | 경상북도 봉화군 재산면 영양군 일월면 북부, 수비면 북부 울진군 온정면 동부, 평해읍 서부 영덕군 축산면 |
2. 지역별 지질
울련산층은 지역에 따라 구성 암석, 두께, 퇴적 환경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 영덕군 지역의 울련산층은 주로 역암으로 구성되며, 축산면 경정리-도곡리 지역에서 적색 미사암(실트스톤)의 협재 여부를 기준으로 상, 하부로 나눌 수 있다.[8]
- 울진군 지역에서 울련산층은 수평 분포가 고르지 못하여 두께가 0에서 500 m에 달한다. 금장산 남서부 일대에서는 뚜렷하게 발달하지만 온정면 온정리 부근에서 발달이 점차 약해지며 조금리 부근에서 첨멸(尖滅)한다.[6]
- 영양군에서는 수비면 계2리 문상천 계곡 지역에 상계폭포와 하계폭포가 있으며 계곡을 따라 울련산층 지층이 드러나 있다. 울련산층은 주로 역암으로 구성되며 간혹 붉은색의 니질암층이 발달한다. 층리와 절리를 따라 차별적인 침식으로 폭포가 형성되었다.[5]
2. 1. 영양군과 봉화군
예안 지질도폭(1963)에 의하면 울련산층은 경상계 지층의 기저를 이루며 봉화군 재산면 동면리 동면저수지 부근에서 첨멸한다. 주로 둥근 역암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사이에 적색 이암과 (담)회색 알코스질사암이 협재되어 있다. 역암을 구성하는 역(礫)들은 편마암, 흑색 편암, 백운모 화강암, 회백색 규암, 적/회색 사암, 회색 석회암, 회색석회암 및 셰일 등이며 이들의 크기는 직경 3~300 cm 에 이르는 극히 불완전한 분급(分級)을 보이나 20~30 cm 에 이르는 역이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한다. 대체로 역의 입도(粒度), 즉 광물 입자의 크기는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작아지며 각력(角礫)에서 둥근 역(圓礫)으로 변해가는 경향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본 층은 역(礫)의 크기가 불균질하여 층리의 발달이 좋지 않으며 건열, 연흔과 같은 퇴적암의 구조가 분명하지 못하다.[3][1]도계동 지질도폭(1963)에 의하면 울련산층은 이 지역 경상계 지층의 기저 역암층으로서 도폭 북부 봉화군 재산면 동면리와 영양군 수비면 발리리 북부와 수하리 남부에서 영남 지괴 선캄브리아기 원남층군 원남층과 동면리 일대에 분포하는 시대 미상의 석영조면암을 부정합으로 덮는다. 수평 분포의 변화가 극히 심하여 지층의 두께가 0(첨멸)에서 700 m에까지 달한다. 일월산 부근에서는 아예 드러나지 않으며, 울련산 부근에서 현저한 발달을 보인다. 선캄브리아 지층을 부정합으로 덮는 본 기저 역암층의 부정합면은 매우 불규칙한 것으로 믿어지며 부정합면의 경사가 70°를 초과하는 것도 있다.
울련산층은 주로 역암으로 구성되며 하부에서는 기저 역암층을 주로 하나 상부에서는 역암층을 주로 하는 알코스사암 및 자색(赭色) 셰일 혹은 이암 등의 호층을 이루며 알코스사암을 주로 하는 동화치층으로 점이된다. 동화치층의 알코스사암은 대체로 회백색을 띄나 본 층 상부의 역암 및 알코스사암은 협재되어 있는 자색(赭色) 셰일 혹은 자색 이암에 물들어 희미한 담홍색을 띄는 부분도 있으나 주로 갈색을 띄어 두 층을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역암의 기질(基質; matrix)은 알코스질이며 역(礫)은 편상 화강암, 백운모 화강암, 반상 화강암, 페그마타이트질화강암, 운모편암, 석회암, 규암, 흑색셰일 및 주입편마암 등으로 구성된다. 이들 역을 구성하는 암석들은 주로 북부에 분포하는 선캄브리아기의 변성암류들이다. 역의 크기는 울련산층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작아지며 평균 크기는 20 cm 내외이고 2 cm에서 3 m까지 달한다.[4]
영양군 수비면 계2리 문상천 계곡 지역에 상계폭포와 하계폭포(N 36°48'20.28", E 129°11'12.29")가 위치하며 계곡을 따라 울련산층 지층이 드러나 있다. 울련산층은 주로 역암으로 구성되며 간혹 붉은색의 니질암층이 발달한다. 울련산층의 층리와 절리를 따라 차별적인 침식으로 폭포가 형성되었다. 하계폭포는 관법사 옆에, 상계폭포는 숲길을 따라 약 500 m 상류에 위치한다.[5]
2. 2. 울진군
울진군 지역에서 울련산층은 수평 분포가 고르지 못하여 두께가 0에서 500 m에 달한다. 금장산 남서부 일대에서는 뚜렷하게 발달하지만 온정리 부근에서 발달이 점차 약해지며 조금리 부근에서 사라진다. 수비면 본신리 및 금장산 일대에서 선캄브리아기의 지층들을 부정합으로 덮으며, 선미리를 중심으로 반달 모양으로 분포하는 선미층(Ks)의 외곽에서 선미층을 부정합으로 덮는 것으로 추정된다. 온정리 부근에서 중생대 백악기의 온정리 화강암(Kgr)을 부정합으로 덮는다.[6]울련산층은 주로 기저 역암으로 구성되며 상부에서 녹회색 및 암회색 알코스사암과 자색 셰일을 협재한다. 역암을 구성하는 기질(基質)은 알코스질이며 역암은 북부에 넓게 분포하는 선캄브리아기 지층의 변성암류 및 화성암류들로 구성되어 있다. 역(礫)의 크기는 2 m 30 cm 에 달하는 것도 있으나 20 cm 내외의 것들이 가장 많으며 그 크기는 상부로 갈수록 점차 작아진다. 평해읍 평해리 부근의 울련산층은 온정면 광품리에서 기저 역암층이 현저하게 발달하나 평해리 남쪽에서는 역암층의 발달이 미약하다. 이 지역에서는 역암, 자색 사암, 갈회색 사암, 자색 이암 및 셰일로 구성된다.[6] 평해 부근의 울련산층은 일월산 스러스트 단층에 의해 잘려나가고 300 m만이 남아 있다.[7]


2. 3. 영덕군
영덕군 지역의 울련산층은 주로 역암으로 구성되며, 축산면 경정리-도곡리 지역에서 적색 미사암(실트스톤) 협재 여부에 따라 상, 하부로 나뉜다. 두께 400 m의 하부는 역암과 미사암 교호대로서 미사암은 적색을 띠며, 역암층은 횡적 변화가 심하고 상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며 입도도 작아진다. 두께 1,800~2,200 m의 상부는 주로 역암과 역질사암으로 구성되며, 미사암이 거의 없다. 역암층은 대부분 층리가 잘 발달하고, 횡적 연장성도 양호하며 입도 변화도 거의 없다. 울련산층 내에는 염기성 관입 암맥들이 봉화산(285.9 m, 축산면 도곡리) 봉수대 남측 산록 능선에 다수 분포한다. 축산면 축산리 염장마을 하안 노두에서는 울련산층 내에 폭 2~10 m 정도의 현무암이 층리에 평행하게 협재된다. 울련산층 퇴적시기 상한을 결정하기 위한 사암의 저어콘 U-Pb SHRIMP 연대측정 결과는 108 Ma 보다 젊다.[8][1]영덕군 축산면 고곡리 산 267-8 (N 36°29'31.69", E 129°24'35.12")에는 북북동 주향의 양산 단층대 주 단층핵이 약 30 m 폭으로 발달하며, 단층핵 기준 서편과 동편에 각각 유천층군 현무암과 하양층군 울련산층이 분포한다. 이 단층면 직상위에는 제4기 중립질 사암과 실트 혼재 산록 퇴적물 하부층이 단층면과 접하며 분포하고 있어 제4기 활성단층일 가능성이 높다.[1]
영덕군에는 울련산층 일부가 경북동해안 국가지질공원 지질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지질 명소 | 위치 | 특징 |
---|---|---|
영덕 대부정합 | 영해면 사진리 | 고원생대 변성암류와 울련산층의 부정합 경계 |
죽도산 퇴적암 | 축산면 축산리 | 점이 층리, 판상 층리, 사층리 발달, 중성암맥 관입, 페퍼라이트 관찰 |
경정리 백악기 퇴적암 | 축산면 경정리 | 붉은색 이암, 사암, 역암으로 구성, 다양한 퇴적 구조 발달 |
2. 3. 1. 경북동해안 국가지질공원 영덕 대부정합
영덕군 영해면 사진리 199-1 (N 36°31'39.76, E 129°26'28.75")에는 고원생대 변성암류의 녹색편암이 울련산층의 최상부 역암층을 충상하는 역단층이 드러나 있다. 주향 북서 80°, 경사 북동 45°의 이 단층은 내륙으로 약 3 km 연장되고 양산 단층과 접한다. 단층 북측의 녹색편암 내에는 응집력이 있는 엽리상의 단층파쇄암대가 수십 m에 걸쳐 여러 매 관찰되며, 남측의 울련산층 역암에는 수 m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단층각력암이 발달한다. 이 단층은 일월산 스러스트 단층이 양산 단층대에 의해 남쪽으로 약 32 km 이동한 것으로 해석된다.[1] 이곳에서 1 km 남쪽 해안가(N 36°31'08.09", E 129°26'37.50", 영해면 사진리 산 141)에도 거의 동일한 기하를 보이는 스러스트 단층이 드러나 있다. 단층 경계부는 해수로 인해 관찰이 어려우며 하반의 울련산층 역암들은 심하게 파쇄되어 있다. 단층각력대 및 파쇄대의 두께는 상반인 녹색편암에서 약 12 m, 울련산층 역암에서 약 5 m로 발달한다.[1] 본 지질 유산은 동해안 지질공원의 '''영덕 대부정합'''(Yeongdeok Great Unconformity)으로 명명되어 있다.[9] 영덕 대부정합은 사진2리와 사진3리 사이, 영덕대게로 도로변에 드러나 있으며 도로변에 표지판이 있어 쉽게 찾아갈 수 있다. 이 지질명소에는 주차 시설과 안내 표지판이 있다. 암석은 해안 절벽 밑에 있어 추락에 유의해야 한다.

2. 3. 2. 경북동해안 국가지질공원 죽도산 퇴적암
영덕군 축산면 축산리 3-39 (N 36°30'32.43", E 129°27'7.95")에는 죽도산(78.1 m) 해변을 따라 500 m 이상 역암과 역질조립사암으로 구성된 울련산층이 드러나 있다. '''죽도산 퇴적암'''[10]이라 불리는 이 지층에는 점이 층리, 판상 층리, 사층리가 발달하며, 퇴적암을 관입한 중성암맥도 관찰된다. 죽도산 남동부의 축산리 산 106-7 (N 36°30'28.29", E 129°27'09.98")에는 담황색 내지 담회색을 띠는 울련산층에 암회색의 염기성 암질 암상(巖床; sill)과 암맥들이 수 cm~수 m 폭으로 여러 매 노출되어 있어 독특한 경관을 보인다. 특히 염기성 암질(현무암질) 암상 경계부에서는 고화되지 않은 울련산층 퇴적물 사이로 성분이 다른 고온의 염기성질암이 층리를 따라 관입할 때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페퍼라이트(peperite)가 산출된다.[1]영덕군 축산면 축산리 산 69 (N 36°30'2.73", E 129°26'1.16")에서는 울련산층 퇴적 당시 현무암질 마그마가 유입되어, 미고결 상태인 퇴적물과 현무암질 암상의 관입 경계에서 혼화로 인해 형성된 페퍼라이트가 관찰된다.[1]







2. 3. 3. 경북동해안 국가지질공원 경정리 백악기 퇴적암
영덕군 축산면 경정리 121 (N영어 36°29'16.40", E영어 129°26'31.92")에는 해안을 따라 붉은색 이암 내지 사질이암과 하천 기원의 역암 및 백색의 사암으로 구성된 울련산층이 드러나 있다. 붉은색 이암에는 무척추동물의 생흔 화석이, 사암에는 사층리가, 역암에는 판상층리 또는 사층리가 발달한다.[1] '''경정리 백악기 퇴적암'''으로 명명되어 있는 이 지질명소는 국지도 제20호선 영덕대게로 도로변에 있으며 자동차로 방문할 때는 안동병원연수원(영덕군 축산면 영덕대게로 1852) 혹은 바다여행 펜션(영덕군 축산면 영덕대게로 1831)으로 검색하면 된다. 도로변에는 안내 표지판과 화장실 등 간단한 시설이 있으며 바다로 이어지는 계단을 내려가면 해안가의 울련산층 노두를 관찰할 수 있다.[1]
36°29'15.7", 129°26'26.7"

36°29'15.7", 129°26'27.4"


36°29'16.1", 129°26'30.6"

36°29'16.6", 129°26'33.7"

36°29'15.8", 129°26'32.9"

36°29'15.8", 129°26'33.4"

36°29'16.1", 129°26'33.6"

3. 경상 누층군 타 지층과의 관계
울련산층은 경상 누층군 하양층군의 최하부 지층으로, 상위의 동화치층과는 점이적인 관계를 보인다.[4] 알비절(99.6-112.0 Ma)에 해당하는 109.9±3.2 Ma의 연대를 가진다.[2]
예안 지질도폭(1963)에 따르면, 울련산층은 경상계 지층의 기저를 이루며 봉화군 재산면 동면리 동면저수지 부근에서 첨멸한다. 주로 둥근 역암으로 구성되어 있고, 적색 이암과 (담)회색 알코스질사암이 협재되어 있다.[3][1]
도계동 지질도폭(1963)에서는 울련산층이 선캄브리아기 원남층군 원남층과 석영조면암을 부정합으로 덮는다고 설명한다. 지층의 두께는 0에서 700 m까지 변화가 심하며, 일월산 부근에서는 드러나지 않고, 울련산 부근에서 현저하게 발달한다. 주로 역암으로 구성되며, 상부에서는 알코스사암 및 자색(赭色) 셰일 혹은 이암 등의 호층(서로 다른 암석층이 교대로 나타나는 층)을 이루며 동화치층으로 점이된다.[4]
평해 지질도폭(1963)에서는 경상 분지 북동쪽 끝인 수비면 수하리 남부와 본신리, 내선미리 일대, 온정면 온정리, 광품리와 평해읍 학곡리 일대에 분포한다고 설명한다. 수비면 본신리 및 금장산 일대에서 선캄브리아기 지층을 부정합으로 덮으며, 선미층(Ks)을 부정합으로 덮는 것으로 추정된다. 온정리 부근에서는 중생대 백악기 온정리 화강암(Kgr)을 부정합으로 덮는다.[6]
영덕군 지역의 울련산층은 주로 역암으로 구성되며, 축산면 경정리-도곡리 지역에서 적색 미사암(실트스톤) 협재 여부를 기준으로 상, 하부로 나눌 수 있다. 하부는 역암과 미사암의 교호대, 상부는 주로 역암과 역질사암으로 구성된다.[8][1]
3. 1. 경상 누층군 지층 대비표
영양 소분지를 비롯한 경상 분지 북동부 지역의 여러 지질도폭에서 제시된 경상 누층군의 층서 대비표는 다음과 같다. 각 도폭별로 층서 설정에 차이가 있으며, 울련산층은 낙동층군 최하부 지층으로 설정되어 있다.; 영양소분지 일대 경상 누층군 지층대비표
도폭 | 예안도폭 | 도계동도폭 | 평해도폭 | 중평동도폭 | 영양도폭 | 영해도폭 | 청송도폭 | 영덕도폭 | 청하도폭 |
---|---|---|---|---|---|---|---|---|---|
불국사통 | 화강암 (Dgr) | 각력질안산암 (Kba) | 화강암 (Dgr) | 화강암 (Kgr) | |||||
신라통 | 도계동층 (Mt) | 도계동층 (Mt) | 도계동층 (Mt) | 녹색 사암층 (Kgs) | 입봉 반암층 (Dr) | ||||
청량산층 (Mch) | 청량산층 (Mch) | 청량산층 (Mch) | 청량산층 (Mch) | 청량산층 (Mch) | 오천동층 (Dg) | 적색 사암층 (Krs) | 신양동층 (Ds) 오천동층 (Dg) | 지경동 화산암류 (Kg) | |
낙동통 | 가송동층 (Mg) | 가송동층 (Mg) | 가송동층 (Mg) | 가송동층 (Mg) | 가송동층 (Mg) | 경정동층 (Dk) | 가송동층 (Kch) | ||
동화치층 (Md) | 동화치층 (Md) | 동화치층 (Md) | 동화치층 (Md) | 동화치층 (Md) | 알코스사암층 (Ka) | ||||
울련산층 (Mu) | 울련산층 (Mu) | 울련산층 (Mu) |
; 중평동 및 예안도폭에 제시된 경상 누층군 지층대비표[1]
지질 시대 | 층군 | 지층명 | ||
---|---|---|---|---|
예안도폭 (1963) | 중평동도폭 (1970) | |||
중생대 백악기 | 신라층군 | 도계동층 | 도계동층 | |
청량산층군 | 오십봉층 | 청량산층 | ||
청량산층 | ||||
낙동층군 | 가송동층 | 가송동층 | ||
동화치층 | 적색이암층 | 적색이암층 | ||
알코스질사암층 | 알코스질사암층 | |||
; 예안도폭(1963)에 제시된 대구지방 및 안동·영양지방(영양 소분지)의 지층 대비표[1]
층군 | 대구지방의 경상계 지층 | 안동·영양지방의 경상계 지층 | |
---|---|---|---|
신라층군 | 하양층군 | 대구층 (Kt) | 도계동층 (Kt) |
학봉빈암층 (Kkb) | 오십봉층 (Kcho) | ||
신라 역암층 (Ksg) | 청량산층 (Kcho) | ||
낙동층군 | 칠곡층 (Kcg) | 가송동층 (Kg) | |
신동층군 | 진주층 (Knj) | ||
하산동층 (Knh) | 동화치층 (Kd) | ||
낙동층 (Knk) | |||
울련산층 (Ku) | |||
층군 | 왜관, 대구지역 | 일월산지역 | 영해, 영덕지역 | 층군 | |
---|---|---|---|---|---|
신 라 통 | 하 양 층 군 | 대구층 | 도계동층 | 신 라 통 | |
학봉산 분암층 | 오십봉층 | 입봉 분암층 | |||
신라 역암층 | 청량산층 | 신양동층 | |||
낙 동 통 | 칠곡층 | 가송동층 | 오천동층 | ||
신 동 층 군 | 진주층 | ||||
하산동층 | 동화치층 | ||||
낙동층 | 울련산층 | 경정동층 | 낙동통 |
참조
[1]
웹인용
MGEO 지질정보시스템 1: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
웹인용
경상분지 낙동층 및 울련산층 쇄설성 저어콘의 SHRIMP U-Pb 연대 (SHRIMP U-Pb detrital zircon ages of the Nakdong Formation and the Ulleynsan Formation, Gyeongsang Basin)
https://www.gskorea.[...]
대한지질학회
2012-10
[3]
웹인용
예안 지질도폭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3년
[4]
웹인용
道溪洞 地質圖幅說明書 (도계동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3년
[5]
서적
경북권 지질유산 발굴 및 가치평가
대한지질학회
2017-11
[6]
웹인용
平海 地質圖幅說明書 (평해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3년
[7]
웹인용
Cretaceous and Early Cenozoic Stratigraphy and History of Eastern Kyŏngsang Basin, S. Korea (경상분지 동부의 백악기 및 전기신생대 층서 및 지사)
https://www.dbpia.co[...]
1990-10
[8]
저널
경북 영덕군 동부 일원의 지질과 U-Pb 연령 (Geology and U-Pb Age in the Eastern Part of Yeongdeok-gun, Gyeongsangbuk-do, Korea)
https://www.dbpia.co[...]
2018-09
[9]
웹인용
영덕 대부정합
https://www.geotouri[...]
경북동해안지질공원
[10]
웹인용
죽도산 퇴적암
https://www.geotouri[...]
경북동해안지질공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