윗사누 크르아응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윗사누 크르아응암은 태국 법학자, 교수, 정치인 및 기업인이다. 탐마삿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미국에서 법학 석,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쭐랄롱꼰 대학교 법학 교수를 거쳐 내각 부 사무총장, 사무총장을 역임하며 정부에 법률 자문 역할을 했다. 탁신 친나왓 정부에서 부총리를 지냈으며, 2006년 쿠데타 이후 임시 헌법 초안을 작성하는 데 기여했다. 아마타 코퍼레이션 회장을 역임하는 등 다양한 기업에서 임원직을 수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국의 법학자 - 워라쳇 파키랏
워라쳇 파키랏은 태국의 법학자이자 탐마삿 대학교 교수이며, 행정법과 헌법 관련 교과서를 출판하고 헌법 개혁 및 불경죄법 개정을 위한 캠페인을 벌였으며, 불경죄법 개정 운동 반대 남성들에게 폭행을 당하고 쿠데타 이후 군부에 체포되었다가 석방되었다. - 독일에 거주한 태국인 - 랑싯 프라유라삭디
쭐랄롱꼰 대왕의 아들이자 태국 왕족인 랑싯 프라유라삭디는 의료 및 대학교 시스템 발전에 기여했고, 아난타 마히돈과 푸미폰 아둔야뎃 국왕의 섭정 및 대리청정을 맡아 태국 왕가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독일에 거주한 태국인 - 추안 릭파이
추안 릭파이는 태국 민주당 대표를 역임하고 두 차례 태국 총리를 지냈으며, 경제 개혁을 추진했으나 부패 스캔들과 경제 위기로 비판받기도 했다.
윗사누 크르아응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위쓰누 크르아응암 |
로마자 표기 | Witsanu Khruea-ngam |
IPA | wít.sā.núʔ kʰrɯ̄a̯.ŋāːm |
출생일 | 1951년 9월 15일 |
출생지 | 태국 송클라주 핫야이 |
거주지 | 태국 방콕 |
정당 | 무소속 |
![]() | |
직책 | |
현재 직책 | 태국 총리 고문 |
임기 시작 | 2024년 5월 30일 |
총리 | 스레타 타위신 |
과거 직책 | 태국 부총리 |
첫 번째 임기 시작 | 2014년 8월 30일 |
첫 번째 임기 종료 | 2023년 9월 1일 |
총리 | 쁘라윳 찬오차 |
두 번째 임기 시작 | 2002년 10월 3일 |
두 번째 임기 종료 | 2006년 6월 24일 |
총리 | 탁신 치나왓 |
임기 시작 | 1996년 10월 1일 |
임기 종료 | 2002년 9월 30일 |
이전 | Bodee Junnanon |
다음 | 보른삭 우완노 |
학력 | |
대학 | 탐마삿 대학교 |
대학원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Ph.D.) |
기타 정보 | |
친척 | 촌나손 사차쿤(조카손녀딸) |
경력 | 타이 방콕 대학교 겸임교수 |
서훈 | RTGS |
웹사이트 | 크레아 부총리 YouTube - 001 크레아 부총리 YouTube - 002 |
2. 생애와 경력
윗사누 크르아응암은 탐마삿 대학교, 쭐랄롱꼰 대학교 등에서 법학을 가르치며 학자로서 경력을 시작했다.[4] 이후 태국 정부의 내각 부사무총장과 사무총장을 역임하며 고위 공직자로 활동했으며,[4][5] 탁신 친나왓 정부에서는 부총리로 발탁되어 정치 경력을 쌓았다.[4] 2006년 군부 쿠데타 이후에는 군부가 임명한 국립 입법 회의 의원으로 활동하는 등 정치적 역할을 이어갔다.[4] 그는 학계에서도 여러 대학 평의회 위원을 맡았으며,[8] 다수의 기업에서 임원으로 활동하며 재계에서도 경력을 쌓았다.[8]
2. 1. 출생과 성장
태국 송클라 주 핫야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4대째 태국계 중국인이다.[2] 어린 시절 한때 아유타야 주 아유타야에서 잠시 살기도 했으며, 1956년 5세 때 가족과 함께 태국의 수도 방콕으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성장했다.탐마삿 대학교 법학부에서 법학을 전공하여 우등 학위를 받았고, 태국 변호사 협회에서 변호사 자격을 얻었다. 이후 미국으로 유학하여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법학 석사(1974년)와 법학 박사(1976년) 학위를 취득했다. 또한 태국 국방대학 과정을 수료했다.[3]
2. 2. 학력
탐마삿 대학교 법학부에서 법학을 전공하여 우등 학위를 받았고, 태국 변호사 협회에서 변호사 자격을 취득했다. 이후 미국으로 유학하여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법학 석사(1974년)와 법학 박사(1976년) 학위를 받았다. 또한 태국 국방대학 과정을 수료했다.[3]2. 3. 교수 경력
윗사누 크르아응암은 람캄행 대학교, 탐마삿 대학교, 쭐랄롱꼰 대학교에서 법학을 가르쳤다. 1986년에는 쭐랄롱꼰 대학교의 법학 교수로 정식 임명되었다.[4] 이후 2006년 태국 쿠데타 이후 기간을 포함하여 쭐랄롱꼰 대학교에서 꾸준히 강의 활동을 이어갔다.[4]또한, 그는 학계에서 다양한 직책을 맡았다. 송클라 라자팟 대학교 대학 평의회 의장을 역임했으며, 치앙마이 대학교, 탁신 대학교, 카셈 번딧 대학교, 쭐랄롱꼰 대학교, 치앙라이 라자팟 대학교, 송클라 왕자 대학교의 평의회 위원으로 활동했다. 이외에도 프라짜디폭 연구소의 위원직을 맡기도 했다.[8]
2. 4. 공직 경력
1991년 내각 부사무총장으로 임명되었다.[4] 1993년에는 사무총장으로 승진하여 내각에 법률 자문을 제공하는 최고위직 공무원이 되었다. 1990년대 초반에는 해당 직책의 교체가 잦았으나, 윗사누는 4번의 정부 교체에도 자리를 지키며 10년 이상 재직했다.[5]2002년, 당시 총리였던 탁신 친나왓은 윗사누에게 공무원 생활을 마치고 정치에 입문할 것을 권유하며 내각의 장관직을 제안했다. 탁신은 이를 거절할 경우 사무총장직에서 해임하겠다고 압박했고, 윗사누는 이를 수락하여 법률 및 의회 업무 담당 부총리로 임명되었다.[4] 당시 탁신 정부에는 총 7명의 부총리가 있었다. 윗사누의 후임 내각 사무총장으로는 그의 친구인 보라원삭 우와노가 임명되었다.[5] 2005-06 태국 정치 위기가 심화되고 의회가 해산되자,[4] 윗사누와 보라원삭은 정부 직책에서 사임했다.[6]
2006년 태국 쿠데타 이후, 윗사누는 보라원삭 우와노와 함께 군부(입헌군주제 하의 민주 개혁 위원회, CDR)가 2006년 태국 임시 헌법 초안 작성을 돕도록 했다. 정치학자 티티난 퐁수디락은 보라원삭과 윗사누가 "하룻밤 사이에 헌법을 쓸 수 있는 것처럼 보였다"고 언급하며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7] 이후 윗사누는 군부가 임명한 국립 입법 회의의 회원이 되었다.[4]
2. 5. 정치 경력
1991년 내각 부 사무총장으로 자리를 옮겼다.[4] 1993년에는 사무총장으로 승진하여 내각에 법률 자문을 하는 최고위직 공무원이 되었다. 1990년대 초반 해당 직책이 자주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윗사누는 이후 4번의 정부 교체를 거치면서도 10년 이상 그 자리를 지켰다.[5]2002년, 당시 탁신 친나왓 총리는 윗사누에게 장관직을 제안하며 공직에서 정치 경력으로 전환할 것을 권유했다. 윗사누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사무총장직에서 해임될 수도 있는 상황에서, 그는 결국 제안을 수락하여 법률 및 의회 업무 담당 부총리로 임명되었다.[4] 당시 탁신 총리에게는 7명의 부총리가 있었다.
2005-06 태국 정치 위기가 고조되고 의회가 해산된 후,[4] 윗사누는 정부 직책에서 사임했다.[6]
2006년 태국 쿠데타 이후, 그는 군부(입헌군주제 하의 민주 개혁 위원회, CDR)가 2006년 태국 임시 헌법의 초안을 작성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7] 이후 군부가 임명한 국립 입법 회의의 의원으로 활동했다.[4] 이 기간 동안에도 그는 쭐랄롱꼰 대학교에서 강의를 계속했다.[4]
2. 6. 기업 경력
정치학자 에우제니 메리에우는 윗사누 크르아응암을 미차이 루추판, 보라원삭 우와노와 함께 태국에서 권위주의 통치의 법적 기반을 마련한 주요 법학자이자, "비자유주의적 헌법주의를 위한 법률-군사 동맹"의 주창자로 꼽는다. 메리에우에 따르면, 윗사누는 국왕이 구현하는 태국 국가의 연속성을 근거로 군부 쿠데타를 합법화하는 이론을 옹호한다.
윗사누는 태국 훈장 제도에서 다음과 같은 훈장을 받았다.
3. 학문적 분석
4. 서훈
참조
[1]
웹사이트
Wissanu Krea-Ngam (วิษณุ เครืองาม)
https://whoswho-thai[...]
[2]
뉴스
Thailand-Chinese Temple Fair
http://newscontent.c[...]
CCTV
2015-02-14
[3]
웹사이트
Wissanu Krea-Ngam: Deputy Prime Minister, leading academician of public law instrumental of shaping Thailand legal system
http://whoswho-thail[...]
2015-06-04
[4]
웹사이트
An interview with former Deputy Prime Minister of Thailand, Dr. Wissanu Krea-ngam
http://www.dailycal.[...]
2012-12-03
[5]
논문
Review of This World's a Stage
http://asiapacific.a[...]
2012-04-18
[6]
서적
Political Contests in the Advent of Bangkok's 19 September Putsch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7]
서적
The Tragedy of the 1997 Constitution
[8]
웹사이트
Executive Profile: Wissanu Krea-Ngam
https://www.bloomber[...]
2015-06-04
[9]
서적
The legal–military alliance for illiberal constitutionalism in Thailand
Routled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