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우옌푹미엔찌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응우옌푹미엔찌엔은 1833년에 태어나 1905년에 사망한 베트남 응우옌 왕조의 황족이다. 그는 조풍군공, 경국공, 홍화공 등의 작위를 받았으며, 1889년에는 프랑스에 정사로 파견되어 외교 활동을 펼치기도 했다. 시인이기도 했던 그는 《약정시초》를 저술했다. 슬하에 아들이 없어 수춘왕의 아들을 양자로 들였으며, 딸 둘을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5년 사망 - 민영환
민영환은 1861년 서울에서 태어나 문과에 급제하고 요직을 거치며 러시아 황제 대관식에 참석한 개화파 인물로, 을사늑약 체결에 반대하여 자결했으며 그의 유서는 독립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1905년 사망 - 허드슨 테일러
허드슨 테일러는 중국 내륙 선교회를 설립하고 중국 문화 존중과 믿음 선교 원칙을 통해 51년간 중국 선교에 헌신한 영국의 개신교 선교사이다. - 1833년 출생 - 정범조 (1833년)
조선 후기 정치가 정범조는 1859년 문과 급제 후 이조판서, 예조판서, 공조판서 등 요직을 거쳐 의정부 참찬을 역임했으며, 대한제국 시대 판중추부사와 태의원 도제조를 지낸 후 문헌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1833년 출생 - 김요협
김요협은 1833년에 태어나 여러 관직을 거쳐 최종 종2품 가선대부에 이른 인물이다.
| 응우옌푹미엔찌엔 | |
|---|---|
| 기본 정보 | |
| 휘 | 응우옌푹미엔찌엔 |
| 한자 | 阮福綿𡩀 |
| 작위 | 군공(君公) |
| 시호 | 공혜(恭惠) |
| 생애 | |
| 출생 | 음력 계묘년 4월 16일 |
| 사망 | 음력 갑술년 10월 29일 |
| 자녀 | 6남 3녀 |
| 약정(約亭) | 약정시초(約亭詩抄)를 남김 |
2. 생애
민망 14년 음력 6월 3일(1833년 7월 19일)[2] 후에 황성에서 태어났다. 뜨득 3년(1850년)에 '''Triệu Phong Quận Côngvie''' 조풍군공(肇豐郡公)에 봉해졌으며,[3] 이후 여러 차례 작위가 변동되었다. 뜨득 31년(1878년)에는 '''Quỳnh Quốc Côngvie''' 경국공(瓊國公)으로,[4] 뜨득 36년(1883년)에는 히엡호아 황제 즉위 후 '''Hoàng Hoá Côngvie''' 홍화공(弘化公)으로 진봉되었다.[5]
그러나 같은 해 정치적 격변으로 인해 히엡호아 황제가 폐위되면서 '''Triệu Phong Hương Côngvie''' 조풍향공(肇豐鄉公)으로 강등되었다가,[6] 이후 점차 작위를 회복하여 동카인 을유년(1885년)에 조풍군공 작위를 회복하였고,[7] 타인타이 원년(1889년)에 경국공 작위를 회복하였으며,[8] 타인타이 7년(1895년)에 다시 홍화공 작위를 되찾았다.[9] 타인타이 원년(1889년)에는 프랑스에 정사(正使)로 파견되기도 하였다.
타인타이 17년 음력 4월 4일(1905년 5월 7일)[2] 향년 73세로 사망하였으며,[1] 사후 '''Hoàng Hoá Quận Vươngvie''' 홍화군왕(弘化郡王)으로 추봉되었다. 시인으로서 《약정시초(約亭詩抄)》를 저술하기도 하였다.
2. 1. 출생과 초기 생애
민망 14년 음력 6월 3일(1833년 7월 19일)[2], 후에 황성에서 태어났다.뜨득 3년(1850년) 음력 1월, '''Triệu Phong Quận Công|조풍군공vie'''(肇豐郡公)에 봉해졌다.[3] 이후 뜨득 31년(1878년) 음력 1월, '''Quỳnh Quốc Công|경국공vie'''(瓊國公)으로 진봉되었다.[4]
뜨득 36년(1883년) 음력 6월, 히엡호아 황제가 즉위하자 '''Hoàng Hoá Công|홍화공vie'''(弘化公)으로 다시 진봉되었다.[5] 그러나 같은 해 음력 11월, 응우옌반뜨엉과 똔텃투옛이 정변을 일으켜 히엡호아 황제를 폐위시키고 끼엔푹 황제를 옹립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응우옌푹미엔찌엔은 수리왕(綏理王) 응우옌푹미엔찐과 함께 폐위된 히엡호아 황제와 가까웠다는 이유로 신변의 위협을 느껴 투언안(順安)으로 피신하여 프랑스 관리들에게 보호를 요청해야만 했다. 이 사건의 여파로 히엡호아 황제 시기에 받은 홍화공 작위는 끼엔푹 황제에 의해 취소되었고, 같은 달 '''Triệu Phong Hương Công|조풍향공vie'''(肇豐鄉公)으로 강등되었다.[6]
이후 점차 작위를 회복해 나갔다. 동카인 을유년(1885년) 음력 10월에는 '''Triệu Phong Quận Công|조풍군공vie'''(肇豐郡公) 작위를 회복하였고,[7] 타인타이 원년(1889년) 음력 2월에는 다시 '''Quỳnh Quốc Công|경국공vie'''(瓊國公) 작위를 회복하였다.[8] 타인타이 7년(1895년) 음력 윤5월에는 마침내 '''Hoàng Hoá Công|홍화공vie'''(弘化公) 작위까지 회복하였다.[9]
타인타이 원년(1889년) 음력 4월, 조정의 명을 받아 프랑스에 정사(正使)로 파견되어, 프랑스가 베트남 여러 성에 관리를 파견하여 주재하는 문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타인타이 17년 음력 4월 4일(1905년 5월 7일)[2], 후에 황성에서 향년 73세로 사망하였다. 시신은 트어티엔부 흐엉투이현 끄찐총(居正總) 즈엉쑤언사(楊春社)에 안장되었다.[1] 사후 타인타이 황제에 의해 '''Hoàng Hoá Quận Vương|홍화군왕vie'''(弘化郡王)으로 추봉되었다.
응우옌푹미엔찌엔은 시인으로서 《약정시초(約亭詩抄)》라는 시집을 저술하기도 하였다. 이 시집은 그의 형인 창산선생(倉山先生) 종선왕(從善王) 응우옌푹미엔텀이 평가하였고, 위야선생(葦野先生) 수리왕(綏理王) 응우옌푹미엔찐이 심의하였다.
2. 2. 작위 변동과 정치적 격변
뜨득 3년(1850년) 음력 1월, '''Triệu Phong Quận Công|조풍군공vie'''(肇豐郡公)에 봉해졌다.[3] 이후 뜨득 31년(1878년) 음력 1월에는 '''Quỳnh Quốc Công|경국공vie'''(瓊國公)으로 진봉되었다.[4]뜨득 36년(1883년) 음력 6월, 히엡호아 황제가 즉위하면서 '''Hoàng Hoá Công|홍화공vie'''(弘化公)으로 다시 진봉되었다.[5] 그러나 같은 해 음력 11월, 응우옌반뜨엉과 똔텃투옛이 정변을 일으켜 히엡호아 황제를 폐위시키고 끼엔푹 황제를 옹립하는 정치적 격변이 발생하였다. 이 과정에서 응우옌푹미엔찌엔은 응우옌푹미엔찐(綏理王)과 함께 히엡호아 황제와의 친분 때문에 신변의 위협을 느껴 투언안(順安)으로 피신하여 프랑스 측에 보호를 요청해야 했다. 결국 히엡호아 황제 시기에 받은 작위는 끼엔푹 황제에 의해 취소되었고, 같은 달 '''Triệu Phong Hương Công|조풍향공vie'''(肇豐鄉公)으로 강등되었다.[6]
이후 정세 변화에 따라 작위가 다시 회복되었다. 동카인 을유년(1885년) 음력 10월, '''Triệu Phong Quận Công|조풍군공vie'''(肇豐郡公) 작위를 회복하였고,[7] 타인타이 원년(1889년) 음력 2월에는 '''Quỳnh Quốc Công|경국공vie'''(瓊國公) 작위를 되찾았다.[8] 같은 해 음력 4월, 조정의 명으로 프랑스에 정사(正使)로 파견되어, 프랑스가 베트남 여러 성에 관리를 파견하여 주재하는 문제에 대해 논의하기도 하였다.
타인타이 7년(1895년) 음력 윤5월, 마침내 '''Hoàng Hoá Công|홍화공vie'''(弘化公) 작위를 다시 회복하였다.[9]
타인타이 17년 음력 4월 4일(1905년 5월 7일)[2], 향년 73세로 사망하였다. 사후 트어티엔후에성 흐엉투이현 끄찐총(居正總) 즈엉쑤언사(楊春社)에 안장되었으며,[1] 타인타이 황제에 의해 '''Hoàng Hoá Quận Vương|홍화군왕vie'''(弘化郡王)으로 추봉되었다.
한편, 응우옌푹미엔찌엔은 시인으로서 《약정시초(約亭詩抄)》를 저술하기도 하였다. 이 시집은 그의 형인 응우옌푹미엔텀(從善王)이 평가하고, 응우옌푹미엔찐(綏理王)이 심의하였다.
2. 3. 프랑스 외교 활동
뜨득 36년(1883년) 음력 11월, 응우옌반뜨엉과 똔텃투옛이 정변을 일으켜 히엡호아 황제를 폐위시키고 끼엔푹 황제를 옹립하였다. 이때 응우옌푹미엔찌엔은 히엡호아 황제와 가까웠던 탓에 수리왕(綏理王) 응우옌푹미엔찐과 함께 투언안(順安)으로 피신하여 프랑스 관리들에게 보호를 요청해야 했다.[6]타인타이 원년(1889년) 음력 4월, 조정의 명을 받아 정사(正使)로서 프랑스에 파견되었다. 파견 목적은 프랑스가 베트남 여러 성에 관리를 파견하여 주재하는 문제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었다.
2. 4. 말년과 사망
뜨득 36년(1883년) 음력 6월, 히엡호아 황제가 즉위하자 '''홍화공'''(Hoàng Hoá Côngvie, Hán tự: 弘化公)으로 진봉되었다.[5] 그러나 같은 해 음력 11월, 응우옌반뜨엉과 똔텃투옛이 다시 정변을 일으켜 히엡호아 황제를 폐위시키고 끼엔푹 황제를 옹립하였다. 응우옌푹미엔찌엔은 수리왕(綏理王)과 함께 폐위된 히엡호아 황제와 친분이 있었기 때문에, 신변의 위협을 느껴 멀리 투언안(順安)으로 달아나 프랑스 관리들에게 보호를 요청할 수밖에 없었다. 이후 히엡호아 황제 때 진봉되었던 작위는 끼엔푹 황제에 의해 폐지되었고, 같은 달에 '''조풍향공'''(Triệu Phong Hương Côngvie, Hán tự: 肇豐鄉公)으로 강등되었다.[6]동카인 을유년(1885년) 음력 10월, '''조풍군공'''(Triệu Phong Quận Côngvie, Hán tự: 肇豐郡公)의 작위를 회복하였다.[7]
타인타이 원년(1889년) 음력 2월, 다시 '''경국공'''(Quỳnh Quốc Côngvie, Hán tự: 瓊國公)의 작위로 회복되었다.[8] 같은 해 음력 4월, 조정은 응우옌푹미엔찌엔을 프랑스에 정사(正使)로 파견하여 프랑스가 베트남 여러 성에 관리를 파견해 주재하게 한 문제에 대해 논의하도록 하였다.
타인타이 7년(1895년) 음력 윤5월, 다시 '''홍화공'''(Hoàng Hoá Côngvie, Hán tự: 弘化公)의 작위로 회복되었다.[9]
타인타이 17년 음력 4월 4일(1905년 5월 7일)[2], 후에 황성에서 향년 73세로 사망하였다. 시신은 트어티엔부 흐엉투이현 끄찐총(居正總) 즈엉쑤언사(楊春社)에 장사지냈다.[1] 사후 타인타이 황제는 그를 '''홍화군왕'''(Hoàng Hoá Quận Vươngvie, Hán tự: 弘化郡王)으로 추봉하였다.
응우옌푹미엔찌엔은 시인으로서 《약정시초(約亭詩抄)》를 저술하기도 하였다. 이 시집은 그의 형인 창산선생(倉山先生) 종선왕(從善王)이 평가를 하였고, 위야선생(葦野先生) 수리왕(綏理王)이 심의하였다.
2. 5. 시인으로서의 활동
응우옌푹미엔찌엔은 시인으로서 《약정시초(Ước Đình thi sao|약정시초vie)》라는 시집을 남겼다. 이 시집은 그의 형이자 종선왕(從善王)인 응우옌푹미엔텀이 평가하고, 수리왕(綏理王) 응우옌푹미엔찐이 심의하였다.3. 가계
(내용 없음)
3. 1. 자녀
응우옌푹미엔찌엔은 아들이 없이 딸 2명만 두었다. 그의 후예, 즉 홍화군왕방(弘化郡王房)은 황실로부터 엄(厂) 자부(字部)를 하사받았으며, 후손들은 이 글자를 따라 이름을 지었다. 후사를 잇기 위해 1889년에 양자를 들였다.[2]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문단을 참고한다.3. 1. 1. 양자
응우옌푹미엔찌엔은 아들이 없이 딸 2명만 두었다. 그의 후예, 즉 홍화군왕방(弘化郡王房)은 황실로부터 엄(厂) 자부(字部)를 하사받았으며, 후손들은 이 글자를 따라 이름을 지었다.1889년 타인타이(Thành Thái) 원년에 수춘왕(壽春王) 응우옌푹미엔딘의 42번째 아들인 응우옌푹홍주(阮福洪游)를 양자로 삼아 후사를 잇게 하였다. 양자는 응우옌푹홍허우(阮福洪厚)로 이름을 고쳤다.[2]
- '''양자''': 응우옌푹홍허우(阮福洪厚) - 후에 홍화현공(弘化縣公) 작위를 받음.
- * '''손자''': 응우옌푹응방 - 홍화현후(弘化縣侯) 작위를 받음.
3. 1. 2. 딸
- 응우옌티동까인(hn=阮氏同庚|v=Đồng Canh|eum=완씨동경vie) - 자는 귀량(hn=貴良|v=Quý Lươngvie), 호는 담방여사(hn=淡芳女史|v=Đạm Phương nữ sửvie)이다.[10] 바오다이 초에 호부상서(戶部尙書)를 맡은 응우옌코아떤(阮科濱)과 결혼하였다.
- 응우옌티우이다오(hn=阮氏蔚姚|v=Úy Đào|eum=완씨위도vie)
참조
[1]
웹인용
《약정시초(約亭詩抄)》상세자료
https://web.archive.[...]
2019-11-22
[2]
서적
완복족세보(阮福族世譜)
順化出版社
1995
[3]
서적
《대남식록》정편(正編) 제4기(第四紀) 권5(卷五) 嗣德三年正月 封皇親皇弟六人為郡公
[4]
서적
《대남식록》정편(正編) 제4기(第四紀) 권59(卷五十九) 嗣德三十一年正月 準諸皇親晉封追贈追復起復增俸凡十二人
[5]
서적
《대남식록》정편(正編) 제4기(第四紀) 권70(卷七十) 嗣德三十六年六月 晉光禮成晉封皇親自綏理郡王至綏和郡公
[6]
서적
《대남식록》정편(正編) 제5기(第五紀) 권2(卷二) 嗣德三十六年十二月 降封弘化公為鄉公
[7]
서적
《대남식록》정편(正編) 제6기(第六紀) 권2(卷二) 同慶乙酉年十月 準皇親王公子孫尊室獲咎人等量予開復爵銜有差
[8]
서적
《대남식록》정편(正編) 제6기(第六紀) 부편(附編) 권1(卷一) 成泰元年二月 肇豐郡公綿𡩀開復瓊國公條
[9]
서적
《대남식록》정편(正編) 제6기(第六紀) 부편(附編) 권7(卷七) 成泰七年閏五月 準瓊國公綿𡩀開復弘化公條
[10]
논문
《論清代神韻、格調、性靈——三大詩論派別對越南十九世紀漢詩理論的影響》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