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시카와 다이어그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시카와 다이어그램은 문제의 근본 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도구로, 생선 뼈 모양의 도표를 사용하여 문제와 관련된 다양한 요인들을 시각적으로 나타낸다. 린 생산 방식, 도요타 생산 방식 등에서 유래된 5M (인력, 기계, 자재, 방법, 측정) 또는 8M, 마케팅 믹스, 서비스 산업 등 다양한 범주를 활용하여 원인을 분류하고, 브레인스토밍과 5 why 기법을 통해 근본 원인을 찾는다. 관리용 특성 요인도와 해석용 특성 요인도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뉘며, 관리가 필요한 사항을 열거하거나, 발생한 문제의 현장 데이터를 바탕으로 원인을 추정한다. 이 다이어그램은 계통도법의 일종으로 간주되며, 생선 뼈 그림 외에도 표 형식으로도 작성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과관계 - 도미노 효과
    도미노 효과는 작은 간격으로 세워진 도미노들이 연쇄적으로 넘어지는 현상으로, 위치 에너지 시각화 도구, 루브 골드버그 장치, 수학적 귀납법 설명 등에 활용되며, 기네스 세계 기록, 관련 방송 프로그램, 장기 이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도미노 이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 인과관계 - 연쇄반응
    연쇄 반응은 분자 반응으로 생성물과 불안정한 분자가 생성되어 추가 반응을 촉발하는 과정으로, 화학, 핵반응, 기체 내 전자 사태, 반도체 항복, 생명체 내 반응 등에서 관찰되며 개시, 성장, 종결 단계를 거친다.
  • 다이어그램 - 회로도
    회로도는 전기 또는 전자 회로의 구성 요소와 연결을 기호와 선으로 나타낸 도식적 표현으로, 표준화된 기호와 규칙을 따르며 전자 제품 설계 및 교육에 필수적인 도구이지만 표기법 통일은 아직 완벽하지 않다.
  • 다이어그램 -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HR도표)는 항성의 광도와 표면 온도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항성의 분류, 진화 단계, 물리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이며, 주계열성, 거성, 초거성 등 다양한 항성의 종류와 분포를 보여주며 항성물리학 발전에 기여한다.
  • 지식 표현 - 시소러스
    시소러스는 특정 단어나 개념의 유의어, 상위어, 하위어를 모아놓은 사전으로, 어휘의 의미 관계를 보여주며 글쓰기, 번역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지식 표현 - 시맨틱 네트워크
    시맨틱 네트워크는 개념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지식 표현 방법으로, 노드와 링크를 사용하여 지식을 구조화하며 인공지능, 언어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이시카와 다이어그램
개요
결함 XXX에 대한 특성 요인도
결함 XXX에 대한 특성 요인도
다른 이름피시본 다이어그램 (Fishbone diagram)
이시카와 다이어그램 (Ishikawa diagram)
원인-결과 다이어그램 (Cause-and-Effect Diagram)
종류품질 관리 도구
개발자가오루 이시카와
개발 연도1968년
목적특정 결과에 잠재적으로 기여하는 근본 원인을 세부적으로 분석
특징
주요 특징문제 해결 및 품질 개선을 위한 도구
문제의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
브레인스토밍 및 팀 협업 촉진
활용 분야품질 관리
문제 해결
프로세스 개선
위험 관리
작성 방법
1단계문제 정의 (결과 식별)
2단계주요 원인 범주 설정 (예: 4M, 5M, 8M)
3단계원인 브레인스토밍 및 범주화
4단계세부 원인 분석 및 추가
5단계가장 가능성 높은 원인 식별 및 검증
4M (제조업)
Man (사람)기술 부족, 훈련 부족, 부주의 등
Machine (기계)장비 고장, 노후화, 부적절한 유지보수 등
Method (방법)부적절한 절차, 비효율적인 프로세스, 표준 미준수 등
Material (자재)불량 자재, 품질 낮은 원료, 부적절한 보관 등
5M (제조업, 확장)
Measurement (측정)부정확한 측정 장비, 측정 오류, 데이터 분석 오류 등
8M (서비스업)
Management (경영)리더십 부족, 목표 설정 오류, 자원 부족 등
Manpower (인력)직원 동기 부족, 기술 부족, 의사소통 문제 등
Money (자금)예산 부족, 투자 부족, 비용 관리 문제 등
Market (시장)경쟁 심화, 고객 요구 변화, 시장 트렌드 변화 등
참고 자료

2. 역사

(이전 출력에서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내용을 생성할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수정할 내용도 없습니다.)

3. 구성 요소 및 작성 방법

샘플 이시카와 다이어그램은 문제에 기여하는 원인을 보여준다.


흐릿한 사진의 가능한 근본 원인을 분석한 이시카와 다이어그램


이시카와 다이어그램은 해결해야 할 문제인 '결함'을 물고기 머리 모양으로 오른쪽에 표시하고, '원인'을 물고기 뼈처럼 왼쪽에 표시한다. 주요 원인에 대한 갈비뼈는 등뼈에서 갈라져 나오고, 근본 원인에 대한 하위 분기는 필요에 따라 여러 수준으로 뻗어 나간다.[2]

1960년대 가와사키 중공업 조선소에서 품질 관리 프로세스를 개척하고 현대 경영의 창시자 중 한 명이 된 이시카와 가오루에 의해 대중화되었다.[3] 1920년대에 처음 사용되었으며, 품질 관리의 7가지 기본 도구 중 하나로 간주된다.[4] 물고기 뼈대 옆면과 유사한 모양 때문에 물고기 뼈 다이어그램이라고도 한다.

마쓰다는 미아타(MX5) 스포츠카 개발에 이시카와 다이어그램을 사용한 것으로 유명하다.[5]

3. 1. 주요 원인 범주



원인은 종종 브레인스토밍 세션을 통해 분석하여 도출되며, 생선 뼈의 주요 가지에 있는 범주로 그룹화된다.[2] 접근 방식을 구조화하기 위해 범주는 아래에 표시된 일반적인 모델 중 하나에서 선택되는 경우가 많지만, 특정 사례의 응용 프로그램에 고유한 것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각 잠재적 원인은 5 why 기법을 사용하여 근본 원인을 찾기 위해 추적된다.[8]

일반적인 범주는 다음과 같다.

  • 5M: 린 생산 방식과 도요타 생산 방식에서 유래되었으며, 근본 원인 분석을 위한 가장 일반적인 프레임워크 중 하나이다.[9]
  • 인력/정신력 (육체적 또는 지식 작업, 개선 제안 포함)
  • 기계 (장비, 기술)
  • 자재 (원자재, 소모품, 정보 포함)
  • 방법 (공정)
  • 측정/매체 (검사, 환경)
  • 8M: 5M을 확장하여 3가지를 더 포함한다.[10]
  • 미션/자연 (목적, 환경)
  • 관리/자금력 (리더십)
  • 유지보수
  • 마케팅 믹스: 제품 마케팅 계획에서 중요한 속성을 식별하기 위한 일반적인 모델이며, 이시카와 다이어그램의 범주로도 자주 사용된다.[10]
  • 제품 (또는 서비스)
  • 가격
  • 장소
  • 프로모션
  • 인적 자원 (직원)
  • 프로세스
  • 유형 증거 (증명)
  • 성과
  • 서비스 산업: 서비스 산업에서 사용되는 대안으로, 네 가지 범주의 가능한 원인을 사용한다.[11]
  • 주변 환경
  • 공급자
  • 시스템
  • 기술
  • 안전

3. 2. 작성 절차

근본 원인 분석은 다양한 변수 간의 핵심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며, 가능한 원인은 프로세스 동작에 대한 추가적인 통찰력을 제공한다. 현재 상황을 스냅샷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직면한 문제로 이어지는 상위 수준의 원인을 보여준다.

문제, 원인, 증상, 결과 간의 관계에 대한 혼란이 있을 수 있다. Smith는 "그것이 문제인가 증상인가?"라는 일반적인 질문은 문제와 증상이 상호 배타적인 범주라고 잘못 가정한다고 지적한다. 문제는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고, 증상은 원인의 결과이다. 즉, 상황은 문제이면서 동시에 증상일 수 있다.

실질적인 수준에서, 원인은 결과에 대한 책임이 있거나 이를 설명하는 모든 것이며, "결과의 발생에 결정적인 차이를 만드는" 요소이다.[7]

원인은 종종 브레인스토밍 세션을 통해 분석하여 도출되며, 생선 뼈의 주요 가지에 있는 범주로 그룹화된다. 접근 방식을 구조화하기 위해 범주는 일반적인 모델 중 하나에서 선택되는 경우가 많지만, 특정 사례의 응용 프로그램에 고유한 것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각 잠재적 원인은 5 why 기법을 사용하여 근본 원인을 찾기 위해 추적된다.[8]

4. 활용 목적 및 유형

근본 원인 분석은 다양한 변수 간의 핵심 관계를 파악하고, 프로세스 동작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시카와 다이어그램은 현재 상황을 스냅샷 형태로 제공하여, 문제로 이어지는 상위 수준의 원인을 보여준다.[2]

문제, 원인, 증상, 결과 간의 관계는 혼동될 수 있다. 스미스(Smith)[6]는 "그것이 문제인가 증상인가?"라는 질문은 문제와 증상이 상호 배타적이라고 잘못 가정한다고 지적한다. 문제는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고, 증상은 원인의 결과이므로, 상황은 문제이면서 동시에 증상일 수 있다. 실질적인 수준에서 원인은 결과에 대한 책임이 있거나 이를 설명하는 모든 것이며, "결과의 발생에 결정적인 차이를 만드는" 요소이다.[7]

원인은 종종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도출되며, 생선 뼈의 주요 가지에 범주로 그룹화된다. 접근 방식을 구조화하기 위해 범주는 일반적인 모델에서 선택되거나, 특정 사례에 맞게 나타날 수 있다. 각 잠재적 원인은 5 why 기법을 사용하여 근본 원인을 찾을 때까지 추적된다.[8]

이시카와 다이어그램은 크게 관리용과 해석용으로 나뉜다.

4. 1. 관리용 특성 요인도

예방 목적으로 관리가 필요한 사항을 모두 열거한 것이다. 실적 이전이므로 현장 데이터가 없고, 주로 지식, 경험, 이론으로부터 걱정되는 사항을 망라적이고 톱다운(연역) 방식으로 열거한다. 대책은 모든 요인에 대해 강구한다.

4. 2. 해석용 특성 요인도

이미 발생한 문제의 현장 데이터(특성)를 수집하여, 데이터로부터 바텀업(귀납적) 방식으로 요인을 추정하고 열거하여 대책을 강구한다. 다음 두 가지 유형이 있다.

  • 원인 확정형 - 원인을 명확히 한 후에 대책을 강구한다.
  • 대책 선행형 - 의심스러운 것에 대책을 강구해 나간다. 차례대로 대책을 강구해 나가는 가운데 효과가 나타나면, 그 요인이 원인이었음이 검증된다.


대책 선행형에는 2가지 접근 방식이 있다.

  • 축적형: 원인의 후보인 요인을 특성 요인도에 축적한 후에, 검증 방법을 검토한다. 의심스러운 요인이 다수 있어, 실험 계획법으로 영향력을 검증할 요인, 대책을 강구하여 효과를 검증할 요인 등, 취급을 나누는 경우가 많다.
  • 순차 실시형: 의심스러운 요인을 발견하는 즉시 대책을 강구한다. 하나의 요인이라도 대책을 강구하고 결과를 보면, 효과가 있든 없든, 그 사실이 데이터(힌트)가 되어 진정한 원인을 추정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QC 서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지만, 이 유형의 QC 스토리가 결여되어 적절하게 지도되지 않으므로, 허위 발표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5. 주의 사항

원인을 추적한다고 칭하며 '''관리용-특성 요인도'''를 작성하는 지도 사례가 많이 보인다. 그 경우, 요인을 브레인스토밍이나 왜-왜 분석으로 다수 열거하는 이중의 오류를 범하는 경우가 많다. 브레인스토밍이나 왜-왜 분석은 특성 요인도를 작성하기 위한 수법이 아니라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6. 계통도와의 관계

특성 요인도는 '생선 뼈 그림'(fishbone diagram)이라고도 불리며, 처음에는 그러한 형태로 작성되었다. 그러나 요인을 늘리거나 요인에 대한 대책이나 효과를 부기할 공간을 미리 마련하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실용상으로는 표 형식으로 작성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신 QC 7가지 도구의 계통도법의 일종으로 간주된다.

참조

[1] 서적 Guide to Quality Control JUSE
[2] 서적 Guide to Quality Control https://archive.org/[...] Asian Productivity Organization
[3] 서적 Infusion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4] 웹사이트 Seven Basic Quality Tools https://asq.org/qual[...] American Society for Quality 2010-02-05
[5] 서적 Improving complex systems today : proceedings of the 18th ISP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current Engineering Springer-Verlag London 2011
[6] 논문 Determining the cause of quality problems: lessons from diagnostic disciplines.
[7] 논문 Thinking about causality.
[8] 웹사이트 Fishbone diagram: Solving problems properly https://www.ionos.ca[...] 2021-12-23
[9] 서적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FMEAs) for small business owners and non-engineers : determining and preventing what can go wrong Quality Press
[10] 서적 Reliability engineering : a life cycle approach CRC Press 2016-11-03
[11] 서적 Handbook of Lean Manufacturing in the Food Industry John Wiley & Sons 2011
[12] 서적 品質管理入門 日科技連出版社
[13] 웹사이트 Microsoft At Home マガジン http://www.microsof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