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융가스 도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융가스 도로는 1930년대 차코 전쟁 포로에 의해 건설된 볼리비아의 도로로, 라파스 시와 아마존 열대 우림 지역을 연결하는 주요 노선 중 하나였다. 험준한 지형으로 인해 가드레일 부재, 좁은 도로 폭, 잦은 강우와 안개 등으로 사고 위험이 높았으며, 1995년에는 미주 개발 은행에 의해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도로"로 칭해지기도 했다. 2006년 신규 도로가 건설되면서 기존 도로는 관광 자원화되었지만 여전히 위험한 구간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별 고속도로 - 아우토반
    아우토반은 1920년대에 구상되어 나치 시대에 본격적으로 건설된 독일의 고속도로로, 세계 최초의 본격적인 고속도로 네트워크이며 현재는 속도 제한 구간과 비제한 구간으로 운영된다.
  • 나라별 고속도로 - 중화민국의 일반 국도
    중화민국의 일반 국도는 1964년 최초의 고속도로 개통 이후 남북 및 동서 방향의 다양한 노선으로 발전해 왔으며, 유료가 일반적이지만 공공성 및 기능적 중요성으로 무료 구간도 존재한다.
융가스 도로
개요
융가스 도로의 모습
융가스 도로의 모습
다른 이름죽음의 길 (Death Road, Camino de la Muerte)
코로이코 도로 (Coroico Road)
위치볼리비아 융가스 지방
기점라파스
종점코로이코
총 길이약 64km
최소 폭약 3m
최대 고도4,650m
고도차3,500m
역사
건설 시기1930년대
건설 주체파라과이 전쟁 포로
이전 용도라파스와 융가스 지역 연결
현재 용도관광 명소, 자전거 타기 코스
특징
위험성좁은 도로 폭
가파른 절벽
잦은 안개와 비
별칭 이유높은 사고율로 인해 '죽음의 길'이라는 별칭 획득
도로 규칙내리막 차량 우선 통행 (절벽 쪽 차량)
관광산악 자전거 투어 인기
안전 장비 및 가이드 필수
기타 정보
새로운 도로더 안전한 새 도로 건설됨
사고 감소새 도로 개통 후 사고율 감소

2. 역사

융가스 도로는 1930년대 차코 전쟁 당시 포로로 잡힌 파라과이인들에 의해 건설되었다.[9] 이 도로는 오랫동안 북쪽의 아마존 열대 우림과 라파스 시를 연결하는 몇 안 되는 노선 중 하나였다.[9]

2006년까지 북융가스 도로는 코로이코에서 라파스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었다. 20년간의 현대화 작업을 통해 새로운 대체 노선이 건설되었으며, 현재는 3번 국도의 일부가 되었다. 현대화 작업에는 차선 확장,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교량 및 배수 시설 설치, 가드레일 설치, 그리고 추스퀴파타와 욜로사 사이의 새로운 구간 건설이 포함되었다. 2009년 볼리비아 정부는 인접한 산맥을 따라 새로운 도로를 건설했다.

3. 특징

융가스 도로는 북부 볼리비아 지역에서 아마존 우림으로 연결되는 유일한 도로이며, 볼리비아의 수도에서 북부의 다른 도시를 연결하는 몇 안되는 도로이다. 수도 라파스에서 출발한 도로는 해발 4,650미터의 라쿰버 고개(La Cumbre Pass)를 넘고 해발 1,200미터에 있는 꼬로이꼬 지역을 거쳐 볼리비아 서북부의 고원지대인 알티플래노(Altiplano)지역에 닿는다. 융가스 도로는 매우 경사가 높고 굴곡이 심하며, 볼리비아의 지방을 연결하는 거의 유일한 도로이기 때문에 교통량이 점증하고 있는 상황이다.

고도가 높은 산악지대이기 때문에 도로 해발 높이가 가장 낮은 부분의 고도가 600미터에 이르며, 도로 폭은 전구간에 걸쳐 3미터 미만이다. 대부분의 구간에 가드레일이 없기 때문에 극도로 위험하다. 상습적으로 나타나는 강우, 안개 등은 시계를 흐리며, 산에서 쓸려온 토사로 인해 거의 항상 질척거리며 토사와 돌이 도로로 언제든지 떨어질 위험이 있다.

북부 융가스 도로의 종점 부분. 도로는 아마존 우림으로 이어진다.


볼리비아의 차량 통행은 우측통행이 원칙이나, 융가스 도로에서는 좌측통행을 하고 있다. 이는 좌측 도로가 절벽쪽 도로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며, 절벽쪽 도로로 주행하는 운전자는 전방 시계를 필수적으로 확보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도로에서의 통행 규정은 구급차와 소방차와 같은 응급차량이나 군용차량을 포함하여 모든 차량의 추월행위를 절대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또한 굴곡이 있는 도로에서 산악 지대 차선으로 주행하는 차량은 반대편 차선(절벽쪽 차선)에서 차량이 오면 반드시 멈추어 반대편 차량이 통과한 후 주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편, 통행 규정은 차량 상부에 경광등을 달아 멀리서도 자신의 차량이 보일 수 있게 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1930년대의 차코 전쟁 중에 파라과이인 포로에 의해 개설된 이후, 1990년대까지 오랫동안 볼리비아 북부의 아마존 삼림 지대와 대도시 라파스를 잇는 몇 안 되는 도로 중 하나였다. 융가스의 농산물을 라파스로 운반하는 트럭이나 융가스에 있는 휴양지로 향하는 버스 등의 왕래가 격렬했다.

폭은 차량 1대 정도(장소에 따라서는 3m 정도)밖에 되지 않고, 가드레일이 없어 현재도 매우 위험한 상태이다. 게다가 이 지역은 비나 안개가 많은 운무림에 위치해 시야가 현저하게 좁아지는 일도 잦으며, 진흙 상태가 된 노면에 산비탈에서 떨어지는 낙석도 있다. 굽이길이 된 도로는 대부분 절벽에 인접해 있으며, 수직으로 800m나 깎아지른 곳도 있다. 이 때문에 사고로 인한 사망자 수가 많은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연평균 209건의 사고가 발생하여 96명이 사망하고 있다). 미주 개발 은행은 1995년에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도로"라고 칭했다.

1983년 7월 24일에는 버스가 이 도로에서 계곡 바닥으로 추락하여 100명 이상의 사망자를 내는 대형 사고가 있었다. 이것은 볼리비아의 교통 사고로는 최악의 사고이다.

법령에 의해, 오르막 방향(라파스로 향하는 방향)의 차는 내리막 방향(융가스로 향하는 방향)보다 우선되는 것으로 정해져 있다.

4. 사고

융가스 도로는 가파른 경사, 가드레일의 부재, 좁은 도로 폭(일부 구간은 3m)과 같은 위험한 조건과 잦은 교통사고로 악명이 높았다.[10] 비와 안개는 시야를 감소시키고, 진흙길과 돌멩이는 접지력을 저하시켜 기상 조건 또한 위험을 가중시켰다.[10] 1995년 미주 개발 은행은 이 도로를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도로"로 칭했다.[10]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


1983년 7월에는 버스 한 대가 융가스 도로에서 협곡으로 추락하여 100명 이상이 사망, 볼리비아 최악의 교통사고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11] 1990년대 중반까지 매년 200~300명의 운전자가 절벽에서 추락하여 사망했다.[12] 2011년에는 총 114건의 사고로 42명이 사망하여 볼리비아에서 두 번째로 사고가 많은 도로였다.[13]

5. 신도로 건설

1998년부터 기존 도로의 위험성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도로 건설이 시작되어 2006년에 완공되었다.[14] 새로운 도로는 국도 3호선으로 지정되었으며, 구 도로에서 북쪽으로 크게 우회하는 경로로 건설되었다.[14]

코로이코에서 바라본 공사 중인 국도 3호선 (2003년)
신도로는 2차선에 아스팔트 포장이 되어 있으며, 교량, 배수 시설, 가드레일 등을 갖추고 있어 안전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2006년 12월 기준으로 라파스에서 카라나비/카라나비영어(Caranavi)까지 약 160km 구간이 2차선으로 포장되었으며, 코로이코까지 이 경로를 이용한다.[14] 신도로 개통 이후 구 도로는 주로 관광객들이 산악 자전거, 오토바이 등을 타는 데 이용되고 있다.

6. 관광

1990년대부터 다운힐을 즐기는 산악 자전거 애호가들이 긴 내리막길과 절경을 즐기기 위해 융가스 도로를 찾고 있다.[18] 신도로 개통으로 통행량이 줄어든 구 도로는 관광 명소가 되었지만, 여전히 위험한 장소이다.[18] 2011년 5월 31일에는 자전거 투어에 참가한 일본인 여성이 추락 사고로 사망하기도 했다.[18]

관광객들이 내리막길 산악 자전거를 타고 있다


도로를 따라 있는 절벽


새로운 도로가 개통되기 전의 옛 융가스 도로

7. 주변 명소

라 센다 베르데(라 센다 베르데/La Senda Verdees)는 야생 동물 구조 시설을 갖춘 자연 동물 공원이다. 볼리비아 가톨릭 대학교 캄페시나 학부 카르멘 팜파교(Unidad Académica Campesina-Carmen Pampa)는 농촌 지역의 빈곤 해결을 목표로 하는 대학 시설이다.

참조

[1] 논문 The World's Most Dangerous Road (A Bolivian Detour) https://www.jstor.or[...] 2005
[2] 뉴스 The world's most dangerous road http://news.bbc.co.u[...] 2012-07-07
[3] 웹사이트 The 9 Most Dangerous Roads in the World https://www.architec[...] 2024-09-19
[4] 웹사이트 North Yungas Road - Bolivia's Most Treacherous Road https://www.worldatl[...] 2019-04-24
[5] 웹사이트 Se reducen los accidentes en las carreteras paceñas http://www.la-razon.[...] 2019-04-04
[6] 뉴스 Cycling the world's most dangerous road http://news.bbc.co.u[...] BBC News Online 2010-05-16
[7] 웹사이트 Death Road Tours https://www.boliviah[...] Bolivia Hop 2019-04-04
[8] 웹사이트 Death Road / Itinerary https://www.barracud[...] Barracuda Biking 2019-04-04
[9] 웹사이트 The world's most dangerous road https://www.bbc.com/[...] 2024-09-19
[10] 뉴스 La 'carretera de la muerte' http://internacional[...] 2012-07-07
[11] 웹사이트 Bolivia: The big drop https://www.telegrap[...] 2002-04-13
[12] 웹사이트 Ciclismo por la Carretera de la Muerte en Bolivia https://www.universa[...] 2020-11-13
[13] 뉴스 Se reducen los accidentes en las carreteras paceñas http://www.la-razon.[...] 2012-07-07
[14] 웹사이트 Memoria ABC 2007 http://www.abc.gob.b[...] Administradora Boliviana de Carreteras 2011-01-01
[15] 문서 El Organismo Operativo de Tránsito y la Patrulla Caminera, Policía Nacional
[16] 뉴스 La ‘carretera de la muerte’ http://www.elpais.co[...] 2006-12-28
[17] 뉴스 The world's most dangerous road http://news.bbc.co.u[...] 2006-11-11
[18] 뉴스 邦人女性、自転車ツアーで事故死=ボリビア http://www.jiji.com/[...] 2011-07-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