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조 (북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조는 528년 북위의 황제가 된 인물이다. 그는 임조왕 원보휘의 아들이자 효문제의 증손으로, 3세의 어린 나이에 영태후에 의해 옹립되었다. 영태후는 효명제의 딸을 폐위하고 원조를 옹립하여 권력을 유지하려 했으나, 이주영의 반발을 샀다. 이주영은 효장제를 옹립하고 뤄양을 점령하여 영태후와 원조를 황하에 던져 죽였다. 이후 고환이 이주영 세력을 멸망시킨 후 원조의 시신을 수습하여 장례를 치렀다. 원조는 시호나 묘호를 받지 못했고, 그의 황제 지위는 공식적으로 인정되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26년 출생 - 북제 문선제
북제 문선제 고양은 동위의 실권자 고환의 아들로, 형 고징 사후 황위를 찬탈하여 북제를 건국했으나, 초기에는 유능한 정치를 펼쳤지만 후반기에는 폭정을 일삼아 북제 쇠퇴의 원인이 되었다. - 528년 사망 - 영태후
영태후 호선진은 북위 선무제의 후궁으로 효명제를 낳아 섭정을 시작, 불교 장려 등 문화적 업적을 남겼으나 권력 남용과 부패로 북위 쇠퇴를 가속화했고 효명제 독살 후 원조를 옹립했다가 이주영에 의해 폐위되어 황하에 익사했다. - 528년 사망 - 북위 효명제
북위 효명제는 선무제의 아들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영태후의 섭정을 받았으나, 영태후의 실정과 독살, 그리고 이주영의 영태후 제거로 북위가 혼란에 빠지는 원인이 되었다. - 어릴 때 죽은 군주 - 안토쿠 천황
안토쿠 천황은 겐페이 전쟁 중 다이라 씨 일족과 함께 피신하다 단노우라 전투에서 8세의 나이로 자결한 일본 제81대 천황으로, 그의 죽음은 겐페이 전쟁의 비극적인 종결을 상징하며 비운의 천황으로 기억된다. - 어릴 때 죽은 군주 - 에드워드 5세
에드워드 5세는 1483년 잉글랜드 왕 에드워드 4세의 아들로 왕위에 올랐으나, 외삼촌 리처드에 의해 런던 탑에 유폐된 후 실종되었으며, 리처드 3세가 왕위를 찬탈했다.
원조 (북위) | |
---|---|
기본 정보 | |
이름 | 원조 |
한자 표기 | 元釗 |
로마자 표기 | Won Jo |
통치 정보 | |
칭호 | 황제 |
왕조 | 북위 |
재위 기간 | 528년 4월 2일 – 528년 5월 17일 |
연호 | 무태 (武泰) |
이전 통치자 | 여제 무태 |
다음 통치자 | 효장제 |
개인 정보 | |
휘 | 원조 (元釗) |
출생 | 526년 |
사망 | 528년 5월 17일 |
아버지 | 임조왕 원보휘 |
기타 정보 | |
시대 | 남북조시대 |
2. 생애
526년 임조왕 원보휘의 외아들로 태어나, 이후 세자가 되었다. 528년 원보휘가 죽자 임조왕 작위를 이어야 했으나, 영태후가 효명제의 딸을 폐위하고 3살의 원조를 황제로 세웠다.[1]
당시 북위 조정은 영태후 중심의 귀족들과 이주영 중심의 지방 군벌들로 나뉘어 있었다. 영태후가 효명제를 살해하고 그의 딸을 아들로 속여 황제로 세운 일로 영태후와 이주영의 사이는 나빠졌다. 영태후가 다시 원조를 세우자 이주영은 효문제의 동생 원협의 셋째 아들 원자유를 효장제로 세우고 뤄양으로 와 영태후와 원조를 사로잡았다. 이주영은 이들을 황하로 끌고 가 영태후의 말을 듣다 말고 소매를 털고 둘을 황하에 던져 죽였다.[1]
이후 고환이 이주영 세력을 멸망시킨 뒤 이들의 시신을 황하에서 건져 장례를 지냈다.[1]
2. 1. 출생과 즉위
526년에 임조왕 원보휘의 유일한 아들로 태어났다. 이후에 원보휘가 원조를 세자로 삼았다.[1]528년 원보휘가 죽자 세자로서 임조왕의 작위를 이어야 했지만, 영태후가 정권을 계속 휘두르기 위해 이미 즉위한 지 하루밖에 안 된 효명제의 딸을 폐위하고 원조를 황제로 세웠다. 이때 원조는 겨우 3살이었다.[1]
당시 북위 조정은 영태후를 중심으로 한 귀족들과 이주영을 중심으로 한 지방 군벌들로 나뉘어 있었다. 영태후가 효명제를 살해하고 그의 딸을 아들로 속여 황제로 세웠을 때부터 영태후와 이주영의 사이는 급격히 나빠졌으며, 영태후가 다시 원조를 세우자 이주영은 이에 반발하여 효문제의 동생인 팽성무선왕 원협의 셋째 아들 원자유를 효장제로 세우고 군사를 이끌어 낙양으로 내려와 영태후와 원조를 사로잡았다. 이주영은 그들을 황하로 끌고 갔는데, 이때 영태후가 이주영에게 많은 말을 했으나 이주영은 듣다 말고 자리에서 일어나 소매를 털고 영태후와 원조를 황하에 던져 죽였다.[1]
이후 고환이 이주영 세력을 멸망시킨 뒤 영태후와 원조의 시신을 황하에서 건져 장례를 지내고 안장했다.[1]
원조는 임도왕 원보휘의 아들이었는데, 원보휘는 효문제의 손자(아들 원유를 통해)였고, 따라서 원조가 526년에 태어났을 당시 재위 중이던 효명제의 사촌이었다.[1]
2. 2. 이주영의 난과 죽음
526년 임조왕 원보휘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이후 원보휘가 원조를 세자로 삼았다.528년 원보휘가 죽자 세자로서 임조왕의 작위를 이어야 했다. 그러나 영태후가 정권을 계속 휘두르기 위해 즉위한 지 하루밖에 안 된 효명제의 딸을 폐위하고 원조를 황제로 세웠다. 이때 원조는 겨우 3살이었다.
당시 북위 조정은 영태후를 중심으로 한 귀족들과 이주영을 중심으로 한 지방 군벌들로 나뉘어 있었다. 영태후가 효명제를 살해하고 그의 딸을 아들로 속여 황제로 세웠을 때부터 영태후와 이주영의 사이는 급격히 나빠졌다. 영태후가 다시 원조를 세우자 이주영은 이에 반발하여 효문제의 동생인 팽성무선왕 원협의 셋째 아들 원자유를 효장제로 세우고 군사를 이끌어 뤄양으로 내려와 영태후와 원조를 사로잡았다. 이주영이 그들을 이끌고 황하로 갔고, 이때 영태후가 이주영에게 많은 말을 하였으나, 이주영이 듣다 말고 자리에서 일어나 소매를 털고 영태후와 원조를 황하에 던져 죽였다.
이후 고환이 이주영 세력을 멸망시킨 뒤 영태후와 원조의 시신을 황하에서 건져 장례를 지내고 안장했다.
2. 3. 사후
고환이 이주영 세력을 멸망시킨 뒤 영태후와 원조의 시신을 황하에서 건져 장례를 지내고 안장했다.[4]역사가들은 원조에 대해 모호하게 다루었으며, 이후 북위 황제들은 그가 황제였는지 여부를 명시적으로 공식 선언한 적이 없었다.[4] 그는 황제 시호나 묘호를 받지 못했지만, 그의 황제 지위가 무효화된 것도 아니었다.[4] 북제 시대에 쓰여진 북위의 공식 역사서인 『위서』는 원조를 황제 열전에 포함시키지 않았고 (그와 그의 아버지에 대한 열전은 아예 없었다), 그의 짧은 재위 기간 동안의 사건들을 효명제의 열전에 포함시켰지만, 그의 죽음을 묘사할 때는 황제와 황후의 죽음에 사용되는 용어인 '붕'(崩)을 사용했다.[4]
3. 가계
원조는 임도왕 원보휘의 아들이었는데, 원보휘는 효문제의 손자(아들 원유를 통해)였고, 따라서 원조가 526년에 태어났을 당시 재위 중이던 효명제의 사촌이었다.[1]
1 | 2 | 4 | 5 | 8 | 9 | 10 | 16 | 17 |
---|---|---|---|---|---|---|---|---|
원조 (526–528) | 원보휘 (503–528) | 원유 (488–508) | 양황후 (481–509) | 북위 효문제 (467–499) | 원씨 부인 | 양귀 | 북위 헌문제 (454–476) | 사황후 (사망 469) |
4. 평가
전통적인 역사가들은 원조에 대해 모호하게 다루었으며, 그 이후 북위 황제들은 그가 황제였는지 여부를 명시적으로 공식 선언한 적이 없었다. 원조는 황제 시호나 묘호를 받지 못했지만, 그의 황제 지위가 무효화된 것도 아니었다. 후대 북제 시대에 쓰여진 북위의 공식 역사서인 『위서』는 원조를 황제 열전에 포함시키지 않았고(사실, 그와 그의 아버지에 대한 열전이 아예 없었다), 그의 짧은 재위 기간 동안의 사건들을 효명제의 열전에 포함시켰지만, 황제와 황후의 죽음에 사용되는 용어인 '붕'(崩)을 사용하여 그의 죽음을 묘사했다.[4]
참조
[1]
기록
yimao day of the 2nd month of the 1st year of the Wutai era
Book of Wei
[2]
역사서
History of the Northern Dynasties
Bei Shi
[3]
기록
Empress Dowager Hu and Yuan Zhao died on the gengzi day of the 4th month of the 1st year of the Wutai era
Book of Wei
0528-05-17
[4]
서적
Book of We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