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의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의경은 장사 경왕 유도련의 차남으로, 남조 송나라의 관료이자 문학가였다. 그는 남군공에 봉해지고 북벌에 종군했으며, 예주 자사, 형주 자사 등을 역임했다. 420년 임천왕에 봉해졌으며, 상서좌복야, 중서령 등을 거쳐 형주 자사로 8년간 통치했다. 문학을 좋아하여 육전, 하장유, 포조 등 문학적 소양을 갖춘 인재를 모았으며, 《세설신어》, 《집림》, 《유명록》 등 많은 저서를 남겼다. 444년 사망했으며, 시중과 사공으로 추증되고 강왕의 시호가 내려졌다. 자녀로는 유엽, 유연, 유경, 유영, 유천 등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44년 사망 -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는 412년부터 444년까지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를 지낸 기독교 신학자이자 교부로, 네스토리우스와의 논쟁에서 테오토코스 칭호를 옹호하며 에페소스 공의회를 주도했으나 이교도와 유대인 탄압, 히파티아 피살 사건 연루 의혹 등 논란이 있었다.
  • 444년 사망 - 저거무휘
    저거무휘는 흉노족 출신으로 북량 멸망 후 주천에서 자립하여 고창을 점령하고 남조 유송에 칭신하여 하서왕에 책봉되었으며 승평으로 개원하기도 한 북량의 장수이자 하서왕이다.
  • 송 (남조)의 장군 - 단도제
    유송 시대의 장군 단도제는 뛰어난 군사적 재능으로 북위의 침략을 막는 데 공헌했으나, 문제의 경계심으로 숙청당하여 유송의 국력 약화에 영향을 미쳤다.
  • 송 (남조)의 장군 - 남제 무제
    남제 무제 소색은 남제 2대 황제로, 재위 기간 동안 백성 생활 안정과 국가 재정 확보에 힘써 '영명의 치'라 불리는 번성기를 이끌었으나 만년에는 사치를 즐겼다는 평가를 받으며 후계자 쟁탈전의 원인이 되었다.
유의경

2. 경력

의희 11년(415년)에 숙부 유도규의 뒤를 이어 남군공(南郡公)에 봉해졌으나, 급사(給事)는 사양했다.[1] 의희 12년(416년) 유유의 북벌에 종군했다.[1] 귀환 후 보국장군(輔國將軍)·북청주 자사에 임명되었으나, 부임 전 도독(都督) 예주 제군사(諸軍事)·예주 자사로 전임되었다.[1] 이후 도독 회북(淮北) 제군사로 개명되었다.[1]

영초 원년(420년) 유유가 즉위하자 임천왕(臨川王)에 봉해지고, 건강으로 소환되어 시중이 되었다.[1] 원가 원년(424년) 산기상시(散騎常侍)·비서감(祕書監)을 거쳐 도지상서(度支尚書) 겸 단양윤(丹陽尹)이 되었다.[1]

원가 6년(429년) 4월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에 임명되었다.[1] 원가 8년(431년) 사직 후 중서령 겸 전장군이 되었다.[1] 원가 9년(432년) 6월 사지절(使持節)·도독 형옹익녕양(荊雍益寧梁) 남북진(南北秦) 7주 제군사·평서장군(平西將軍)·형주 자사로 부임하여 8년간 비교적 안정적으로 통치했다.[1] 원가 16년(439년) 4월 산기상시·도독 강주 예주지서양진희신채(豫州之西陽晉熙新蔡) 3군 제군사·위장군·강주 자사가 되었다.[1]

원가 17년(440년) 10월 도독 남연서연청기유(南兗徐兗青冀幽) 6주 제군사·남연주 자사로 전임되었다.[1] 원가 18년(441년) 5월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가 더해졌다.[1]

유의경은 문학을 좋아하여 태위 원숙을 위군 자문의참군(諮議參軍)으로 초빙하는 등 여러 문인들을 불러모았다.[1] 육전, 하장유, 포조 등이 그를 따랐다.[1] 병으로 인해 문제에게 건강 귀환을 청원하여 허락받고, 주 자사 직위는 해임되었으나 다른 관직은 유지한 채 조정으로 돌아왔다.[1]

원가 21년 정월 무오(444년 2월 26일) 건강에서 42세로 사망했다.[1] 시중·사공이 추증되고, 시호는 강왕(康王)이다.[1]

3. 저서


  • 世說新語|세설신어중국어 3권 - 당초에는 世說|세설중국어 8권이었다고 여겨진다(隋書|수서중국어 경적지).[1]
  • 集林|집림중국어 200권[1]
  • 幽明录|유명록중국어 - 오나라 손견의 아버지 손종 등을 그린 작품.[1]
  • 先驗記|선험기중국어[1]
  • 徐州先賢傳|서주선현전중국어 10권[1]
  • 典書|전서중국어[1]

4. 자녀

이름설명
유엽임천애왕(臨川哀王), 자(字)는 경서(景舒)이며, 통직랑(通直郞)을 지냈다. 유소에게 살해되었다.[1]
유연태자사인(太子舍人)을 지냈다.[1]
유경선성군태수(宣城郡太守)를 지냈다.[1]
유영전장군(前將軍)을 지냈다.[1]
유천남신채군태수(南新蔡郡太守)를 지냈다.[1]


5. 전기관련자료

宋書|송서중국어』 권51 열전 제11과 南史|남사중국어』 권13 열전 제3에 유의경 관련 전기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