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원자가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자가띠는 반도체의 전기적 특성을 설명하는 밴드 이론에서 중요한 개념이다. 반도체는 sp3 혼성 궤도에 의해 원자 간 결합이 이루어지며, 이 결합성 궤도가 원자가띠를 형성한다. 원자가띠 상단 부근은 p궤도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스핀-궤도 상호작용이나 kp 섭동에 의해 무거운 정공 밴드, 가벼운 정공 밴드, 스플릿오프 밴드로 나뉜다. IV족 반도체와 화합물 반도체에서 원자가띠를 구성하는 궤도의 성분은 다르며, 일반적으로 전기음성도가 큰 원소 유래의 sp3 혼성 궤도가 원자가띠를 구성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띠 이론 - 띠구조
    띠구조는 결정 내 전자의 에너지 범위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에너지 띠와 띠틈으로 구성되며, 도체, 절연체, 반도체의 전기적 특성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띠 이론 - 띠틈
    띠틈은 반도체와 절연체에서 전자가 존재할 수 없는 에너지 준위 범위로, 물질의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결정하며 직접 띠틈과 간접 띠틈으로 나뉘고, 띠틈 엔지니어링을 통해 제어 가능하다.
  • 고체물리학 - 전도띠
    전도띠는 고체 내에서 전자가 존재할 수 있는 에너지 범위로, 밴드갭과 관련 있으며, 고체의 전기 전도도는 원자가 띠에서 전도 띠로 전자를 이동시키는 능력에 따라 달라진다.
  • 고체물리학 - 반금속
    반금속은 금속과 반도체의 중간 성질을 가지며, 전도대와 가전자대가 겹쳐져 있고, 비소, 안티몬, 비스무트, 흑연 등이 대표적이며, 낮은 전기 전도도와 열 전도도, 높은 반자성 감수율과 유전율을 나타낸다.
  • 컴퓨터에 관한 - N형 반도체
    N형 반도체는 전자를 주된 전하 운반체로 사용하는 반도체이다.
  • 컴퓨터에 관한 - CMOS
    CMOS는 상보적 금속 산화막 반도체의 약자로, 저전력 소비를 특징으로 하며, P형과 N형 MOSFET을 결합하여 논리 게이트를 구현하는 디지털 회로 설계 방식 및 공정 계열이다.
원자가띠
원자가띠
개념
설명고체에서 전자가 가질 수 있는 에너지띠 중 가장 높은 에너지띠.
역할화학 결합에 참여하는 전자가 있는 에너지띠.
전자 충전 상태일반적으로 전자로 채워져 있거나 거의 채워져 있음.
에너지 크기전도띠보다 낮은 에너지 수준에 위치함.
전도전도띠와 함께 고체의 전기적, 광학적 성질에 중요한 역할 수행.
밴드갭전도띠와 원자가띠 사이의 에너지 차이를 밴드갭이라 함.
관련 개념
관련 용어전도띠
페르미 에너지
밴드갭
결정 구조
고체물리학
에너지 밴드
전도 전자

2. 반도체의 원리

반도체의 전기적 특성은 밴드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반도체는 다이아몬드형 또는 섬아연광형 구조를 가지며, 원소들은 sp3 혼성 궤도를 통해 결합한다. 이 결합으로 원자가띠가 형성되고, 전도띠는 반결합성 궤도로 구성된다.

s궤도와 p궤도의 에너지 차이, 그리고 Γ점에서의 궤도 혼성 부재로 인해 원자가띠 상단은 주로 p궤도 성분을 가지며, 밴드 도표에서는 위로 볼록한 형태가 나타난다. 스핀-궤도 상호작용이나 kp섭동은 밴드의 축퇴를 풀고 무거운 정공 밴드, 가벼운 정공 밴드, 스플릿오프 밴드로 분리시킨다.

규소(Si)나 저마늄(Ge) 같은 단일 원소 IV족 반도체와 갈륨비소(GaAs), 인듐비소(InAs) 같은 화합물 반도체는 원자가띠를 구성하는 궤도의 성분에 차이가 있다. 화합물 반도체의 경우, 전기음성도가 큰 원소(예: GaAs에서 As)의 sp3 혼성 궤도가 원자가띠를 주로 구성한다. 이는 원자 간 전하 편향과 마델룽 에너지에 의한 에너지 차이 때문이다.

2. 1. 밴드 구조

다이아몬드형 구조 또는 섬아연광형 구조를 갖는 반도체는 사면체 방향으로 뻗어 있는 sp3 혼성 궤도에 의해 원소끼리 결합하고 있으며, 그 결합성 궤도에 의해 원자가띠가 구성된다. 한편, 전도띠는 반결합성 궤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s궤도와 p궤도의 에너지 차이가 크고, Γ점에서는 궤도의 혼성이 없기 때문에 원자가띠 상단 부근은 거의 p궤도의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밴드 도표상에서는 위로 볼록한 에너지 분산 관계가 된다. 스핀-궤도 상호작용이나 kp섭동을 도입함으로써 밴드의 축퇴가 풀리고, 무거운 정공 밴드, 가벼운 정공 밴드, 스플릿오프 밴드로 나뉜다. 이것은 3개의 p궤도, 즉 px, py, pz 궤도의 궤도 각운동량 성분(궤도 자기 양자수 m = -1, 0, 1)이 각각 다르다는 것과, 스핀 각운동량(s = ± 1/2)을 포함한 총 각운동량의 차이에 기인한다.

규소(Si)나 저마늄(Ge)과 같이 단일 원소로 이루어진 IV족 반도체와, 갈륨비소(GaAs)나 인듐비소(InAs)와 같이 여러 원소로 이루어진 화합물 반도체에서는 원자가띠를 구성하고 있는 궤도의 성분에 차이가 있다. 기본적으로 원자가띠는 전기음성도가 큰 원소 유래의 sp3 혼성 궤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GaAs에서는 Ga와 As가 공유 결합으로 결합하고 있지만, 동시에 이온성 결합도 가지고 있다. 전기음성도의 차이에 의해 Ga 원자와 As 원자에 전하의 편향이 생겨 전자는 As 원자 쪽에 오랫동안 머물러, 원자가전자는 As 원자의 궤도를 점유한다. 그러면, 마델룽 에너지에 의해 As 유래의 sp3 혼성 궤도와 Ga 유래의 sp3 혼성 궤도에 에너지 차이가 생겨, 원자가띠는 에너지가 낮은 As 유래의 sp3 혼성 궤도로 구성된다.

2. 2. sp3 혼성 궤도

다이아몬드형 구조 또는 섬아연광형 구조를 갖는 반도체는 사면체 방향으로 팔을 뻗고 있는 '''sp3''' 혼성 궤도에 의해 원소끼리 결합하고 있으며, 그 결합성 궤도에 의해 원자가띠가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전도띠는 반결합성 궤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s 궤도와 p 궤도의 에너지 차이가 크고, Γ점에서는 궤도의 혼성이 없기 때문에 원자가띠 상단 부근은 거의 p궤도의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밴드 도표상에서는 위로 볼록한 에너지 분산 관계가 된다. 스핀-궤도 상호작용이나 kp 섭동을 도입함으로써 밴드의 축퇴가 풀리고, 무거운 정공 밴드, 가벼운 정공 밴드, 스플릿오프 밴드로 나뉜다. 이것은 3개의 p궤도, 즉 px, py, pz 궤도의 궤도 각운동량 성분(궤도 자기 양자수 m = -1, 0, 1)이 각각 다르다는 것과, 스핀 각운동량(s = ± 1/2)을 포함한 총 각운동량의 차이에 기인한다.

규소(Si)나 저마늄(Ge)과 같이 단일 원소로 이루어진 IV족 반도체와, 갈륨비소(GaAs)나 인듐비소(InAs)와 같이 여러 원소로 이루어진 화합물 반도체에서는 원자가띠를 구성하고 있는 궤도의 성분에 차이가 있다. 기본적으로 원자가띠는 전기음성도가 큰 원소 유래의 '''sp3''' 혼성 궤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GaAs에서는 Ga와 As가 공유 결합으로 결합하고 있지만, 동시에 이온성 결합도 가지고 있다. 전기음성도의 차이에 의해 Ga 원자와 As 원자에 전하의 편향이 생겨 전자는 As 원자 쪽에 오랫동안 머물러, 원자가전자는 As 원자의 궤도를 점유한다. 그러면, 마델룽 에너지에 의해 As 유래의 '''sp3''' 혼성 궤도와 Ga 유래의 '''sp3''' 혼성 궤도에 에너지 차이가 생겨, 원자가띠는 에너지가 낮은 As 유래의 '''sp3''' 혼성 궤도로 구성된다.

2. 3. 밴드의 축퇴와 해소

스핀-궤도 상호작용이나 kp 섭동과 같은 요인에 의해 밴드의 축퇴가 해소되고, 무거운 정공 밴드, 가벼운 정공 밴드, 스플릿오프 밴드로 나뉜다. 이는 3개의 p궤도, 즉 px, py, pz 궤도의 궤도 각운동량 성분(궤도 자기 양자수 m = -1, 0, 1)이 각각 다르다는 것과, 스핀 각운동량(s = ± 1/2)을 포함한 총 각운동량의 차이에 기인한다.

2. 4. 화합물 반도체의 궤도 성분

규소(Si)나 저마늄(Ge)과 같이 단일 원소로 이루어진 IV족 반도체와, 갈륨비소(GaAs)나 인듐비소(InAs)와 같이 여러 원소로 이루어진 화합물 반도체는 원자가띠를 구성하는 궤도의 성분에 차이가 있다. 기본적으로 원자가띠는 전기음성도가 큰 원소 유래의 '''sp3''' 혼성 궤도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어 GaAs는 Ga와 As가 공유 결합을 하는 동시에 이온성 결합도 가지고 있다. 전기음성도 차이로 Ga 원자와 As 원자에 전하 편향이 생겨 전자는 As 원자 쪽에 더 오래 머무르며, 원자가 전자는 As 원자의 궤도를 점유한다. 그러면 마델룽 에너지에 의해 As 유래의 '''sp3''' 혼성 궤도와 Ga 유래의 '''sp3''' 혼성 궤도에 에너지 차이가 생겨, 원자가띠는 에너지가 낮은 As 유래의 '''sp3''' 혼성 궤도로 구성된다.

3. 반도체의 분류

반도체는 불순물 함량에 따라 진성 반도체와 불순물 반도체로 나뉜다.


  • '''진성 반도체'''(intrinsic semiconductor영어, 真性半導体일본어) : 불순물이 거의 포함되지 않은 순수한 반도체이다.
  • '''불순물 반도체'''(extrinsic semiconductor영어, 不純物半導体일본어) : 의도적으로 불순물을 첨가한 반도체이다. 불순물의 종류에 따라 P형 반도체N형 반도체로 나뉜다.

3. 1. 불순물 반도체

의도적으로 불순물을 첨가하여 전기적 특성을 조절한 반도체이다. 불순물의 종류에 따라 P형 반도체N형 반도체로 나뉜다.

4. 반도체 소자

반도체의 특성을 이용하여 다양한 전자 소자를 만들 수 있다. 서로 다른 유형의 반도체를 접합하여 pn 접합, 쇼트키 접합 등을 만들 수 있다.

4. 1. 접합

서로 다른 유형의 반도체를 접합하여 pn 접합, 쇼트키 접합 등 다양한 형태의 접합을 만들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