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응우옌푹미엔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응우옌푹미엔딘은 1810년에 태어나 1886년에 사망한 응우옌 왕조의 황족으로, 민망 황제의 아들이자 뜨득 황제 사후 섭정으로 활동했다. 그는 수춘공, 수춘군왕, 수춘왕 등의 작위를 받았으며, 1885년 함응이 황제가 프랑스에 저항하는 근왕 운동을 벌이자 섭정으로 국정을 운영했다. 그는 시인이자 문학가로, 《명명궁사》와 《정명애방시집》 등의 저서를 남겼으며, 78명의 아들과 66명의 딸을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응우옌 왕조의 황자 - 바오방
    응우옌 왕조 유신제의 아들인 바오방은 응우옌 왕조의 유산 관리 및 보존에 기여하고, 대남룡성훈장 수여를 담당했으며, 응우옌 왕조 역사에 관한 저서를 출판했다.
  • 응우옌 왕조의 황자 - 응우옌푹미엔띠엡
    응우옌푹미엔띠엡은 1832년 후에에서 태어나 1852년에 유천군공으로 봉해진 응우옌 왕조의 황족으로, 2명의 아들을 두었으며 1871년에 사망했다.
  • 트어티엔후에성 출신 - 레득아인
    레득아인은 베트남 전쟁과 캄보디아 침공에 참여한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베트남 국가주석을 역임하며 베트남 공산당 정치국 위원으로 활동했고, 그의 활동에 대한 평가는 논쟁적이다.
  • 트어티엔후에성 출신 - 응우옌찌프엉
    응우옌 왕조 시대의 군인이자 관료인 응우옌찌프엉은 정규 교육을 받지 못했음에도 뛰어난 능력으로 여러 황제 시대에 중용되었고, 군사적 공훈을 세웠으며, 프랑스군에게 포로로 잡힌 후 단식 투쟁 끝에 사망하여 충신으로 숭배받고 있다.
  • 1886년 사망 - 프란츠 리스트
    프란츠 리스트는 19세기 헝가리 출신의 "피아노의 왕"이라 불린 천재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로, 혁신적인 기법과 화려한 연주, 교향시 창시, 표제음악 발전, 바그너 지원, 종교 음악 작곡, 후진 양성 등 음악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886년 사망 - 레오폴트 폰 랑케
    레오폴트 폰 랑케는 19세기 독일의 역사가이자 실증주의 역사학의 선구자로, 사료 비판을 통한 객관적인 역사 서술을 강조했으며, 베를린 대학교 교수로서 세미나 시스템을 통해 사료 분석 및 해석 방법을 가르치고 다양한 역사서를 저술하여 역사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응우옌푹미엔딘
기본 정보
출생일1810년 8월 5일
사망일1886년 11월 5일 (76세)
부친민망 황제
모친팜 티 뚜옛
시호단각 (端恪)
이름응우옌푹미엔딘
다른 이름응우옌푹옌
명정
아호동지

2. 생애

1810년 8월 5일, 응우옌 왕조의 황족으로 태어났다. 할아버지인 자롱 황제가 직접 응우옌푹옌(阮福演)이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 세 살 때 어머니 가비(佳妃) 팜 티 투엣(范氏雪)이 세상을 떠나자, 할머니인 순천고황후(順天高皇后) 쩐 티 당(陳氏璫)에게 맡겨져 자랐다. 민망 황제의 셋째 아들이었다.

어린 시절, 큰형인 응우옌푹미엔똥과 함께 궁궐 밖으로 나와 학문을 배웠으며(出閣), 여러 서적을 두루 읽고 특히 시 짓는 데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고 전해진다.

1830년, Thọ Xuân Công|수춘공vie에 봉해졌으며, 이후 관직 생활을 이어가며 황족으로서 높은 지위에 올랐다.

1883년, 뜨득 황제가 사망하면서 응우옌푹미엔찐(수리군왕)과 함께 어린 갹득 황제를 보좌하는 보정대신(輔政大臣)으로 임명되었으나, 당시 정치적 혼란 속에서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하기는 어려웠다.

1885년, 함응이 황제프랑스의 식민 통치에 맞서 근왕 운동을 일으키기 위해 후에 황궁을 떠나자, 잠시 국정을 대리하였고 이후 프랑스 측에 의해 섭정(giám quốcvie)으로 임명되기도 하였다.[1] 같은 해 가을, 프랑스동카인 황제를 새로운 황제로 세우자 정권을 반납하고 은퇴하였다.

1880년에는 일곱째 아들인 수춘군공 응우옌푹홍깍(阮福洪槺)이 세상을 떠나자 크게 상심하여 병을 얻기도 했다. 그는 평생 동안 아들 78명과 딸 66명을 포함하여 총 144명의 자녀를 두었다. 또한 《명명궁사(明命宮詞)》, 《정명애방시집(靜明愛芳詩集)》 등의 저서를 남겼다.

1886년 겨울에 사망하였으며, 동카인 황제는 그의 죽음을 애도하며 3일간 조회를 중단하고 Đoan Khác|단각vie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2. 1. 관직 생활

민망 황제 재위 초, 큰형인 응우옌푹미엔똥과 함께 궁궐을 나와 학문을 배웠다. 그는 여러 책을 두루 읽었으며, 시 짓기에 뛰어났다고 전해진다.

1823년, 황제를 가까이에서 모시기 편하도록 후에 왼편에 개인 저택을 마련하였다.

1830년, Thọ Xuân Côngvie(수춘공)에 봉해졌다. 그해 가을 종인부(宗人府, 황족의 사무를 관장하는 기구)가 설치되자 민망 황제는 그를 종인부 우종정(右宗正)으로 임명하였다. 또한 민망 황제가 재위 기간 동안 자주 순행을 떠났는데, 그때마다 응우옌푹미엔딘에게 후에에 남아 수도를 지키도록 명하였다.

1842년 봄, 티에우찌 황제를 따라 하노이로 가서 청나라 사신을 맞이하였다. 이때 청나라 사신 보청(寶靑)이 예법에 어긋나게 교자를 탄 채 주작문(朱雀門)으로 들어오려 하자, 다른 관리들이 저지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응우옌푹미엔딘이 나서서 엄하게 꾸짖어 이를 막았다. 티에우찌 황제는 이를 훌륭하게 여겨 '특이권휴(特異眷庥)' 네 글자가 새겨진 백옥패(白玉佩)를 하사하며 칭찬하였다.

1845년 여름, 티에우찌 황제가 황족들의 계보를 명확히 하기 위해 분방자부(分房字部)를 만들어 여러 공들에게 나누어 주었는데, 응우옌푹미엔딘은 수(水) 자부(字部)를 받았다.

1865년, 뜨득 황제는 응우옌푹미엔딘이 나이가 많고 덕망이 높다고 여겨, 일상적인 문안 인사(趨拜)를 면제해주고 조회에 참석할 때는 특별히 부드러운 가마(軟轎)를 타고 일정문(日精門) 앞까지 올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같은 해에 그는 섭존인부 좌존정(攝尊人府左尊正)에 임명되어 종인부 내에서 더 높은 직책을 맡게 되었다.

1874년, 작위가 Thọ Xuân Quận Vươngvie(수춘군왕)으로 높아졌다. 그는 함께 군왕으로 진봉된 영순공(寧順公) 응우옌푹미엔응이와 함께 상소를 올려 군왕 작위를 사양하였으나, 뜨득 황제는 연로한 황족을 공경하는 뜻이라며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1878년 봄, 뜨득 황제는 그의 50세 생신(五旬大壽)을 맞이하여 그를 Thọ Xuân Vươngvie(수춘왕)에 봉했다.

1883년, 뜨득 황제가 세상을 떠나면서 응우옌푹미엔딘과 수리군왕(綏理郡王) 응우옌푹미엔찐에게 당시 황제였던 갹득을 보좌하며 국정을 이끌도록 유언을 남겼다(輔政). 그러나 당시 정치적 혼란 속에서 이들 섭정은 실질적인 권력을 거의 행사하지 못했다.

1885년, 함응이 황제프랑스의 식민 통치에 저항하는 근왕 운동을 일으키기 위해 똔텃튀엣과 함께 후에 황궁을 탈출하였다. 황제가 부재한 상황에서, 응우옌푹미엔딘은 두 대비(兩宮)의 뜻(懿旨)을 받들어 임시로 국정(權攝)을 맡게 되었다. 이후 그는 프랑스 장군 앙리 루셀 드 쿠르시에 의해 꼭두각시 섭정(giám quốcvie)으로 임명되었으며, 응우옌흐우도, 판딘빈, 응우옌반뜨엉과 함께 대내각의 대신으로 임명되었다.[1] 그는 이 시기에 프랑스에 의해 유배되었던 동생 응우옌푹미엔찐(수리공)과 응우옌푹미엔찌엔(홍화공)의 작위를 회복시키고 수도로 돌아올 수 있도록 프랑스 측에 요청하여 허락받았다. 그해 가을, 프랑스응우옌반뜨엉을 꼰다오 섬으로 유배 보내고 동카인 황제를 새로운 황제로 옹립하였다. 동카인 황제가 즉위하자 응우옌푹미엔딘은 상소를 올려 정권을 반납하고 은퇴하였다. 동카인 황제는 그의 공로를 인정하여 상을 내렸다.

1886년 겨울, 응우옌푹미엔딘은 세상을 떠났다. 동카인 황제는 그의 죽음을 애도하여 3일 동안 조회를 중단(悼朝)하였고, Đoan Khácvie(단각)이라는 시호를 내리고 그의 사당을 세우도록 명하였다.

2. 2. 섭정

1883년, 뜨득 황제가 사망하자 유명을 통해 수리군왕(綏理郡王) 응우옌푹미엔찐(阮福綿寊)과 함께 보정(輔政)하도록 지명되었다.[1] 그러나 이들은 새 황제를 보좌하면서도 실질적인 권력은 거의 행사하지 못했다.

1885년, 똔텃튀엣이 후에에서 프랑스군을 기습 공격했으나 실패하고 함응이 황제와 함께 수도를 탈출하여 근왕 운동을 전개하였다. 황제가 부재한 상황에서, 응우옌푹미엔딘은 프랑스 장군 앙리 루셀 드 쿠르시에 의해 섭정(監國, giám quốc)으로 임명되었다. 이는 프랑스의 영향력 아래 이루어진 조치였다. 동시에 응우옌흐우도, 판딘빈, 응우옌반뜨엉 등이 대내각의 대신으로 임명되었다.[1] 섭정 기간 동안 그는 수리(綏理), 해녕(海寧), 홍화(弘化) 등 여러 공(公)들의 작위를 회복시키고 수도 후에로 돌아올 수 있도록 허락해 달라고 프랑스 측에 요청하기도 하였다.

같은 해 9월, 프랑스는 응우옌반뜨엉을 꼰다오로 유배 보내고 동카인 황제를 새로운 황제로 옹립하였다. 동카인 황제가 즉위하자 응우옌푹미엔딘은 섭정직에서 물러나 정권을 반납하였고, 이후 은퇴하였다.

3. 가족 관계

그의 아버지는 민망 황제이며, 어머니는 가비(嘉妃) Phạm Thị Tuyết|팜 티 투엣vie이다. 그는 1810년 8월 5일에 태어났고, 할아버지 자롱 황제가 이름을 Nguyễn Phúc Yến|응우옌 푹 옌vie이라고 지어주었다. 3살 때 어머니 가비가 죽자 할머니인 순천고황후(順天高皇后) Trần Thị Đang|쩐 티 당vie에게 맡겨져 자랐다. 그의 형제로는 큰형인 응우옌푹미엔똥(阮福綿宗), Nguyễn Phúc Miên Trinh|응우옌푹미엔찐vie(綏理郡王, 뚜이리 군왕), Nguyễn Phúc Miên Triện|응우옌푹미엔찌엔vie(弘化郡王, 호앙화 군왕) 등이 있다.

응우옌푹미엔딘은 아들 78명과 딸 66명을 포함하여 총 144명의 자녀를 두었는데, 이는 부친인 민망 황제보다 많은 수이다.

'''아들'''



'''딸'''

4. 문학 활동

민망 황제 재위 초기에 형인 티에우찌 황제와 함께 독서하며 학문을 익혔다. 이때 다양한 서적을 널리 읽었으며, 특히 시를 짓는 데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고 전해진다.

응우옌푹미엔딘은 시인으로도 활동했으며, 당대의 저명한 문인들이 참여한 시 모임인 '막 반 시사'(Mạc Vân thi xãvie, 墨雲詩社zho)의 회원이었다. 이 모임에는 여러 황족과 관료들이 함께 참여하여 문학적 교류를 나누었다.

'''막 반 시사 주요 회원'''
이름비고
응우옌푹미엔딘수춘왕(壽春王)
응우옌푹미엔투함투언공(咸順公)
응우옌푹미엔텀퉁티엔공(從善公)
응우옌푹미엔찐뚜이리공(綏理公)
응우옌푹미엔므뜨엉안공(襄安公)
응우옌푹미엔찌엔호앙호아공(弘化公)
응우옌반시에우
까오바꽌
하톤꾸옌
판탄지안
응우옌당자이



그의 저서로는 다음과 같은 작품들이 남아 있다.


  • 《명명궁사(明命宮詞)》
  • 《정명애방시집(靜明愛芳詩集)》

참조

[1] 서적 Việt Nam sử lược https://vi.wikisourc[...]
[2] 웹사이트 Hoằng Hóa Quận Vương Miên Triện - thân sinh của Đạm Phương nữ sử http://gactholoc.net[...]
[3] 웹사이트 Miên Thẩm Tùng Thiện Vương thân thế và sự nghiệp http://nhavantphcm.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