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육군 도야마 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군 도야마 학교는 1873년 6월 육군사관학교의 도야마 출장소로 개설되어, 1945년 9월 폐교된 일본 육군의 군사 교육 기관이다. 사격, 총검술, 검술 등 전투 기술과 체육, 군악을 교육했으며, 1912년 육군보병학교가 분리된 후에는 검술, 체조, 군악 교육을 담당했다. 학생은 갑종, 을종, 군악 생도로 나뉘어 훈련을 받았으며, 태평양 전쟁 패전 이후 폐교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쿄도의 학교 - 육군사관학교 (일본)
    육군사관학교 (일본)는 1868년 교토에 설립되어 프랑스식, 프로이센식 교육 제도를 거쳐 장교를 양성하다가 1945년 폐지되었으며, 현재는 일본 방위대학교가 그 역할을 수행한다.
  • 도쿄도의 학교 - 도꾜조선중고급학교
    도꾜조선중고급학교는 1946년 도쿄에 설립된 재일 조선인 중등 교육기관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원을 받아 민족 교육을 실시하며, 중급부와 고급 과정으로 나뉘고, 한국어 사용 장려 및 한국 문화 교육을 실시하며, 교표는 삼천리 금수강산과 삼천만을 상징하는 세 개의 펜으로 이루어져 있다.
  • 1873년 설립 - 하이네켄
    하이네켄은 헤라르트 아드리안 헤이네컨이 1864년에 설립한 네덜란드의 맥주 회사이며, 1873년 효모 개발을 통해 하면발효 방식으로 맥주를 생산하고,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펼치며, 2022년 러시아 철수 발표 이후에도 사업을 지속하여 논란이 있었다.
  • 1873년 설립 - 제일은행 (일본)
    일본 최초의 국립 은행인 제일은행은 일본 근대화에 기여하며 민간 자본 유치, 재벌 협력, 조선 진출을 통해 경제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여러 합병을 거쳐 현재 미즈호 은행으로 통합되어 미즈호 금융 그룹의 핵심 계열사가 되었다.
육군 도야마 학교 - [지명]에 관한 문서
육군 도야마 학교
일본군 군기 (1868-1945)
일본군 군기 (1868-1945)
개요
이름육군 도야마 학교
한자 표기陸軍戸山学校
로마자 표기Rikugun Toyama Gakkō
종류군사 학교
개교1873년 6월 1일
폐교1945년 9월 10일
국가일본 제국
위치도쿄도 신주쿠구 도야마

2. 연혁

3. 교육 과정

1873년 육군사관학교 도야마 출장소로 시작하여 이듬해 육군 도야마 학교로 개칭한 후, 사격, 총검술, 검술, 체조, 나팔 등을 가르쳤다.[1] 1887년 감군부에 소속되었고, 1888년 군악대를 예하에 두었다. 1912년 육군 보병 학교가 분리되면서 체조, 검술, 군악을 담당하게 되었고, 1939년부터는 사격술 교육과 연구도 맡았다.[1]

이 학교에서는 육군의 사격, 총검술, 단검술, 군도술 (양손 군도술·한손 군도술) 등 보병 전기를 제정하였다.[1]

3. 1. 초기 교육 내용

1873년 6월, 육군사관학교의 도야마 출장소로 설립되어 훈련 업무를 시작했다. 이듬해 1874년 2월, 도야마 학교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사격, 총검술, 검술 등 전투의 기본 기술과 체육, 군악 등을 가르쳤다.[1]

학생은 갑종과 을종으로 나뉘었다. 갑종은 중위, 소위, 부사관을 대상으로 체조, 검술, 총검술 훈련을 실시했고, 을종은 각 부대의 나팔수를 대상으로 하였다. 군악 생도도 있었다.[1]

초창기에는 프랑스 육군에서 교관을 초빙하여 펜싱과 프랑스식 총검술을 훈련했지만, 이후 일본식 군도술과 총검술로 개정되었다. 태평양 전쟁 이후, 총검술·단검술은 경기 무도인 총검도·단검도가 되었으며, 육상자위대에서도 훈련되고 있다. 이 외에도 군도 조작법도 연구되었지만, 거합도 유파인 도야마류가 되어 현재는 민간 단체에서 연습하고 있다.[1]

3. 2. 갑종/을종/군악 생도 구분

갑종 학생은 각 병과의 중위, 소위, 하사관을 대상으로 체조, 검술, 총검술 등의 훈련을 받았다. 을종 학생은 각 부대의 나팔수가 대상이며, 나팔 훈련을 받았다. 군악 생도는 군악부를 지망하는 자 중에서 선발하여 교육했다.[1]

3. 3. 1912년 이후 변화

1912년 9월 1일, 육군 보병 학교가 설치되면서 전술과, 사격과, 교도 대대가 분리되고, 도야마 학교는 체조과 (검술), 군악 생도대를 통괄하게 되었다.[1] 1939년부터는 사격술 교육 및 연구도 담당했다.[1]

갑종 학생은 각 병과중위, 소위, 하사관을 대상으로 체조, 검술, 총검술 등의 훈련을 받았고, 을종 학생은 각 부대의 나팔수를 대상으로 나팔 훈련을 받았다.[1] 군악 생도는 군악부를 지망하는 자 중에서 선발하여 교육했다.[1]

육군 도야마 학교에서는 육군의 사격, 총검술, 단검술, 군도술 (양손 군도술·한손 군도술) 등 보병 전기가 제정되었다.[1] 초기에는 프랑스 육군 교관을 초빙하여 펜싱과 프랑스식 총검술을 훈련했지만, 이후 일본식 군도술과 총검술로 개정되었다.[1] 태평양 전쟁 이후, 총검술·단검술은 경기 무도인 총검도·단검도가 되었으며, 육상자위대에서도 훈련되고 있다.[1] 이 외에도 군도 조작법도 연구되었지만, 거합도 유파인 도야마류가 되어 현재는 민간 단체에서 연습하고 있다.[1]

4. 군사 훈련의 발전과 계승

1873년 6월, 육군사관학교 도야마 출장소로 설립되어 훈련을 시작했고, 이듬해 2월 도야마 학교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사격, 총검술, 검술 등 전투 기본 기술과 체육, 군악 등을 가르쳤다.[1]

1912년 8월, 전술과, 사격과, 교도대대를 분리하여 육군 보병 학교를 설립하고, 도야마 학교는 체조(검술 포함)와 군악을 담당하게 되었다. 1939년부터는 사격술 교육과 연구도 맡았다.[1]

갑종 학생은 중위, 소위, 부사관 등으로 체조, 검술, 총검술 훈련을 받았고, 을종 학생은 각 부대의 나팔수가 대상이었다. 군악 생도도 있었다. 태평양 전쟁 패전 직후 폐교되었다.[1]

4. 1. 일본식 군사 훈련으로의 전환

1873년 육군사관학교의 도야마 출장소로 설립되어 훈련을 시작했고, 이듬해 2월 도야마 학교로 이름이 바뀌었다. 초기에는 프랑스 육군 교관을 초빙하여 펜싱과 프랑스식 총검술을 훈련했지만, 이후 일본식 군도술과 총검술로 개정했다. 이들은 태평양 전쟁 이후 총검도, 단검도가 되었으며, 육상자위대에서도 훈련되고 있다. 군도 조작법도 연구되었는데, 이는 거합도 유파인 도야마류가 되어 현재 민간 단체에서 연습하고 있다.[1]

4. 2. 현대 무도로의 계승

육군 도야마 학교에서는 사격, 총검술, 단검술, 군도술(양손 군도술·한손 군도술) 등 보병 전투 기술이 제정되었다. 초기에는 프랑스 육군 교관을 초빙하여 펜싱과 프랑스식 총검술을 훈련했지만, 이후 일본식 군도술과 총검술로 개정되었다. 태평양 전쟁 이후, 총검술·단검술은 경기 무도인 총검도·단검도로 이어졌고, 육상자위대에서도 훈련되고 있다.[1] 이 외에도 군도 조작법이 연구되었으며, 이는 거합도 유파인 도야마류로 계승되어 현재 민간 단체에서 연습하고 있다.

5. 기타

1873년(메이지 6년) 6월, 구 오와리번별저 터에 육군 병학료 도야마 출장소가 설치되어 상하 사관의 훈련을 시작했다. 이듬해인 1874년 (메이지 7년) 2월, 육군 도야마 학교로 개칭했다. 사격, 총검술, 체조, 공수 전법, 조련, 여러 근무, 나팔을 가르쳤다.

1887년 (메이지 20년) 10월, 감군부에 소속되었다. 1888년 (메이지 21년), 바바사키 문 밖의 제1군악대를 예하에 두고, 이 부대의 후신인 군악 기본대는 육군교도단에서 1891년 (메이지 24년)에 도야마 학교 내로 이전하여 훗날 육군 도야마 학교 군악대가 되었다.

1912년 (다이쇼 원년) 9월 1일, 전술과, 사격과, 교도 대대를 분리하여 육군 보병 학교를 설치하고, 도야마 학교는 체조과 (검술), 군악 생도대를 통괄했다. 1939년 (쇼와 14년)부터 사격술의 교육 연구를 담당했다.

병과중위·소위, 하사관을 대상으로 하는 갑종 학생에게는 체조, 검술, 총검술 등의 훈련을 했고, 을종 학생은 각 부대의 나팔수가 대상이며 나팔 훈련을 실시했다. 군악 생도는 군악부를 지망하는 자 중에서 선발하여 교육했다.

이 학교에서 육군의 사격, 총검술, 단검술, 군도술 (양손 군도술·한손 군도술) 등의 보병 전기가 제정되었다. 초창기에는 프랑스 육군에서 교관을 초빙하여 펜싱과 프랑스식 총검술을 훈련했지만, 이후 일본식 군도술과 총검술로 개정했다. 이들은 태평양 전쟁 후, 총검술·단검술은 경기 무도의 총검도·단검도가 되었으며, 육상자위대에서도 훈련되고 있다. 이 외에도 군도 조작법도 연구되었지만, 이것은 거합도 유파의 도야마류가 되어, 현재는 민간 단체에서 연습하고 있다.

일본 육상 경기 선수권 대회의 제1회부터 제3회 대회까지는 육군 도야마 학교 운동장에서 개최되었다.[1]

부지에는 국립국제의료연구센터가 있다.

6. 역대 학교장

취임일계급성명
1876년 6월 13일소장고마쓰노미야 아키히토 친왕
1880년 4월 29일중장타니 간죠
1883년 2월 1일소장호리에 요시스케
1885년 5월 21일소장이마이 카네토시
1886년 4월 1일대좌호리오 하루요시
1886년 5월 25일보병 대좌이바라키 코레아키
1890년 6월 13일보병 대좌오쿠보 하루노
1891년 6월 13일보병 대좌(겸임) 오쿠보 하루노
1891년 11월 18일보병 중좌(수행) 하라구치 겐사이
1891년 11월 26일보병 대좌하라구치 겐사이
1893년 6월 14일결원
1893년 8월 7일보병 중좌안도 사다미
1896년 9월 25일보병 대좌하라구치 겐사이
1897년 10월 11일보병 대좌야마구치 케이조
1898년 10월 1일보병 대좌요다 히로타로
1900년 10월 3일보병 대좌오타니 키쿠조
1902년 6월 21일보병 중좌와타나베 키쥬로
1903년 7월 2일소장오타니 키쿠조
1905년 5월 25일소장(겸임·사무 취급) 나카무라 사토루
1906년 6월 1일소장오타니 키쿠조
1907년 1월 28일소장야마다 타다사부로
1909년 11월 30일보병 대좌오니와 지로
1912년 9월 1일소장(겸임·사무 취급) 오니와 지로 (본무·육군 보병 학교장)
1912년 9월 25일보병 중좌하야시 지스케
1916년 4월 1일보병 대좌야마다 료노스케
1920년 2월 23일소장히시카리 타카시
1923년 8월 6일소장시라이시 미치노리
1924년 8월 20일소장토도리키 모리조
1926년 3월 2일소장아라이 카메타로
1927년 8월 10일소장야마모토 츠루이치
1928년 8월 10일소장카시이 코헤이
1930년 12월 22일소장시부야 이노히코
1934년 3월 5일소장후카자와 토모히코
1935년 8월 1일소장안도 토시요시
1936년 3월 23일소장미야케 토시오
1937년 3월 1일소장와시즈 킨페이
1938년 7월 15일중장(겸임) 아마카스 시게타로
1939년 3월 9일소장(겸임) 우시지마 미츠루
1939년 8월 1일소장다나카 히사카즈
1940년 9월 28일소장오자키 요시하루
1941년 7월 13일결원
1942년 3월 2일소장카야노미야 쓰네노리 왕
1943년 3월 1일소장우자와 나오노부
1944년 6월 26일중장(겸임) 시치다 이치로
1945년 4월 15일예비역 중장이노우에 마사키치


7. 사진

참조

[1] 서적 日本陸上競技選手権 100回記念 MEMORIAL BOOK 日本陸上競技連盟 2016
[2] 간행물 官報 1912-09-04
[3] 간행물 官報 1934-03-06
[4] 간행물 官報 1935-08-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