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도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도제는 동진 말기부터 유송 시대에 걸쳐 활약한 인물로, 유유를 따라 군사 활동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다. 그는 후진 공격에서 선봉으로 활약하고, 유송 건국 후에는 영수현공에 봉해졌으며, 소제 폐위에도 관여했다. 송 문제 치세에서는 북벌을 지휘하며 위세를 떨쳤으나, 문제의 의심을 받아 처형당했다. 단도제의 계략은 병법서 36계의 기원으로 평가받으며, 그의 죽음은 북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동진 말기, 손은을 추격해 승리한 공로로 유유 휘하에서 건무장군(建武武軍)이 되었고, 경성(京城)을 평정하여 태위참군(太尉參軍)으로 승진했다. 진 안제 의희(義熙) 12년(416년) 유유를 따라 후진을 공격할 때 선봉에 서서 낙양으로 진군, 포로를 모두 석방하여 중원 사람들의 감복과 귀의를 받았다. 장안 평정 후 낭야내사(琅邪內史)가 되었다. 유송 건국 후 호군장군(護軍將軍)으로 옮겨 영수현공(永修縣公)에 봉해졌다. 송 무제 임종 시 서선지 등에게 고명(顧命)을 내릴 때 참여했고, 소제 폐위 및 살해에도 관여했다.
단도제는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충성심을 가진 장수였지만, 그의 능력과 명성은 오히려 유송 황실의 의심과 질투를 불러일으켰다. 특히 문헌제와 그의 동생 유의강은 단도제의 힘을 두려워하여 그를 제거하려 했다.[4]
[1]
서적
Book of Song, vol.05
0436-04-09
2. 생애
송 문제 즉위 후 중용되었고, 원가(元嘉) 8년(431년) 북벌에 나섰으나 군량이 부족하여 회군했다. 사공(司空)에 오르고 심양(尋陽)을 지켰으며, 그 위명(威名)은 위나라 사람들이 두려워할 정도였다. 그러나 조정에서는 그를 의심하고 꺼려 피살당했다. 잡혔을 때 "너희들이 만리장성을 무너뜨리려느냐!(乃壞汝萬里長城)"라고 고함을 친 일화가 유명하다.[4]
2. 1. 동진 시대 (366년? ~ 420년)
동진 말기, 유유를 따라 군사에 참여하여 환현 토벌에 공을 세워 건무장군(建武武軍)이 되었다.[2] 경성(京城)을 평정하고 태위참군(太尉參軍)으로 승진했다. 진 안제 의희(義熙) 12년(416년) 유유를 따라 후진 공격에 선봉으로 참여, 낙양으로 진군하며 포로를 석방하여 중원 사람들의 귀의를 받았다. 장안 평정 후 낭야내사(琅邪內史)가 되었다.[3]
원흥 3년(404년), 환현 토벌에 유유를 따라 공을 세웠고, 의희 12년(416년) 유유의 북벌에 선봉으로 참전하여 후진을 멸망시키고 정로장군 및 낭야내사가 되었다.
416년, 유유가 후진에 대한 대규모 공격을 시작했을 때, 탄도지는 그의 선봉 지휘관이었으며, 허창과 낙양을 점령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417년 후진의 수도 장안이 함락된 후, 그는 유유의 황태자인 유의부를 보호하는 장군이 되었다.
2. 2. 유송 시대
동진 말기, 유유를 따라 군사에 참여하여 경성(京城)을 평정하고 태위참군(太尉參軍)이 되었다. 416년 유유를 따라 후진을 공격하면서 선봉에 서서 낙양으로 진군했는데, 포로로 잡은 사람을 모두 석방하여 중원 사람들의 귀의를 받았다. 장안(長安)이 평정되자 낭야내사(琅邪內史)가 되었다.[4] 유송 건국 후에는 호군장군(護軍將軍)으로 영수현공(永修縣公)에 봉해졌다.[4] 송 무제 유유가 임종하면서 서선지 등에게 고명을 내릴 때 참여했고, 소제를 폐하고 살해하는 일에도 관여했다.[4]
송 문제 즉위 후 중용되었고, 431년 북벌에 나섰으나 군량이 부족하여 회군했다.[4] 이후 사공(司空)에 오르고 심양(尋陽)을 지켰다. 그의 위명(威名)은 북위 사람들이 두려워할 정도였으나, 조정에서는 그를 의심하고 꺼려 피살당했다.[4] 잡혔을 때 "너희들이 만리장성을 무너뜨리려느냐!"라고 고함을 친 일화가 유명하다.[4]
426년에는 소제 폐위 및 살해에 가담한 죄를 물어 사회를 토벌하고 정남대장군, 개부의동삼사, 강주자사가 되었다. 강주자사 시절, 도연명에게 벼슬을 권했지만 거절당했다.
2. 2. 1. 유송 무제 (420년 ~ 422년)
유유가 진 공제로부터 왕위를 찬탈하여 동진을 멸망시키고 유송을 건국한 후, 단도제는 영수공으로 봉해졌다.[1] 영초 3년(422년), 유유는 서선지, 부량, 사휘와 함께 단도제에게 자신의 아들 유의부를 부탁하고 사망했다.[1] 유의부는 소황제로 즉위했다.[1]
2. 2. 2. 유송 소제 (422년 ~ 424년)
동진을 대신하여 송(宋)이 건국되자 단도제는 영수현공(永修県公), 남연주자사(南兗州刺史)가 되었다. 영초 3년(422년), 유유(劉裕)는 서선지, 부량, 사회와 함께 단도제에게 후사를 부탁하고 사망했다. 제2대 황제로서 소제가 즉위했지만, 단도제는 서선지 등과 함께 소제를 폐하고 문제(文帝)를 옹립했다.[1] 원가 원년(424년), 문제의 즉위와 함께 정북장군(征北將軍)이 되었다.[1]
2. 2. 3. 유송 문제 (424년 ~ 436년)
유유를 따라 군사에 참여하여 경성을 평정하고 태위참군이 된 단도제는, 416년 유유를 따라 후진을 공격하면서 선봉에 서서 낙양으로 진군하여 많은 사람들의 귀의를 받았다. 장안이 평정되자 낭야내사가 되었고, 송나라 건국 후 호군장군으로 영수현공에 봉해졌다. 송 무제 유유가 임종하면서 서선지 등에게 고명을 내릴 때 참여했고, 소제를 폐하고 살해하는 일에도 관여했다.[4]
424년, 문제 즉위와 함께 정북장군이 되었다. 426년에는 소제 폐립·살해의 죄를 물어 사회를 토벌하고 정남대장군, 개부의동삼사, 강주자사가 되었다. 단도제가 강주자사였을 때, 도연명의 재능을 아깝게 여겨 벼슬을 권했지만 거절당했다.
431년 1월, 단도제는 북벌을 실행하여 북위의 역성에 도달했지만, 병량 부족으로 철수했다. 이윽고 송군의 최고 관직인 사공이 되었다.
단도제는 스스로의 재능에 자만하여 문제와 자주 대립했다. 그의 위세는 천하에 떨쳤으며, 측근과 자제들은 모두 재능이 뛰어났다. 436년 3월, 문제가 병에 걸리자, 중신들의 참언과 나라를 빼앗길 것을 두려워한 문제에 의해 살해당하게 된다. 이 때 붙잡힌 단도제는 문제를 노려보며 눈앞에서 두건을 바닥에 내던지며, "자신을 죽이는 것은 만리장성을 무너뜨리는 것과 같다"고 외쳤다고 전해진다.[4]
2. 3. 죽음 (436년)
단도제는 자신의 재능에 자만하여 문제와 자주 대립했다. 그의 위세는 천하에 널리 알려졌고, 측근들은 모두 백전노장이었으며, 자제들은 모두 재능이 뛰어난 인물들 뿐이었다.[4] 원가(元嘉) 13년(436년) 3월, 문제가 병에 걸리자, 중신들의 참언과 나라를 빼앗길 것을 두려워한 문제에 의해 살해당했다. 이때 붙잡힌 단도제는 문제를 노려보며 눈앞에서 두건을 바닥에 내던지며, "자신을 죽이는 것은 만리장성을 무너뜨리는 것과 같다"고 외쳤다고 전해진다.
3. 가족 관계
이름 설명 단소 의양현후(宜陽縣侯) 단지 서창위후(西昌威侯) 단식 급사황문시랑(給事黃門侍郎) 단찬 사도종사중랑(司徒從事中郎) 단습 태자사인(太子舍人) 단승백 정북주부(征北主簿) 단준 비서랑(秘書郎) 단이 단옹 단연
4. 평가 및 영향
431년, 북위와의 전투에서 단도제는 보급로가 끊겨 퇴각하는 상황에 처했다. 이때 그는 모래를 곡식으로 위장하는 계책을 써서 북위군을 속이고 무사히 퇴각하는 데 성공했다. 이 일화는 중국 역사에 그의 명성을 떨치게 했다.
그러나 단도제의 능력과 그의 아들들과 부하들이 모두 유능했기 때문에, 결국 문헌제와 유의강의 의심을 받게 되었다. 435년, 문헌제가 위독해지자 유의강은 단도제를 건강으로 소환하여 체포하고, 반역죄를 씌워 그의 아들들과 함께 처형했다. 단도제는 체포될 때 격분하여 자신의 두건을 땅에 던지며, "너는 너의 만리장성을 파괴했다"라고 비통하게 말했다.[4]
북위 관료들은 단도제의 죽음을 듣고 축하했다. 450년, 북위가 유송을 침략했을 때, 문헌제는 만약 단도제가 살아있었다면 북위의 진격을 막았을 것이라고 슬퍼했다.
단도제는 삼십육계를 가지고 있었다고 전해지며, 그의 전략 중 "후퇴"가 마지막이자 최고의 전략이었다는 평가도 있다. 이는 화태 함락 후 단도제의 퇴각을 조롱하는 말이었지만, 그의 뛰어난 전략적 판단을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하다.
참조
[2]
서적
Song Shu, vol.45
[3]
서적
Song Shu, vol.47
[4]
서적
Song Shu, vol.41
[5]
서적
宋書』巻5
[6]
웹사이트
http://history.news.[...]
[7]
웹사이트
http://www.chinanew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