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제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제두는 대한민국의 권투 선수로, 1968년 프로 데뷔하여 1979년 은퇴할 때까지 통산 55전 50승(29KO) 3패 2무의 전적을 기록했다. 1971년 OPBF 동양 미들급 챔피언을 획득하여 21차 방어에 성공했으며, 1975년에는 WBA 세계 슈퍼웰터급 챔피언에 올라 한국인으로서 김기수, 홍수환에 이어 3번째 세계 챔피언이 되었다. 와지마 코이치와의 2차전에서 패배한 후 은퇴했으며, 중앙정보부 공작 의혹에 연루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이트미들급 권투 세계 챔피언 - 슈거 레이 레너드
    슈거 레이 레너드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라이트 웰터급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프로 복싱 선수로서 웰터급, 주니어 미들급, 미들급, 슈퍼 미들급, 라이트 헤비급 등 5개 체급에서 세계 챔피언을 석권하며 복싱계의 전설이 된 미국의 전직 프로 복싱 선수이다.
  • 라이트미들급 권투 세계 챔피언 - 플로이드 메이웨더 주니어
    플로이드 메이웨더 주니어는 5체급을 석권하고 50전 전승의 기록을 가진 미국의 전 프로 권투 선수이자 프로모터이다.
  • 고흥 류씨 - 유관순
    유관순은 3·1 운동 당시 서울과 천안에서 독립운동을 주도하고 아우내 장터 만세 운동을 이끌었으며, 옥중에서도 독립 만세를 외치다 순국하여 한국 독립운동의 상징으로 기억되지만, 삶과 업적에 대한 논란도 존재한다.
  • 고흥 류씨 - 유동수
    유동수는 연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공인회계사, 공직 및 당직을 거쳐 제20대, 21대, 22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인천 계양구 갑)으로 당선되어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정무위원회, 기획재정위원회 등에서 활동하며 활발한 의정활동을 펼치고 있는 대한민국 정치인이다.
  • 라이트미들급 권투 선수 - 앤디 올로건
    나이지리아 출신 앤디 올로건은 육군 복무 후 일본에서 모델 활동을 시작하여 K-1, DREAM 등 격투 무대와 프로 복싱 선수, 방송, 예능 프로그램까지 다방면으로 활동한 인물이다.
  • 라이트미들급 권투 선수 - 홀리 홈
    홀리 홈은 복싱 3개 체급 세계 챔피언과 UFC 여성 밴텀급 챔피언을 지낸 미국의 종합격투기 선수이자 전 프로 복싱 선수이다.
유제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유제두
본명유제두
출생일1948년 4월 25일
출생지서울
신장175cm
스타일오른손잡이
경력
총 경기 수55
승리50
KO 승29
패배3
무승부2
체급라이트미들급
미들급
기타 정보
출생지 (상세)전라남도고흥군

2. 생애

유제두는 고흥 류씨로, 전라남도 고흥군 출신이다. 1968년 10월 3일 프로 선수로 데뷔하여 1975년 6월 7일 세계 챔피언에 올랐으며, 1979년 7월 24일 은퇴하였다. 통산 전적은 55전 50승(29KO) 3패 2무이다.[1]

2. 1. 프로 경력

유제두는 1968년 10월 3일 프로 선수로 데뷔하였다.[1] 1971년 동양태평양복싱연맹(OPBF) 미들급 타이틀을 획득했고, 1975년 OPBF 미들급 타이틀 15차 방어에 성공한 후 주니어 미들급으로 체급을 낮추었다. 1975년 6월 7일 일본 후쿠오카에서 와지마 코이치에게 세계 복싱 협회(WBA) 및 The Ring 주니어 미들급 타이틀에 도전하여 7라운드 KO승을 거두며 대한민국 두 번째 주니어 미들급 세계 챔피언이 되었다.[1]

1차 방어에 성공한 후, 1976년 와지마 코이치와의 재대결에서 15라운드 KO패를 당하며 타이틀을 잃었다. 하지만 유제두는 1978년 링에서 은퇴할 때까지 OPBF 미들급 벨트를 유지했으며, 이후 타이틀을 반납했다. 그는 7년 동안 21번의 타이틀 방어에 성공하며 OPBF 최다 방어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통산 전적은 55전 50승(29KO) 3패 2무이다. 다음은 유제두의 프로 경력 상세 전적이다.

번호결과전적상대타입라운드, 시간날짜장소비고
5550–3–2강흥원판정121978년 12월 17일
5449–3–2호주KO10 (10)1978년 7월 6일
5349–2–2프란시스코 몬테마요르KO6 (10)1978년 4월 5일
5248–2–2알베르토 크루즈판정121978년 1월 24일
5147–2–2스즈키 도시아키판정121977년 10월 9일
5046–2–2임재근KO7 (10)1977년 8월 28일
4945–2–2사부로 사카이KO2 (12)1977년 4월 9일
4844–2–2도미 코탁테KO5 (10)1977년 2월 6일
4743–2–2와타나베 유이치로판정121976년 12월 12일
46무승부42–2–2알베르토 크루즈판정121976년 9월 26일
4542–2–1피터 난보쿠판정101976년 6월 19일
4441–2–1와지마 코이치KO15 (15)1976년 2월 17일
4341–1–1사부로 사카이KO8 (10)1976년 1월 17일
4240–1–1미사코 마사히로KO6 (15)1975년 11월 11일
4139–1–1오자키 노부요시TKO4 (12)1975년 10월 4일
4038–1–1와지마 코이치KO7 (15)1975년 6월 7일
3937–1–1오자키 노부요시KO4 (12)1975년 3월 30일
3836–1–1곤도 이사무KO2 (10)1974년 12월 14일
3735–1–1미야고시 유지판정121974년 11월 17일
3634–1–1오자키 노부요시KO8 (12)1974년 7월 28일
3533–1–1나카가와 히토시KO6 (12)1974년 6월 23일
3432–1–1나롱 피사누라찬판정121974년 3월 31일
3331–1–1김한식KO10 (10)1973년 8월 15일
3230–1–1카시우스 나이토판정121973년 7월 14일
3129–1–1오키타 켄KO3 (10)1973년 6월 16일
3028–1–1오키타 켄판정121973년 5월 12일
2927–1–1카시우스 나이토KO5 (12)1973년 4월 10일
2826–1–1호리하타 미치히로KO9 (10)1973년 3월 4일
2725–1–1사카에 마루야마KO2 (10)1973년 1월 21일
2624–1–1카시우스 나이토판정121972년 11월 12일
2523–1–1이근택KO3 (12)1972년 10월 1일
2422–1–1히로미치 히라이데TKO8 (12)1972년 9월 9일
2321–1–1터틀 오카베판정121972년 6월 25일
2220–1–1카나자와 히데오판정121972년 5월 7일
21무승부19–1–1카나자와 히데오판정121972년 3월 11일
2019–1사부로 사카이KO11 (12)1972년 1월 29일
1918–1타니노부 마사카즈TKO3 (12)1971년 12월 22일
1817–1터틀 오카베판정101971년 12월 4일
1716–1스티븐 스미스TKO6 (10)1971년 11월 17일
1615–1이근택판정121971년 9월 28일
1514–1카시우스 나이토KO6 (12)1971년 7월 24일
1413–1박조KO5 (10)1971년 5월 22일
1312–1이안산KO1 (10)1971년 4월 3일
1211–1히로미치 히라이데KO10 (10)1971년 2월 20일
1110–1호시노 테츠오KO3 (10)1970년 12월 19일
109–1이니노판정101970년 9월 27일
98–1김재천KO6 (10)1969년 11월 29일
87–1아르만도 보니키트판정101969년 9월 9일
76–1임병모TKO7 (10)1969년 8월 9일
66–0최성기판정81969년 7월 13일
55–0김태구판정81969년 5월 16일
44–0이진수판정61969년 4월 27일
33–0이관수판정41968년 11월 30일
22–0김병기판정41968년 10월 27일
11–0최호동KO3 (4)1968년 10월 3일


2. 2. 주요 경기

번호결과전적상대타입라운드, 시간날짜장소비고
5550–3–2강흥원판정121978년 12월 17일대한민국 서울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1]
5449–3–2호주KO10 (10)1978년 7월 6일대한민국 서울
5349–2–2프란시스코 몬테마요르KO6 (10)1978년 4월 5일대한민국 서울
5248–2–2알베르토 크루즈판정121978년 1월 24일대한민국 부산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1]
5147–2–2스즈키 도시아키판정121977년 10월 9일대한민국 서울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1]
5046–2–2임재근KO7 (10)1977년 8월 28일대한민국 서울
4945–2–2사부로 사카이KO2 (12)1977년 4월 9일대한민국 광주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1]
4844–2–2도미 코탁테KO5 (10)1977년 2월 6일대한민국 광주
4743–2–2와타나베 유이치로판정121976년 12월 12일대한민국 대구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1]
46무승부42–2–2알베르토 크루즈판정121976년 9월 26일대한민국 서울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1]
4542–2–1피터 난보쿠판정101976년 6월 19일대한민국 서울
4441–2–1와지마 코이치KO15 (15)1976년 2월 17일일본 도쿄WBA 및 The Ring 주니어미들급 타이틀 상실[1]
4341–1–1사부로 사카이KO8 (10)1976년 1월 17일대한민국 부산
4240–1–1미사코 마사히로KO6 (15)1975년 11월 11일일본 시즈오카현WBA 및 The Ring 주니어미들급 타이틀 방어[1]
4139–1–1오자키 노부요시TKO4 (12)1975년 10월 4일대한민국 부산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1]
4038–1–1와지마 코이치KO7 (15)1975년 6월 7일일본 기타큐슈WBA 및 The Ring 주니어미들급 타이틀 획득[1]
3937–1–1오자키 노부요시KO4 (12)1975년 3월 30일대한민국 부산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1]
3836–1–1곤도 이사무KO2 (10)1974년 12월 14일대한민국 서울
3735–1–1미야고시 유지판정121974년 11월 17일대한민국 부산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1]
3634–1–1오자키 노부요시KO8 (12)1974년 7월 28일대한민국 부산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1]
3533–1–1나카가와 히토시KO6 (12)1974년 6월 23일대한민국 부산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1]
3432–1–1나롱 피사누라찬판정121974년 3월 31일대한민국 부산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1]
3331–1–1김한식KO10 (10)1973년 8월 15일대한민국 대구
3230–1–1카시우스 나이토판정121973년 7월 14일대한민국 부산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1]
3129–1–1오키타 켄KO3 (10)1973년 6월 16일대한민국 부산
3028–1–1오키타 켄판정121973년 5월 12일대한민국 대구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1]
2927–1–1카시우스 나이토KO5 (12)1973년 4월 10일대한민국 서울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1]
2826–1–1호리하타 미치히로KO9 (10)1973년 3월 4일대한민국 부산
2725–1–1사카에 마루야마KO2 (10)1973년 1월 21일대한민국 부산
2624–1–1카시우스 나이토판정121972년 11월 12일대한민국 대구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1]
2523–1–1이근택KO3 (12)1972년 10월 1일대한민국 서울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1]
2422–1–1히로미치 히라이데TKO8 (12)1972년 9월 9일대한민국 대구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1]
2321–1–1터틀 오카베판정121972년 6월 25일대한민국 부산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1]
2220–1–1카나자와 히데오판정121972년 5월 7일대한민국 부산
21무승부19–1–1카나자와 히데오판정121972년 3월 11일대한민국 서울
2019–1사부로 사카이KO11 (12)1972년 1월 29일대한민국 부산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1]
1918–1타니노부 마사카즈TKO3 (12)1971년 12월 22일대한민국 서울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1]
1817–1터틀 오카베판정101971년 12월 4일대한민국 서울
1716–1스티븐 스미스TKO6 (10)1971년 11월 17일대한민국 서울
1615–1이근택판정121971년 9월 28일대한민국 서울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1]
1514–1카시우스 나이토KO6 (12)1971년 7월 24일대한민국 서울OPBF 미들급 타이틀 획득[1]
1413–1박조KO5 (10)1971년 5월 22일대한민국 서울대한민국 미들급 타이틀 방어[1]
1312–1이안산KO1 (10)1971년 4월 3일대한민국 서울대한민국 미들급 타이틀 획득[1]
1211–1히로미치 히라이데KO10 (10)1971년 2월 20일대한민국 서울
1110–1호시노 테츠오KO3 (10)1970년 12월 19일대한민국 서울
109–1이니노판정101970년 9월 27일대한민국 서울
98–1김재천KO6 (10)1969년 11월 29일대한민국 서울
87–1아르만도 보니키트판정101969년 9월 9일대한민국 광주
76–1임병모TKO7 (10)1969년 8월 9일대한민국 서울
66–0최성기판정81969년 7월 13일대한민국 인천
55–0김태구판정81969년 5월 16일대한민국 광주
44–0이진수판정61969년 4월 27일대한민국 서울
33–0이관수판정41968년 11월 30일대한민국 서울
22–0김병기판정41968년 10월 27일대한민국 서울
11–0최호동KO3 (4)1968년 10월 3일대한민국 서울


2. 3. 은퇴

1979년 7월 24일, 만 8년 동안 총 21차례 OPBF 타이틀을 방어한 뒤 은퇴했다.[1]

3. 중앙정보부 공작 의혹

와지마와의 2차전에서 승리했더라면 미들급 챔피언 카를로스 몬손과 대전할 예정이었다.[4] 와지마 2차전 경기 전에 유제두는 원인 불명의 탈력 증세에 시달렸다. 1981년 당시 관계자로부터 KCIA에 의뢰받아 유제두가 당일 먹은 딸기에 약물을 혼입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는 김대중과 친밀한 관계였던 유제두를 박정희 대통령의 충성자들이 공작한 것이었지만, 이후 압력이 가해져 조사위원회에서 관계자가 증언을 뒤집어 진상은 불명으로 남게 되었다.[5]

4. 획득 타이틀


  • WBA 세계 슈퍼웰터급 (1차 방어)[1]
  • 제19대 동양 태평양 복싱 연맹 미들급 왕좌 (21차 방어 후 반납)[1]

5. 기타

柳濟斗|유제두한국어고흥을 본관으로 하는 고흥군 출신이다. 1968년 10월 3일에 프로로 데뷔하여 1975년 6월 7일 세계 챔피언에 올랐으며, 1979년 7월 24일 은퇴하였다. 통산 전적은 55전 50승(29KO) 3패 2무이다.[4]

와지마 고이치와의 2차전에서 승리했다면 미들급 챔피언 카를로스 몬손과 대결할 예정이었다.[4] 그러나 경기 전 갑작스러운 원인 불명의 탈력 증세에 시달렸다. 1981년 당시 관계자로부터 KCIA의 의뢰로 유제두가 당일 먹은 딸기에 약물이 들어 있었다는 증언을 들었다. 김대중과의 친분을 문제 삼은 박정희 대통령 충성자들의 공작이었지만, 이후 압력으로 조사위원회에서 관계자가 증언을 번복하여 진상은 밝혀지지 않았다.[5]

김기수, 홍수환에 이어 한국인 세 번째 프로 복싱 세계 챔피언이 되면서 국민적 영웅으로 떠올랐고, 전기 영화 "눈물젖은 샌드백"(1975년, 일본 미공개)이 제작되기도 했다.[6] 이 영화에는 와지마 고이치와의 1차전 실제 영상이 사용되었는데, 5라운드 종료 후 반칙 펀치 장면은 와지마가 다운된 후 공이 울리는 것으로 편집되어 정당한 공격처럼 묘사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Yuh Jae-doo - Lineal Junior Middleweight Champion http://www.cyberboxi[...] The Cyber Boxing Zone Encyclopedia
[2] 웹사이트 [그때 그人] 다시 태어나도 글러브 끼겠다, 더 멋들어지게 https://www.chosun.c[...] 2013-07-16
[3] 웹사이트 고흥 공설운동장 명칭 ‘박지성 운동장’으로 http://m.kwangju.co.[...] 2011-04-05
[4] 뉴스 WBA 세계챔피언 유제두, 약물 중독설의 진실?...이제는 밝힌다 http://news.chosun.c[...] chosun.com 2007-06-01
[5] 뉴스 유제두 “76년 방어전 패배 중앙정보부 약물공작때문” http://www.hani.co.k[...] ハンギョレ 2006-09-29
[6] 웹사이트 韓国映画データベース http://www.kmdb.or.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