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간 (1677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간(李柬, 1677년 ~ ?)은 조선 숙종 때의 문신으로, 권상하의 문인이며 강문 8학사 중 한 명이다. 그는 한원진과 인물성 논쟁을 벌여 인물동성론을 주장하며 호론에 대립하는 낙론을 형성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숙종 때 익위를 지냈으며, 순조 때 이조판서에 추증되었고 시호는 문정이다. 저서로 《외암유고》, 〈미발변〉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론 - 유척기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서예가인 유척기는 신임사화로 유배 후 노론 집권으로 복귀하여 양주목사, 함경도관찰사, 호조판서, 우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이르렀고, 사도세자 보호와 이인좌의 난 평정으로 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으며, 당대의 명필이자 《지수재집》의 저자이다.
  • 호론 - 한원진
    한원진은 송시열과 권상하의 제자이자 호론을 이끈 조선 후기 문신으로, 인물성동이 논쟁에서 성 삼층설을 주장했으며, 숙종 때 관직에 진출하여 영조 때 소론을 비판하다 삭직된 후 학문에 전념하여 많은 저서를 남기고 사후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 예안 이씨 - 이천 (1376년)
    이천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이자 과학 기술자로서, 세종 재위 기간 동안 군공을 세우고 과학 기술 발전에 기여했으며, 파저강 정벌을 이끌기도 했다.
  • 예안 이씨 - 이명 (조선 전기)
    이명은 조선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한 문신으로, 김안로 탄핵과 윤원형, 이기의 사림 탄압에 맞서며 사림 옹호에 힘썼고, 대사간, 홍문관부제학, 사헌부대사헌 등 요직을 역임하며 을사사화로 희생된 사림들의 신원을 위해 노력했으며, 우의정과 좌의정에 이르렀고, 그의 묘역은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 1727년 사망 - 조지 1세
    조지 1세는 하노버 선제후 출신으로 1714년 잉글랜드와 아일랜드의 국왕이 되었으며, 휘그당을 중용하고 로버트 월폴을 기용하여 내각을 이끌게 했고, 1727년 하노버에서 사망했다.
  • 1727년 사망 - 아이작 뉴턴
    아이작 뉴턴은 영국의 물리학자, 수학자, 천문학자, 연금술사, 신학자로 고전 역학의 기초를 세운 만유인력의 법칙과 뉴턴 운동 법칙을 발견했으며, 미적분학 개발, 반사 망원경 발명 등 수학과 광학 분야에서도 업적을 남긴 과학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이간 (1677년)
기본 정보
이간의 초상
이간의 초상
본관전주 이씨(全州 李氏)
士直(사직)
晩悔(만회)
시호文簡(문간)
생애
출생1677년
사망1727년
가족
아버지李後白(이후백)
어머니宜人 坡平尹氏(의인 파평윤씨)
부인貞敬夫人 昌寧曺氏(정경부인 창녕조씨)
자녀4남
관력
주요 관직대사헌
대제학
이조판서
좌참찬
우참찬

2. 생애

송시열송준길의 수제자인 권상하의 문인으로 그의 수제자 8인을 나타내는 강문 8학사의 한 사람으로 꼽혔다. 숙종 때 익위(翊衛)를 지냈을 뿐 강문8학사(江門八學士)의 한 사람으로 인(人)·물(物)의 성(性)은 동일하다는 인물동성론(人物同性論)을 주장하고, 한원진의 인물이성론(人物異性論)을 반대하여 인물성동이논변(人物性同異論辨)을 벌인 끝에 한원진의 호론(湖論)에 대립하는 낙론(洛論)을 형성했다. 호론이 몰락한 뒤 그의 문인들은 안동 김씨 세도가문이 집권하기 전까지 조정의 요직을 장악하였다.

같은 권상하의 문하인 한원진과 인물성(人物性) 편재 문제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한원진의 인물이성론(人物異性論)과 성삼층설(性三層說)을 비판하고, 사람과 물건의 성(性)은 동일하다는 인물동성론(人物同性論)을 주장했다. 이 논쟁은 호론(湖論)과 낙론(洛論)의 분파로 이어졌으며, 이간은 한원진의 호론에 대립하는 낙론(洛論)을 형성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순조 때 이조판서에 추증되었고,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저서에 《외암유고(巍巖遺稿)》, 〈미발변(未發辨)〉 등이 있다.

2. 1. 가계와 초기 생애

충청도 온양군 출신으로, 송시열과 송준길의 수제자인 권상하(權尙夏)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그의 수제자 8인을 일컫는 강문팔학사(江門八學士) 중 한 사람으로 꼽혔다.

2. 2. 관직 생활

1710년(숙종 36년) 학행으로 천거되어 장릉참봉에 제수되었다. 1715년(숙종 41년) 세자시강원자강에 제수되었다. 1721년 신축환국으로 노론이 실각했지만, 1725년(영조 1년) 복권되어 회덕현감, 경연관을 역임했다. 1726년(영조 2년) 충청도사 겸 해운판관, 익위사익위를 역임했다.

2. 3. 호락논쟁과 낙론

송시열송준길의 수제자인 권상하의 문인으로 그의 수제자 8인을 나타내는 강문 8학사의 한 사람으로 꼽혔다. 숙종 때 익위(翊衛)를 지냈을 뿐 강문8학사(江門八學士)의 한 사람으로 인(人)·물(物)의 성(性)은 동일하다는 인물동성론(人物同性論)을 주장하고, 한원진의 인물이성론(人物異性論)을 반대하여 인물성동이논변(人物性同異論辨)을 벌인 끝에 한원진의 호론(湖論)에 대립하는 낙론(洛論)을 형성했다. 호론이 몰락한 뒤 그의 문인들은 안동 김씨 세도가문이 집권하기 전까지 조정의 요직을 장악하였다.

같은 권상하의 문하인 한원진과 인물성(人物性) 편재 문제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한원진의 인물이성론(人物異性論)과 성삼층설(性三層說)을 비판하고, 사람과 물건의 성(性)은 동일하다는 인물동성론(人物同性論)을 주장했다. 이 논쟁은 호론(湖論)과 낙론(洛論)의 분파로 이어졌으며, 이간은 한원진의 호론에 대립하는 낙론(洛論)을 형성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3. 사후

4. 가족 관계

증조부는 이진문(李振門)이고 증조모는 파평 윤씨로 진사 윤담경(尹覃慶)의 딸이다. 조부 이박(李𤩶)은 무과 출신으로 전라우수사를 지냈으며, 조모는 나주 정씨로 선전관 정언구(鄭彦球)의 딸이다. 친아버지는 이태정(李泰貞)으로 무과 출신 군수였고, 친어머니는 전주 류씨로 첨추 류만(柳曼)의 딸이다. 양아버지는 이태형(李泰亨)으로 생원, 부호군이었고, 양어머니는 경주 이씨로 사정 이집(李濈)의 딸이다.

첫 부인은 파평 윤씨로 윤헌(尹㦥)의 딸이며, 장남 이관병(李觀炳), 차남 이이병(李頤炳), 삼남 이사병(李師炳)을 낳았고, 사위는 송득상(宋得相)이다. 후배는 파평 윤씨로 윤이징(尹以徵)의 딸이며, 사남 이항병(李恒炳)은 이정병(李鼎炳)으로 개명하였고, 사위는 한동(韓洞)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