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미니펫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니미니펫은 유니랜드에서 범죄를 저지른 버그펫들이 인간 세계로 도망치면서 초등학생 원동우와 유니랜드 수사관 고양이, 햄이 함께 버그펫을 소탕하는 내용을 담은 애니메이션이다. 2001년 첫 방송 당시 포켓몬스터, 디지몬 어드벤처 02와 유사하다는 비판을 받았지만, 시청률 10%를 기록하며 인기를 얻었다. 2000년대 초반까지 높은 시청률을 유지했으며, 터키, 중국 등에서도 방영되었다. 관련 상품으로 PC 게임이 출시되었고, 2014년에는 시리즈 방송 13주년을 기념하여 웹툰이 공개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메이플스토리 (애니메이션)
넥슨 게임 《메이플스토리》를 원작으로 매드하우스에서 제작한 애니메이션 《메이플스토리》는 세계수 파괴 10년 후 세계수를 되살리기 위한 주인공 알의 모험을 그리며, 알은 여러 종족 동료들과 함께 악의 조직 ‘흑익’에 맞서 싸운다는 내용을 담고 있고, 2007년 10월부터 2008년 3월까지 TXN 계열 방송국에서 방영되었다. - 200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검정고무신
검정고무신은 1960년대 한국 사회와 가족의 이야기를 다룬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1999년 설날 특집으로 처음 방영되었으며, TV 시리즈와 극장판으로 제작되었고, 원작자와 제작사 간의 지적 재산권 분쟁이 있었다. - 2001년 애니메이션 - 사이보그 009
《사이보그 009》는 이시노모리 쇼타로가 그린, 9명의 사이보그 전사들이 활약하는 만화로, 냉전 시대를 배경으로 반전 메시지와 다양한 주제를 담고 있으며, 2001년 애니메이션 방영을 통해 한국에서도 인기를 얻었다. - 2001년 애니메이션 - 심슨 가족
《심슨 가족》은 미국 중산층 심슨 가족을 중심으로 스프링필드라는 가상 도시를 배경으로 미국 사회를 풍자하는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며, 성인용 풍자와 패러디를 담고 있어 미국 성인용 애니메이션으로 분류되지만, 논란과 비판도 존재한다. - SBS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슈퍼다이노
슈퍼다이노는 KBS 2TV에서 방영된 정의로운 강철과 동료들이 악당 데몬에 맞서는 애니메이션으로, 변신 로봇 완구 제품으로도 출시되었다. - SBS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내 친구 해치
《내 친구 해치》는 SBS에서 2010년부터 방영된 대한민국 애니메이션으로, 자신의 정체를 잊은 해치와 서새봄이네 가족의 이야기를 다루며 남도형, 우정신 등의 성우가 참여했고, SBS, SBS 콘텐츠허브, 동우애니메이션이 제작, 총 26편의 에피소드와 소녀시대 사운드트랙 앨범이 발매, 서울특별시청과 서울애니메이션센터의 제작 지원을 받았다.
유니미니펫 - [영화]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장르 | 판타지 코미디 어드벤처 |
원작 | 알 수 없음 |
각본 | 김주연 (Kim Ju-yeon, 김주연) |
감독 | 박우현 (Park Woo-hyeon, 박우현) |
음악 작곡가 | 장승준 (Jang Seung-jun, 장승준) 전홍준 (Jeon Hong-jun, 전홍준) |
오프닝 테마 | "UniMinipet" - 박범준 (Park Beom-jun, 박범준), 박정은 (Park Jeong-eun, 박정은), 김희진 (Kim Hee-jin, 김희진), 오혜승 (Oh Hye-seung, 우혜승) |
작곡가 | 설기태 (Seol Ki-tae, 설기태)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시즌 수 | 1 |
에피소드 수 | 26 |
방송 채널 | SBS |
최초 방송일 | 2001년 6월 15일 |
마지막 방송일 | 2001년 12월 7일 |
애니메이션 제작사 | 동우애니메이션 |
게임 정보 (유니미니펫) | |
장르 | 알 수 없음 |
플랫폼 | 알 수 없음 |
발매일 | 2001년 8월 |
등급 | 전체 이용가 |
미디어 | 콤팩트 디스크 |
게임 정보 (유니미니펫 2) | |
제목 | 유니미니펫 2 |
장르 | 퍼즐 |
플랫폼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
배급사 | 한국후지쯔 |
발매일 | 2003년 |
등급 | 전체 이용가 |
미디어 | 콤팩트 디스크 |
2. 줄거리
유니랜드에서 범죄를 일으킨 혐의로 수배된 버그펫들이 인간 세계로 달아나 로보펫 속으로 숨어들게 된다. 이에 유니랜드의 수사관 고양이와 햄이 인간 세계에 파견되는데, 하필이면 초등학생 원동우의 방 안 옷장 속으로 나오게 된다. 이로 인해 원동우까지 버그펫 소탕 작전에 나서게 된다.[1]
원동우는 초등학생으로, 침실 옷장 문을 열 때마다 이상한 기분을 느끼지만 아무도 그의 말을 믿어주지 않는다. 그 이유는 그가 그 문을 열 운명을 타고났기 때문인데, 그의 옷장은 사실 4차원 세계인 유니랜드로 연결되는 비밀 포털이며, 이곳에는 유니펫이라는 생물들이 살고 있다. 어느 날, 유니랜드에서 범죄를 저지른 벅펫들이 인간 세계로 탈출하여 동우의 로보 펫 가게 안에 있는 로보 펫 안에 숨어든다. 유니랜드는 벅펫들을 잡기 위해 고양이와 햄이라는 두 명의 특별 요원을 인간 세계로 보냈고, 두 사람은 결국 동우의 옷장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그들은 오직 영혼만이 문을 통과할 수 있다는 문제에 직면한다. 그래서 요원들은 벅펫들처럼 로보 펫 안에 숨기로 결정한다. 그들은 다른 세계로 이동하는 동안 힘을 잃기 때문에, 힘을 회복하기 위해 유니스톤을 찾고, 동시에 자신들을 업그레이드한다. 그 결과, 그들은 동우와 팀을 이루어 벅펫을 소탕하는 임무를 수행한다.[1]
3. 등장인물
이름 역할 설명 원동우 주인공 평범한 초등학생으로, 유니랜드와 인간 세계를 잇는 문을 열 수 있는 특별한 능력을 지녔다. 로봇펫 가게를 하는 어머니를 돕고 있으며, 책임감 있고 정의로운 성격으로, 유니랜드 수사관인 고양이, 햄과 함께 버그펫에 맞서 싸운다. 고양이 주인공 유니랜드 수사관으로, 인간 세계에서는 고양이 로봇펫의 모습으로 활동한다. 정의롭고 책임감 강한 성격이지만, 햄과는 자주 티격태격한다. 유니랜드에서는 늘씬한 미녀였다고 주장하지만 확인된 바는 없다. 햄 주인공 유니랜드 수사관으로, 인간 세계에서는 햄스터 로봇펫의 모습으로 활동한다. 느긋하고 낙천적인 성격이며, 먹을 것을 밝히고 만화, 애니메이션을 좋아한다. 사건 해결에는 적극적으로 참여하지만, 잘난 체하는 경향이 있다. 유미란 조력자 안우수의 사촌으로, 부잣집 딸이다. 원동우를 좋아하며 원동우와 관련된 일이라면 적극적으로 돕는다. 박상현 조력자 원동우의 단짝 친구로, 버그펫 소탕 작전에 대해 알고 있는 유일한 인물이다. 원동우에게 큰 도움을 준다. 고은비 조력자 원동우의 어머니로, 32세이지만 20대 초반으로 보일 정도로 젊고 아름다운 외모를 가졌다. 부유한 집안 출신이었지만 고아였던 동우 아빠와 결혼하면서 집안과 의절했다. 낙천적인 성격으로 로봇펫 가게를 운영하며 행복하게 살고 있다. 이상해 박사 조력자 원동우의 이웃집에 사는 괴짜 과학자이다. 버그펫 소탕 작전에 필요한 발명품을 만들고 유니스톤을 업그레이드하는 등 고양이, 햄에게 많은 도움을 준다. 매직 조력자 원래 마술사였으나, 교통사고로 버그펫의 영혼이 들어가게 된다. 고양이, 햄에게 체포된 후 원동우의 집에서 신세를 지며, 고은비에게 첫눈에 반한다. 매직은 버그펫의 이름이다. 안우수 기타 원동우의 같은 반 친구로, 부잣집 아들이다. 원동우를 무시하지만, 뒷끝이 좋지 않다. 성진아 조력자 경찰 수사 반장의 딸로, 원동우와 고양이, 햄, 박상현이 버그펫을 잡는 데 도움을 준다. 사유리 조력자 작품 후반부에 등장하는 소녀로, 안우수보다 더 큰 부잣집에 산다. 유니랜드와 인간 세계가 연결된 문을 닫는 힘을 가지고 있다.
3. 1. 주요 인물
3. 2. 조력자
3. 3. 기타 등장인물
안우수는 원동우와 같은 반 친구이며 부잣집 아들이다. 동우를 무시하는 경향이 있지만, 매번 좋지 않은 결말을 맞는다. 빡빡머리 쌍둥이 부하 방구와 방석을 데리고 다닌다. 그는 항상 자신이 얼마나 많은 돈을 가지고 있는지 자랑하며 잘난 척을 하지만, 결국에는 깐깐하게 굴다가 무너진다. 원동우는 그를 무시하고, 그의 친구 유미란과 박상현은 분개한다. 우수의 어머니는 아들과 똑같은 오만한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제대로 혼나지 않고 자신의 행동을 용서받는다고 한다.[2] 사유리의 가족에 비해, 그는 하찮은 어린 악동이며, 놀랍게도 버그펫들은 시리즈 전체에서 종종 그의 고통을 야기한다.
4. 목소리 출연
5. 제작진
역할 | 이름 |
---|---|
총감독 | 박우현 |
시나리오 | 김주연 |
캐릭터 디자인 | 이동익, 이승일 |
배경 디자인 | 임종우 |
미술감독 | 이회영 |
총연출 | 고성운 |
프로듀서 | 조홍준, 홍제미나 |
애니메이션 감독 | 고성운, 신기철, 성원용, 정진우, 신중덕, 박봉일, 유제하, 유재명, 팽유원, 송근식, 이현찬, 박병순, 이승일 |
레이아웃 | 오동환, 최진석 |
원화 | 서진원, 명가영, 허귀연, 신성민, 김종용, 심영희, 유승희, 최지훈, 민경희, 육성수, 지동재 |
원화작감 | 이강태, 권희재, 오현화, 정재연, 정혜선 |
원화작감체크 | (故)고종환, 정순자 |
동화 | 주옥윤, 이원재, 김경환, 오용운, 신혜란, 최형석, 김현미, 김양인, 최선아, 박선영 |
파이널 체크 | 윤석번, 서연숙, 남궁진, 최선호, 조영라 |
색지정 | 안미현, 성수영, 정혜경 |
배경 | 이가영, 채수희, 정유미, 이상민, 박민경, 이정환, 김상운, 이원구, 임지영, 김은경, 염윤숙 |
스캔 | 전미옥, 이윤혜, 정문선, 정창택, 백경선, 윤신혜 |
칼라 | 양인숙, 김현희, 김경숙, 한명선, 민영신, 오원숙, 김현주, 이정수, 김기민 |
촬영 | 허태희, 박주은, 김강옥, 구동필, 백승필, 강희창, 변혜영, 김정률, 김언식, 유재형, 이진영, 정하영, 최은주 |
녹음연출 | 설기태 |
주제가 작사 | 박범준, 박정은, 김희진, 오혜승 |
주제가 작·편곡 | 장승준, 전홍준 |
배경음악 작·편곡 | 설기태 |
주제가 노래 | 쿠키, 우순실, 박정은 |
편집 | 이영민 |
제작 | 김지현, 김명수, 이지화, 김도영, 이승열 |
제작데스크 | 신주희 |
제작 | 동우애니메이션, SBS |
6. 방영 목록
총 26화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화마다 흥미진진한 에피소드가 펼쳐진다.
회차 | 제목 | 방영 날짜 |
---|---|---|
1 | 탄생! 유니펫 | |
2 | 윌리텔을 잡아라 | |
3 | 체포한다, 머시매쉬 | |
4 | 마술사 매직 | |
5 | 뽀리를 잡아라! | |
6 | 가방속의 피피 | |
7 | 출전! 럭키볼 | |
8 | 승리왕을 상대하라 | |
9 | 동우의 위기 | |
10 | 벼랑산 탐험 | |
11 | 우승컵을 노려라! | |
12 | 새로운 적 흑장미회 | |
13 | 명화 도난 사건 | |
14 | 이어뱃을 잡아라 | |
15 | 이상한 알을 되찾아라 | |
16 | 바다괴물의 출현 | |
17 | 캠핑장에서 생긴 일 | |
18 | 설계도를 지켜라 | |
19 | 흑장미의 최후 | |
20 | 프로그의 반격 | |
21 | 수수께끼의 운석 | |
22 | 가짜햄 등장 | |
23 | 유령 집의 공포 | |
24 | 뿔쥐의 반역 | |
25 | 크리스탈 발견 | |
26 | 이별, 그리고 약속 |
7. 평가 및 반응
《유니미니펫》은 2001년 첫 방송 당시 포켓몬과 디지몬 어드벤처 02를 모방했다는 비판 속에서도 평균 9.5%대의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인기를 얻었다.[12] 특히 2001년 12월 종영 직후에는 시청률 10.1%로 《파워디지몬》에 이어 2위를 차지하는 이변을 낳기도 했다.[12]
이러한 인기를 바탕으로 동우애니메이션은 2002년 여름방학 개봉을 목표로 극장용 애니메이션 제작을 계획했으나, 자금 부족 등의 문제로 실현되지 못했다.
2004년에는 매주 금요일마다 2편씩 묶어 재방송되었고,[4] 2014년에는 제작사 동우A&E에서 방영 13주년 기념 블로그를 개설하고 네이버 tvcast를 통해 본편 영상 전편을 공개하는 한편, 본편 내용의 후속편 격인 웹툰을 네이버와 다음에 연재하기도 했다.
7. 1. 긍정적 평가
2001년 첫 방송 당시 포켓몬과 디지몬 어드벤처 02를 모방했다는 비판이 있었으나, 빠른 전개와 흥미로운 스토리로 호평을 받았다. 특히 벌레펫과 원동우 일행의 대결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면서 모방 논란은 빠르게 사라졌다.[3]평균 9.5%의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으며, 2001년 12월에는 포켓몬스터 (9.8%)를 제치고 디지몬 어드벤처 02에 이어 시청률 2위(10.1%)를 차지하기도 했다.[12]
또한, 정의, 우정, 용기 등 교훈적인 메시지를 전달한다는 평가를 받았다.
7. 2. 부정적 평가
일부에서는 《포켓몬》, 《디지몬 어드벤처 02》와의 유사성을 지적하며 아류작이라는 비판도 있었다.[3] 초반 에피소드는 다소 지루하다는 평가도 있었다.[3]7. 3. 기타
- 2001년 첫 방송 당시 <포켓몬>과 <디지몬 어드벤처 02>를 모방했다는 비판을 받았으나, 평균 9.5%의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두 작품을 추격하는 저력을 보여주었다.[12] 2001년 12월 종영 직후 시청률 순위에서는 10.1%로 <파워디지몬>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3]
- 이러한 인기에 힘입어 동우애니메이션은 2002년 여름방학 개봉을 목표로 극장용 애니메이션 제작 계획을 발표했으나, 자금 부족 등 여러 문제로 인해 무산되었다.
- 2014년, 동우A&E는 방영 13주년 기념 블로그를 개설하고 네이버 tvcast를 통해 본편 영상 전편을 공개했으며, 본편 내용의 후속편인 웹툰을 네이버와 다음에 연재했다.
- 터키에서는 Taşın Sırrı|돌의 비밀tr라는 제목으로, 중국에서는 迷你宠物星|미니 펫 스타중국어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었다.[4]
- 2023년, 종영 22년 만에 애니원과 애니박스에서 재방영되었다. 애니원에서는 2023년 8월 8일부터 매주 화요일 오전 8시 30분과 매주 월요일 오후 1시에, 애니박스에서는 2023년 8월 9일부터 매주 수요일 오전 10시에 방영을 시작했다.
8. 관련 상품
2001년 8월, 시리즈를 기반으로 한 PC 게임 《'''유니미니펫'''》이 출시되었으며, 개발은 니즈 엔터테인먼트, 배급은 동우애니메이션과 P&J벤처스가 맡았다.[5][6] 2002년 4월 29일에는 폴란드에서도 출시되었다.[7] 이 게임은 2000년작 《하얀 마음 백구》와 유사한 아케이드 플랫폼 게임이다. 플레이어는 고양이 또는 햄스터를 선택하여 9개의 세계를 탐험하며, 친구가 갇혀있는 곳까지 도울 수 있다. 유니펫은 유니스톤, 물방울 등 무한정의 물건을 사용하여 점프하고 버그펫을 공격할 수 있다. 처음 8개의 세계는 각각 3개의 레벨로 구성되어 있으며, 9번째 세계는 하나의 레벨만 있다.[6] 2003년에는 후속작 《'''유니미니펫2'''》가 출시되었으며, 개발은 네오넷, 배급은 한국 후지쯔가 담당했다.[9]
참조
[1]
웹사이트
Production Profile: 'UniMinipet'
http://www.awn.com/b[...]
2015-06-26
[2]
웹사이트
유니미니펫
https://cafe.daum.ne[...]
Daum Cafe
2024-04-07
[3]
웹사이트
"[프리코스닥 기업] 동우애니메이션, \"포켓몬스터 이겼죠\""
https://n.news.naver[...]
2024-04-03
[4]
웹사이트
TRT Çizgi Film "Taşın Sırrı"
http://www.trt.net.t[...]
Trt.net.tr
2015-06-26
[5]
웹사이트
게임을 하면서 IQ도 높인다(유니미니펫)
https://www.gamemeca[...]
2024-04-08
[6]
웹사이트
UniMinipet (2001 - Windows).
https://www.old-game[...]
Old-Games.RU
2024-04-08
[7]
웹사이트
eSotNet UniMinipet gra PC
http://marksoft.com.[...]
MarkSoft
2024-04-08
[8]
웹사이트
UniMinipet
https://www.gamepres[...]
Gamepressure
2024-04-08
[9]
웹사이트
UniMinipet 2 (2003 - Windows).
https://www.old-game[...]
Old-Games.RU
2024-04-08
[10]
웹사이트
UniMinipet's 13th Anniversary
http://blog.naver.co[...]
Naver
2024-04-03
[11]
웹사이트
UniMinipet
https://tv.naver.com[...]
Naver TV
2024-04-03
[12]
뉴스
"[프리코스닥 기업] 동우애니메이션, \"포켓몬스터 이겼죠\""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2002-0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