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응우옌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응우옌냑은 18세기 후반 베트남 떠이선 봉기의 지도자 중 한 명이다. 그는 퀴논 성에서 태어나 동생들과 함께 떠이선 삼 형제를 결성하여 응우옌 영주에 반란을 일으켰다. 1771년 반란을 시작하여 세력을 확장했고, 1776년 스스로를 떠이선 왕으로 칭했다. 이후 찐 영주와의 갈등, 동생 응우옌 후에와의 내전을 겪었으며, 1778년 떠이선 왕조를 건국했다. 말년에는 응우옌 아인의 공격으로 세력이 약화되었고, 1792년 응우옌 후에가 사망한 후, 1793년 사망했다. 그의 사후, 떠이선 왕조는 멸망하고 그의 아들들은 처형당하는 비극을 맞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떠이선 왕조의 장군 - 응우옌후에
    응우옌후에는 1753년 빈딘성에서 태어나 떠이선 반란을 이끌고 청나라의 침략을 격퇴하여 민족 영웅으로 추앙받았으며, 1788년 황제로 즉위하여 개혁 정치를 펼치다 1792년 뇌졸중으로 급사했다.
  • 18세기 베트남의 군주 - 레주이프엉
    후 레 왕조의 황제 레 주이프엉은 찐장의 협박으로 즉위했으나 음탕하고 방자하다는 이유로 폐위된 후 살해되었다.
  • 떠이선 왕조의 황제 - 응우옌꽝또안
    응우옌꽝또안은 떠이선 왕조의 마지막 황제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부이 닥 투엔의 섭정을 받았으나 권력 투쟁으로 정권이 불안정해졌고, 응우옌 왕조의 공격을 막지 못해 도주하다 체포되어 능지처참을 당했다.
  • 떠이선 왕조의 황제 - 응우옌후에
    응우옌후에는 1753년 빈딘성에서 태어나 떠이선 반란을 이끌고 청나라의 침략을 격퇴하여 민족 영웅으로 추앙받았으며, 1788년 황제로 즉위하여 개혁 정치를 펼치다 1792년 뇌졸중으로 급사했다.
응우옌냑
기본 정보
칭호대월 황제
응우옌냑
재위 기간1778년 - 1788년 (황제)
이전 칭호1776년 - 1778년 (떠이선 왕)
호냑 (胡岳)
성명응우옌냑 (阮岳), 응우옌반냑 (阮文岳)
시호태덕 (泰德)
연호태덕 (泰德)
왕조떠이선 왕조
출생1743년, 빈딘성, 당 trong, 대월
사망1793년, 퀴년, 대월
부친호피푹 (Hồ Phi Phúc) 또는 응우옌피푹 (Nguyễn Phi Phúc)
모친응우옌티동 (Nguyễn Thị Đồng)
배우자쩐티후에, 자독
자녀응우옌반바오, 응우옌탄, 응우옌흔, 응우옌둥, 응우옌반득, 응우옌반르엉, 딸 둘
통치
즉위1778년
퇴위1788년
이전레 찌에우 통 (떠이선 왕)
이후꽝쭝
떠이선 왕 (재위)
기간1788년 - 1793년
이전황제 칭호에서 변경
이후응우옌반바오

2. 초기 생애

응우옌냑은 퀴논 성(오늘날의 빈딘성) 떠이선 현에서 태어났다. 베트남 역사가 쩐쫑킴은 그를 용감하고 영리한 사람으로 묘사했다.[3] 그는 응우옌 르, 응우옌 후에 두 명의 남동생이 있었다. 그들의 재능은 무술 스승 쯔엉 반 히엔에게 높이 평가받았다.

떠이선 삼 형제는 빈랑을 거래하며 살았다. 전설에 따르면 냐크는 야만족에게서 마법의 검을 얻어 많은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았다. 훗날 냐크는 응우옌 영주의 세금 징수관이 되었다. 그는 징수한 모든 세금을 훔쳐 가난한 농부들에게 나눠주었다. 그는 동생들과 함께 도망쳐 무법자가 되었다. 히엔은 냐크에게 응우옌 영주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키도록 권했다. "예언에 이르기를, '서쪽에서 반란을 일으키면, 북쪽에서 성공할 것이다.'Tây khởi nghĩa, Bắc thu công|떠이 커이 응이어, 박 투 꽁vi 그대는 떠이선 현에서 태어났으니, 최선을 다해야 한다." 냐크는 그의 말에 동의했다.

3. 응우옌 영주에 대한 반란

1771년, 응우옌냑, 응우옌르, 응우옌후에 형제는 남부 베트남의 응우옌 영주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이들은 떠이선 현을 근거지로 삼고, 부패한 섭정 쯔엉 푹 로안을 몰아내고 전 응우옌 영주의 맏손자인 응우옌 푹 즈엉을 옹립하려 했다. 반군은 "공정하고 부패하지 않으며, 부자만 약탈하고 가난한 자를 돕는다"[2]는 정책으로 널리 알려졌으며, 가난한 사람들의 지지를 받았다. 산악 민족, 참족, 화인 등 남부 베트남의 소수 민족들도 반란에 합류했다.

반군은 빠르게 세력을 확장했고, 정부군은 이를 진압할 수 없었다. 응우옌 냑은 뀌년을 점령하여 새로운 근거지로 삼았다. 이후 떠이선 군은 꽝남으로 진격하여 응우옌 군을 격파했다.[3] 응우옌 영주는 주력 부대를 꽝남으로 보냈으나, 반군을 몰아내지 못했다.[4]

3. 1. 반란의 시작

당시 남부 베트남의 영주 응우옌 푹 투언은 어렸고, 섭정은 부패한 관리인 쯔엉 푹 로안이었다. 로안은 인기가 없어 사람들은 그를 진회에 비유했다. 로안이 전 영주의 유언을 조작하여 어린 투언 공자를 옹립했다는 소문이 돌았다. 1771년, 응우옌냑, 응우옌르, 응우옌후에가 응우옌 영주에 반란을 일으켰다. 그들은 떠이선 현을 근거지로 삼아 로안을 몰아내고 전 응우옌 영주의 맏손자인 응우옌 푹 즈엉을 옹립하려 했다. 반군은 "공정하고 부패하지 않으며, 부자만 약탈하고 가난한 자를 돕는다."[2]라는 정책으로 유명해졌다. 곧 그들은 가난한 사람들의 광범위한 지지를 받았다. 산악 민족, 참족, 화인을 포함한 남부 베트남의 소수 민족들도 반란에 참여했다.

반군은 빠르게 성장했고 정부군은 진압할 수 없었다. 어느 날 냑은 죄수 수송차에 앉아 부하들에게 그를 뀌년으로 데려가라고 명령했다. 총독 응우옌 칵 투옌 (阮克宣)은 매우 기뻐하며 그를 감옥에 가두었다. 밤에 냑은 감옥에서 탈출하여 성문을 열었다. 뀌년은 떠이선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고 새로운 기지로 사용되었다. 그 후 떠이선 군대는 꽝남으로 진격했고,[3] 응우옌 군대는 반군에게 패했다. 응우옌 영주는 주력을 꽝남으로 보냈지만 반군을 이 지방에서 몰아내는 데 실패했다.[4]

3. 2. 민중의 지지

응우옌 냑, 응우옌 르, 응우옌 후에는 1771년 응우옌 영주에 대항하는 반란을 일으켰다. 이들은 떠이선 현을 근거지로 삼아, 부패한 관리 쯔엉 푹 로안을 몰아내고 전 응우옌 영주의 맏손자인 응우옌 푹 즈엉을 옹립하려 했다. 반군은 "공정하고 부패하지 않으며, 부자만 약탈하고 가난한 자를 돕는다."[2]라는 정책으로 유명해졌고, 곧 가난한 사람들의 광범위한 지지를 받았다. 산악 민족, 참족, 화인을 포함한 남부 베트남의 소수 민족들도 반란에 참여했다.

3. 3. 뀌년 점령

당시 남부 베트남의 영주 응우옌 푹 투언은 어렸고, 섭정은 부패한 관리인 쯔엉 푹 로안이었다. 로안은 인기가 없어 사람들은 그를 진회에 비유했다. 로안이 전 영주의 유언을 조작하여 어린 투언 공자를 옹립했다는 소문이 돌았다. 1771년, 응우옌 냑, 응우옌 르, 응우옌 후에가 응우옌 영주에 반란을 일으켰다. 그들은 떠이선 현을 근거지로 삼아 로안을 몰아내고 전 영주의 맏손자인 응우옌 푹 즈엉을 옹립하려 했다. 반군은 "공정하고 부패하지 않으며, 부자만 약탈하고 가난한 자를 돕는다."[2]라는 정책으로 유명해졌다. 곧 그들은 가난한 사람들의 광범위한 지지를 받았다. 산악 민족, 참족, 화인을 포함한 남부 베트남의 소수 민족들도 반란에 참여했다.

반군은 빠르게 성장했고 정부군은 진압할 수 없었다. 어느 날 냑은 죄수 수송차에 앉아 부하들에게 그를 뀌년으로 데려가라고 명령했다. 총독 응우옌 칵 투옌은 매우 기뻐하며 그를 감옥에 가두었다. 밤에 냑은 감옥에서 탈출하여 성문을 열었다. 뀌년은 떠이선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고 새로운 기지로 사용되었다. 그 후 떠이선 군대는 꽝남으로 진격했고,[3] 응우옌 군대는 반군에게 패했다. 응우옌 영주는 주력을 꽝남으로 보냈지만 반군을 이 지방에서 몰아내는 데 실패했다.[4]

4. 찐 영주와의 갈등

찐 삼은 호앙 응우 푸옥을 통킹에 보내 응우옌 영주를 공격하게 했다.[5] 찐 군은 저항 없이 남쪽으로 진군하여 푸쑤언을 점령했다.[6] 응우옌 푹 뚜언은 꽝남으로 도망쳤고, 응우옌 푹 즈엉을 황태자로 지명했다. 얼마 후, 떠이선 군대가 꽝남을 점령했고, 뚜언은 자딘으로 도망쳤다. 꽝응아이 성에서 빈투언 성까지 떠이선 반군이 점령했다.[3]

찐 군대와 떠이선 군대는 껌사(현재 호아방 현)에서 충돌했다. 떠프 딘이 이끄는 떠이선 군은 찐 기병대에 기습을 받아 패배했다. 응우옌 냑과 리 타이는 벤반으로 후퇴했다. 냑은 황태자 즈엉과 함께 꾸이년으로 갔다. 한편, 똥 푸옥 히엡 휘하의 응우옌 군은 빈투언 성, 디엔칸, 빈캉(현 닌호아)을 재점령하고 푸옌을 탈환했다. 떠이선 군은 응우옌, 찐 양쪽과 전쟁을 벌이게 되었다.[4] 냑은 찐에 평화를 구하는 사절을 보냈고, 찐 영주에게 충성을 맹세하여 ''띠엔-퐁-뜨엉-꽌''과 ''떠이-선 히에우-쯔엉'' 지위를 받았다.[3]

찐과 평화 협정을 맺은 후, 냑은 딸을 응우옌 푹 즈엉과 결혼시키고 영주 자리에 오르도록 했지만 즈엉은 거절했다.[4] 냑은 똥 푸옥 히엡에게 편지를 보내 황태자 즈엉에게 충성을 맹세하고 푸쑤언 재점령을 준비한다고 말했다. 냑은 응우옌 후에에게 응우옌 군을 기습하게 했고, 히엡은 패하여 반퐁으로 도망쳤다.[3]

찐 군은 꽝응아이로 진군했지만 병사들이 질병으로 사망하여 호앙 응우 푸옥은 후퇴했다. 푸옥은 푸쑤언으로 돌아가는 길에 병사했고, 부이 테 닷이 후임이 되었다.[6] 꽝남은 떠이선 군에 의해 재점령되었고, 냑은 응우옌 영주와의 싸움에 집중할 수 있었다. 냑은 응우옌 르를 남쪽으로 보냈고, 응우옌 푹 뚜언은 패하여 비엔호아로 도망쳤다.[3]

4. 1. 찐 군의 남하

찐 삼은 통킹에 호앙 응우 푸옥을 보내 응우옌 영주가 간신 쯔엉 푸옥 로안을 체포하도록 돕겠다는 구실로 응우옌 영주를 공격하게 했다.[5] 찐 군은 저항 없이 남쪽으로 진군하여 곧 응우옌의 수도인 푸쑤언을 점령했다.[6] 응우옌 푹 뚜언은 꽝남으로 도망쳤고, 그곳에서 응우옌 푹 즈엉을 황태자로 지명했다. 몇 달 후, 떠이선 군대가 꽝남을 점령했고, 뚜언은 자딘으로 도망쳐야 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꽝응아이 성에서 빈투언 성까지 떠이선 반군이 점령했다.[3]

찐 군대는 꽝남으로 진군하여 떠이선 군대와 충돌했다. 그들은 껌사(현재 호아방 현에 위치한 곳)의 전장에서 만났다. 응우옌 냑은 떠프 딘에게 선두를 맡기고 리 타이에게 중간을, 냑 자신이 후위를 맡도록 명령했다. 떠프 딘은 찐 기병대에 기습을 받아 결국 떠이선의 패배로 이어졌다. 응우옌 냑과 리 타이는 벤반으로 후퇴했다. 응우옌 냑은 황태자 즈엉을 맞이할 준비를 했고 그와 함께 꾸이년으로 갔다. 동시에 똥 푸옥 히엡 휘하의 응우옌 군대가 빈투언 성, 디엔칸 및 빈캉(현대 닌호아)을 재점령한 후 푸옌을 탈환했다. 떠이선 군대는 응우옌 영주와 찐 영주 모두와 양면 전쟁을 벌이게 되었다.[4] 응우옌 냑은 찐 군대에 평화를 구하는 사절을 보냈다. 응우옌 냑은 찐 영주에게 충성을 맹세했고, 그 대가로 찐 영주로부터 ''띠엔-퐁-뜨엉-꽌''과 ''떠이-선 히에우-쯔엉'' 지위를 받았다.[3]

찐 영주와 평화 협정을 맺은 후, 응우옌 냑은 딸을 응우옌 푹 즈엉과 결혼시켰고 그에게 영주 자리에 오르도록 촉구했지만 즈엉은 거절했다.[4] 응우옌 냑은 똥 푸옥 히엡에게 편지를 보냈다. 편지에서 응우옌 냑은 황태자 즈엉에게 충성을 맹세하기로 결정하고 수도 푸쑤언을 재점령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응우옌 냑은 그런 다음 응우옌 후에에게 응우옌 군대를 기습하도록 명령했다. 헙은 패배하여 반퐁으로 도망쳤다.[3]

찐 군대는 꽝응아이로 진군했지만 대부분의 병사들이 질병으로 사망했고 호앙 응우 푸옥은 후퇴해야 했다. 푸옥은 푸쑤언으로 돌아가는 길에 병으로 사망했고 그의 조수 부이 테 닷이 후임으로 임명되었다.[6] 꽝남은 떠이선 군대에 의해 재점령되었고, 이제 응우옌 냑은 응우옌 영주와의 싸움에 집중할 수 있었다. 그는 응우옌 르를 남쪽으로 보냈다. 응우옌 푹 뚜언은 패배하여 비엔호아로 도망쳤다.[3]

4. 2. 양면 전쟁

정 트리NH의 영주 찐 삼은 통킹에 호앙 응우 푸옥을 보내 응우옌 영주가 간신 쯔엉 푸옥 로안을 체포하도록 돕겠다는 구실로 응우옌 영주를 공격하게 했다.[5] 찐 군은 저항 없이 남쪽으로 진군하여 곧 응우옌의 수도인 푸쑤언을 점령했다.[6] 응우옌 푹 뚜언은 꽝남으로 도망쳤고, 그곳에서 응우옌 푹 즈엉을 황태자로 지명했다. 몇 달 후, 떠이선 군대가 꽝남을 점령했고, 뚜언은 자딘으로 도망쳐야 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꽝응아이 성에서 빈투언 성까지 떠이선 반군이 점령했다.[3]

찐 군대는 꽝남으로 진군하여 떠이선 군대와 충돌했다. 그들은 껌사(현재 호아방 현에 위치한 곳)의 전장에서 만났다. 응우옌 냑은 떠프 딘에게 선두를 맡기고 리 타이에게 중간을, 냑 자신이 후위를 맡도록 명령했다. 떠프 딘은 찐 기병대에 기습을 받아 결국 떠이선의 패배로 이어졌다. 응우옌 냑과 리 타이는 벤반으로 후퇴했다. 응우옌 냑은 황태자 즈엉을 맞이할 준비를 했고 그와 함께 꾸이년으로 갔다. 동시에 똥 푸옥 히엡 (宋福洽) 휘하의 응우옌 군대가 빈투언 성, 디엔칸 및 빈캉(현대 닌호아)을 재점령한 후 푸옌을 탈환했다. 이로써 떠이선 군대는 응우옌 영주와 찐 영주 모두와 양면 전쟁을 벌이게 되었다.[4] 응우옌 냑은 찐 군대에 평화를 구하는 사절을 보냈다. 냑은 찐 영주에게 충성을 맹세했고, 그 대가로 찐 영주로부터 ''띠엔-퐁-뜨엉-꽌''과 ''떠이-선 히에우-쯔엉'' 지위를 받았다.[3]

찐 영주와 평화 협정을 맺은 후, 응우옌 냑은 딸을 응우옌 푹 즈엉과 결혼시켰고 그에게 영주 자리에 오르도록 촉구했지만 즈엉은 거절했다.[4] 냑은 똥 푸옥 히엡에게 편지를 보냈다. 편지에서 냑은 황태자 즈엉에게 충성을 맹세하기로 결정하고 수도 푸쑤언을 재점령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냑은 그런 다음 응우옌 후에에게 응우옌 군대를 기습하도록 명령했다. 히엡은 패배하여 반퐁으로 도망쳤다.[3]

찐 군대는 꽝응아이로 진군했지만 대부분의 병사들이 질병으로 사망했고 호앙 응우 푸옥은 후퇴해야 했다. 푸옥은 푸쑤언으로 돌아가는 길에 병으로 사망했고 그의 조수 부이 테 닷이 후임으로 임명되었다.[6] 꽝남은 떠이선 군대에 의해 재점령되었고, 이제 응우옌 냑은 응우옌 영주와의 싸움에 집중할 수 있었다. 그는 응우옌 르를 남쪽으로 보냈다. 응우옌 푹 뚜언은 패배하여 비엔호아로 도망쳤다.[3]

4. 3. 찐 영주와의 평화 협정

정 트리NH의 영주 찐 삼은 호앙 응우 푸옥을 통킹에 보내 응우옌 영주가 간신 쯔엉 푸옥 로안을 체포하도록 돕겠다는 구실로 응우옌 영주를 공격하게 했다.[5] 찐 군대는 저항 없이 남쪽으로 진군하여 곧 응우옌의 수도인 푸쑤언을 점령했다.[6]

찐 군대는 꽝남으로 진군하여 떠이선 군대와 충돌했다. 껌사(현재 호아방 현에 위치)의 전장에서 떠프 딘이 이끄는 떠이선 군대는 찐 기병대에 기습을 받아 패배했다. 응우옌 냐억과 리 타이는 벤반으로 후퇴했다. 냐억은 황태자 즈엉을 맞이할 준비를 했고 그와 함께 꾸이년으로 갔다. 동시에 똥 푸옥 히엡 (宋福洽) 휘하의 응우옌 군대가 빈투언 성, 디엔칸 및 빈캉(현대 닌호아)을 재점령한 후 푸옌을 탈환했다. 떠이선 군대는 응우옌 영주와 찐 영주 모두와 양면 전쟁을 벌이게 되었다.[4] 냐억은 찐 군대에 평화를 구하는 사절을 보냈다. 냐억은 찐 영주에게 충성을 맹세했고, 그 대가로 찐 영주로부터 ''띠엔-퐁-뜨엉-꽌''과 ''떠이-선 히에우-쯔엉'' 지위를 받았다.[3]

찐 영주와 평화 협정을 맺은 후, 냐억은 딸을 응우옌 푹 즈엉과 결혼시켰고 그에게 영주 자리에 오르도록 촉구했지만 즈엉은 거절했다.[4]

5. 떠이선 왕조의 성립

응우옌 냐끄는 1776년 스스로 '떠이선 왕'을 칭하고, 1778년에는 황제에 즉위하여 떠이선 왕조를 건국했다. 그는 비자야의 도반(Đồ Bàn)성을 수도로 삼고 연호를 타이득(泰德)으로 정했다.[3]

이 과정에서 응우옌 냐끄는 응우옌 왕조의 응우옌 아인과 치열하게 대립했다. 응우옌 아인은 하 티엔과 푸로 판장 섬으로 피신했다가[7][8][9] 롱쑤옌에서 세력을 회복하고 과 동맹을 맺기도 했다. 그러나 응우옌 냐끄와 응우옌 훼는 자딘을 재점령하고 응우옌 아인을 푸 꾸옥으로 몰아냈다. 1785년에는 락 검-소아이 뭇 전투에서 응우옌 아인과 샴 연합군을 격파하여 응우옌 아인을 샴으로 도피하게 만들었다.[3]

5. 1. 떠이선 왕 칭호

1776년, 응우옌 냐끄는 스스로를 "떠이선 왕"(Tây Sơn vươngvi)이라 칭했다.[3] 그는 비자야에 있던 도반(Đồ Bàn)성을 수도로 삼고 많은 관료를 임명했다. 응우옌 푹즈엉은 불교 사원에 갇혔고, 이후 자딘으로 도망쳐 리 타이의 지원을 받아 군주 자리에 올랐다. 이듬해 응우옌 냐끄는 찐 쌈(Trịnh Sâm)에 의해 코친차이나의 새로운 통치자로 인정받았으며, 찐 군주로부터 "궁군공"(Cung-quận-công)이라는 귀족 작위를 받았다. 떠이선군은 남쪽으로 진격했고, 결국 응우옌 훼에 의해 응우옌 푹 투언과 응우옌 푹즈엉이 모두 붙잡혀 처형되었다.[3]

5. 2. 황제 즉위

1778년, 응우옌냑은 황제에 즉위하여 연호를 "타이득"(泰德|타이득vi)으로 정하고 떠이선 왕조를 건국했다.[3]

5. 3. 응우옌 아인과의 투쟁

1776년, 응우옌냑은 스스로를 "떠이선 왕"(西山王, Tây Sơn vương)이라 칭하고 비자야에 있던 도반(Đồ Bàn)성을 수도로 삼아 많은 관료를 임명했다. 응우옌 푹즈엉(Nguyễn Phúc Dương)은 불교 사원에 갇혔다가 자딘으로 도망쳐 리 타이의 지원을 받아 군주 자리에 올랐다. 이듬해 응우옌냑은 찐 쌈(Trịnh Sâm)에 의해 코친차이나의 새로운 통치자로 인정받고 "궁군공"(恭郡公, Cung-quận-công)이라는 귀족 작위를 받았다. 떠이선군은 남쪽으로 진격했고, 결국 응우옌 훼(Nguyễn Huệ)에 의해 응우옌 푹 투언(Nguyễn Phúc Thuần)과 응우옌 푹즈엉이 모두 붙잡혀 처형되었다. 1778년, 응우옌냑은 황제에 즉위하여 연호를 "타이득"(泰德, Thái Đức)으로 개칭함으로써 떠이선 왕조를 건국했다.[3]

응우옌 푹 투언의 조카인 응우옌 아인은 하 티엔으로 간신히 탈출한 후[7] 푸로 판장 섬으로 피신했다.[8][9] 1777년 말, 떠이선군의 주력 부대가 사이공을 떠나 북쪽으로 진격하자, 응우옌 아인은 롱쑤옌에 상륙했다. 그곳에서 그는 많은 응우옌 장군들의 지원을 받아 부흥의 깃발을 들었다. 동선군의 지도자 도 타잉 년도 응우옌 아인에게 충성을 맹세했다. 응우옌군은 훨씬 더 강해져 많은 지역을 점령했고, 응우옌 아인은 과 동맹을 맺었다. 그러나 응우옌 아인에 의한 도 타잉 년의 암살은 동선군의 반란을 일으켜 응우옌군을 심각하게 약화시켰다.

이 기회를 틈타 응우옌냑과 응우옌 훼는 자딘을 침공하여 1782년 마침내 다시 점령했다. 응우옌냑은 뀌년으로 돌아갔다. 이듬해 쩌우 반 티엡이 사이공에서 떠이선 수비대를 격파하고 응우옌 아인을 귀환하도록 초청했다. 응우옌 르(Nguyễn Lữ)와 응우옌 훼가 자딘으로 파견되어 응우옌 아인을 푸 꾸옥으로 도망가도록 강요했다. 1785년, 응우옌 훼는 락 검-소아이 뭇 전투에서 응우옌 아인과 샴 해군을 격파했고, 응우옌 아인은 샴으로 도망가야 했다.[3]

6. 응우옌 후에의 찐 영주 타도

1782년 안남(통킹)의 지배자 찐 삼이 사망한 후, 찐깐이 영주 자리에 올랐으나 군사 쿠데타로 폐위되고 찐카이가 새로운 영주로 옹립되면서 통킹은 혼란에 빠졌다. 1786년, 응우옌 후에는 부 반 념, 응우옌 흐우 찐과 함께 군대를 이끌고 북쪽으로 진격하여 푸쑤언을 공격했다. 푸쑤언을 점령한 후, 찐은 후에에게 찐씨를 전복시키라고 권했다. 후에는 그의 조언을 받아들여 응우옌 냐끄의 명령 없이 북쪽으로 진격하여 탕롱을 점령했다.[10]

6. 1. 북벌

1782년, 안남(통킹)의 지배자 찐 삼이 사망했다. 그의 아들 찐깐이 영주 자리에 올랐지만, 곧 군사 쿠데타로 폐위되었다. 반란을 일으킨 군인들은 찐카이를 새로운 영주로 옹립했다. 통킹은 혼란에 빠졌다. 1786년, 응우옌 후에, 부 반 념, 응우옌 흐우 찐이 이끄는 군대가 북쪽으로 진격하여 푸쑤언을 공격했다. 푸쑤언을 점령한 후, 찐은 후에에게 찐씨를 전복시키라고 권했다. 후에는 그의 조언을 받아들여 응우옌 냐끄의 명령 없이 더 북쪽으로 진격하여 마침내 탕롱을 점령했다.[10] 냐끄는 통킹을 차지하고 싶어하지 않았기에, 후에가 북쪽으로 진격하는 것을 막기 위해 푸쑤언으로 사절을 보냈지만, 후에는 이미 떠난 상태였다. 그 후 후에가 탕롱을 점령했다는 소식을 듣고는 후에를 통제하기 어렵다는 것을 깨달았다. 냐끄는 2,500명의 병력을 이끌고 북쪽으로 진격하여 후에와 레찌에우통 황제를 만났다. 탕롱에서 냐끄는 통킹의 어떤 영토도 차지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그 후 그는 후에와 함께 통킹에서 철수했다. 응우옌 냐끄는 스스로를 ''쭝엉 황제''(中央皇帝, "중앙 황제")라고 선포했다. 응우옌 르어는 ''동정왕''(東定王, "동쪽 정복왕")이라는 칭호를 받았고, 자딘이 그의 봉토가 되었다. 응우옌 후에는 ''박빈왕''(北平王, "북쪽 평정왕")이라는 칭호를 받았고, 하이반 고개 북쪽의 푸쑤언 지역에 살았다.[11]

6. 2. 응우옌 냑의 우려

찐 삼이 1782년에 사망한 후, 통킹은 혼란에 빠졌다. 응우옌 후에, 부 반 념, 응우옌 흐우 찐이 이끄는 군대가 북쪽으로 진격하여 푸쑤언을 점령했고, 후에는 찐의 권유로 찐씨를 전복시키기 위해 탕롱을 점령했다.[10] 응우옌 냑은 통킹을 차지하고 싶어하지 않아 후에를 막으려 했으나 실패했다. 후에가 탕롱을 점령했다는 소식을 듣고, 응우옌 냑은 그를 통제하기 어렵다는 것을 깨달았다. 응우옌 냑은 2,500명의 병력을 이끌고 북쪽으로 진격하여 후에와 레찌에우통 황제를 만났다. 탕롱에서 응우옌 냑은 통킹의 어떤 영토도 차지하지 않겠다고 약속하고 후에와 함께 통킹에서 철수했다.[10]

6. 3. 형제 간의 영토 분할

찐 삼이 1782년에 사망한 후, 찐깐이 영주 자리에 올랐지만 군사 쿠데타로 폐위되고 찐카이가 새로운 영주로 옹립되며 통킹은 혼란에 빠졌다. 1786년, 응우옌 후에, 부 반 념, 응우옌 흐우 찐이 이끄는 군대가 북쪽으로 진격하여 푸쑤언을 점령했다. 이후 응우옌 후에는 탕롱을 점령했다.[10] 응우옌냑은 통킹을 차지하고 싶어하지 않았고, 후에를 통제하기 어렵다는 것을 깨달았다. 냐끄는 2,500명의 병력을 이끌고 북쪽으로 진격하여 후에와 레찌에우통 황제를 만났다. 탕롱에서 냐끄는 통킹의 어떤 영토도 차지하지 않겠다고 약속하고 후에와 함께 통킹에서 철수했다. 응우옌 냐끄는 스스로를 ''쭝엉 황제''(中央皇帝 "중앙 황제")라고 선포했다. 응우옌 르어는 ''동정왕''(東定王 "동쪽 정복왕")이라는 칭호를 받고 자딘을 봉토로 받았고, 응우옌 후에는 ''박빈왕''(北平王 "북쪽 평정왕")이라는 칭호를 받고 하이반 고개 북쪽의 푸쑤언 지역에 살았다.[11]

7. 형제 간의 내전

응우옌냑은 응우옌 후에와 갈등을 겪었고, 이는 내전으로 이어졌다. 후에는 뀌년을 포위했고, 냑을 지원하기 위한 부대는 푸옌에서 패배했다. 냑은 "가죽 냄비로 고기를 삶을 수 있겠는가?"라는 속담을 인용하여 형제간의 싸움을 멈출 것을 호소했다.Nỡ lòng nào lại nồi da nấu thịt như thế?|너 롱 나오 라이 노이 자 너우 팃 니으 테?vi Bì oa chử nhục, đệ tâm hà nhẫn?|비 와 쯔 뉵, 데 떰 하 년?중국어[11] 후에는 이에 감동하여 냑과 평화 협정을 맺고, 벤반을 경계로 영토를 나누었다. 꽝응아이 이북은 후의 영토, 탕빈과 디엔반 이남은 냑의 영토가 되었다.[4]

7. 1. 갈등의 시작

얼마 지나지 않아, 응우옌냑은 응우옌 후에와 갈등을 겪게 되었다. 내전이 발발하여 후에는 뀌년을 수개월 동안 포위했다. 자딘의 주력 부대가 냑을 지원하기 위해 소환되었지만, 푸옌에서 패배했고, 지휘관 당 반 쩐은 후에에게 항복했다. 냑은 성벽에 올라 후에에게 "어찌 가죽 냄비로 고기를 삶을 수 있겠는가?"라고 외쳤다.[11] 이는 사냥꾼이 냄비 없이 정글에서 먹이를 잡았을 때, 그 가죽을 벗겨 고기를 삶아 먹는 오래된 관습에서 유래한 비유였다. 이 비유를 사용하여 냑은 형제끼리 서로 싸워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후에가 감동하여 눈물을 흘리며 철수하기로 결정하고 냑과 평화 협정을 맺었다.[11] 그들은 벤 반을 경계로 정했다. 꽝응아이 이북 지역은 후의 영토가 되었고, 탕빈과 디엔반 이남 지역은 냑의 영토가 되었다. 그 이후로 그들은 서로 교전을 멈추었다.[4]

7. 2. 화해

얼마 지나지 않아, 응우옌냑은 응우옌후에와 갈등을 겪게 되었다. 내전이 발발하여 후에는 뀌년을 수개월 동안 포위했다. 자딘의 주력 부대가 냑을 지원하기 위해 소환되었지만, 푸옌에서 패배했고, 지휘관 당 반 쩐은 후에에게 항복했다. 냑은 성벽에 올라 후에에게 "어찌 가죽 냄비로 고기를 삶을 수 있겠는가?"라고 외쳤다.[11] 이는 사냥꾼이 냄비 없이 정글에서 먹이를 잡았을 때, 그 가죽을 벗겨 고기를 삶아 먹는 오래된 관습에서 유래한 비유였다. 이 비유를 사용하여 냑은 형제끼리 서로 싸워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후에는 감동하여 눈물을 흘리며 철수하기로 결정하고 냑과 평화 협정을 맺었다.[11] 그들은 벤반을 경계로 정했다. 꽝응아이 이북 지역은 후의 영토가 되었고, 탕빈과 디엔반 이남 지역은 냑의 영토가 되었다. 그 이후로 그들은 서로 교전을 멈추었다.[4]

8. 말년

응우옌후에는 1788년 꽝쭝(Quang Trung) 황제를 칭하고 응옥 호이-동다 전투에서 의 군대를 격파했다. 한편, 떠이선 형제의 내전은 응우옌푹아인에게 코친차이나로 돌아갈 기회를 제공했다.[4]

8. 1. 응우옌 아인의 재기

떠이선 왕조 형제들의 내전은 응우옌푹아인에게 코친차이나로 돌아갈 기회를 제공했다. 응우옌냑의 영토는 응우옌 영주에게 잠식되었다. 말년에 응우옌냑은 뀌년(Quy Nhơn, 현대의 빈딘), 꽝응아이, 푸옌의 세 개 성만 통치했다. 응우옌냑은 응우옌후에에게 "현실에 체념한 노인"으로 묘사되었다. 응우옌후에는 떠이선 왕조의 미래에 대해 걱정했다.[4]

응우옌후에는 1792년 갑자기 사망했다. 응우옌냑은 응우옌후에의 장례식에 참석하려 했지만, 푸쑤안으로 가는 길이 후계자 응우옌꽝똔에게 막혀 누이를 대신 보냈다. 다음 해, 뀌년은 응우옌 영주의 공격을 받았다. 응우옌 해군이 티나이 항구에 도달하자, 응우옌냑은 황태자 응우옌반바오에게 맞서 싸우라고 명령했다. 떠이선 해군은 이중 공격을 받아 응우옌반바오는 똔텃호이, 보띤, 응우옌후인득, 응우옌반탄에게 패배하여 뀌년으로 도망쳤다. 응우옌냑은 응우옌꽝똔에게 도움을 요청해야 했다. 팜꽁흥, 응오반소, 응우옌반쑤언, 레쭝 휘하의 17,000명이 뀌년을 지원하기 위해 남쪽으로 진군했다. 당반쩐이 이끄는 해군 또한 같은 시기에 그곳으로 보내졌다. 응우옌 군은 후퇴해야 했다. 팜꽁흥은 그 도시로 진군하여 푸쑤안의 황제가 그곳을 점령했다고 주장했다. 응우옌냑은 분노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피를 토하며 사망했다.[12]

8. 2. 응우옌 꽝 똔의 견제

응우옌 후에는 1792년에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응우옌냑은 후에의 장례식에 참석하려고 했지만, 푸쑤안으로 가는 길이 후계자 응우옌 꽝 똔에 의해 막혔다. 응우옌냑은 돌아가서 누이를 장례식에 대신 보냈다.[12]

다음 해, 응우옌냑의 근거지 뀌년은 응우옌 군주의 공격을 받았다. 응우옌 해군이 티나이 항구에 도착하자, 응우옌냑은 황태자 응우옌 반 바오에게 응우옌 군과 싸우라고 명령했다. 떠이선 해군은 이중 공격을 받아 톤 탓 호이, 보 띤, 응우옌 후잉 덕, 응우옌 반 탄에게 패배하여 뀌년으로 도망쳤다. 응우옌냑은 응우옌 꽝 똔에게 도움을 요청해야 했다. 팜 꽁 흥, 고 반 소, 응우옌 반 쑤안, 레 쭝 휘하의 17,000명이 뀌년을 지원하기 위해 남쪽으로 진군했다. 당 반 쩐이 이끄는 해군 또한 같은 시기에 그곳으로 보내졌다. 응우옌 군은 후퇴해야 했다. 팜 꽁 흥은 뀌년으로 진군하여 푸쑤안의 황제가 그곳을 점령했다고 주장했다. 응우옌냑은 분노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피를 토하며 사망했다.[12]

8. 3. 최후

1792년 응우옌 후에(Nguyễn Huệ)가 갑작스럽게 사망하자, 응우옌냑은 그의 장례식에 참석하려 했으나 푸쑤안으로 가는 길이 후계자인 응우옌 꽝 똔에 의해 막혔다. 응우옌냑은 돌아가서 누이를 대신 장례식에 보냈다.[4]

다음 해, 뀌년(Quy Nhơn)은 응우옌(Nguyễn) 영주의 공격을 받았다. 응우옌 해군이 티나이 항구에 도착하자, 응우옌냑은 황태자 응우옌 반 바오에게 맞서 싸우라고 명령했다. 그러나 떠이선 해군은 이중 공격을 받아 톤 탓 호이, 보 띤, 응우옌 후잉 덕, 응우옌 반 탄에게 패배하고 뀌년으로 도망쳤다.

응우옌냑은 응우옌 꽝 똔에게 도움을 요청해야 했다. 팜 꽁 흥, 고 반 소, 응우옌 반 쑤안, 레 쭝 휘하의 17,000명의 군대가 뀌년을 지원하기 위해 남쪽으로 진군했다. 당 반 쩐이 이끄는 해군도 동시에 파견되었다. 응우옌 군은 후퇴해야 했다.

팜 꽁 흥은 뀌년으로 진군하여 푸쑤안의 황제가 그곳을 점령했다고 주장했다. 응우옌냑은 이에 분노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피를 토하며 사망했다.[12]

9. 사후

응우옌 꽝 떤은 응우옌냑의 장남 응우옌 반 바오의 지위를 박탈하고 '효공'(孝公)이라는 칭호를 내렸다. 냐끄의 영토는 떤에게 병합되었고, 바오는 푸 리(현대의 푸미푸깟)만을 봉토로 받았다. 1798년 바오가 떤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고 처형되었다.[12]

1802년 떠이선 왕조가 응우옌 아인에 의해 전복되면서 응우옌냑의 가문은 비극을 맞았다. 냐끄의 세 아들 응우옌 탄(阮清), 응우옌 헌(阮昕), 응우옌 둥(阮勇)은 떤을 비롯한 다른 왕조의 왕자들과 함께 처형되었다. 응우옌냑과 응우옌 후에의 무덤은 파괴되고 유해는 잿더미가 되었다. 응우옌냑, 응우옌 후에, 후에의 아내의 두개골은 영원히 감옥에 갇혔다. 응우옌 아인은 "조상에 대한 복수"를 했다고 한다(爲九世而復讎).[13]

응우옌 반 덕(阮文德), 응우옌 반 르엉(阮文良)과 손자 응우옌 반 떠우(阮文兜, 응우옌 반 덕의 아들)는 도망쳐 은신했으나, 1831년 응우옌 왕조에 발각되어 허리 자르기로 처형되었다.[4]

9. 1. 응우옌 반 바오의 운명

응우옌냑의 장남 응우옌 반 바오는 지위를 박탈당하고 응우옌 꽝 떤에게서 '효공'(孝公, "효심이 깊은 공작")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냐끄의 영토는 떤에게 병합되었고, 바오는 푸 리(현대의 푸미푸깟)만을 봉토로 받았다. 1798년, 바오는 떤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고 처형되었다.[12]

9. 2. 떠이선 왕조의 멸망과 응우옌 냑 가문의 비극

응우옌냑의 장남 응우옌 반 바오는 지위를 박탈당하고 응우옌 꽝 떤에 의해 '효공'(孝公, "효심이 깊은 공작")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응우옌냑의 영토는 응우옌 꽝 떤에게 병합되었고, 바오는 푸 리(현대의 푸미푸깟)만을 봉토로 받았다. 1798년, 바오는 응우옌 꽝 떤에 대항하여 실패한 반란을 일으켰고 처형되었다.[12]

떠이선 왕조는 1802년 응우옌 아인에 의해 전복되었다. 응우옌냑의 세 아들인 응우옌 탄(阮清), 응우옌 헌(阮昕), 응우옌 둥(阮勇)은 응우옌 꽝 떤과 다른 떠이선 왕조의 왕자들과 함께 처형되었다. 응우옌냑과 응우옌 후에의 무덤은 파괴되었고, 유해는 파내져 잿더미로 변했다. 응우옌냑, 응우옌 후에, 응우옌 후에 아내의 두개골은 영원히 감옥에 갇혔다. 응우옌 후에는 이전에 응우옌 영주들의 무덤을 훼손했었다고 하며,[4] 응우옌 아인은 "조상에 대한 복수"를 했다고 한다(爲九世而復讎).[13]

다른 두 아들인 응우옌 반 덕(阮文德), 응우옌 반 르엉(阮文良)과 손자 응우옌 반 떠우(阮文兜, 응우옌 반 덕의 아들)는 도망쳐 시골에 은신했다. 1831년, 그들은 응우옌 왕조에 발각되어 허리 자르기로 처형되었다.[4]

참조

[1] 서적 Saigon: A History 2011
[2] 문서 Les Espagnols dans l’Empire d’Annam
[3] 서적 Việt Nam sử lược
[4] 서적 Đại Nam thực lục|Đại Nam chính biên liệt truyện
[5] 서적 Đại Nam thực lục|Đại Nam liệt truyện tiền biên
[6] 서적 Đại Việt sử ký toàn thư
[7] 간행물 The Transfer of Western Military Technology to Vietnam in the Late Eighteenth and Early Nineteenth Centuries: The Case of the Nguyễ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10
[8] 서적 A History of South-east Asia Macmillan
[9] 서적 The Smaller Dragon: A Political History of Vietnam https://archive.org/[...] Praeger
[10] 서적 Việt Nam sử lược
[11] 서적 Việt Nam sử lược
[12] 서적 Việt Nam sử lược
[13] 서적 Đại Nam thực lục|Đại Nam thực lục chính biê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