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송준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송준길은 조선 시대의 문신이자 성리학자로, 이이의 학설을 지지하며 예학에 밝았다. 1606년에 태어나 김장생, 김집에게 수학했으며, 특히 김장생은 그가 예학의 종장이 될 것을 예언했다. 관료로서 세자시강원 찬선, 이조판서 등을 역임했고, 예송 논쟁에서 기년제를 지지하며 서인의 입장을 대변했다. 1672년에 사망했으며,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고 문묘에 종사되었다. 저서로는 《어록해》와 《동춘당집》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송 논쟁 관련자 - 윤증
    윤증은 조선 중기 문신이자 소론의 영수로 우의정까지 역임한 정치가였으며, 성리학적·정치적 갈등으로 스승 송시열과 결별하고 탕평책을 지지했으나 당쟁 속에서 뜻을 이루지 못했으며, 실천적 삶을 강조한 무실학을 추구하며 조선 후기 정치와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예송 논쟁 관련자 - 김수항
    김수항은 서인 및 노론의 중진으로 예송 논쟁에서 서인 측 입장을 대변하고 영의정을 역임했으나 기사환국으로 유배되어 사사된 조선 시대 문신이다.
  • 1672년 사망 - 권시
    조선 중기 문신이자 학자인 권시는 효종 때 공조좌랑으로 등용되어 승정원 승지, 한성부 우윤 등을 역임했으나, 상복 문제 당쟁으로 파직 후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썼고 사후 의정부 좌찬성으로 추증, 도산서원에 배향되었다.
  • 1672년 사망 - 이와키 노부타카
    이와키 노부타카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다이묘로, 사타케 가문에서 쿠보타 번의 중신으로 활약하다 카메다 번주가 되었고 번정의 기초를 다진 후 은거했다.
  • 1606년 출생 - 샤쿠샤인
    샤쿠샤인은 17세기 중반 홋카이도 히다카 지방의 메나시쿨 집단 소을명으로, 마쓰마에 번의 착취에 저항하여 1669년 봉기를 일으켰으나 진압되었고, 그의 봉기는 아이누 민족 저항과 마쓰마에 번의 억압적 지배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으로 기념되고 있다.
  • 1606년 출생 - 윤문거
    윤문거는 조선 시대 문신이자 학자로, 인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역임했으나 효종 때 관직을 사양하고 학문 연구에 전념하며 성리학에 비판적인 독자적인 학문 세계를 구축한 인물이다.
송준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글 이름송준길
한자 이름宋浚吉
로마자 표기Song Jungil
다른 이름동춘, 동춘당
시호문정
개인 정보
출생1606년 12월 28일
출생지조선 한성부
사망1672년 12월 2일
사망지조선 충청도 회덕군 송촌 향리
정치
정당서인 잔존 후예 노론 세력
직책조선의 사헌부 대사헌
임기1658년 ~ 1659년
임금조선 효종
학력 및 경력
직업문신, 학자, 교육자 겸 정치인
가족 관계
배우자초배 김씨 부인, 계배 진주 정씨 부인, 그 외 측실 2명
자녀딸 송씨(인현왕후의 생모)
부모송이창(부), 광산 김씨 부인(모)
친인척외손녀 인현왕후, 사위 민유중, 외할아버지 김은휘, 친척 송갑조, 송인수, 송시열, 사돈 민광훈, 인척 허적, 사위 민유중, 사돈 민정중, 처수(계배처남댁) 이의활의 딸

2. 생애

송준길은 1606년(선조 39) 한성부 정릉동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영천군수를 지낸 송이창이며, 어머니는 광산 김씨로 김은휘의 딸이다. 외가인 정릉동 집은 김장생김집이 태어난 곳이기도 하여, 송준길의 출생까지 합쳐 사람들이 삼현대(三賢臺)라 불렀다.[5] 본관은 은진(恩津)이며, 자는 명보(明甫), 호는 동춘당(同春堂)이다. 7대조 계사(繼祀)가 김종서의 동생 김종흥의 딸과 혼인하면서 순천 김씨 집안과 인연을 맺었다.[11]

9세에 아버지 송이창에게서 성리학을 배우고 공자, 주자, 율곡 이이의 학문을 공부하였다. 11세에 송시열송이창의 문하가 되어 한 집에서 함께 공부하였고, 18세 때 송시열과 함께 김장생의 제자가 되었다. 1631년 김장생이 죽은 뒤에는 송시열과 함께 김집에게서 배웠다.[1] 윤선거, 윤휴, 윤선도 등과 교류하며 토론하기도 했다.[1]

송준길은 첫 부인 김씨와 사별하고 정경세의 딸 진주 정씨와 결혼하여 2남 3녀를 두었다. 정경세이황의 제자인 류성룡의 문인이었으며, 송준길은 장인 정경세에게서도 배웠다.[7] 정경세가 죽자 스승의 예로서 사제의 복을 입었다.

1624년(조선 인조 2년) 생원시에 합격하고, 그해 진사시에 합격한 뒤에도 학문을 계속 연구하였다. 1630년(조선 인조 8년) 학행으로 천거받아 세자익위사세마(洗馬)에 제수된 이후 효종이 즉위할 때까지 내시교관, 동몽교관, 시직, 대군사부, 예안현감, 형조좌랑, 지평, 한성부판관 등에 임명되었으나, 1633년 동몽교관직과 대군사부로 봉림대군, 인평대군을 가르친 것을 제외하고 대부분 관직에 나가지 않았다.

1649년(인조 25년) 스승 김집이 이조판서로 기용되면서 송시열과 함께 발탁되어 부사직(副司直)이 되었다. 이후 부사직, 진선, 장령 등을 거쳐 집의에 올랐고 통정대부로 품계가 올랐다. 효종 즉위 후 김자점, 원두표 등 반정공신 일파를 탄핵하여 몰락시켰으나, 그들이 효종의 반청정책을 청나라에 밀고하여 조선이 청나라의 압력을 받게 되자 사퇴하였다.

이후 집의·이조참의 겸 찬선 등으로 여러 번 임명되었으나 계속 사퇴하였으며, 1658년(효종 9년) 사헌부대사헌·이조참판 겸 성균관좨주를 거쳤다.

1659년 병조판서, 지중추원사, 우참찬에 임명되어 송시열과 함께 효종의 측근에서 국정을 보필했다. 그해 효종이 승하하고 현종이 즉위하면서, 효종의 상에 대한 자의대비의 복상 문제로 1차 예송이 일어났다. 이때 송시열이 기년제(朞年祭, 만 1년)를 주장하자, 김수항, 원두표 등과 함께 송시열의 주장을 지지하여 남인윤휴, 허목, 윤선도 등이 주장한 3년설과 논쟁을 벌인 끝에 참최복을 관철시켰다.[8]

이후 이조판서가 되었으나 남인들의 계속된 공격으로 곧 사퇴하였고, 이후 왕으로부터 의정부 우참찬, 사헌부 대사헌, 좌참찬성균관 좨주, 찬선 등에 여러 차례 임명되었으나, 3년제를 주장하며 기년제를 잘못이라 규탄하는 남인들의 거듭되는 공격과 탄핵 상소로 인해 출사하라는 왕의 거듭된 부탁에도 계속 사퇴하였다. 1660년 좌참찬이 되었다.

송준길은 1660년부터 1661년까지 다음과 같은 관직을 역임했다.

시기관직
1660년 1월 22일정헌대부 행용양위부호군, 겸 성균관제주
1660년 3월 6일의정부우참찬 겸 성균관제주
1660년 3월 10일좌참찬 겸 성균관제주
1660년 6월 6일행 대사헌 겸 성균관제주
1660년 10월 16일우참찬 겸 성균관제주
1660년 12월 12일이조판서 겸 제주
1661년 1월 3일우참찬 겸 제주
1661년 8월 19일좌참찬 겸 제주
1661년 8월 26일대사헌 겸 제주
1661년 9월 28일좌참찬 겸 제주
1661년 12월 22일사헌부대사헌 겸 제주



1662년에도 여러 관직을 거쳤다. 윤선도 등은 예송 논쟁 때 송시열과 송준길이 효종에게 소현세자빈의 명예회복과 복권을 강력하게 주청했다는 점을 들어, 그들이 소현세자를 정통으로 생각했다고 공격했고, 윤휴 등도 이에 동조했다. 송시열과 송준길은 윤선도, 윤휴남인들의 정치공세에 크게 분노했다.

1670년 세자의 관례식에 참석한 뒤 낙향하였으며, 이후 회덕 향리에 은거하다가 1672년에 병으로 사망하였다. 저서로는 《어록해》·《동춘당집》이 있으며, 글씨로는 부산의 충렬사비문(忠烈祠碑文), 남양의 윤계순절비문(尹啓殉節碑文) 등이 있다. 사망 당시 향년 66세였다.

1673년(조선 현종 14년) 2월 현종의 특명으로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 겸 영경연홍문관예문관성균춘추관관상감사 세자사에 증 추증되었다. 1674년 효종의 왕비인 인선대비가 죽자 또 한 차례 자의대비의 복상문제가 일어나게 되고(제2차 예송 논쟁), 이번에는 남인의 기년제설이 서인의 대공설(大功說: 9개월)을 누르고 남인의 주장을 관철시킴으로써 남인이 정권을 장악, 1675년(숙종 1) 허적·윤휴·허목 등의 공격을 받아 관작을 추탈당하였다. 이어 1680년 경신환국으로 서인이 재집권하면서 그해 2월 증작이 복작되었다.

2. 1. 생애 초반

송준길은 7대조 계사(繼祀)가 김종서의 동생 김종흥(金宗興)의 딸과 혼인하면서 순천 김씨 집안과 인연을 맺었다. 순천 김씨는 김종서의 후손들이 난을 피해 공주에 숨어 살던 집안이었다. 계사의 자손으로 우암 송시열은 순년의 6대손이고, 동춘당 송준길은 요년의 5대손이다.[11]

9세에 아버지 송이창에게서 성리학을 배우고 공자, 주자, 율곡의 학문을 공부하였다. 11세에 송시열이 송이창의 문하가 되어 한 집에서 함께 공부하였다. 18세 때 송시열과 함께 김장생의 제자가 되었다.

1631년 김장생이 죽은 뒤에는 송시열과 함께 김집에게서 배웠다.[1] 윤선거 등을 만났으며, 남인 학자들과도 교류하여 윤휴, 윤선도 등과 토론, 담론하였다.[1]

송준길은 첫 부인 김씨와 사별하고 정경세의 딸 진주정씨(晋州鄭氏)와 결혼하여 2남 3녀를 두었다. 정경세는 이황의 제자인 류성룡의 문인이었다. 이후 송준길은 장인 정경세에게서도 배웠다.[7] 정경세가 죽자 스승의 예로서 사제의 복을 입었다.

2. 1. 1. 출생과 가계

동춘당 송준길은 1606년(선조 39) 영천군수를 지낸 송이창과 광산 김씨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외가가 있던 한성부 정릉동에서 출생하였다. 서울 정릉의 외가인 김은휘의 집(서울 정동 구 대법원 청사 자리)은 김장생, 김집이 태어난 곳이기도 하여, 송준길의 출생까지 합쳐 사람들이 이곳을 삼현대(三賢臺)라 불렀다.[5] 본관은 은진(恩津)이며, 자는 명보(明甫), 호는 동춘당(同春堂)이다. 송시열은 친척이자 친구로, 두 사람 모두 김장생, 김집에게서 수학한 동문이다.

송세영(宋世英)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군수 송응서(宋應瑞)이다. 송준길은 쌍청당 송유(1389∼1446)의 7대손이다. 송시열의 조부와 송준길의 조부는 광주 이씨 이윤경의 딸을 아내로 맞아 동서지간이 되었다. 그래서 송시열과 송준길은 가계상 13촌이지만 진외가 쪽으로는 6촌 재종간이다. 나이가 한 살 위인 송준길을 송시열은 13촌 숙부가 아니라 재종형으로 늘 '춘형'이라 불렀다.

세 살 때 아버지를 따라 회덕 송촌으로 내려왔다. 아버지 송이창은 신응시, 김계휘에게서 성리학을 배우고 이이, 송익필, 서기의 문하에서도 공부했다. 회덕 송촌으로 이주한 뒤에는 김장생, 송갑조, 이시직[6] 등과 교류하며 여생을 보냈다.

어머니 광산 김씨는 김은휘(金殷輝)의 딸로, 김은휘는 노비로 환천될 뻔한 송익필, 송한필 형제의 일가족을 보살피기도 했었다. 어머니 광산김씨는 김장생과 사촌 남매간이며, 외조부 김은휘는 김계휘의 동생으로, 김계휘는 서인 예학의 대가인 김장생의 아버지였다. 외할아버지 김은휘는 광해군이 세자로서 동궁에 있을 때 세자빈의 아버지인 류자신(柳自新)이 궁중의 서헌(西軒)에 거처하자, 그의 무례함을 비판하며 왕봉(王鳳 : 한나라 성제의 외삼촌으로 정권을 잡아서 무례한 행동으로 임금의 거처인 궁정을 빌린 일이 있었다)의 고사에 비교하니 류자신이 놀라서 피하였다고 한다. 특히 그는 송익필이 아버지인 송사련(宋祀連)의 잘못으로 세론의 증오를 받아 멸문의 위기에 처했을 때 10년 동안이나 보살펴, 선조의 잘못으로 누명을 쓴 현량(賢良)들을 구원하였다.

2. 1. 2. 유년기와 소년기

9세에 아버지 송이창의 지도를 받아 성리학에 입문하고 공자, 주자, 율곡의 학문을 공부하였다. 11세에 송이창의 외사촌 아우인 송갑조의 아들 송시열이 송이창의 문하가 되어 한 집에서 함께 공부하였다. 어려서부터 이이를 마음속으로 따르며 배웠고, 18세 때 송시열과 함께 이이, 성혼, 송익필의 문인인 사계 김장생의 제자가 되었다. 특히 예학(禮學)에 밝고 글재주가 있었으며 사람을 매혹시키는 재주 등을 두루 갖췄으므로 스승 김장생은 일찍이 그가 예학의 종장(宗匠)이 될 것이라고 예언하기도 하였다.[1]

1631년 김장생이 죽은 뒤에는 송시열과 함께 김장생의 아들 신독재 김집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1] 이때 윤선거 등을 만났으며, 남인계 선비들과도 두루 사귀어 윤휴, 윤선도 등과 만나 토론, 담론하며 교분을 쌓았다.[1]

사계는 "송준길은 자라 반드시 예가의 종장이 될 것이다."라고 칭찬하였다.[1] 조선조에서 예학의 쌍벽으로 김장생과 정경세를 꼽았다.[1]

2. 1. 3. 청년기와 수학

송준길은 첫 부인 김씨(金氏)와 혼인했으나 사별하고 남인학파 예학의 대가 우복 정경세의 딸 진주정씨(晋州鄭氏)와 결혼하여 2남 3녀를 두었다. 정경세는 영남의 유학자 중에서도 예학의 대가로 손꼽히는 인물로 퇴계 이황의 제자인 서애 류성룡의 문인이었다. 이후 송준길은 장인인 정경세의 문하에도 출입하면서 수학한다.[7]

김장생 못지 않게 정경세에게 많은 영향을 받은 송준길은 정경세가 죽자 사위이기도 했지만, 스승의 예로서 사제의 복을 입었다. 사계가 별세하자 그 아들 신독제 김집에게 배웠다. 송준길은 명민함이 유별나고 글씨를 잘 썼다. 당대 선배 명필 이시직은 일찍이 "네가 이미 나보다 낫다."고 경탄했다. 광해군 시절 소년기였으나 광해군 조정이 어지러운 조정이라 인식한 그는 과거시험에 응시하지 않았다.

김장생이 사망(1631)하고 정경세도 사망(1633)하자, 그는 김장생의 아들인 김집의 문하에서 수학하게 되었다. 이후 송준길과 송시열은 항상 김장생을 노스승님, 김집을 스승님이라 불렀다.

2. 2. 관료 생활

1624년(조선 인조 2년) 생원시에 합격하고, 그해 진사시에 합격한 뒤에도 학문을 계속 연구하였다. 1630년(조선 인조 8년) 학행으로 천거받아 세자익위사세마(洗馬)에 제수된 이후 효종이 즉위할 때까지 내시교관, 동몽교관, 시직, 대군사부, 예안현감, 형조좌랑, 지평, 한성부판관 등에 임명되었으나, 1633년 동몽교관직과 대군사부로 봉림대군, 인평대군을 가르친 것을 제외하고 대부분 관직에 나가지 않았다.

소현세자가 의문의 죽음을 당하고 민회빈 강씨가 사사되자, 김자점 등의 공신 세력과 조귀인 등에 의해 억울하게 죽은 것으로 보았다. 같은 서인 당색임에도 권력을 장악한 김자점, 원두표 등 반정공신 일파를 계속 공격, 탄핵하였다.

1649년(인조 25년) 스승 김집이 이조판서로 기용되면서 송시열과 함께 발탁되어 부사직(副司直)이 되었다. 이후 부사직, 진선, 장령 등을 거쳐 집의에 올랐고 통정대부로 품계가 올랐다.

2. 2. 1. 세자시강원 활동

효종 즉위 후 김자점, 원두표 등 반정공신 일파를 탄핵하여 몰락시켰으나, 그들이 효종의 반청정책을 청나라에 밀고하여 조선이 청나라의 압력을 받게 되자 사퇴하였다.

이후 집의·이조참의 겸 찬선 등으로 여러 번 임명되었으나 계속 사퇴하였으며, 1658년(효종 9년) 사헌부대사헌·이조참판 겸 성균관좨주를 거쳤다. 학문을 가르쳐 민유중, 황세정, 남구만 등을 배출했고, 제자 민유중을 사위로 삼았는데, 이들 사이에서 인현왕후가 태어났다. 민유중의 둘째 딸이 왕비로 낙점되면서 국구가 되었다.

그 뒤에도 여러 차례 천거되었으나 번번이 사퇴하였다.

2. 2. 2. 제1차 예송 논쟁

1659년 병조판서, 지중추원사, 우참찬에 임명되어 송시열과 함께 효종의 측근에서 국정을 보필했다. 그해 3월 자헌대부 병조판서 겸 성균관 제주, 세자시강원 찬선을 거쳐 3월 26일에는 성균관 제주 겸 세자시강원 찬선을, 윤 3월 22일 성균관 제주 겸 세자시강원 찬선을 지냈다.

윤 3월 26일 지중추부사에 임명되고 이어 겸 세자시강원 찬선, 성균관 제주에 임명되었다. 4월 4일 행사헌부 대사헌 겸 성균관 제주, 세자시강원 찬선, 4월 9일 의정부 우참찬 겸 성균관 제주, 세자시강원 찬선, 6월 2일 사헌부 대사헌 겸 성균관 제주, 우참찬 겸 성균관 제주, 6월 29일 이조판서 겸 성균관 제주, 12월 11일 정헌대부 이조판서 겸 성균관 제주가 되었다.

2. 2. 3. 예송에서의 승리와 정쟁



그 뒤 자헌대부로 승진하여 사헌부대사헌성균관 제주가 되었고, 이조판서였던 송시열과 함께 조정의 공론을 장악하였다. 이후 이조참판 겸 좨주를 거쳐 1659년(효종 10년) 병조판서로 특별 발탁되었다.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우참찬으로 송시열과 함께 국정에 참여하던 중 효종이 승하하고 현종이 즉위하면서, 효종의 상에 대한 자의대비의 복상 문제로 1차 예송이 일어났다. 이때 송시열이 기년제(朞年祭, 만 1년)를 주장하자, 김수항, 원두표 등과 함께 송시열의 주장을 지지하여 남인윤휴, 허목, 윤선도 등이 주장한 3년설과 논쟁을 벌인 끝에 참최복을 관철시켰다.[8]

효종이 인조의 맏아들로 왕위를 이었다면 문제가 없었겠지만, 효종은 차남이었고 인조의 맏아들인 소현세자의 상중에 자의대비가 3년상을 치렀기 때문에, 효종의 상을 당하여서는 몇 년 상을 해야 하는가가 문제가 되었다.[8] 이에 서인의 송시열과 송준길은 효종이 차남이므로 원칙대로 기년상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8] 반면 남인의 허목과 윤휴는 효종이 비록 차남이지만 왕위를 계승하였으므로 장남과 다름없기에 3년상이어야 한다고 반론을 제기했다.[8] 서인과 남인의 복상 논쟁은 극단적인 감정으로 치달았고, 결국 돌이킬 수 없는 정쟁으로 확대되었다. 이 정쟁은 지방으로 확대되어 재야 선비들 사이에서도 중요한 쟁점으로 부각되었다.[8]

이 해에 이조판서가 되었으나 남인들의 계속된 공격으로 곧 사퇴하였고, 이후 왕으로부터 의정부 우참찬, 사헌부 대사헌, 좌참찬성균관 좨주, 찬선 등에 여러 차례 임명되었으나, 3년제를 주장하며 기년제를 잘못이라 규탄하는 남인들의 거듭되는 공격과 탄핵 상소로 인해 출사하라는 왕의 거듭된 부탁에도 계속 사퇴하였다. 1660년 좌참찬이 되었다.

송준길은 1660년부터 1661년까지 다음과 같은 관직을 역임했다.

시기관직
1660년 1월 22일정헌대부 행용양위부호군, 겸 성균관제주
1660년 3월 6일의정부우참찬 겸 성균관제주
1660년 3월 10일좌참찬 겸 성균관제주
1660년 6월 6일행 대사헌 겸 성균관제주
1660년 10월 16일우참찬 겸 성균관제주
1660년 12월 12일이조판서 겸 제주
1661년 1월 3일우참찬 겸 제주
1661년 8월 19일좌참찬 겸 제주
1661년 8월 26일대사헌 겸 제주
1661년 9월 28일좌참찬 겸 제주
1661년 12월 22일사헌부대사헌 겸 제주


2. 3. 은퇴와 최후

1662년 1월 15일 겸 성균관제주, 1월 16일 행용양위부호군, 2월 29일 사헌부대사헌 겸 성균관제주, 5월 6일 행용양위부호군 겸 성균관제주, 6월 20일 사헌부대사헌 겸 성균관제주, 8월 23일 행용양위부호군 겸 성균관제주, 11월 12일 행사헌부대사헌 겸 성균관제주를 역임했다.

윤선도 등은 예송 논쟁 때 송시열과 송준길이 효종에게 소현세자빈의 명예회복과 복권을 강력하게 주청했다는 점을 들어, 그들이 소현세자를 정통으로 생각했다고 공격했고, 윤휴 등도 이에 동조했다.

소현세자와 소현세자빈은 인조에 의해 억울하게 희생되었고, 세자빈을 구명하다가 희생된 김홍욱을 의를 위해 희생된 선비라고 확신하던 송시열과 송준길은 윤선도, 윤휴와 남인들의 정치공세에 크게 분노했다.

2. 3. 1. 증직과 추탈

1673년(현종 14년) 2월 현종의 특명으로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 겸 영경연홍문관예문관성균춘추관관상감사 세자사에 증 추증되었다. 1674년 효종의 왕비인 인선대비가 죽자 자의대비의 복상문제가 다시 발생했고(제2차 예송 논쟁), 남인의 기년제설이 서인의 대공설(大功說: 9개월)을 누르고 채택되면서 남인이 정권을 장악했다. 1675년(숙종 1) 허적, 윤휴, 허목 등의 공격을 받아 관작을 추탈당하였다. 이후 1680년 경신환국으로 서인이 재집권하면서 그해 2월 증직이 복구되었다.

2. 4. 사후

1670년 세자의 관례식에 참석한 뒤 낙향하였으며, 이후 회덕 향리에 은거하다가 1672년에 병으로 사망하였다. 저서로는 《어록해》·《동춘당집》이 있으며, 글씨로는 부산의 충렬사비문(忠烈祠碑文), 남양의 윤계순절비문(尹啓殉節碑文) 등이 있다. 사망 당시 향년 66세였다.

1673년(현종 14년) 2월 현종의 특명으로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 겸 영경연홍문관예문관성균춘추관관관상감사 세자사에 증 추증되었다. 1674년 효종의 왕비인 인선대비가 죽자 또 한 차례 자의대비의 복상문제가 일어나게 되고(제2차 예송 논쟁), 이번에는 남인의 기년제설이 서인의 대공설(大功說: 9개월)을 누르고 남인의 주장을 관철시킴으로써 남인이 정권을 장악, 1675년(숙종 1) 허적·윤휴·허목 등의 공격을 받아 관작을 추탈당하였다. 이어 1680년 경신환국으로 서인이 재집권하면서 그해 2월 증작이 복작되었다.

3. 평가

그의 사후에도 후손들 중에는 송명흠, 송계간, 송문흠, 송후연, 송사흠 등 성리학자와 문인들이 다수 배출되었다.[1]

1681년(숙종 7년) 대덕군 회덕의 숭현서원(崇賢書院)에 제향되고 그해 12월 17일 문정(文正)이라는 시호를 받았다.[1]

1681년김장생과 함께 문묘(文廟)에 종사(從祀)할 것이 건의된 이래 여러 차례의 상소가 있은 다음 1756년(영조 32) 송시열 등과 함께 성균관 문묘에 종사되었다.[1] 그는 공주의 충현서원(忠賢書院)·봉암서원(鳳巖書院)·연산의 돈암서원(遯巖書院)·용강서원(龍岡書院)·창주서원(滄洲書院)·흥암서원(興巖書院)·성천서원(星川書院) 등에도 배향되었다.[1]

송준길의 묘는 1989년 3월 18일 대전광역시의 문화재자료 제15호로 지정되었다.[1]

4.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송이창
어머니광산 김씨김은휘의 딸이자 김장생의 사촌
배우자
부인김씨자녀 없음
부인진주 정씨정경세의 딸
이랑 (이씨)이동형의 딸, 자녀 없음
여흥 민씨민규의 딸
자녀관계비고
송광식아들진주 정씨 소생
송석대아들진주 정씨 소생
은진 송씨 (1628년~1662년)진주 정씨 소생
은성부부인 은진 송씨민유중의 둘째 부인, 진주 정씨 소생
은진 송씨 (1639년 ~ ?)진주 정씨 소생
은진 송씨 (1641년 ~ ?)진주 정씨 소생
송광림아들여흥 민씨 소생
송광정아들여흥 민씨 소생
송광영아들여흥 민씨 소생
송병익아들여흥 민씨 소생



송시열과 동종(同宗)이면서 학문경향을 같이한 성리학자로 이이의 학설을 지지하였다.[5]

그의 외손자는 민진후로, 송준길은 명성황후의 7대 외조부가 된다. 민진후-민익수-민백분-민기현-민치록-명성황후로 가계가 이어졌다.

송준길의 후손들은 그의 둘째 딸을 통해 민진후, 민진원, 그리고 인현왕후의 외조부로 만들었다. 그는 결국 명성황후의 5대 외고조 할아버지이자 순명효황후의 6대 외고조 할아버지가 되었다.

5. 기타


  • 송준길은 '터럭 한 올이라도 틀리면 내가 아니다'라며 평생 초상화를 남기지 않았다고 한다.[5]

  • 송시열과 함께 성리학의 일가를 이루었다. 송시열의 제자가 가르침을 받으러 송준길을 찾아오기도 했고, 송준길의 제자가 송시열을 찾아가서 사사하는 일도 있었다. 석곡봉사를 올려 송시열을 변호한 송상민 역시 송준길과 송시열의 제자였다.

  • 송준길의 손자 송병하[10]는 유학자로, 송시열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송병하는 학행으로 천거되어 수원부사, 장악원정을 지냈다.

  • 송준길은 정경세의 사위이며 인현왕후의 생부인 민유중은 송준길의 사위이다. 명성황후는 송준길 집안에 대해서는 가까운 외가의 의를 지켰고, 정씨 집안을 추대해서 역시 외척같이 각별히 생각했다.[12] 명성황후정경세를 우복 할아버지라고 불렀다. 송씨, 정씨 두 집안의 후손들은 고종의 총애를 받아 과거에 급제해서 벼슬을 하는 사람이 많았다. 고종과 흥선대원군은 친족이었지만 사이가 나빠져, 고종은 아버지 대원군을 혐오했던 것 같았다. 이때 사람들은 "내전(왕비)은 돈목을 감소시키고 대전(임금)은 돈목을 증가시키면 좋겠다.[12]"며 비아냥거렸다.

6. 저서 및 작품

송준길의 저서로는 《어록해》, 《동춘당집》이 있으며, 작성한 비문으로는 부산 〈충렬사비문〉, 남양 〈윤계 순절비문〉, 남양 〈윤영 순절비문〉 등이 있다.

6. 1. 저서


  • 《어록해》
  • 《동춘당집》
  • 부산 〈충렬사비문
  • 남양 〈윤계 순절비문〉
  • 남양 〈윤영 순절비문〉

6. 2. 작품


  • 《어록해》(語錄解)
  • 《동춘당집》(東春堂集)

참조

[1] 웹사이트 宋浚吉 http://100.naver.com[...]
[2] 웹사이트 宋浚吉 http://people.aks.ac[...]
[3] 웹사이트 은진송씨 성씨의 고향(88) https://www.joongang[...] 1983-11-26
[4] 웹사이트 http://japanese.visi[...]
[5] 웹인용 송준길:대덕문화원 http://ddcc.or.kr/ht[...] 2012-01-14
[6] 문서 이시직은 이석형의 6대손으로 조호익, 김장생의 문인이다.
[7] 문서 이때의 경험으로 남인에 대해 일부 호의를 보이기도 했다.
[8] 서적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도서출판 들녘 1996
[9] 서적 발칙한 조선의 지식인을 만나다 비전비앤피 애플북스 2009
[10] 문서 송병하의 자는 자화, 호는 수둔재이다.
[11] 서적 한국의 명문 종가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12] 서적 매천야록 일문서적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