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래자리 타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래자리 타우는 고래자리에 위치한 태양과 유사한 G8.5V형 항성으로, 11.9광년 거리에 있으며, 여러 행성계와 먼지 원반을 가지고 있다. 이 별은 동아시아 별자리에서는 천창오로 불리며, 아랍 문화권에서는 두레 멘토르로 알려져 있다. 2012년에는 여러 행성들의 증거가 제시되었고, 2017년에는 몇몇 행성의 존재가 확인되었으며, 생명체 거주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또한 SETI 프로젝트의 초기 목표였으며, 외계 생명체 탐사 및 문화 콘텐츠의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래자리 타우 - 고래자리 타우 e
고래자리 타우 e는 지구에서 11.9광년 떨어진 고래자리 타우를 공전하는 슈퍼지구 외계 행성으로, 2012년 도플러 분광법을 통해 발견되었으며 질량은 지구의 3.32배로 추정된다. - 별주위원반 - 원시 행성계 원반
원시 행성계 원반은 별의 형성 과정에서 별을 둘러싸고 회전하며 행성, 위성의 재료가 되는 가스와 먼지 원반이다. - 별주위원반 - 카멜레온자리 110913-773444
카멜레온자리 I 분자구름에 위치한 카멜레온자리 110913-773444는 목성 질량의 약 8배, 반지름은 약 1.8배인 천체로, 준갈색왜성이나 떠돌이 행성으로 분류되기도 하며, 항성 주변 원반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 G형 주계열성 - 뱀자리 람다
뱀자리 람다는 태양 질량의 약 2.7배인 분광형 A2V 주계열성으로, 외계 행성 람다 뱀자리 b를 거느리고 있으며 과거 분광 쌍성일 가능성이 있었으나 현재는 외계 행성계로 확인되었다. - G형 주계열성 -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센타우루스자리 알파는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계인 삼중성계로, 태양과 유사한 황색 왜성 A(리길 켄타우루스)와 A보다 작고 어두운 오렌지색 왜성 B(톨리만), 그리고 멀리 떨어져 중력적으로 연결된 적색 왜성 C(프록시마 센타우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록시마 센타우리 주위를 도는 두 개의 행성이 확인되었다.
고래자리 타우 | |
---|---|
기본 정보 | |
![]() | |
별자리 | 고래자리 |
명칭 | 타우 케티 |
다른 이름 | 고래자리 52번성 BD -16° 295 FK5 59 GJ 71 HD 10700 HIP 8102 HR 509 SAO 147986 GCTP 365.00 LFT 159 LHS 146 LTT 935 |
관측 정보 | |
겉보기 등급 | 3.50 ± 0.01 |
특징 | |
종류 | 주계열성 |
분광형 | G8V |
B-V 색지수 | +0.72 |
U-B 색지수 | +0.21 |
변광성 여부 | 확인 필요 |
운동 정보 | |
시선 속도 | -16.68 ± 0.05 km/s |
고유 운동 (적경) | -1721.728 mas/yr |
고유 운동 (적위) | "+854.963" mas/yr |
연주 시차 | 273.8097 mas |
절대 등급 | 5.69 ± 0.01 |
절대 복사 등급 | 5.52 ± 0.02 |
물리적 특성 | |
질량 | 0.69 ± 0.09 태양 질량 |
반지름 | 0.793 ± 0.004 태양 반지름 |
광도 | 0.488 ± 0.010 태양 광도 |
시각 광도 | 0.45 태양 광도 |
표면 온도 | 5320 ± 40 K |
금속 함량 | 태양의 28 ± 3% |
철 함량 | -0.55 ± 0.05 |
표면 중력 | 4.48 ± 0.05 |
자전 주기 | 46 ± 4 일 |
자전 속도 | 0.1 ± 0.1 km/s |
나이 | 80억 ~ 100억 년 |
기타 정보 | |
거리 | 약 12 광년 (3.65 파섹) |
2. 명칭
고래자리 타우에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면서 널리 알려진 고유 이름은 없다.
지구에서 약 12광년 떨어진 단독성 G형 주계열성이다. 겉보기 등급은 3.5등급으로 맨눈으로 관측할 수 있다.[114] 희미한 안시 동반 천체가 약 10각초[139] 또는 137각초(2000년 기준)[24][25][26][85][86][87] 떨어진 곳에서 관측되었으나, 중력으로 묶인 쌍성계가 아닌 겉보기 이중성일 가능성이 높다.[139][24][25][26]
현재 통용되는 ‘고래자리 타우(Tau Ceti)’는 바이어 명명법에 따른 표기이다. 이 명칭은 1603년 독일의 천문도 제작자 요한 바이어가 그의 항성 목록 《우라노메트리아》에서 고래자리의 별들 중 타우(τ) 순서에 해당하는 별로 지정하면서 붙여졌다.
동아시아의 별자리에서는 천창(天倉)이라는 별자리의 구성원 중 하나이다. 천창은 고래자리 타우 외에 요타, 에타, 제타, 세타, 고래자리 57 별들로 이루어져 있다.[127][15][80] 이 안에서 고래자리 타우는 '''천창오'''(天倉五)로 불리는데, 이는 ‘천창의 다섯 번째 별’이라는 의미이다.[128][16][81]
아랍 문화권에서는 이 별을 '''두레 멘토르'''라고 부르기도 했는데,[129] 이는 아랍어 '알 두르 알-만수르'(الدرر المنثور|Al-Durr al-Manthurara)에서 유래한 말로 ‘(부서진 목걸이의) 흩어진 진주들’이라는 뜻을 가진다.[130] 또한, 1650년경 이집트 카이로에서 알 악사시 알 무와키트가 작성한 항성 목록 《''Calendarium''》에는 이 별이 '탈리트 알 나아마트'(ثالث النعامات|Thalith al-Na'amatara)로 기록되어 있다. 이는 라틴어로 ''Tertia Struthionum''으로 번역되며 '셋째 타조'라는 의미이다.[131][12][78] 고래자리 타우는 에타(데네브 알게누비), 세타(타니흐 알 나아마트), 제타(바텐 카이토스), 웁실론과 함께 '알 나아마트'(النعامات|Al-Na'amatara)라는 별자리를 구성했는데, 이는 '암컷 타조들'을 의미한다.[132][133][13][14][79][116]
3. 물리적 특징
고래자리 타우의 물리적 특징은 주로 분광학적 관측을 통해 연구되었다. 이를 통해 얻은 스펙트럼 정보를 항성진화 모델과 비교하여 나이, 질량, 반지름, 밝기 등을 추정한다. 또한 천문 간섭계를 이용한 정밀 측정 결과, 반지름은 태양반경의 약 79.3% ± 0.4%로 밝혀졌다.[140][27] 이는 태양보다 질량이 약간 작은 별에서 예상되는 크기와 일치한다.[141][28][88] 시선속도 측정 결과, 별 가까이에 뜨거운 목성과 같은 무거운 행성은 없는 것으로 보이며, 만약 가스 행성이 존재한다면 태양계의 목성보다 더 먼 거리에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155][156]
이 별은 겉보기 밝기의 변동이 거의 없이 안정적이며, 태양에 비해 금속량이 적은 특징을 가진다. 또한, 태양계의 에지워스-카이퍼대보다 약 10배 더 무거운 먼지 원반이 별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76][77][110] 이 먼지 원반 내에서 여러 외계 행성 후보가 발견되었으며, 그 중 일부는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는 생물권 내에 위치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76][77][110]
3. 1. 태양과의 유사성
고래자리 타우는 태양과 여러 면에서 비교되는 항성이다. 지구에서 가까운 별 중 하나로 약 12광년 떨어져 있으며, 단독성인 G형 주계열성 중에서는 지구에서 가장 가깝다. 겉보기 등급은 3.5등급으로 맨눈으로도 쉽게 볼 수 있다.[114] 고래자리 타우에서 태양을 본다면 목동자리 방향에서 3등성으로 보일 것이다.[115]
고래자리 타우는 태양처럼 동반성 없이 홀로 존재하는 단독성으로 여겨진다. 2000년 기준으로 약 137각초 떨어진 곳에서 13.1 등급의 희미한 천체가 관측되었으나,[24][25][26][85][86][87] 이는 우연히 같은 시선 방향에 있는 겉보기 이중성일 가능성이 높으며, 중력으로 묶인 쌍성계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24][25][26][139] 또한, 항성의 미세한 흔들림을 통해 외계 행성의 존재를 찾는 시선속도 측정법이나 측성학적 관측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감지되지 않았다. 이는 고래자리 타우 가까이에 뜨거운 목성과 같은 무거운 행성이 없음을 시사한다. 만약 가스 행성이 존재하더라도 태양계의 목성보다 항성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155][156]
고래자리 타우의 물리적 특징 대부분은 분광학적 관측을 통해 밝혀졌다. 항성의 스펙트럼을 항성진화 모델과 비교하여 나이, 질량, 반지름, 밝기 등을 추정한다. 천문 간섭계를 이용하면 반지름을 더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측정한 고래자리 타우의 반지름은 태양반경의 79.3 ± 0.4%이다.[27][140] 이는 태양보다 질량이 약간 작은 항성에서 예상되는 크기와 비슷하다.[28][88][141]
다음 표는 태양과 고래자리 타우의 주요 특징을 비교한 것이다.
표에서 볼 수 있듯이 고래자리 타우는 태양보다 표면 온도가 낮고, 중원소 함량(금속량)이 적으며, 나이는 더 많다. 겉보기 밝기의 변동이 거의 없어 매우 안정적인 항성으로 알려져 있다.
고래자리 타우 주변에는 태양계의 에지워스-카이퍼대보다 약 10배 더 많은 질량을 가진 먼지 원반이 존재한다. 2012년 12월에는 고래자리 타우를 공전하는 5개의 외계 행성 후보가 발견되었고, 그중 2개는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는 영역인 생물권 내에 위치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76][77][110] 2017년 연구에서는 이 2개를 포함하여 총 4개의 행성 존재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먼지 원반의 존재로 인해 행성들은 소행성이나 혜성과 같은 미행성체와 충돌할 빈도가 지구보다 높을 수 있다.
이러한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고래자리 타우는 태양과 여러 특성이 유사하여 '솔라 아날로그'로 분류된다. 안정적인 특성, 태양과의 유사성, 지구와의 근접성 때문에 미래 인류의 이주 후보지 중 하나로 고려되며, 외계 지적 생명체 탐사(SETI)의 주요 관측 대상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유로 SF 작품에서 외계 문명의 고향 행성계나 인류의 우주 식민지 배경으로 자주 등장한다.
3. 2. 태양과의 차이점
고래자리 타우는 태양과 여러 면에서 다른 특징을 가진다. 단독성으로 여겨지며,[85][86][87] 약 137각초 거리에 13.1등급의 희미한 안시 동반성이 관측되었으나,[24][25][26] 이는 중력으로 묶인 쌍성계가 아닌 우연히 같은 방향에 보이는 겉보기 이중성일 가능성이 높다.[139]
물리적으로 고래자리 타우는 태양보다 작고 차갑다. 반지름은 태양의 약 79.3 ± 0.4%이며,[140] 이는 태양보다 질량이 약간 작은 별에서 예상되는 크기이다.[141][88] 표면 온도는 약 5,344K으로 태양(5,778 K)보다 낮고, 분광형은 G8.5V(태양은 G2V)이다. 항성 활동 역시 태양보다 덜 활발하다.
특히 금속량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데, 고래자리 타우의 금속 함량([Fe/H])은 -0.55로 태양(0.00)보다 훨씬 낮다. 이는 고래자리 타우가 태양보다 이른 시기, 즉 우주의 중원소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았을 때 형성되었음을 시사한다. 추정 나이도 약 58억 년으로 태양(약 46억 년)보다 많다.
주변 환경 역시 태양계와 다르다. 고래자리 타우는 태양계의 에지워스-카이퍼대보다 약 10배 더 무거운 먼지 원반에 둘러싸여 있어, 주변 행성들이 소행성이나 혜성과 더 자주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76][77][110] 또한, 목성과 같이 무거운 가스 행성이 가까운 궤도에서 발견되지 않았으며(뜨거운 목성 부재), 만약 존재한다면 태양계의 목성보다 훨씬 먼 거리에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155][156]
태양과 고래자리 타우의 주요 특징 비교는 다음과 같다.
3. 3. 자전
고래자리 타우의 자전 주기는 이온화된 칼슘(Ca II)의 H선과 K선 같은 프라운호퍼 선의 주기적인 변화를 통해 측정되었다.[142][29][89] 이 흡수선들은 항성 표면의 자기장 활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변화 주기를 통해 항성이 한 바퀴 자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알 수 있다.[29][89] 이 방법으로 측정한 고래자리 타우의 자전 주기는 약 34일로 추정되었다.[143][30][90] 그러나 2023년의 더 최근 연구에서는 자전 주기를 약 46 ± 4일로 추정했다.[74]항성의 자전 속도는 스펙트럼에서 나타나는 흡수선의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추정한다.[144][31][91] 별이 자전하면 관측자에게 가까워지는 쪽에서 나오는 빛은 청색 편이를, 멀어지는 쪽에서 나오는 빛은 적색 편이를 일으키므로, 흡수선의 폭이 넓어지는 것을 분석하여 회전 속도를 계산한다. 고래자리 타우의 투영된 회전 속도(관측 방향에서 본 속도)는 ''v''eq · sin ''i'' ≈ 1 km/s로 측정되었다.[144][31][91] 여기서 ''v''eq는 적도에서의 실제 회전 속도이고, ''i''는 자전축과 관측자의 시선 방향이 이루는 각도(궤도경사각)이다. 2023년 연구에서는 이 값을 약 0.1 ± 0.1 km/s로 더 낮게 추정했다.[74]
일반적인 분광형 G8 항성의 자전 속도는 약 2.5 km/s이다.[144][31][91] 고래자리 타우의 측정된 회전 속도가 이보다 상대적으로 느린데, 이는 우리가 이 별을 거의 극 방향에서 바라보고 있기 때문일 수 있다.[144][145][31][32][91][92] 2023년 연구는 이 기울기 각도를 약 7 ± 7도로 추정했다.[74]
3. 4. 중원소 함량 (금속성)
별의 화학 조성은 그 별이 형성된 시기를 포함한 진화 역사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별이 만들어지는 성간 매질은 주로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헬륨보다 무거운 원소인 중원소는 미량 포함되어 있다. 별들이 진화하고 생을 마감하는 과정, 예를 들어 초신성 폭발 등을 통해 성간 매질 내 중원소의 비율은 점차 증가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젊은 별일수록 항성 대기 내 중원소 함량이 높은 경향이 있다. 천문학에서는 이러한 중원소 함량을 금속 함량 또는 금속성이라고 부른다.[33][93]별의 금속 함량은 관측하기 쉬운 원소인 철(Fe)과 수소(H)의 함량비로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이 비율을 태양과 비교하여 상용로그 값으로 표현하는데, 고래자리 타우의 대기 철 함량은 다음과 같다.
: dex[146]
이는 태양에 포함된 철 함량의 약 3분의 1 수준에 해당한다.[146] 과거의 측정값들은 -0.13에서 -0.60 dex 사이로, 다소 폭넓은 범위를 보였다.[147][148][34][35][94]
이처럼 고래자리 타우의 금속 함량이 낮다는 사실은 이 별이 태양(약 45.7억 년)보다 더 오래된 항성임을 시사한다. 고래자리 타우의 나이에 대한 추정치는 연구에 사용된 모델에 따라 44억 년에서 120억 년까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123][28]
한편, 항성 스펙트럼에서 관측되는 흡수선의 폭은 항성의 온도, 표면 압력, 중력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특히 압력 넓어짐 효과는 주변 입자들이 방출하는 복사에 영향을 미쳐 선폭을 변화시키는데, 이는 별의 표면 압력 및 표면 중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원리를 이용하여 측정한 고래자리 타우의 표면 중력 로그값(log ''g'')은 약 4.4로, 태양의 log ''g'' = 4.44와 매우 비슷하다.[147][34]
3. 5. 광도 변화
고래자리 타우의 광도는 태양의 55% 수준이다.[138][23]고래자리 타우의 채층(별의 빛을 내는 광구 바로 윗부분)은 현재 자기 활동이 거의 또는 전혀 없어 안정된 별임을 보여준다.[149][36][96] 9년에 걸쳐 온도, 쌀알조직, 채층을 연구했지만 규칙적인 활동량 변화는 관측되지 않았다.[144][31] H와 K 적외선 대역 근처의 칼슘 II 방출을 통해 11년 주기의 활동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그 강도는 태양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하다.[144][31][91]
이 때문에 현재 고래자리 타우가 마운더 극소기와 유사한 낮은 활동 상태에 있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마운더 극소기는 태양 표면의 흑점이 극도로 드물었던 시기로, 과거 유럽의 소빙기와 연관된 역사적 기간이다.[150][151][37][38][97][98] 고래자리 타우의 스펙트럼선은 매우 좁게 나타나는데, 이는 별의 자전 속도가 느리고 활동량(또는 난류)이 적음을 시사한다.[152][39] 또한 별이 흔들리는 별진동의 진폭은 태양의 절반 정도이며, 모드 수명도 더 짧다.[140][27]
4. 움직임
고래자리 타우의 고유 운동은 1년에 2초각 미만이지만, 이는 밤하늘의 별들 중에서는 높은 값에 속한다.[134][17][82] 이렇게 고유 운동이 큰 이유는 고래자리 타우가 태양계에서 비교적 가깝기 때문이다.[135][18] 가까운 별일수록 멀리 있는 배경 별들에 비해 천구 상에서 더 빠르게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며, 이는 시차 연구에도 유리하다. 고래자리 타우가 천구에서 1도 이상 움직이려면 약 2,000년이 걸린다.[17] 시차 측정 결과, 태양으로부터 고래자리 타우까지의 거리는 약 11.9ly (약 3.65pc)이다.[19] 이 거리는 고래자리 타우를 가까운 별 목록에 포함시키며,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A 다음으로 태양에서 두 번째로 가까운 G형 주계열성으로 만든다.[136][19][83]
별의 시선 속도는 별이 관측자(태양계)를 향해 다가오거나 멀어지는 속도를 의미하며, 별의 스펙트럼에서 나타나는 도플러 효과를 통해 측정할 수 있다. 별이 다가올 때는 스펙트럼의 흡수선이 파란색 쪽(짧은 파장)으로 이동하고(청색 편이), 멀어질 때는 붉은색 쪽(긴 파장)으로 이동한다(적색 편이). 고래자리 타우의 시선 속도는 약 -17 km/s로 측정되었으며, 음수 값은 이 별이 태양계를 향해 다가오고 있음을 나타낸다.[137][20][84] 약 43,000년 후에는 태양에 가장 가까이 접근하여, 거리가 약 10.6ly (3.25pc)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측된다.[21]
고래자리 타우까지의 거리, 고유 운동, 시선 속도를 종합하면 태양에 대한 상대적인 공간 속도를 계산할 수 있는데, 이는 약 37 km/s이다.[134][22][117] 이 속도를 바탕으로 고래자리 타우의 우리 은하 내 궤도를 추정할 수 있다. 이 별은 은하 중심으로부터 평균 9.7kpc (약 32000ly) 거리를 두고 있으며, 궤도 이심률은 0.22로 약간 찌그러진 타원 궤도를 그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138][23]
5. 행성계
고래자리 타우는 태양과 여러 면에서 비슷하여[154] 외계 행성, 특히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행성을 찾으려는 과학자들에게 오랫동안 큰 관심을 받아왔다.[153] 이 별은 질량, 밝기 변화가 적은 안정성 등에서 태양과 유사하여 '유사 태양(Solar analog)'으로 분류된다.[154][118]
1988년부터 시선 속도 측정법 등을 이용한 초기 행성 탐사에서는 목성처럼 무거운 가스 행성이나 갈색 왜성이 별 가까이에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55][156][41][101][102] 허블 우주 망원경을 이용한 관측에서도 동반 천체는 발견되지 않았다.[159][45][104] 이러한 거대 행성의 부재는 오히려 지구와 같은 작은 암석 행성이 안정적인 궤도를 유지하며 존재할 가능성을 높이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되기도 했다.[155][160][41][105]
2012년 12월, 마침내 고래자리 타우 주변에서 지구 질량의 2~6배 정도 되는 행성 후보 5개(b, c, d, e, f)가 존재한다는 증거가 제시되었다.[168][76][77] 이 중 e 행성과 f 행성은 잠재적으로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는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 또는 그 경계에 위치할 가능성이 제기되어 주목받았다.[125][126][169][110] 2017년의 후속 연구에서는 e와 f의 존재를 확인하고, 새로운 행성 후보인 g와 h를 추가로 발견했지만, 초기에 제안되었던 b, c, d의 존재에 대해서는 논란이 생겼다.[72] 이후에도 추가 행성 후보(i 등)의 존재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49][111], 고래자리 타우 행성계의 구성원에 대한 연구는 계속 진행 중이다.
또한 고래자리 타우 주변에는 태양계의 카이퍼 대보다 10배 이상 많은 물질을 포함한 거대한 먼지 원반(파편 원반)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72][59] 이 원반은 암석 행성 형성의 재료가 되었을 수 있음을 시사하지만, 동시에 원반 내 소행성이나 혜성과의 잦은 충돌이 행성의 거주 가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172][173][60] 만약 행성이 발견된다면, 향후 연구는 충분한 해상도의 망원경을 통해 이 행성들에 물과 대기가 있는지, 나아가 생명체의 존재를 나타내는 생물학적 지표가 있는지를 밝히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다.[162]
5. 1. 확인된 행성
2012년 12월 19일, 고래자리 타우 주변에서 행성 5개(b, c, d, e, f)가 존재한다는 증거가 처음 제시되었다.[168][48] 이 행성들의 최소 질량은 지구 질량(M⊕)의 2~6배 사이였고, 공전 주기는 14일에서 640일까지 다양했다. 특히 e 행성은 어머니 별에서 태양-지구 간 거리의 약 절반(0.552 AU) 정도 떨어진 곳을 돌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고래자리 타우는 태양 밝기의 52% 정도이므로, e 행성이 단위 면적당 받는 에너지는 지구가 받는 양의 1.71배로 계산된다. 이는 금성이 받는 에너지(지구의 1.91배)보다는 약간 적은 수준이다. 일부 연구에서는 e 행성을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 안에 포함시키기도 했다.[125][126] 행성 거주가능성 연구소(Planetary Habitability Laboratory)는 더 바깥쪽을 도는 f 행성 역시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의 바깥쪽 경계에 걸쳐 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f 행성이 받는 에너지는 지구의 약 28.5% 수준이다 (참고로 화성은 지구의 43%를 받는다).[169]
2017년 8월 발표된 후속 연구에서는 기존 후보 행성 중 e와 f의 존재를 확인했지만, b, c, d는 명확히 감지되지 않았다.[72] 대신 공전 주기가 각각 20일과 49일인 새로운 행성 후보 g와 h를 발견했다. 이 연구에 사용된 시선 속도 측정 정밀도는 30 cm/s 수준이었다.[72] 이 연구를 바탕으로 g, h, e, f로 구성된 4행성 모델이 제시되었으며, 이는 역학적으로 안정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2019년에는 고래자리 타우의 고유 운동 관측을 통해 3~20 AU 거리에서 목성 질량의 최대 5배에 달하는 거대 행성(i)이 존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었다.[49] 2020년에는 기존 행성들의 궤도 안정성 분석과 통계적 패턴 비교를 통해, 2012년에 제기되었던 행성 후보 b, c, d의 존재 가능성을 다시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51] 또한 이 연구는 행성 e와 f 사이, 즉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 내에 아직 발견되지 않은 행성(PxP-4)이 최소 하나 더 존재할 것으로 예측했다.
하지만 2021년에는 HARPS 분광기의 데이터를 재분석한 결과, 행성 f의 존재를 시사했던 600일 주기 신호가 기기의 시스템적 오류와 다른 미확인 신호(약 1000일 주기)의 조합일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어, f의 존재 여부는 다시 불확실해졌다.[75]
고래자리 타우의 자전축이 지구 관측 시선 방향과 거의 나란할 가능성이 있어([74]), 만약 행성들의 궤도면도 이와 유사하다면 실제 질량은 최소 질량보다 훨씬 커서 해왕성이나 토성, 목성과 비슷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f 행성의 궤도 경사각이 70도라면 질량은 지구의 4배 이상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별 주위의 파편 원반이 약 35±10도 기울어져 있다는 관측 결과[71]도 있어, 행성들의 궤도 역시 비슷하게 기울어져 있다면 질량 추정치가 달라질 수 있다. 만약 파편 원반과 f의 궤도 기울기가 같다면, f의 질량은 지구의 5.6~9.3배 사이가 되어 미니 해왕성일 가능성이 높아진다.[72] 궤도 경사각이 작을수록 행성의 실제 질량은 커지는데, 이는 행성계의 장기적인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74]
고래자리 타우의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은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는 범위로, 별로부터 약 0.55 ~ 1.16 AU 사이로 추정된다.[170]
=== 확인된 행성 및 주요 후보 ===
- '''e''': 2012년 처음 존재가 시사되었고 2017년 연구에서 확인된 행성이다.[48][72] 공전 주기는 약 163일, 별과의 거리는 약 0.54 AU(수성과 금성 궤도 사이)이며, 최소 질량은 지구의 약 3.93배이다.[72] 만약 지구와 유사한 대기를 가졌다면 표면 온도는 68°C 정도로 추정된다.[53] 받는 복사 에너지 양으로 볼 때,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보다는 금성과 유사한 환경일 가능성이 제기된다.[54]
- '''f''': 2012년 처음 시사되었고 2017년 연구에서 확인되었으나, 2021년 재분석으로 존재가 불확실해진 행성 후보다.[48][72][75] 공전 주기는 약 636일, 별과의 거리는 약 1.33 AU(화성 궤도 부근)이며, 최소 질량은 지구의 약 3.93배로 추정되었다.[72] 넓은 의미의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에 위치할 가능성 때문에 주목받았으나,[55] 설령 존재하더라도 해당 영역에 머문 기간이 비교적 짧아(10억 년 미만 추정) 생명체의 생물학적 지표가 존재할 가능성은 낮다는 연구도 있다.[56][57][58]
=== 행성 목록 ===
아래 표는 2017년 연구[72] 및 기타 연구[48][49][51]를 바탕으로 정리한 고래자리 타우 행성계의 주요 구성원 및 후보 목록이다. 질량은 최소 질량 기준이다.
행성 (항성에서 가까운 순서) | 상태 | 질량 (M⊕) | 공전궤도 반지름 (AU) | 공전 주기 (일) | 궤도이심률 | |
---|---|---|---|---|---|---|
b | 후보[51] | > 2.0 ± 0.8 | 0.105 ± 0.006 | 13.965 ± 0.024 | 0.16 ± 0.22 | |
g | 후보[72] | > 1.75 ± 0.3 | 0.133 ± 0.002 | 20.00 ± 0.02 | 0.06 ± 0.13 | |
c | 후보[51] | > 3.1 ± 1.4 | 0.195 ± 0.011 | 35.362 ± 0.106 | 0.03 ± 0.28 | |
h | 후보[72] | > 1.83 ± 0.5 | 0.243 ± 0.003 | 49.41 ± 0.09 | 0.23 ± 0.16 | |
d | 후보[51] | > 3.6 ± 1.7 | 0.374 ± 0.02 | 94.11 ± 0.7 | 0.08 ± 0.26 | |
e | 확인됨[72] | > 3.93 ± 0.7 | 0.538 ± 0.006 | 162.87 ± 0.8 | 0.18 ± 0.16 | |
f | 논란 중[72][75] | > 3.93 ± 1.2 | 1.334 ± 0.03 | 636.13 ± 30 | 0.16 ± 0.12 | |
i | 후보[49] | < 1600 (목성 질량의 ~5배) | 3 ~ 20 | 미확정 | 미확정 | |
파편 원반 | 확인됨[71] | ~35–50 AU | 35±10° (궤도 경사각) |
5. 2. 행성 존재 가능성 논란
고래자리 타우에 대한 연구 관심은 이 별이 태양과 유사하며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외계 행성을 가질 가능성 때문에 높아졌다. 홀과 록우드는 '태양형 항성', '유사 태양(Solar analog)', '쌍둥이 태양(Solar twin)'을 구분해야 할 개념으로 보았는데,[153][40] 고래자리 타우는 질량, 낮은 변광성, 상대적으로 낮은 중원소 함량(금속성)을 고려할 때 '유사 태양'에 해당한다.[154][118] 이러한 태양과의 유사성 때문에 수십 년간 과학적 탐구의 대상이 되어 왔다.고래자리 타우는 시선 속도 관측을 통한 행성 탐사의 주요 대상 중 하나였다. 1988년 관측에서는 항성 주위에서 주기적인 시선 속도 변화가 발견되지 않았는데, 이는 목성 질량 이상의 무거운 행성이 가까운 거리에 존재하지 않음을 시사했다.[155][156][41][101][102] 이후 더 정밀한 관측 기기로도 무거운 행성은 발견되지 않았지만,[156][42] 약 11 m/s 진폭의 5년 주기 시선 속도 변화가 감지되었다.[157][43] 이 결과들은 고래자리 타우 주변에 뜨거운 목성이 없으며, 공전 주기가 15년 이하인 목성 질량 이상의 행성도 없음을 확인시켜 주었다.[158][103] 또한 1999년 완료된 허블 우주 망원경의 광역 행성 카메라를 이용한 관측에서도 망원경의 분해능 한계 내에서 희미한 동반 천체는 발견되지 않았다.[159][45][104]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가스 행성이나 갈색 왜성의 부재를 의미할 뿐, 지구나 금성과 같은 작은 암석 행성의 존재 가능성은 남겨두었다.[159][104] 뜨거운 목성이 항성 가까이에 있었다면 생물권 내 지구형 행성의 궤도를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으므로, 거대 가스 행성의 부재는 오히려 지구와 유사한 행성이 존재할 가능성을 높이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되기도 했다.[155][160][41][46][105] 다만, 일반적으로 중원소 함량이 높은 별 주위에서 행성 발견 확률이 높은데,[161][47] 고래자리 타우는 태양보다 중원소 함량이 낮아 행성을 가질 확률이 상대적으로 낮을 것으로 여겨졌다.
2012년 12월 19일, 고래자리 타우 주변에서 5개의 행성 후보가 존재한다는 증거가 제시되었다.[48][76][77] 이 행성 후보들의 최소 질량은 지구 질량(MEarth)의 2배에서 6배 사이로 추정되었고, 공전 주기는 14일에서 640일 사이였다. 이 중 e 행성은 항성으로부터 약 0.552 AU 거리를 공전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고래자리 타우의 광도는 태양의 52% 정도이므로, 행성 e는 지구보다 약 1.71배 많은 복사 에너지를 받게 된다. 이는 금성이 받는 에너지(지구의 1.91배)보다는 적으며, 일부 연구에서는 행성 e를 항성의 생물권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보기도 했다.[8][9] 또한, 가장 바깥쪽을 도는 f 행성(지구 복사량의 28.5% 수신)도 생물권 내에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0][110]
그러나 2017년 8월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 결과는 이전의 발견을 일부 수정했다.[72] 이 연구는 행성 후보 e와 f의 존재는 확인했지만, 안쪽의 행성 후보 b, c, d에 해당하는 신호는 일관되게 감지하지 못했다. 특히 후보 c의 신호는 별의 자전 주기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고, 후보 d는 모든 데이터 세트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대신 연구진은 공전 주기 20일과 49일의 새로운 행성 후보 g와 h를 발견했다. 이 연구에서 감지된 신호는 최저 30 cm/s 수준의 시선 속도 변화에 해당했다.[72] 이 결과를 바탕으로 g, h, e, f로 구성된 4행성 모델이 제시되었으며, 이 시스템은 역학적으로 안정적일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행성 | 최소 질량 (MEarth) | 공전 주기 (일) | 장반경 (AU) | 이심률 |
---|---|---|---|---|
g | ≥1.75 (+0.25 / -0.40)[72] | 20.00 (+0.02 / -0.01)[72] | 0.133 (+0.001 / -0.002)[72] | 0.06 (+0.13 / -0.06)[72] |
h | ≥1.83 (+0.68 / -0.26)[72] | 49.41 (+0.08 / -0.10)[72] | 0.243 ± 0.003[72] | 0.23 (+0.16 / -0.15)[72] |
e | ≥3.93 (+0.83 / -0.64)[72] | 162.87 (+1.08 / -0.46)[72] | 0.538 ± 0.006[72] | 0.18 (+0.18 / -0.14)[72] |
f | ≥3.93 (+1.05 / -1.37)[72] | 636.13 (+11.70 / -47.69)[72] | 1.334 (+0.017 / -0.044)[72] | 0.16 (+0.07 / -0.16)[72] |
이후에도 추가적인 행성 존재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이어졌다. 2019년에는 천체측정학적 데이터 분석을 통해 고래자리 타우 주변 3~20 AU 거리에 최대 목성 질량 5배에 달하는 거대 행성(i 후보)이 존재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49][111] 2020년에는 기존 행성들의 궤도 안정성 분석과 다른 행성계와의 통계적 비교를 통해, 2012년에 제안되었던 행성 후보 b, c, d의 존재 가능성을 다시 뒷받침하는 결과가 나왔다.[51] 또한 이 연구는 행성 e와 f 사이, 즉 생물권 내에 아직 발견되지 않은 행성(PxP-4 후보)이 최소 하나 더 존재할 가능성을 예측했다.
행성들의 실제 질량은 아직 불확실하다. 고래자리 타우가 지구에서 볼 때 거의 극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74]), 만약 행성들의 궤도면이 시선 방향과 가깝다면(궤도 경사각이 작다면), 관측된 최소 질량보다 실제 질량은 훨씬 커서 해왕성이나 목성과 유사한 질량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행성 f의 궤도 경사각이 70도라면 질량은 지구의 4.18 (+1.12 / -1.46)배가 되지만, 만약 별 주위의 파편 원반 기울기(약 35±10도)와 비슷하다면[73] 질량은 지구의 5.56 (+1.48 / -1.94)배에서 9.30 (+2.48 / -3.24)배 사이가 되어 미니 해왕성일 가능성이 높아진다. 낮은 궤도 경사각은 더 큰 실제 질량을 의미하므로 행성 간 중력 상호작용이 강해져 장기적인 궤도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74]
또한, 고래자리 타우 주변에는 태양계의 카이퍼 대보다 약 10배 더 무거운 파편 원반(먼지 원반)이 존재한다.[73] 이는 암석 행성 형성의 증거일 수 있지만, 동시에 이 원반에서 비롯된 소행성이나 혜성과의 충돌이 행성 표면에서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태양계의 목성이 지구를 이러한 충돌로부터 어느 정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과 달리, 고래자리 타우계에는 이러한 역할을 할 거대 행성이 없을 수 있어, 행성의 거주 가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5. 3. 먼지 원반
2004년 영국의 천문학자 제인 그리브스(Jane Greaves)가 이끄는 연구팀은 고래자리 타우가 태양 주위보다 10배 이상 많은 양의 소행성 및 혜성과 유사한 물질들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172][59] 이는 별 주위에 있는 차가운 먼지 원반을 관측함으로써 밝혀졌는데, 이 원반은 작은 천체들끼리 충돌하면서 생성되고 유지되는 것으로 보인다.[172][59]이 먼지 원반의 존재는 고래자리 타우 주변 행성계에 복잡한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원반 내 물질이 많아 행성이 지구보다 약 10배 더 자주 큰 충돌 사건을 겪을 수 있기 때문이다.[172][59] 그리브스는 연구 당시 "어떤 행성이든 공룡을 멸종시킨 것으로 여겨지는 종류의 소행성으로부터 지속적인 폭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했다.[173][60] 이러한 잦은 충돌은 생물다양성이 발달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174][61] 그러나 만약 목성과 같이 거대한 가스 행성이 존재한다면, 이 행성이 혜성이나 소행성을 끌어당기거나 튕겨내어 안쪽 행성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172][175][59]
먼지 원반은 스펙트럼의 원적외선 영역에서 방출되는 복사열을 측정하여 발견되었다.[172][59] 이 원반은 별을 중심으로 대칭적인 구조를 이루며, 바깥쪽 경계는 평균적으로 별로부터 55 천문단위(AU) 거리에 형성되어 있다.[172][59] 별에 가까운 따뜻한 지역에서 적외선 방출이 적다는 점을 통해, 원반의 안쪽 경계는 약 10 천문단위(AU)임을 알 수 있다.[172][59] 이는 태양계의 카이퍼 대가 30 ~ 50 천문단위(AU) 영역에 펼쳐져 있는 것과 비교된다.[172][59] 원반 물질의 대부분은 35 ~ 50 천문단위(AU) 거리, 즉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보다 훨씬 바깥쪽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는 태양계의 카이퍼 대와 유사한 위치이다.[172][59] 이러한 먼지 원반이 오랫동안 유지되려면, 더 큰 천체들 사이의 지속적인 충돌을 통해 새로운 파편들이 계속 공급되어야 한다.[172][59]
고래자리 타우의 사례는 별이 나이를 먹어도 먼지 원반이 반드시 사라지는 것은 아니며, 이처럼 두꺼운 먼지 원반이 태양과 비슷한 별들 주위에 흔하게 존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176][62] 다만, 고래자리 타우의 먼지 원반 밀도는 근처의 젊은 별인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주변 원반의 약 1/20 수준이다.[172][59] 태양 주위에 먼지 원반이 상대적으로 희박한 것이 오히려 특이한 경우일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일부 연구자들은 태양이 형성 초기에 다른 별 근처를 지나가면서 대부분의 혜성과 소행성을 잃어버렸을 가능성을 제기한다.[173][60] 거대한 먼지 원반을 가진 별들의 발견은 행성 형성에 대한 기존의 생각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으며, 충돌로 인해 먼지가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환경이 행성 형성에 더 유리할 수 있다는 관점을 제시했다.[176][62]
6. 외계 생명체 탐사 (SETI)
지금까지 고래자리 타우를 대상으로 한 가장 주목할 만한 외계 생명체 탐사 시도는 오즈마 계획이었다. 이 계획은 외계 지성체를 찾기 위한 연구(SETI)의 일환으로, 특정 별들에서 오는 인공적인 전파 신호를 탐지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천문학자 프랭크 드레이크가 주도했으며, 태양과 가깝고 물리적 특성이 유사한 고래자리 타우와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을 최초 관측 대상으로 삼았다. 그러나 약 200시간에 걸친 관측에도 불구하고 인공적인 신호는 발견되지 않았다.[163][65][107] 이후 이 항성계를 대상으로 한 전파 탐사에서도 성과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고래자리 타우에 대한 연구의 열기는 식지 않았다. 2002년, 천문학자 마가렛 턴불과 질 타터는 또 다른 SETI 프로젝트인 피닉스 계획의 일환으로 근접 생물 서식 가능 시스템 목록(HabCat)을 개발했다. 이 목록에는 17,000개 이상의 이론적인 생명체 거주 가능 항성계가 실려 있다.[164][66][108] 다음 해, 턴불은 이 목록을 태양으로부터 100 광년 이내에 있는 5,000개의 시스템 중에서 가장 유망한 30개 항성으로 더욱 정교하게 다듬었으며, 여기에는 고래자리 타우가 포함되었다. 이는 앨런 망원경 배열을 이용한 전파 탐사의 기초가 될 것이다.[165][67][109] 그녀는 (현재 취소된)[68] 지구형 행성 탐사기 망원경 시스템으로 탐사하기에 적합한 단 다섯 개의 별에 대한 최종 후보군으로 고래자리 타우를 선택하며 "만약 신이 우리 행성을 다른 별 주위에 놓는다면, 내가 살고 싶은 곳"이라고 언급했다.[166][69]
그러나 NASA의 지구형 행성 탐사기 미션은 미 의회가 예산을 삭감하여 무기한 연기되었으며[167], 현재는 유럽 우주국의 다윈 계획이 고래자리 타우를 탐사 대상으로 지목하고 있다.
고래자리 타우의 생물 서식 가능 지역은 지구 크기의 행성에서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는 위치로, 0.55AU–1.16AU의 반경을 가지며, 여기서 1 AU는 지구에서 태양까지의 평균 거리이다.[63] 고래자리 타우의 행성에 원시적인 생명체가 존재한다면, 지구의 산소가 생명체의 존재를 나타내는 것처럼, 분광학을 통한 대기 조성을 분석하여 생명체의 존재를 밝힐 수 있을 것이다.[162][64][106]
7. 문화 속 고래자리 타우
- 시드 마이어의 '문명: 비욘드 어스'에 포함된 엑소플래닛 맵팩에 고래자리 타우 d가 등장한다. 게임상 설정은 "바다와 군도로 이루어져 있고 다양한 종의 생명체가 있으며 자원 매장량이 풍부함"이다.[177]
참조
[1]
논문
The Perkins catalog of revised MK types for the cooler stars
[2]
논문
Radial Velocities for 889 Late-Type Stars
[3]
문서
[4]
논문
Asteroseismic modelling of the metal-poor star τ Ceti
2011-02
[5]
simbad
Tau Cet
2018-02-05
[6]
문서
[7]
간행물
Allen's Astrophysical Quantities
Springer
2001-04-20
[8]
뉴스
Tau Ceti's planets nearest around single, Sun-like star
https://www.bbc.co.u[...]
2012-12-19
[9]
뉴스
Tau Ceti May Have a Habitable Planet
http://www.astrobio.[...]
2012-12-19
[10]
웹사이트
Two Nearby Habitable Worlds?
http://phl.upr.edu/p[...]
University of Puerto Rico
2012-12-28
[11]
간행물
The Big Book of UFOs
https://books.google[...]
Dundurn
2010
[12]
논문
Al Achsasi Al Mouakket, on a catalogue of stars in the Calendarium of Mohammad Al Achsasi Al Mouakket
1895-06
[13]
서적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https://archive.org/[...]
Dover Publications Inc.
1963
[14]
문서
[15]
서적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2005
[16]
웹사이트
http://aeea.nmns.edu[...]
2006-07-10
[17]
웹사이트
Stellar Motions
http://www.astro.vir[...]
University of Virginia
2006
[18]
웹사이트
Meeting the neighbours: NStars and 2MASS
http://www-int.stsci[...]
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
2002-02-23
[19]
웹사이트
The One Hundred Nearest Star Systems
http://www.chara.gsu[...]
Research Consortium on Nearby Stars
2006-10-01
[20]
논문
Attaining Doppler Precision of 3 M s-1
1996
[21]
간행물
Close encounters of the stellar kind
2015-03
[22]
간행물
XHIP: An extended hipparcos compilation
[23]
논문
Astrobiologically interesting stars within 10 parsecs of the Sun
2006
[24]
웹사이트
Tau Ceti
http://stars.astro.i[...]
University of Illinois
[25]
웹사이트
00-06 hour section
http://ad.usno.navy.[...]
United States Naval Observatory
[26]
논문
Interferometry and asteroseismology: The radius of τ Ceti
2003
[27]
논문
Solar-like oscillations in the G8 V star τ Ceti
2009-01
[28]
논문
VLTI near-IR interferometric observations of Vega-Like Stars
2004
[29]
웹사이트
H-K Project: Overview of Chromospheric Activity
http://www.mtwilson.[...]
Mount Wilson Observatory
[30]
논문
Magnetic Field and Rotation in Lower Main-Sequence Stars: an Empirical Time-dependent Magnetic Bode's Relation?
1996
[31]
논문
The activity cycle of tau Ceti
1994
[32]
논문
Activity cycles in cool stars. 1: Observation and analysis methods and case studies of four well-observed examples
1995
[33]
논문
Age Metallicity Relation and Star Formation History of the Galactic Disk
1999
[34]
논문
A catalogue of Fe/H determinations
1991
[35]
논문
Metallicities and kinematics of G and K dwarfs
1997
[36]
논문
Wavelet Analysis of Stellar Chromospheric Activity Variations
1997
[37]
논문
The outer solar atmosphere during the Maunder Minimum: A stellar perspective
High Altitude Observatory
1995-07-18
[38]
논문
A Comparison of the Outer Atmosphere of the "Flat Activity" Star τ Ceti (G8 V) with the Sun (G2 V) and α Centauri A (G2 V)
2004
[39]
논문
The wings of the calcium infrared triplet lines in solar-type stars
1987-07
[40]
논문
The Chromospheric Activity and Variability of Cycling and Flat Activity Solar-Analog Stars
2004
[41]
논문
A Search for Substellar Companions to Solar-Type Stars
1988-08
[42]
encyclopedia
Tables of Stars monitored by spectroscopy, with NO planet found
http://exoplanet.eu/[...]
2007-09-28
[43]
논문
The planet search program at the ESO Coud´e Echelle spectrometer
2002
[44]
논문
A Search for Jupiter-Mass Companions to Nearby Stars
1995
[45]
논문
A Search for Faint Companions to Nearby Stars Using the Wide Field Planetary Camera 2
2000
[46]
웹사이트
Tau Ceti
http://www.solstatio[...]
Sol Company
2007-09-25
[47]
논문
The Stellar Metallicity – Planet Connection
ASP Conference Series
1997-03-17
[48]
논문
Signals embedded in the radial velocity noise
2013
[49]
논문
Stellar and substellar companions of nearby stars from Gaia DR2
2019
[50]
웹사이트
Naming of Exoplanets
https://www.iau.org/[...]
IAU
2020-08-12
[51]
논문
An Integrated Analysis with Predictions on the Architecture of the tau Ceti Planetary System, Including a Habitable Zone Planet
2020-10-27
[52]
웹사이트
Four Exoplanets Detected around Nearby Star Tau Ceti {{!}} Astronomy
http://www.sci-news.[...]
2020-10-07
[53]
서적
The Mystery of the Seven Spheres: How Homo sapiens will Conquer Space
Springer
2015
[54]
간행물
Protostars and Planets VI
University of Arizona Press
2014
[55]
웹사이트
Two Nearby Habitable Worlds?
http://phl.upr.edu/p[...]
Planetary Habitability Laboratory @ UPR Arecibo
2014-01-08
[56]
웹사이트
Nearby Alien Planets Not So Life-Friendly After All
https://www.space.co[...]
2018-02-05
[57]
웹사이트
Tau Ceti: The next Earth? Probably not
https://phys.org/new[...]
2024-11-10
[58]
논문
The Chemical Composition of τ Ceti and Possible Effects on Terrestrial Planets
2015-04
[59]
논문
The debris disc around tau Ceti: a massive analogue to the Kuiper Belt
2004
[60]
잡지
Life unlikely in asteroid-ridden star system
http://media.newscie[...]
2004-07-07
[61]
웹사이트
Cometary Life Limit
http://www.astrobio.[...]
NASA Astrobiology
2009-03-12
[62]
논문
Disks Around Stars and the Growth of Planetary Systems
2005-01
[63]
논문
The Solar Neighborhood XXIX: The Habitable Real Estate of Our Nearest Stellar Neighbors
2013-10
[64]
논문
Astronomical Searches for Earth-like Planets and Signs of Life
1998-09
[65]
웹사이트
The Search for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 A Short History
http://www.planetary[...]
The Planetary Society
2006-11-08
[66]
논문
Target Selection for SETI. I. A Catalog of Nearby Habitable Stellar Systems
2003-03
[67]
웹사이트
Stars and Habitable Planets
http://www.solstatio[...]
Sol Company
2007-09-21
[68]
웹사이트
NASA budget statement
http://www.planetary[...]
Planetary Society
2006-07-17
[69]
웹사이트
Astronomer Margaret Turnbull: A Short-List of Possible Life-Supporting Stars
http://www.aaas.org/[...]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006-02-18
[70]
Gaia DR3
[71]
논문
The debris disc of solar analogue τ Ceti: Herschel observations and dynamical simulations of the proposed multiplanet system
https://pure.uva.nl/[...]
2018-11-04
[72]
논문
Color Difference Makes a Difference: Four Planet Candidates around Tau Ceti
[73]
논문
ALMA Observations of the Debris Disk of Solar Analogue Tau Ceti
[74]
논문
Refining the Stellar Parameters of τ Ceti: a Pole-on Solar Analog
2023-09-01
[75]
논문
YARARA: Significant improvement in RV precision through post-processing of spectral time series
2021-09
[76]
웹사이트
Tau Ceti's planets nearest around single, Sun-like star
http://www.bbc.co.uk[...]
2012-12-19
[77]
웹사이트
Tau Ceti May Have a Habitable Planet
http://www.astrobio.[...]
2012-12-19
[78]
논문
Al Achsasi Al Mouakket, on a catalogue of stars in the Calendarium of Mohammad Al Achsasi Al Mouakket
1895-06
[79]
서적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https://penelope.uch[...]
Dover Publications Inc.
1963
[80]
서적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2005
[81]
웹사이트
天文教育資訊網
http://aeea.nmns.edu[...]
2006-07-10
[82]
웹사이트
Meeting the neighbours: NStars and 2MASS
http://www-int.stsci[...]
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
2002-02-23
[83]
웹사이트
The One Hundred Nearest Star Systems
http://www.chara.gsu[...]
Research Consortium on Nearby Stars
2006-10-01
[84]
논문
Attaining Doppler Precision of 3 M s-1
1996
[85]
웹사이트
Tau Ceti
http://stars.astro.i[...]
University of Illinois
[86]
웹사이트
00-06 hour section
http://ad.usno.navy.[...]
United States Naval Observatory
[87]
논문
Interferometry and asteroseismology: The radius of τ Ceti
2003
[88]
논문
VLTI near-IR interferometric observations of Vega-Like Stars
2004
[89]
웹사이트
H-K Project: Overview of Chromospheric Activity
http://www.mtwilson.[...]
Mount Wilson Observatory
[90]
논문
Magnetic Field and Rotation in Lower Main-Sequence Stars: an Empirical Time-dependent Magnetic Bode's Relation?
1996
[91]
논문
The activity cycle of tau Ceti
1994
[92]
논문
Activity cycles in cool stars. 1: Observation and analysis methods and case studies of four well-observed examples
1995
[93]
논문
Age Metallicity Relation and Star Formation History of the Galactic Disk
1999
[94]
논문
Metallicities and kinematics of G and K dwarfs
1997
[95]
논문
Improved Age Estimation for Solar-Type Dwarfs Using Activity-Rotation Diagnostics
2008-11
[96]
논문
Wavelet Analysis of Stellar Chromospheric Activity Variations
1997
[97]
논문
The outer solar atmosphere during the Maunder Minimum: A stellar perspective
High Altitude Observatory
1995-07-18
[98]
논문
A Comparison of the Outer Atmosphere of the "Flat Activity" Star τ Ceti (G8 V) with the Sun (G2 V) and α Centauri A (G2 V)
2004
[99]
웹사이트
Sun Fact Sheet
http://nssdc.gsfc.na[...]
NASA
[100]
논문
The Chromospheric Activity and Variability of Cycling and Flat Activity Solar-Analog Stars
2004
[101]
논문
A Search for Substellar Companions to Solar-Type Stars
1988-08
[102]
웹사이트
Tables of Stars monitored by spectroscopy, with NO planet found
http://exoplanet.eu/[...]
Extrasolar Planets Encyclopedia
[103]
논문
A Search for Jupiter-Mass Companions to Nearby Stars
1995
[104]
논문
A Search for Faint Companions to Nearby Stars Using the Wide Field Planetary Camera 2
http://www.iop.org/E[...]
2000
[105]
웹사이트
Tau Ceti
http://www.solstatio[...]
Sol Company
[106]
논문
Astronomical Searches for Earth-like Planets and Signs of Life
1998-09
[107]
웹사이트
The Search for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 A Short History
http://www.planetary[...]
The Planetary Society
2017-05-12
[108]
논문
Target Selection for SETI. I. A Catalog of Nearby Habitable Stellar Systems
2003-03
[109]
웹사이트
Stars and Habitable Planets
http://www.solstatio[...]
Sol Company
2017-05-12
[110]
문서
Two Nearby Habitable Worlds? ''Planetary Habitability Laboratory''
http://phl.upr.edu/p[...]
[111]
문서
The Extrasolar Planet Encyclopaedia - tau Cet i
http://exoplanet.eu/[...]
[112]
서적
The Mystery of the Seven Spheres: How Homo sapiens will Conquer Space
https://books.google[...]
Springer
[113]
문서
G型主系列星で最も近いのは[[ケンタウルス座アルファ星|ケンタウルス座α星]]Aだが、ケンタウルス座α星は3重連星系である。
[114]
문서
赤緯が-15度のため、北緯75度以上の地域では、観測する事はできない。また、[[光害]]の影響を受ける地域では、観測が困難になる。
[115]
문서
くじら座τ星から見ると、太陽は厳密には、赤経: {{RA|13|44|04}}、赤緯: {{DEC|15|56|14}}に位置して見える事になり、[[うしかい座タウ星|うしかい座τ星]]付近になる。太陽の絶対等級は4.8等なので、以下の式より、3.65[[パーセク]]離れていると、視等級は2.6等となる。
[116]
문서
くじら座の[[くじら座イータ星|η星]]が1つめのダチョウ、[[くじら座シータ星|θ星]]が2つめのダチョウ、τ星が3つめのダチョウ、[[くじら座ゼータ星|ζ星]]が4つめのダチョウとなっている。[[くじら座ウプシロン星|υ星]]が5つめのダチョウとなるはずだが、''Al Achsasi Al Mouakket'' では不明瞭な考えの下[[アンドロメダ座ガンマ星|アンドロメダ座γ星]]が5つめのダチョウとして記載されている。
[117]
문서
The space velocity components are: U = +18; V = +29, and W = +13. This yields a net space velocity of:
[118]
논문
Evidence of a Pronounced Activity Cycle in the Solar Twin 18 Scorpii
2000
[119]
문서
Planetary Habitability Laboratoryが「地球サイズ = 0.5 — 5 M⊕」と定義している
http://phl.upr.edu/p[...]
[120]
뉴스
Jupiter: Friend Or Foe?
http://www.scienceda[...]
Science daily
2017-08-19
[121]
웹인용
SIMBAD Query Result: HD 10700 -- High proper-motion Star
http://simbad3.u-str[...]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122]
서적
The Stars: Their Structure and Evolution
캐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123]
저널
http://adsabs.harvar[...]
[124]
저널
http://arxiv.org/abs[...]
[125]
문서
Tau Ceti's planets nearest around single, Sun-like star
http://www.bbc.co.uk[...]
BBC News
2012-12-19
[126]
문서
Tau Ceti May Have a Habitable Planet
http://www.astrobio.[...]
Astrobiology Magazine
2012-12-19
[127]
서적
中國星座神話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128]
웹인용
天文教育資訊網
http://aeea.nmns.edu[...]
2012-12-29
[129]
서적
Patrick Moore's Data Book of Astronomy
http://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12-30
[130]
웹인용
Cetus
http://pelagos.faste[...]
Omnipelagos.com
2009-06-24
[131]
저널
Al Achsasi Al Mouakket, on a catalogue of stars in the Calendarium of Mohammad Al Achsasi Al Mouakket
1895-06
[132]
서적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http://penelope.uchi[...]
Dover Publications Inc
2010-12-12
[133]
문서
[[고래자리 에타]]는 '아오울 알 나아마트' 또는 ''Prima Sthrutionum''(첫째 타조), [[고래자리 세타]]는 '타니흐 알 나아마트' 또는 ''Secunda Sthrutionum''(둘째 타조), 고래자리 타우는 '탈라트 알 나아마트' 또는 ''Tertia Sthrutionum''(셋째 타조), [[고래자리 제타]]는 '라바흐 알 나아마트' 또는 ''Quarta Sthrutionum''(넷째 타조)로 표기되어 있다. [[고래자리 웁실론]]은 '카미스 알 나아마트' 또는 ''Quinta Sthrutionum''(다섯째 타조)가 되어야 하나 알 악사시 알 무와키트는 충분한 고려 없이 [[안드로메다자리 감마]]에 ‘다섯째 타조’ 명칭을 붙였다.
[134]
웹인용
http://www.astro.vir[...]
2007-09-27
[135]
웹인용
http://www-int.stsci[...]
[136]
웹인용
http://www.chara.gsu[...]
2006-12-11
[137]
저널
http://adsabs.harvar[...]
2006-12-11
[138]
저널
[139]
저널
http://www.aanda.org[...]
2007-09-24
[140]
저널
[141]
저널
VLTI near-IR interferometric observations of Vega-Like Stars
2004
[142]
웹인용
H-K Project: Overview of Chromospheric Activity
http://www.mtwilson.[...]
Mount Wilson Observatory
2006-11-15
[143]
저널
Magnetic Field and Rotation in Lower Main-Sequence Stars: an Empirical Time-dependent Magnetic Bode's Relation?
http://adsabs.harvar[...]
2007-08-14
[144]
저널
The activity cycle of tau Ceti
http://adsabs.harvar[...]
1994
[145]
저널
Activity cycles in cool stars. 1: Observation and analysis methods and case studies of four well-observed examples
http://adsabs.harvar[...]
1995
[146]
문서
'dex'는 10의 제곱수를 나타내는 단위로 물리학이나 천문학에서 주로 사용됨. 예를 들어 2 dex는 10의 제곱 즉 100을 나타내고, -0.50은 10의 0.5승 분의 1을 의미함
[147]
저널
A catalogue of Fe/H determinations - 1991 edition
http://adsabs.harvar[...]
2007-08-14
[148]
저널
Metallicities and kinematics of G and K dwarfs
http://adsabs.harvar[...]
2007-08-14
[149]
저널
Wavelet Analysis of Stellar Chromospheric Activity Variations
1997
[150]
웹인용
The outer solar atmosphere during the Maunder Minimum: A stellar perspective
http://adsabs.harvar[...]
High Altitude Observatory
2007-08-14
[151]
저널
A Comparison of the Outer Atmosphere of the "Flat Activity" Star τ Ceti (G8 V) with the Sun (G2 V) and α Centauri A (G2 V)
2004
[152]
저널
The wings of the calcium infrared triplet lines in solar-type stars
http://adsabs.harvar[...]
2007-09-26
[153]
저널
The Chromospheric Activity and Variability of Cycling and Flat Activity Solar-Analog Stars
2004
[154]
저널
Evidence of a Pronounced Activity Cycle in the Solar Twin 18 Scorpii
2000
[155]
저널
A Search for Substellar Companions to Solar-Type Stars
1988-08
[156]
웹인용
Tables of Stars monitored by spectroscopy, with NO planet found
http://exoplanet.eu/[...]
Extrasolar Planets Encyclopedia
2007-09-28
[157]
저널
The planet search program at the ESO Coud´e Echelle spectrometer
http://adsabs.harvar[...]
2008-06-15
[158]
저널
A Search for Jupiter-Mass Companions to Nearby Stars
http://adsabs.harvar[...]
2008-06-15
[159]
저널
A Search for Faint Companions to Nearby Stars Using the Wide Field Planetary Camera 2
http://www.iop.org/E[...]
2007-08-14
[160]
웹인용
Tau Ceti
http://www.solstatio[...]
Sol Company
2007-09-25
[161]
웹인용
The Stellar Metallicity - Planet Connection
http://adsabs.harvar[...]
ASP Conference Series
2006-11-08
[162]
저널
Astronomical Searches for Earth-like Planets and Signs of Life
1998-09
[163]
웹인용
The Search for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 A Short History
http://www.planetary[...]
The Planetary Society
2006-11-08
[164]
저널
Target Selection for SETI. I. A Catalog of Nearby Habitable Stellar Systems
http://adsabs.harvar[...]
2007-09-21
[165]
웹인용
Stars and Habitable Planets
http://www.solstatio[...]
Sol Company
2007-09-21
[166]
웹인용
Astronomer Margaret Turnbull: A Short-List of Possible Life-Supporting Stars
http://www.aaas.org/[...]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006-02-18
[167]
웹인용
NASA budget statement
http://www.planetary[...]
Planetary Society
2006-07-17
[168]
저널
Signals embedded in the radial velocity noise: Periodic variations in the Tau Ceti velocities
http://star-www.hert[...]
[169]
웹인용
Two Nearby Habitable Worlds?
http://phl.upr.edu/p[...]
University of Puerto Rico
2013-03-22
[170]
인용
The Solar Neighborhood XXIX: The Habitable Real Estate of Our Nearest Stellar Neighbors
2013-10
[171]
저널
The debris disc of solar analogue τ Ceti: Herschel observations and dynamical simulations of the proposed multiplanet system
[172]
저널
The debris disc around tau Ceti: a massive analogue to the Kuiper Belt
http://adsabs.harvar[...]
2007-08-14
[173]
웹인용
Life unlikely in asteroid-ridden star system
http://media.newscie[...]
New Scientist
2004-07-07
[174]
웹인용
Cometary Life Limit
http://www.astrobio.[...]
NASA Astrobiology
2009-03-12
[175]
뉴스
http://www.scienceda[...]
[176]
저널
Disks Around Stars and the Growth of Planetary Systems
2005-01
[177]
웹인용
시드 마이어의 문명 '비욘드 어스', 디지털 예약 판매 시작
http://www.kbench.co[...]
2014-1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