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못 조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못 조항은 1846년 미국 하원 의원 데이빗 윌못이 멕시코로부터 획득할 영토에서 노예제를 금지하는 내용을 담아 제안한 조항이다. 텍사스 합병과 미국-멕시코 전쟁으로 노예제 찬반 논쟁이 격화된 가운데, 윌못 조항은 미국 정당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윌못 조항은 북부와 남부의 갈등을 심화시켰으며, 1850년 타협으로 이어졌지만, 결국 남북 전쟁의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멕시코-미국 전쟁 - 멕시코 할양지
멕시코 할양지는 1848년 미국-멕시코 전쟁 결과로 멕시코가 미국에 할양한, 현재 미국 서부 여러 주의 일부를 포함하는 멕시코 전체 면적의 약 1/3에 달하는 광대한 영토를 의미하며, 이는 미국의 서부 진출에 기여했으나 멕시코의 국토 손실과 미국 내 노예제 갈등을 심화시켰다. - 멕시코-미국 전쟁 - 과달루페 이달고 조약
과달루페 이달고 조약은 1848년 미국과 멕시코 간에 체결되어 미-멕시코 전쟁을 종식시키고 멕시코가 현재 미국 서남부의 광대한 영토를 미국에 할양하는 대신 미국이 멕시코에 배상금을 지불하도록 규정했으나, 멕시코에는 치욕으로, 미국에는 영토 확장으로 평가되며 양국 관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노예제 - 헤일로타이
헤일로타이는 고대 스파르타의 라코니아와 메세니아 지역에 거주하며 스파르타 시민에게 예속되어 농업 노동에 종사했던 원주민 집단으로, 생산물 일부를 바치고 억압 속에서 생활하며 반란을 시도하기도 했다. - 노예제 - 1850년 타협
1850년 타협은 미국-멕시코 전쟁 이후 노예제 문제로 갈등이 심화된 북부와 남부의 대립을 해결하기 위해 헨리 클레이가 주도하여 캘리포니아의 자유주 편입, 도망 노예법 강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지만, 남북 전쟁을 10년 연기하는 데 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 미국의 노예제 - 1850년 타협
1850년 타협은 미국-멕시코 전쟁 이후 노예제 문제로 갈등이 심화된 북부와 남부의 대립을 해결하기 위해 헨리 클레이가 주도하여 캘리포니아의 자유주 편입, 도망 노예법 강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지만, 남북 전쟁을 10년 연기하는 데 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 미국의 노예제 - 미국 수정 헌법 제13조
미국 수정 헌법 제13조는 노예 제도와 강제 노역을 금지하고, 예외적으로 형벌에 따른 노역은 허용하며, 1865년 비준되어 노예 제도를 폐지하고 흑인들의 자유를 보장하는 데 기여했다.
윌못 조항 | |
---|---|
지도 정보 | |
주요 정보 | |
명칭 | 윌못 조항 |
원어 명칭 | Wilmot Proviso (영어) / ウィルモット条項 (일본어) |
발의자 | 데이비드 윌못 |
발의 년도 | 1846년 |
제안 국가 | 미국 |
제안 목적 | 미국-멕시코 전쟁에서 획득한 영토에서 노예제 금지 |
결과 | 미국 의회에서 통과되지 못함 |
역사적 배경 | |
배경 | 미국-멕시코 전쟁으로 획득한 영토에서의 노예제 문제를 둘러싼 논쟁 |
발의 시점 | 1846년 8월 8일 |
제안 내용 | 멕시코로부터 획득한 영토에서 노예제를 금지하는 법안 |
하원 통과 | 미국 하원 통과 (1846년, 1847년, 1848년 여러 차례) |
상원 부결 | 미국 상원 부결 |
정치적 영향 | |
영향 | 노예제 논쟁을 격화시키고 남북전쟁의 원인이 됨 |
연관 사건 | 남북 전쟁, 미국 내 노예제 |
관련 법안 | 미주리 타협, 1850년 타협 |
기타 정보 | |
관련 문서 | 미국 의회 미국 상원 미국 하원 노예제 |
2. 배경
텍사스 합병 이전부터 미국은 노예주와 자유주 간의 갈등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갈등은 미국-멕시코 전쟁의 발발과 함께 더욱 심화되었다.
2. 1. 텍사스 합병과 미-멕 전쟁
텍사스 합병은 미국 내 노예제 찬반 논쟁을 격화시켰고, 결국 미국-멕시코 전쟁으로 이어졌다. 많은 사람들이 예상했듯이, 텍사스 합병은 미국-멕시코 전쟁을 초래했다. 전쟁의 조짐이 보이자 정치적 쟁점은 멕시코에서 어떤 영토를 획득할 것인가로 옮겨갔다. 여기서 문제가 된 것은 새로운 영토에서 노예제 문제를 어떻게 처리할지 결정하는 것이었다.
두 주요 정당인 민주당과 휘그당은 노예제 문제를 두고 첨예하게 대립했다. 민주당은 이 문제를 전통적인 정치 범위를 벗어난 급진적인 문제로 치부하려 했으나, 제임스 K. 포크 대통령 임기 중반에 이르러 당내 불만이 커졌다.[30] 특히 마틴 밴 뷰렌을 지지하는 북부 민주당원들은 포크 대통령이 남부의 이익에 치우쳐 있다고 비판했다.[31]
휘그당 역시 1844년 대통령 선거 패배 이후 텍사스 합병에 대한 모호한 입장으로 인해 남부에서 지지 기반이 약화되었다.[32] 남부 휘그당원들은 텍사스 합병 문제를 반복하고 싶지 않았지만, 전쟁 승리와 영토 획득이 노예제 문제를 다시 불러올 것을 우려했다.
2. 2. 미국의 정당 정치와 노예제 문제
양당은 노예 문제를 둘러싼 첨예한 갈등 때문에 이 문제를 국정에서 금기시해왔다. 민주당은 이 문제를 전통 정치의 범위를 벗어난 급진적인 것으로 취급하며, 당내 분열을 막기 위해 순수하게 파벌적인 문제로 치부하려 했다.[52] 그러나 제임스 포크 대통령(민주당) 임기 중반, 마틴 밴 뷰런과 반버너로 대표되는 민주당 내 급진파는 포크 행정부에 대한 불만을 키워갔다. 1844년 대통령 후보 지명 당시, 남부 대의원들이 1832년까지 사용되던 '지명 후보자는 대의원 총수의 3분의 2 이상 득표' 규칙을 부활시킨 탓에 밴 뷰런이 부당하게 지명되지 못했다고 느끼는 이들이 많았다. 북부에서는 관세율을 낮춘 워커 관세에 대한 불만, 포크 대통령이 하천 및 항만 개혁 법안에 거부권을 행사한 것에 대한 반대, 오리건 영토 문제에서 영국과의 협상 과정에서 포크 대통령이 텍사스를 획득했을 때만큼 적극적이지 않다는 불만이 제기되었다. 이로 인해 포크 대통령은 점차 남부의 이익에 편향된 정책을 추진하며 당에 가혹한 충성을 강요한다는 비판을 받게 되었다.[52]
휘그당은 다른 상황에 직면했다. 184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의 포크가 휘그당의 헨리 클레이를 꺾은 것은 남부 휘그당원들에게 충격을 안겨주었다. 이 패배는 1845년과 1846년 남부에서 치러진 의회 및 지방 의회 선거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주된 요인은 휘그당이 텍사스 합병에 대해 강력한 찬성 입장을 표명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남부 휘그당은 텍사스에서의 실수를 반복하지 않으려 했지만, 동시에 휘그당 내 남북 양측 모두 미국-멕시코 전쟁에서의 승리와 영토 획득이 노예제와 영토 문제를 다시 불러올 것임을 인지하고 있었다. 특히 남부에서는 양당제를 정의했던 과거의 경제 문제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는 인식이 확산되거나, 혹은 그에 대한 두려움이 커지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휘그당의 정치적 목표는 당내 분열을 야기할 수 있는 노예제 논쟁을 피하는 것이었다.[53]
3. 조항 제안과 논의
1846년 8월 8일 제임스 K. 포크 대통령은 미국-멕시코 전쟁 해결을 위한 멕시코와의 협상 예산으로 200만 달러를 의회에 요청했다. 이 요청은 의회 논의 없이 포크가 법안 승인을 시도하다 실패한 후, 예고 없이 이루어졌다. 의회는 다음 주 월요일 휴회 예정이었고, 민주당 지도부는 즉시 야간 특별 회의에서 법안을 심의하도록 했다. 심의는 2시간, 1인당 발언 시간은 10분으로 제한되었다.[54]
펜실베이니아주 민주당 하원의원 데이빗 윌못은 1787년북서부 조례를 참고하여 멕시코에서 획득할 영토에 노예제를 금지하는 조항을 예산안 수정안으로 제안했다. 이 조항은 멕시코에서 획득하는 모든 영토에서 범죄자를 제외한 노예제 또는 비자발적 예속을 금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56]
이 문제는 그해 말 포크 대통령이 예산안을 300만 달러로 증액하여 다시 요청하면서 재등장했다.[13]
3. 1. 윌못 조항의 내용
Wilmot Proviso영어는 멕시코로부터 획득하는 모든 영토에서 노예제와 강제 노역을 금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단, 범죄자는 예외로 하여 강제 노역이 가능하도록 했다. 윌못은 1787년 북서부 조례를 모델로 하여 다음과 같은 제안을 했다.[56]인디애나 주 민주당 의원 윌리엄 W. 윅은 미주리 타협에서 정한 노예주와 자유주의 경계인 북위 36도 30분 선을 단순히 서쪽의 태평양까지 연장하는 수정안을 제안함으로써 전반적인 노예제 제한을 제거하려 했으나, 이 제안은 부결되었다.[57]
3. 2. 의회 내 논쟁
1846년 8월 8일 토요일, 제임스 K. 포크 대통령은 미국-멕시코 전쟁의 최종 해결을 위해 멕시코와 협상 예산으로 200만 달러를 의회에 요청했다. 이 요청은 의회에서의 논의 없이 포크가 법안을 승인받으려다 실패한 후 공식적인 경고 없이 나온 것이다. 의회는 그 다음 주 월요일에 휴회에 들어가게 되었고, 민주당 지도부는 즉시 야간 특별 회의에서 법안을 심의하도록 했다. 심의는 2시간으로 제한되었고, 모두가 1회 10분 이상 연설할 수 없었다.[54]펜실베이니아주 민주당 하원 의원 데이빗 윌못은 1787년 북서부 조례를 모델로 한 어투로 하원에 다음과 같은 제안을 했다.
인디애나주 민주당 의원 윌리엄 W. 윅은 미주리 타협에서 정한 노예주와 자유주의 경계인 북위 36도 30분 선을 단순히 서쪽의 태평양까지 연장하는 수정안을 제안함으로써 전반적인 노예제 제한을 제거하려 했다. 이 제안은 89 대 54로 부결되었다. 그 다음으로 윌못 조항을 예산안에 추가하는 것에 대해 표결을 해서 83 대 64로 통과했다. 남부 의원이 막판에 제안한 모든 법안을 보류하는 동의안은 94 대 78로 부결되었다. 법안 전체가 85 대 80의 근소한 차이로 통과되었다. 이러한 표결이 당과는 상관없이 압도적으로 파벌의 의도로 진행된 것은 매우 우려스러운 점이었다.[57]
상원은 월요일 회의에서 이 법안을 심의했다. 민주당원은 상원이 윌못 조항을 거부하고 노예 제한이 없는 법안을 즉시 승인하여 하원으로 보낼 것을 기대하고 있었다. 휘그당의 매사추세츠주 출신 존 데이비스는 법안을 하원에 보내기에는 너무 늦을 때까지 의사진행을 연장함으로써 민주당의 의도대로 되지 않도록 하고, 상원이 윌못 조항이 있는 상태에서 예산안을 인정하거나, 거절하거나 하도록 시도했다. 그러나 데이비스가 투표를 선언하기 전에 하원과 상원의 공식 시계가 8분이나 차이가 났기 때문에 하원이 휴회를 선언하고 의회는 공식적으로 회기가 끝나버렸다.[58]
3. 3. 윌못 조항 재상정과 논의
1847년, 포크 대통령은 멕시코와의 전쟁을 끝내기 위한 협상 자금으로 300만 달러의 예산 증액을 의회에 요청하면서 윌못 조항 문제가 다시 제기되었다.[13] 프레스턴 킹 하원의원(민주당, 뉴욕)은 윌못 조항의 적용 범위를 "향후 획득할 아메리카 대륙의 어떤 영토"로 확대하는 수정안을 제출했다.[14]스티븐 더글러스 하원의원(민주당, 일리노이)은 미주리 타협선을 태평양까지 연장하는 제안을 다시 제출했으나, 109대 82로 부결되었다.[14] 윌못 조항이 포함된 300만 달러 예산안은 하원에서 115대 106으로 통과되었으나,[14] 상원에서는 토머스 하트 벤튼 상원의원(민주당, 미주리)의 주도로 윌못 조항이 삭제된 채 법안이 통과되었다.[14] 하원으로 돌아온 법안은 결국 상원 안대로 가결되었는데, 북부 휘그당 의원들은 여전히 윌못 조항을 지지했지만, 22명의 북부 민주당 의원들이 남부와 함께 투표하여 윌못 조항은 최종적으로 포함되지 않았다.[14]
4. 윌못 조항의 영향과 결과
조약이 비준되면서 추상적이었던 노예제 문제는 현실적인 문제로 떠올랐다. 헌법의 성격, 노예제도, 자유 노동의 가치, 정치 권력, 그리고 정치적 재편성 등이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18] 역사가 마이클 모리슨은 1820년부터 1846년까지 인종차별과 연방에 대한 존경심이 결합하여 북부가 노예제도를 직접적으로 공격하지 못하게 막았다고 주장한다.[13] 윌못 조항에 대한 남부의 초기 반응은 신중했지만, 곧 남부는 오랫동안 미뤄져 왔던 노예제도에 대한 공격이 시작되었다는 것을 깨달았다. 역사가 윌리엄 프리링은 "대부분의 남부 사람들은 데이비드 윌못의 독선적인 태도를 모욕적이라고 생각하여 분노했다"고 지적했다.[19]
1848년, 윌못 조항을 과달루페 이달고 조약의 한 조항으로 추가하려는 시도는 실패했다. 미국 남서부에서의 노예제도를 둘러싼 당파 간의 대립은 계속되었지만, 1850년 타협으로 일단락되었다.
윌못 조항은 노예주와 자유주로 국가가 두 세력으로 분열되는 형태가 되었기에, 미국 남북 전쟁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4. 1. 정치적 영향
윌못 조항은 미국 정당 정치 구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민주당 내에서는 조항 찬반을 둘러싼 갈등이 심화되었다. 특히 뉴욕주에서는 마틴 밴 뷰렌을 지지하는 '반뷰렌파(Barnburners)'가 윌못 조항을 지지하며 1848년 민주당 전당대회에 대표단을 파견하려 했으나, 당내 보수파인 '헌커파(Hunkers)'의 반대로 실패했다. 결국 반뷰렌파는 전당대회에서 탈퇴하여 자유토지당 결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21] 레너드 리차즈 역사가는 자유토지당에 참여한 민주당원들이 텍사스 합병과 윌못 조항을 둘러싼 갈등을 계기로, 노예 소유주들이 당을 장악하고 국가의 운명을 좌우하려 한다고 인식하게 되었다고 분석했다.[22]남부 민주당원들은 윌못 조항이 자신들의 이익과 당의 존립에 큰 위협이 된다고 판단했다.[23] 윌리엄 쿠퍼 역사가는 윌못 조항으로 인해 남부 민주당원들이 더 이상 북부 민주당원들이 노예제 문제에서 남부의 주도에 따르지 않을 것이라는 도전에 직면했다고 설명했다. 이는 남부 민주당원들이 북부 동료들이 노예제 문제에서 자신들의 입장을 따라야 한다는 기존의 당내 인식에 큰 충격을 주었다.[23]
앨라배마주에서는 윌리엄 L. 얀시가 주도하여 '앨라배마 강령'을 채택했다. 이 강령은 연방 정부가 준주에서 노예제도를 제한할 수 없으며, 윌못 조항이나 인민 주권을 지지하는 후보에 반대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24] 그러나 앨라배마 강령은 전국적인 지지를 얻는 데는 실패했다.
휘그당은 노예 소유주이자 전쟁 영웅인 재커리 테일러를 대통령 후보로 내세워 윌못 조항으로 인한 분열을 해결하려 했으나, 테일러는 윌못 조항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25] 테일러는 대통령 당선 후 캘리포니아와 뉴멕시코를 준주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주로 승격시켜 노예제 문제를 해결하려 했으나,[25] 이는 또 다른 갈등을 야기했다. 1848년 12월, 매사추세츠주 출신 휘그당 의원 존 G. 팰프리가 컬럼비아 특별구에서 노예제를 폐지하는 법안을 발의하면서 지역 갈등은 더욱 심화되었다.[26]
결국 윌못 조항과 관련된 여러 문제들은 1850년 타협으로 이어졌지만, 이는 일시적인 평화에 불과했다. 앨런 네빈스 역사가는 윌못 조항을 둘러싼 논쟁이 이후 12년 동안 미국 역사를 지배하는 중심 문제, 즉 준주 문제에 대한 경쟁의 시작이었다고 평가했다.[27]
4. 2. 사회적 영향
윌못 조항은 단순한 법안이 아니라, 노예제도, 자유 노동의 가치, 정치적 권력 등 미국 사회의 근본적인 문제들을 공론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18] 남부에서는 윌못 조항을 노예제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하고 북부에 대한 저항 의식을 강화했지만,[19] 북부에서는 노예제 폐지 운동이 더욱 활발해지는 등 상반된 반응을 보였다.[22]특히, 뉴욕주 민주당의 분열은 윌못 조항의 영향을 잘 보여준다. 윌못 조항을 지지하는 '반뷰렌파(번바너)'는 1848년 민주당 전당대회에 윌못 조항 찬성 대표단을 파견하려 했으나, 보수적인 '헝커스'의 반대로 실패했다. 결국 반뷰렌파는 독자적인 대회를 열고, 전당대회에서 윌못 조항 지지 강령이 거부되자 탈당하여 자유토지당 결성에 참여했다.[21] 이는 남부 민주당이 기존의 지지 기반을 잃고, 노예 소유주들의 영향력이 커지는 전환점이 되었다.[22]
남부 민주당원들은 윌못 조항이 자신들의 이익과 당의 정체성에 대한 위협이라고 인식했다.[23] 앨라배마주에서는 윌리엄 L. 얀시가 주도하여 '앨라배마 강령'을 채택, 연방 정부의 노예제 제한 반대 등을 주장했다. 비록 얀시의 주장은 전국적인 지지를 얻지 못했지만, 남부의 위기감을 보여주는 사례였다.[24]
이러한 갈등은 1850년 내슈빌 대회에서 남부 분리주의가 논의될 정도로 심화되었다.[26] 그러나 1850년 타협을 통해 일시적인 평화를 찾았지만, 남부는 북부가 합의를 준수할 것을 강력하게 요구하며, 연방에 대한 충성이 무조건적이지 않음을 분명히 했다.
4. 3. 1850년 타협과 남북 전쟁
윌못 조항을 둘러싼 갈등은 1850년 타협으로 일시적으로 봉합되었지만, 근본적인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1850년 타협으로 캘리포니아는 자유주로, 유타와 뉴멕시코 준주는 주민투표로 노예제 여부를 결정하게 되었다.[28] 캘리포니아 골드러시로 1848년 노예 소유주들이 캘리포니아에 도착하면서 짧은 기간 노예제가 존재했지만, 노예 감시대나 보호법이 없어 노예 탈출이 매우 빈번했다. 결국 캘리포니아는 1849년 헌법에서 노예제를 금지하기로 결정했고, 1850년 자유주로 연방에 가입했다. 네바다는 합법적인 노예제를 가진 적이 없었고 1864년 자유주로 연방에 가입했다. 유타와 뉴멕시코 준주는 1848년 미국에 편입된 이후부터 1862년 7월 미국이 모든 연방 준주에서 노예제를 금지할 때까지 노예제가 존재했다. 그러나 186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유타는 단 29명의 노예(총 인구의 0.07%)만 있었고, 뉴멕시코는 노예가 없었다.[28]1848년, 윌못 조항을 과달루페 이달고 조약의 한 조항으로 추가하려는 시도는 실패했다. 미국 남서부에서의 노예제도를 둘러싼 당파 간의 대립은 계속되었지만, 1850년 타협으로 일단락되었다.[18]
윌못 조항은 노예주와 자유주로 국가가 두 세력으로 분열되는 형태가 되었기에, 남북 전쟁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참조
[1]
서적
Lone Star: a history of Texas and the Texans
https://books.google[...]
Da Capo Press
2023-05-00
[2]
논문
Silbey (2005)
[3]
논문
Morrison (1997), Johannsen (1973), Potter (1973)
[4]
논문
Cooper (1978)
[5]
웹사이트
Annexation
http://web.grinnell.[...]
2005-11-25
[6]
서적
Puritan Spirits in the Abolitionist Imagina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
서적
The Theory, Practice and Influence of Thoreau's Civil Disobedience
http://thoreau.eserv[...]
Oxford University Press
2013-10-14
[8]
논문
Potter (1976)
[9]
논문
Earle (2004)
[10]
논문
Silbey (2005), Potter (1976), Richards (2000), Walther (2006)
[11]
논문
Morrison (1997), Potter (1976), Richards (2000)
[12]
논문
Potter (1976)
[13]
논문
Morrison (1997)
[14]
논문
Richards (2000), Johannsen (1993), Silbey (2005)
[15]
문서
Unlike appropriations bills that constitutionally were required to be initiated in the House, since a treaty was involved the debate this time would only involve the Senate.
[16]
논문
Johannsen (2000)
[17]
논문
Johannsen (2000)
[18]
논문
Holt (1978)
[19]
논문
Freehling (1990)
[20]
웹사이트
American Presidency Document Categories | The American Presidency Project
https://www.presiden[...]
2006-12-09
[21]
논문
Richards (2000)
[22]
논문
Richards (2000)
[23]
논문
Cooper (1978)
[24]
논문
Walther (2006), Nevins (1947)
[25]
논문
Cooper (1978)
[26]
논문
Walther (2006)
[27]
논문
Nevins (1947)
[28]
웹사이트
Slavery in the Far West (CA, CO, NM, NV, OR, UT, WA)
https://www.encyclop[...]
2021-12-14
[29]
서적
Lone Star: a history of Texas and the Texans
https://books.google[...]
[30]
논문
Silbey
[31]
논문
Morrison, Johannsen, Potter
[32]
논문
Cooper
[33]
논문
Potter
[34]
논문
Earle
[35]
논문
Silbey, Potter, Richards, Walther
[36]
서적
Morrison, Potter, Richards
[37]
서적
Potter
[38]
서적
Morrison
[39]
서적
Richards, Johannsen, Silbey
[40]
문서
予算法案は憲法上下院で審議が始まることを求められていたのとは異なり、議論を呼んだ条約は上院のみが関わった。
[41]
서적
Johannsen
[42]
서적
Holt
[43]
서적
Freehling
[44]
웹사이트
Political Party Platforms
http://www.presidenc[...]
[45]
서적
Richards
[46]
서적
Richards
[47]
서적
Cooper
[48]
서적
Walther, Niven
[49]
서적
Cooper
[50]
서적
Walther
[51]
서적
Nevins
[52]
서적
Morrison, Johannsen, Potter
[53]
서적
Cooper
[54]
서적
Potter
[55]
서적
Earle, Brinkerhoff
[56]
서적
Silbey, Potter, Richards, Yancey, Walther
[57]
서적
Morrison, Potter, Richards
[58]
서적
Pott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