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 요새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워싱턴 요새 전투는 미국 독립 전쟁 중 1776년 11월 16일, 현재 뉴욕 맨해튼 북쪽의 워싱턴 요새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영국군은 롱아일랜드 전투 이후 맨해튼을 공격하여 요새를 점령하려 했다. 조지 워싱턴은 나대니얼 그린의 건의를 받아들여 요새를 방어하기로 결정했다. 영국군은 세 방향에서 요새를 공격했고, 결국 대륙군은 패배하여 2,837명이 포로로 잡혔다. 이 전투로 인해 대륙군의 사기가 저하되었으나, 이후 워싱턴은 트렌턴 전투와 프린스턴 전투에서 승리하며 전세를 만회했다. 7년 후, 미국은 이 요새를 되찾았다. 현재 요새 부지는 베넷 공원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76년 분쟁 - 롱아일랜드 전투
롱아일랜드 전투는 1776년 미국 독립 전쟁 초기에 영국군이 대륙군을 격파하여 뉴욕을 점령하게 된 전투이며, 조지 워싱턴의 철수 작전이 돋보이는 사건이다. - 1776년 분쟁 - 보스턴 포위전
미국 독립 전쟁 초기에 미국 식민지 민병대가 영국군을 보스턴에 포위한 보스턴 포위전은 과중한 세금과 렉싱턴-콩코드 전투로 고조된 반영국 감정 속에, 조지 워싱턴의 대륙군이 도체스터 고지 요새화로 영국군을 철수시켜 미국의 독립 투쟁 의지를 고취하고 독립 전쟁의 전환점을 마련했다. - 1776년 미국 - 버지니아 권리 장전
버지니아 권리 장전은 1776년 버지니아에서 채택된 문서로, 개인의 권리를 옹호하고 정부의 권한을 제한하며, 미국 독립 선언문과 미국 권리 장전에 영향을 미쳤다. - 1776년 미국 - 미국 독립선언
1776년 7월 4일 제2차 대륙 회의에서 채택된 미국 독립선언은 영국으로부터 13개 식민지가 독립된 주권 국가임을 선언하고, 토머스 제퍼슨이 초안을 작성하여 존 로크의 자연권 사상에 기초, 생명, 자유, 행복 추구권을 천명하며 정부의 권리 침해에 대한 국민의 저항권(혁명권)을 명시한 문서이다.
워싱턴 요새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개요 | |
![]() | |
전투 | 워싱턴 요새 전투 |
전쟁 | 미국 독립 전쟁 |
시기 | 1776년 11월 16일 |
장소 | 뉴욕 맨해튼 워싱턴 하이츠 |
결과 | 영국군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파일:Flag of the United States (1776-1777).svg|23px|테두리]] 대륙군 |
교전국 2 | [[파일:Flag of Great Britain (1707-1800).svg|테두리|23px]]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파일:Flag of Hesse.svg|23px]] 헤센-카셀 [[파일:Flag of Waldeck before 1830.svg|23px]] 발데크피르몬트 |
지휘관 및 지도자 | |
대륙군 | [[파일:Flag of the United States (1776-1777).svg|23px|테두리]] 조지 워싱턴 [[파일:Flag of the United States (1776-1777).svg|23px|테두리]] 나다니엘 그린 [[파일:Flag of the United States (1776-1777).svg|23px|테두리]] 로버트 마고 |
영국군 | [[파일:Flag of Great Britain (1707-1800).svg|23px|테두리]] 윌리엄 하우 [[파일:Flag of Great Britain (1707-1800).svg|23px|테두리]] 휴 퍼시 [[파일:Flag of Hesse.svg|23px]] 빌헬름 폰 크니파우젠 |
병력 규모 | |
대륙군 | 3,000명 |
영국군 | 8,000명 |
사상자 및 피해 | |
대륙군 | 전사 59명 부상 96명 포로 2,837명 |
영국군 | 전사 84명 부상 374명 |
2. 배경
1776년 6월, 미국 독립 전쟁 초기, 대륙군의 헨리 녹스, 나대니얼 그린, 윌리엄 히스, 이즈라엘 퍼트넘은 허드슨 강이 내려다보이는 맨해튼 북쪽 끝의 높은 지형을 조사하고 요새를 구축하기로 결정했다.[57] 조지 워싱턴 총사령관도 이곳이 허드슨 강 하류 방어에 중요한 지점임을 확인하고, 루퍼스 퍼트넘의 감독 아래 요새 구축을 지시했다.[58]
펜실베이니아 부대는 영국 함선의 허드슨 강 진입을 막기 위해 말뚝 말목을 설치했다.[58] 요새 부지는 암반 지형이라 흙이 부족했기 때문에, 흙을 운반하여 5개의 보루가 있는 오각형 형태의 요새를 만들었다. 요새 주변에는 가시나무 울타리를 설치했다.[60] 9월에는 병영이 완성되었고, 워싱턴은 요새 근처에 작전 본부를 설치했다.[59]
요새를 지원하기 위해 제프리스 훅과 콕스 힐 등에 포대가 설치되었고, 킹스 브리지와 할렘 강 위의 다이크만 브리지를 통제하는 포대도 구축되었다. 요새 남쪽에는 세 줄의 방어선이 만들어졌다.[62]
롱아일랜드 전투에서 승리한 영국군 사령관 윌리엄 하우는 킵스 베이 상륙과 할렘 하이츠 전투를 거쳐 대륙군을 압박했다. 워싱턴은 대부분의 병력을 화이트 플레인스로 철수시키고, 로버트 매거 대령에게 1,200명의 병력을 주어 워싱턴 요새를 지키게 했다.[14]
10월 27일, 영국군 프리깃이 리 요새와 워싱턴 요새의 포격으로 손상되었다.[17] 11월 초, 대륙군과 헤센군 사이에 소규모 교전이 벌어져 대륙군이 승리했다.[18][19] 이로 인해 매거는 요새를 지킬 수 있다고 자신했지만, 11월 2일 그의 부관 윌리엄 데몽이 탈영하여 요새의 상세한 정보를 영국군에 넘겼다.[20]
조지 워싱턴은 워싱턴 요새를 포기하려 했으나, 나대니엘 그린의 설득으로 요새를 지키기로 결정했다.[22][23] 그린은 요새를 통해 강을 건너 통신을 유지하고 영국군의 뉴저지주 공격을 막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23]
11월 4일, 윌리엄 하우는 워싱턴 요새 공격을 결정하고, 워싱턴은 군대를 분할하여 찰스 리에게 뉴잉글랜드 방어를, 윌리엄 히스에게 허드슨 고지 방어를 맡기고 자신은 리 요새로 이동했다.[23] 하우의 공격 계획은 세 방향에서 요새를 공격하고, 제42 하이랜더 연대는 페인트를 하는 것이었다. 공격 전 하우는 매거에게 항복을 요구했지만, 매거는 요새를 끝까지 방어하겠다고 답했다.[26]
2. 1. 요새 구축과 방어
1776년 6월, 미국 독립 전쟁 초기, 대륙군의 헨리 녹스, 나대니얼 그린, 윌리엄 히스, 이즈라엘 퍼트넘은 허드슨 강이 내려다보이는 맨해튼 북쪽 끝의 높은 지형을 조사했다. 이들은 이 지역에 요새를 구축하고 적절히 방어하면 함락시키기 어렵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57] 조지 워싱턴 총사령관도 현장 조사를 통해 이곳이 허드슨 강 하류 방어에 핵심적인 지점임을 확인하고, 펜실베이니아 부대에 루퍼스 퍼트넘의 감독 아래 요새 구축을 지시했다.[58]펜실베이니아 부대는 우선 영국 함선이 허드슨 강을 거슬러 올라와 대륙군의 측면을 공격하는 것을 막기 위해 말뚝 말목을 설치했다. 이들은 한 달 이상 맨해튼 고지대에서 강가로 바위를 운반하여 통나무와 폐선으로 만든 구조물에 쌓아 강을 가로막았다.[58]
이 장애물 공사가 끝나자 본격적으로 요새 구축이 시작되었다. 요새 부지는 암반 지형으로 흙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절벽 아래 저지대에서 흙을 운반해야 했다. 이 흙으로도 요새 주변에 충분한 참호나 도랑을 만들 수는 없었다. 완성된 요새는 5개의 보루가 있는 오각형 형태였다. 요새의 주벽은 흙으로 쌓았고, 모든 각도에서 대포를 쏠 수 있는 구멍이 있는 반월보를 갖추고 있었다. 요새는 3~4에이커(8~10 km²)의 넓이를 둘러쌌다.[60] 바위를 폭파할 화약이 부족했기 때문에, 요새를 둘러싼 도랑 대신 가시나무 울타리를 설치했다. 9월에 병영이 완성되자, 이 지역의 모든 병력은 윌리엄 히스 소장 휘하에 편입되었다. 워싱턴은 요새 근처에 작전 본부를 설치했다.[59]
요새를 지원하는 다양한 방어 시설도 구축되었다.[61] 제프리스 훅에는 허드슨 강으로 뻗어 있는 포대가, 스파이텐 다이빌 크릭을 내려다보는 언덕에는 콕스 힐 포대가 설치되었다. 맨해튼 북쪽 끝에는 킹스 브리지와 할렘 강 위의 다이크만 브리지를 통제하는 포대가, 요새 동쪽 할렘 강을 따라 로렐 힐에도 포대가 배치되었다.[62] 요새 남쪽에는 세 줄의 방어선이 있었는데, 참호와 토치카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방어선은 북쪽으로 약 0.5km 떨어진 두 번째 방어선에 의해 지원되었고, 세 번째 방어선은 두 번째 방어선에서 북쪽으로 0.4km 떨어진 곳에 건설될 예정이었다.[62]
2. 2. 양군의 동태
1776년 8월 말 롱아일랜드 전투에서 승리한 영국군 사령관 윌리엄 하우는 9월 15일 맨해튼에 킵스 베이 상륙을 개시했다. 다음 날 할렘 하이츠 전투에서 영국군의 북진이 저지되자, 하우는 섬 북쪽에 있는 강력한 미국군 진지를 측면 공격하려 했다.[12] 10월 11일 상륙 시도가 실패한 후, 하우는 10월 18일 대륙군의 퇴로를 차단하기 위해 뉴욕 웨스트체스터 카운티 남부(오늘날의 브롱크스)에 병력을 상륙시키기 시작했다. 위험을 감지한 조지 워싱턴은 대부분의 병력을 북쪽 화이트 플레인스로 철수시켰다.[13] 워싱턴은 로버트 매거 대령에게 1,200명의 병력을 주어 워싱턴 요새를 지키게 했지만,[14] 이 병력은 요새를 방어하기에는 부족했다.[15] 한편, 하우는 휴 퍼시와 소규모 병력을 모닝사이드 하이츠 아래에 남겨 요새를 감시하게 했다.[16]10월 27일 아침, 초병들은 매거에게 퍼시의 군대가 허드슨 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두 척의 프리깃의 지원을 받아 공격을 시작했다고 알렸다.[17] 매거는 부대에 프리깃을 공격하라고 명령했고, 두 척의 배는 리 요새와 워싱턴 요새의 포격으로 심하게 손상되었다. 프리깃은 자체 대포를 미국군 진지의 높이까지 올릴 수 없었다. 영국군은 프리깃을 끌어냈지만, 양측 포병 사이에 한동안 포격전이 계속되었다.[17]
11월 8일, 약 24명의 미국 군인들이 약간 더 많은 수의 헤센 부대를 전방 보루에서 몰아냈다. 헤센군은 더 나은 엄폐물을 가진 높은 지형을 점령했고, 소규모 교전에서 포병 지원을 받았지만, 그들의 위치를 유지할 수 없었다. 이 교전에서 대륙군 병사 한 명이 부상을 입었고, 최소 두 명의 헤센군이 사망했으며, 알려지지 않은 수의 다른 병사들이 부상을 입었다. 현장의 임시 구조물을 불태우고 약탈한 후, 승리자들은 어둠이 올 때까지 그곳을 점령했고, 그 후 주요 전선으로 돌아갔다.[18] 다음 날까지 헤센군은 그 지점을 재점령했지만, 더 많은 수의 미국군에 의해 다시 빠르게 쫓겨났다. 이번에는 헤센군이 10명의 사망자를 냈고, 미국군 한 명이 부상을 입었다.[19]
이러한 소규모의 성공으로 매거는 과신하게 되었고, 12월 말까지 포위 공격을 통해 요새를 지킬 수 있다고 호언장담했다. 11월 2일, 매거의 부관 윌리엄 데몽이 탈영하여 영국 지휘부에 요새의 상세한 계획을 제공했다.[20] 퍼시는 며칠 전 화이트 플레인스 전투에서 워싱턴을 격파한 하우에게 그 정보를 보냈다.[20][21] 워싱턴의 북쪽 퇴각과 요새에 대한 영국군의 공격 사이 몇 주 동안, 증원군이 요새로 계속 유입되어 병력이 거의 3,000명으로 증가했다.[17]
2. 3. 전략과 준비
조지 워싱턴은 워싱턴 요새를 포기하는 것을 고려했지만,[22] 요새를 지킬 수 있고 그렇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었던 나대니엘 그린의 설득에 넘어갔다. 그린은 요새를 지키면 강을 건너 통신이 가능하고, 영국군이 뉴저지주를 공격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23] 조지 매거와 이스라엘 퍼트넘은 그린에게 동의했다.[1] 워싱턴은 그린의 의견에 따랐고 요새를 포기하지 않았다.[24]11월 4일, 윌리엄 하우는 그의 군대에 돕스 페리로 남쪽으로 이동하라고 명령했다. 하우는 고지대에서 미군을 추격하는 대신, 데몬트의 탈영으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워싱턴 요새를 공격하기로 결정했다.[25] 이에 워싱턴은 군대를 분할했다.[23] 찰스 리의 지휘 아래 7,000명의 병력이 허드슨강 동쪽에 남아 영국군의 뉴잉글랜드 침공을 막고, 윌리엄 히스 장군은 3,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허드슨 고지를 지켜 영국군의 북쪽 진격을 막기로 했다. 워싱턴은 2,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리 요새로 이동했고, 13일 리 요새에 도착했다.[23]
하우의 공격 계획은 네 개의 병력이 페인트를 하는 동안 세 방향에서 요새를 공격하는 것이었다. 당시 요새는 증원을 받아 3,000명의 병력이 주둔하고 있었다.[22] 빌헬름 폰 크니파우젠이 지휘하는 헤센군은 북쪽에서, 퍼시가 이끄는 헤센군과 영국군은 남쪽에서 공격하기로 했다. 콘월리스 경은 제33보병연대를, 에드워드 매튜 장군은 경보병을 이끌고 동쪽에서 공격하기로 했다.[25] 제42 하이랜더 연대는 페인트를 맡아 요새 남쪽, 맨해튼섬 동쪽에 상륙할 예정이었다.[25] 공격 전, 하우는 11월 15일 휴전 협정을 맺고 제임스 패터슨 중령을 보내 요새가 항복하지 않으면 모든 수비대가 죽임을 당할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매거는 애국자들이 "최후의 순간"까지 요새를 방어할 것이라고 말했다.[26]
3. 전투
11월 16일 새벽, 영국군과 헤센군은 공격을 개시했다. 헤센군 지휘관 크니파우젠과 그의 병력은 평저선을 타고 할렘 강을 건너 맨해튼에 상륙하려 했으나, 조수 때문에 해안에 가까이 접근할 수 없었다.[27] 그래서 진격을 멈추고 매튜가 건너올 때까지 기다려야 했다. 오전 7시경, 헤센군은 로럴 힐에 있는 미국 포대에 포격을 시작했고, 영국 프리깃함은 미국 참호에 포격을 시작했다.[28] 요새 남쪽에서는 퍼시가 요새 자체에 포격을 가했다.[29]
정오 무렵, 크니파우젠과 헤센군은 진격을 재개했다.[29] 조수가 충분히 높아지자 매튜와 그의 병력은 하우의 호위를 받으며 할렘 강을 건너 맨해튼 해안의 미국 포병의 격렬한 포격 속에 상륙했다.[30] 영국군은 언덕을 올라가 펜실베이니아 자원병 부대가 방어하는 요새에 도달할 때까지 미국군을 흩뜨렸고, 잠시 교전 후 요새를 향해 도망갔다.[31]
요새 북쪽에서 요한 랄이 지휘하는 헤센군 우익은 스파이턴 듀이빌 크릭 남쪽의 가파른 언덕을 거의 저항 없이 올라갔다.[31] 헤센군은 포병을 투입하기 시작했고, 크니파우젠 휘하의 4,000명의 헤센군 주력 부대가 포스트 로드를 따라 진격하기 시작했다.[31] 헤센군은 늪지대를 건넜고, 요새 근처의 숲이 우거진 언덕에서 모세 로울링스 중령이 지휘하는 메릴랜드와 버지니아 소총 연대 소속 250명의 소총수들의 공격을 받았다. 로울링스의 부대는 바위와 나무 뒤에 숨어 헤센군에게 총을 쏘았다.[32] 헤센군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돌격은 로울링스의 소총수들에게 격퇴되었다.[32]
존 코빈은 오늘날 베넷 공원으로 알려진 능선 꼭대기에서 대포를 발사하는 임무를 맡았다. 그러나 헤센군의 공격으로 존은 사망했고, 마가렛 코빈이 남편을 대신하여 대포를 맡아 부상당할 때까지 사격했다.[33][34]
같은 시기에 남쪽에서 퍼시는 약 3,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진격했다.[32] 미국 방어선에서 약 200야드 떨어진 곳에서 스털링의 기만 공격을 기다리며 진격을 멈췄다.[32] 퍼시와 마주한 사람은 알렉산더 그레이돈과 그의 부대였다. 그레이돈의 상사는 매고의 부사령관인 램버트 카드왈라더였으며, 포트 워싱턴 남쪽의 세 개의 방어선을 지휘했다.[35] 후방 해안에 상륙이 있었다는 소식을 들은 카드왈라더는 50명의 병력을 보냈으나, 스털링 대령의 제42보병연대 700명 병력의 기만 공격에 부딪혔다.[35] 카드왈라더는 증원을 위해 100명의 병력을 더 보냈다. 영국 상륙 부대는 흩어졌고, 미국군은 언덕 꼭대기에서 영국군에게 포격을 가했다. 스털링의 부대는 미국군 진지를 공격하여 흩뜨렸다.[36]
포격 소리를 들은 퍼시는 진격을 명령했다.[36] 영국 포병의 포격으로 그레이돈은 두 번째 선으로 후퇴했고, 그곳에는 워싱턴, 그린, 퍼트넘, 휴 머서가 있었다. 네 사람은 강을 건너가도록 격려받았다.[36] 매고는 카드왈라더가 포위될 위험에 처해 있다는 것을 깨닫고 후퇴 명령을 내렸다. 카드왈라더의 부대는 퍼시의 병력에게 쫓겼다.[37] 스털링의 병력은 카드왈라더의 후방에 상륙하여 잠시 멈췄다. 퇴각하는 미국군 중 일부는 스털링과 교전했고, 나머지 대부분은 도망갈 시간을 벌었다.[37]
이후, 롤링스의 소총 부대가 북쪽에서 계속 교전했지만, 소총병의 수가 줄고 소총이 막히기 시작하여 일부는 돌을 떨어뜨릴 수밖에 없었다.[87] 소총 부대의 사격이 거의 멈추고, 독일군은 천천히 언덕을 올라 백병전을 벌였다. 독일군은 대륙군을 압도하여 언덕 정상에 이르자 총검 돌격으로 요새를 점령했다.[88]
영국군과 헤센군의 맹공에 대륙군은 붕괴되기 시작했다. 마고(매거)의 요새 남쪽과 동쪽 외곽 방어선이 무너지면서 요새 안으로 후퇴했다.[38] 남쪽에서는 세 번째 방어선이 완성되지 않아 캐드월래더는 후퇴할 곳이 없었다. 북쪽에서는 롤링스 휘하의 사격수들이 간신히 버티고 있었지만, 사격수의 수가 줄어들고 무기가 고장나 바위를 밀어내야 했다. 워싱턴 요새의 대륙군 포대는 ''펄''에 의해 침묵당했다.[38] 사격수들의 사격은 거의 멈췄고, 헤센 병사들은 천천히 언덕을 올라 백병전을 벌였다. 헤센 병사들은 언덕 꼭대기에 도달하여 총검 돌격으로 요새를 점령했다.[39]
강 건너편에서 전투를 지켜보던 조지 워싱턴은 마고에게 밤까지 버티라는 쪽지를 보냈다.[39] 헤센 병사들은 요새와 허드슨 강 사이의 지역을 점령했다. 요한 랄은 크니파우젠으로부터 항복 요구의 영예를 받았다. 랄은 호헨슈타인 대위를 보내 요새의 항복을 요구했다.[40] 호헨슈타인은 캐드월래더를 만나 마고가 상의할 시간을 요청했지만, 호헨슈타인은 거절하고 30분 안에 결정하라고 했다. 마고가 장교들과 상의하는 동안 존 구치 대위가 도착하여 워싱턴의 요청을 전달했다.[40] 마고는 더 쉬운 조건을 얻으려고 했지만 실패했다. 오후 3시에 항복 결정을 발표했고, 오후 4시에 대륙군 국기가 내려지고 영국 국기로 대체되었다.[41][42] 항복 전에 존 구치는 요새 옆에서 뛰어내려 절벽 아래로 굴러 떨어진 뒤 배에 올라 리 요새에 도착했다.[41]
3. 1. 초기 교전
11월 16일 새벽, 영국군과 헤센군은 공격을 개시했다.[27] 크니파우젠과 그의 병력은 평저선을 타고 할렘 강을 건너 맨해튼에 상륙했다. 그러나 조수 때문에 영국군을 상륙시킬 만큼 해안에 가까이 접근할 수 없었다.[27] 따라서 크니파우젠의 병력은 진격을 멈추고 매튜가 건너올 때까지 기다려야 했다. 오전 7시경, 헤센군은 로럴 힐에 있는 미국 포대에 포격을 시작했고, 영국 프리깃함 은 미국 참호에 포격을 시작했다.[28] 또한 요새 남쪽에서 퍼시가 요새 자체에 포격을 가했다. 퍼시의 포병은 몇 주 전에 영국 함선을 손상시킨 매고의 포를 겨냥했다.[29]정오 무렵, 크니파우젠과 그의 헤센군은 진격을 재개했다.[29] 조수가 충분히 높아지자 매튜와 그의 병력은 하우의 호위를 받으며 할렘 강을 건너왔다. 그들은 맨해튼 해안의 미국 포병의 격렬한 포격 속에 상륙했다.[30] 영국군은 언덕을 올라가 펜실베이니아 자원병 부대가 방어하는 요새에 도달할 때까지 미국군을 흩뜨렸다. 잠시 교전 후, 미국군은 돌아서 요새를 향해 도망갔다.[31]
요새 북쪽에서 요한 랄이 지휘하는 헤센군 우익은 스파이턴 듀이빌 크릭 남쪽의 가파른 언덕을 거의 저항 없이 올라갔다.[31] 헤센군은 포병을 투입하기 시작했다. 이때 크니파우젠 휘하의 4,000명의 헤센군 주력 부대가 로럴 힐과 랄이 있던 언덕 사이를 지나가는 포스트 로드를 따라 진격하기 시작했다.[31] 헤센군은 늪지대를 건넜고, 요새 근처의 숲이 우거진 언덕에 접근했을 때, 모세 로울링스 중령이 지휘하는 메릴랜드와 버지니아 소총 연대의 250명의 소총수들의 공격을 받았다. 로울링스의 부대는 바위와 나무 뒤에 숨어 쓰러진 나무와 바위를 헤쳐 나가려는 헤센군에게 총을 쏘기 위해 이리저리 뛰어다녔다.[32] 헤센군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돌격은 로울링스의 소총수들에게 격퇴되었다.[32]
존 코빈은 오늘날 베넷 공원으로 알려진 능선 꼭대기에 있는 작은 대포를 발사하는 임무를 맡았다. 헤센군의 공격으로 존은 사망했고, 그의 대포는 무인이 되었다.[33] 마가렛 코빈은 남편과 함께 전투에 참여했고, 그의 죽음을 목격한 후 즉시 대포 자리를 대신하여 팔, 가슴, 턱에 부상을 입을 때까지 계속 사격을 가해 미국 독립 전쟁 최초의 여성 전투원으로 알려지게 되었다.[34]
거의 같은 시기에 남쪽에서 퍼시는 약 3,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진격했다.[32] 퍼시는 헤센군 여단이 왼쪽에 있고 퍼시 자신이 오른쪽에 있는 두 개의 열로 진격했다. 미국 방어선에서 약 200야드 떨어진 곳에서 퍼시는 스털링의 기만 공격이 이루어지기를 기다리며 진격을 멈췄다.[32] 퍼시와 마주한 사람은 알렉산더 그레이돈과 그의 부대였다. 그레이돈의 상사는 매고의 부사령관인 램버트 카드왈라더였으며, 그는 포트 워싱턴 남쪽의 세 개의 방어선을 지휘했다.[35] 후방 해안에 상륙이 있었다는 소식을 들은 카드왈라더는 50명의 병력을 보내 이를 막았다. 50명의 병력은 스털링 대령의 제42보병연대의 700명 병력의 기만 공격에 부딪혔다.[35] 스털링이 상륙한 곳은 미국 방어선에서 가장 방어가 취약한 지역이었고, 카드왈라더는 그곳에 얼마나 많은 병력이 있는지 듣고 50명을 증원하기 위해 100명의 병력을 더 보냈다. 영국 상륙 부대는 상륙 지점의 험준한 지형을 통과하는 길을 찾으면서 흩어졌다.[35] 미국군은 언덕 꼭대기에 자리를 잡고 강을 건너는 영국군에게 포격을 가하기 시작했다. 스털링의 부대는 이미 언덕을 오르고 있었다. 그들은 미국군 진지를 공격하여 흩뜨렸다.[36]
포격 소리를 들은 퍼시는 그의 병력에게 계속 진격을 명령했다.[36] 영국 포병의 포격으로 인해 첫 번째 방어선에 있던 그레이돈은 두 번째 선으로 후퇴했고, 그곳에는 워싱턴, 그린, 퍼트넘, 휴 머서가 있었다. 네 사람은 맨해튼을 떠나 포트 리로 강을 건너가도록 격려를 받았고 즉시 그렇게 했다.[36] 매고는 카드왈라더가 포위될 위험에 처해 있다는 것을 깨닫고 그에게 요새를 향해 후퇴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카드왈라더의 부대는 스털링의 상륙에 맞서 싸우는 부대가 요새로 쫓겨가는 동시에 퍼시의 병력에게 쫓겼다.[37] 스털링의 병력은 카드왈라더의 후방에 상륙하여 참호에 병력이 있다고 믿고 잠시 멈췄다. 퇴각하는 미국군 중 일부는 스털링과 교전했고, 나머지 미국군 대부분이 도망갈 시간을 벌었다.[37]
3. 2. 롤링스 부대의 저항
요새 북쪽에서는 롤링스의 소총 부대가 교전을 계속하고 있었지만 간신히 유지되는 상태였다. 소총병의 수가 줄었고, 대량으로 발사했기 때문에 소총도 막히기 시작하여, 병사 중 일부는 공격해오는 독일군을 향해 언덕 위에서 돌을 떨어뜨릴 수밖에 없었다.[87] 이때까지 소총 부대의 사격도 거의 멈추고, 독일군은 천천히 언덕을 올라 대륙군 병사와의 백병전으로 옮겨갔다. 독일군은 대륙군을 압도하여 언덕 정상에 이르자 보루에 총검 돌격으로 쇄도하여, 신속하게 보루를 점령했다.[88]3. 3. 남쪽에서의 전투
죄송합니다. 주어진 원본 소스만으로는 "남쪽에서의 전투" 섹션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원본 소스는 워싱턴 요새 전투의 결과와 그 이후의 상황에 대한 정보만 제공하고 있으며, 남쪽 전투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요약에서 제시된 내용은 원본 소스에서 찾을 수 없습니다.3. 4. 대륙군의 붕괴
영국군과 헤센군의 맹공에 대륙군은 붕괴되기 시작했다. 마고(매거)의 요새 남쪽과 동쪽 외곽 방어선이 무너지면서, 대륙군은 요새 안으로 후퇴했다.[38] 남쪽에서는 세 번째 방어선이 완성되지 않아 캐드월래더는 요새 외에는 후퇴할 곳이 없었다. 북쪽에서는 롤링스 휘하의 사격수들이 간신히 버티고 있었지만,[38] 사격수의 수가 줄어들고 격렬한 사격으로 일부 병사들의 무기가 고장나, 공격해오는 헤센 병사들을 향해 언덕 아래로 바위를 밀어내야 했다. 워싱턴 요새의 대륙군 포대는 ''펄''에 의해 침묵당했다.[38] 이때쯤 사격수들의 사격은 거의 멈췄고, 헤센 병사들은 천천히 언덕을 올라 대륙군과 백병전을 벌였다. 대륙군을 압도한 헤센 병사들은 언덕 꼭대기에 도달하여 총검 돌격으로 요새에 쇄도하여 빠르게 점령했다.[39]강 건너편에서 전투를 지켜보던 조지 워싱턴은 마고에게 밤까지 버텨서 밤중에 병력을 철수시킬 수 있도록 하라는 쪽지를 보냈다.[39] 이때쯤 헤센 병사들은 요새와 허드슨 강 사이의 지역을 점령했다. 요한 랄은 크니파우젠으로부터 대륙군 측에 항복을 요구하는 영예를 받았다. 랄은 영어와 프랑스어를 구사하는 호헨슈타인 대위를 휴전 깃발을 들고 보내 요새의 항복을 요구했다.[40] 호헨슈타인은 캐드월래더를 만나 마고가 장교들과 상의할 수 있도록 4시간의 시간을 요청했지만, 호헨슈타인은 이를 거절하고 대륙군에게 30분 안에 결정하라고 했다. 마고가 장교들과 상의하는 동안 워싱턴의 전령인 존 구치 대위가 요새가 완전히 포위되기 직전에 도착하여 워싱턴의 밤까지 버티라는 요청을 전달했다.[40] 마고는 병사들이 소지품만 가져갈 수 있도록 하는 더 쉬운 조건을 얻으려고 했지만 실패했다. 마고는 오후 3시에 항복 결정을 발표했고, 오후 4시에 대륙군 국기가 요새에서 내려지고 영국 국기로 대체되었다.[41][42] 항복 전에 존 구치는 요새 옆에서 뛰어내려 절벽 아래로 굴러 떨어졌고, 머스켓 총격과 총검 공격을 피한 뒤 배에 올라 잠시 후 리 요새에 도착했다.[41]
4. 전투의 결과
워싱턴 요새 전투는 대륙군의 큰 패배로 끝났다. 양측 사상자 및 포로 수는 다음과 같다.[3]
구분 | 사망 | 부상 | 포로 |
---|---|---|---|
영국군 및 헤센군 | 84명 | 374명 | - |
대륙군 | 59명 | 96명 | 2,837명 |
대륙군 포로들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 대부분 사망했는데,[46] 이는 한국 전쟁 당시 북한군에 포로로 잡힌 국군 포로들이 겪었던 고통을 연상시킨다.
조지 워싱턴은 이 전투에서 패배했지만 굴하지 않고 군대를 재정비하여 반격을 준비했고, 트렌턴 전투와 프린스턴 전투에서 승리하여 독립 전쟁의 흐름을 바꾸었다.[48]
4. 1. 전투 이후
헤센 병사들이 요새에 진입한 후, 미국 장교들은 항복을 책임지고 있던 헤센 사령관 폰 말름부르크 대위를 달래려 했다. 그들은 그를 막사로 초대하여 펀치, 와인, 케이크를 제공하며 칭찬했다. 요새를 떠나면서 헤센 병사들은 미국 군인들의 짐을 빼앗고[3] 일부를 구타하여, 장교들이 더 이상의 부상이나 사망을 막기 위해 개입해야 했다.[44] 영국군은 34문의 대포, 2문의 곡사포와 함께 많은 텐트, 담요, 도구 및 많은 탄약을 노획했다.[45]영국군과 헤센군은 84명이 사망하고 374명이 부상당했다. 미국군은 59명이 사망하고 96명이 부상당했으며, 2,837명이 포로로 잡혔다.[3] 미국 독립 전쟁의 포로에 대한 일반적인 처우에 따라, 800명만이 포로 생활에서 살아남아 18개월 후에 포로 교환으로 석방되었으며, 포로의 거의 4분의 3이 사망했다.[46]
워싱턴 요새 함락 3일 후, 대륙군은 리 요새를 포기했다.[47] 워싱턴과 군대는 뉴저지를 통해 후퇴하여 델라웨어 강을 건너 트렌턴 북서쪽 펜실베이니아로 이동했으며, 영국군에게 뉴브런즈윅 (뉴저지)까지 추격당했다. 약 한 달 후, 1776년 12월 25-26일 밤에 워싱턴은 델라웨어를 건너 트렌턴에서 랄 지휘 하의 헤센 수비대를 트렌턴 (뉴저지)에서 격파했다. 워싱턴은 이어서 프린스턴 전투에서 영국군을 격파하여 워싱턴 요새 함락의 영향을 받은 미국 군대와 식민지의 사기를 회복시켰다.[48]
7년 후, 1783년 11월 25일, 평화 조약이 체결되자 워싱턴 장군과 조지 클린턴 주지사는 마지막 영국군이 뉴욕을 떠난 후 맨해튼 남부로 진군하면서 워싱턴 요새를 승리적으로 되찾았다.[49]
워싱턴 요새의 부지는 현재 맨해튼의 베넷 공원에 위치해 있으며, 워싱턴 하이츠 지역, 조지 워싱턴 다리 바로 북쪽에 있다. 요새 벽의 위치는 공원에 놓인 돌로 표시되어 있으며, 기념 명판이 있다.[50]
5. 평가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요약, 그리고 작성할 섹션 제목을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해드리겠습니다.)
참조
[1]
문서
Lengel p. 165
[2]
문서
McCullough p. 241
[3]
문서
Ketchum p. 130
[4]
문서
Ketchum pp. 111– "The most disastrous defeat of the entire war"
[5]
문서
cite gotham, p. 243
[6]
서적
The American Revolution: A Visual History
DK Smithsonian
[7]
문서
McCullough p. 129
[8]
문서
Ketchum p. 104
[9]
문서
Ketchum p. 105
[10]
문서
Ketchum p. 106
[11]
문서
Ketchum p. 108
[12]
문서
Fischer pp. 88–102,109
[13]
문서
Fischer pp. 109–110
[14]
문서
Lengel p. 161
[15]
문서
Fischer p. 111
[16]
문서
Ketchum p. 109
[17]
문서
Ketchum p. 110
[18]
웹사이트
Skirmish at Mount Washington
http://www.historyca[...]
Pennsylvania Evening Post
1776-11-21
[19]
웹사이트
Skirmish on York Island
http://www.historyca[...]
Pennsylvania Evening Post
1776-11-21
[20]
문서
Ketchum p. 112
[21]
문서
Lengel p. 163
[22]
문서
Lengel p. 164
[23]
문서
McCullough p. 236
[24]
문서
McCullough p. 237
[25]
문서
Ketchum p. 113
[26]
문서
McCullough p. 239
[27]
문서
Ketchum p. 116
[28]
문서
Ketchum p. 117
[29]
문서
Ketchum p. 118
[30]
문서
Ketchum p. 119
[31]
문서
Ketchum p. 120
[32]
문서
Ketchum p. 122
[33]
웹사이트
Battle of Fort Washington | Washington Heights NYC
http://www.washingto[...]
2019-02-04
[34]
웹사이트
International Women's Day & Fort Tryon Park History
https://www.forttryo[...]
2021-03
[35]
문서
Ketchum p. 123
[36]
서적
Ketchum
[37]
서적
Ketchum
[38]
서적
Ketchum
[39]
서적
Ketchum
[40]
서적
Ketchum
[41]
서적
Ketchum
[42]
서적
Lengel
[43]
웹사이트
Battle of Fort Washington
https://www.britishb[...]
2020-02-13
[44]
서적
Lengel
[45]
서적
McCullough
[46]
서적
Ketchum
[47]
서적
McCullough
[48]
서적
McCullough
[49]
웹사이트
Evacuation Day
https://web.archive.[...]
Washington Heights & Inwood Online
1997-03
[50]
웹사이트
Bennett Park Highlights
http://www.nycgovpar[...]
New York City Parks Department
2012-10-20
[51]
서적
Ketchum
[52]
서적
Lengel
[53]
서적
McCullough
[54]
서적
Ketchum
[55]
서적
Ketchum
[56]
서적
McCullough
[57]
서적
Ketchum
[58]
서적
Ketchum
[59]
서적
Ketchum
[60]
서적
Ketchum
[61]
서적
Ketchum
[62]
서적
Ketchum
[63]
서적
Lengel
[64]
서적
Lengel
[65]
서적
Ketchum
[66]
서적
Ketchum
[67]
서적
Ketchum
[68]
서적
Lengel
[69]
서적
Lengel
[70]
서적
McCullough
[71]
서적
McCullough p.237
[72]
서적
Ketchum p.113
[73]
서적
Lengel p.164
[74]
서적
Ketchum p.113
[75]
서적
McCullough p.239
[76]
서적
Ketchum p.116
[77]
서적
Ketchum p.117
[78]
서적
Ketchum p.118
[79]
서적
Ketchum p.118
[80]
서적
Ketchum p.119
[81]
서적
Ketchum p.120
[82]
서적
Ketchum p.122
[83]
서적
Ketchum p.123
[84]
서적
Ketchum p.123
[85]
서적
Ketchum p.124
[86]
서적
Ketchum p.125
[87]
서적
Ketchum p.126
[88]
서적
Ketchum p.127
[89]
서적
Ketchum p.128
[90]
서적
Ketchum p.128
[91]
서적
Ketchum p.129
[92]
서적
Lengel p.167
[93]
서적
Ketchum p.129
[94]
서적
Ketchum p.129
[95]
서적
Lengel p.168
[96]
서적
McCullough p.243
[97]
서적
Ketchum p.130
[98]
서적
Ketchum p.131
[99]
서적
McCullough p.246
[100]
서적
McCullough p.290
[101]
서적
Ketchum p.106
[102]
서적
Ketchum p.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