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영식 (1894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영식은 1894년에 태어나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참여하여 3·1 운동 관련 활동으로 투옥되었으며, 고문으로 청력을 잃었다. 1927년 목사 안수를 받은 후 대구 서문교회에서 목회 활동을 시작했고, 대구 나환자 요양소에서 봉사하며 사회 사업을 시작했다. 해방 후에는 대구맹학교 설립과 전쟁 고아 및 장애 아동을 돌보는 등 사회 사업을 확대했으며, 특수 교육 교사 및 사회복지사 양성을 위해 1956년 한국사회사업학교를 설립, 1961년 한국사회사업대학으로 발전시켰고, 1981년 대구대학교로 개편되어 초대 총장을 역임했다. 또한, 마리아나 제도에서 강제 징용된 한국인들의 유해를 송환하고, 추모비를 세우는 등 활동을 펼쳤으며, 1969년 5·16 민족상 교육부문 본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대학교 - 윤덕홍
    윤덕홍은 대한민국의 교육자이자 정치인으로, 이화여자고등학교 교사, 대구대학교 총장 등을 역임하고 참여정부에서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을 지냈으며, 민주당 최고위원으로 활동하고 2014년 서울시교육감 선거 출마 과정에서 논란이 있었다.
  • 일제강점기의 목회자 - 여운형
    여운형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독립운동 단체 활동, 임시정부 참여, 좌우합작을 통한 통일 노력으로 알려졌으나 해방 후 암살당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친일 논란과 암살 배후에 대한 논쟁을 낳고 있다.
  • 일제강점기의 목회자 - 심명섭
    심명섭은 일제강점기에 친일 행위를 한 목사로, 조선임전보국단에 참여하고 황민화 기독교를 옹호하는 글을 기고했으며, 광복 후 동생 심훈의 시집을 간행했으나 한국 전쟁 중 납북된 것으로 추정된다.
  • 대학 설립자 - 김성수 (언론인)
    김성수는 인촌이라는 호를 사용한 언론인이자 기업인, 정치인으로, 경성방직 설립, 동아일보 창간, 보성전문학교 인수 및 발전에 기여했으며 제2대 부통령을 역임했으나 친일 논란이 있다.
  • 대학 설립자 - 이승만
    이승만은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이자 독립운동가로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대통령을 역임하고 해방 후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독재적 통치와 부정부패에 대한 비판도 받으며 4·19 혁명 후 하와이로 망명하여 서거하였다.
이영식 (1894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로마자 표기I Yeong-sik
한글이영식
한자李永植
출생1894년 12월 13일
출생지성주군, 경상도, 한국
사망1981년 12월 8일
사망지투몬, 괌, 미국
국적한국
학력
모교고베 신학교
업적
알려진 업적대구대학교 설립자

2. 한국 독립운동

이영식은 3·1 운동과 대구 지역의 독립운동에 지도적 역할을 했다는 이유로 18개월 동안 투옥되었으며, 일제 경찰의 고문으로 인해 한쪽 귀의 청력을 잃었다.

2. 1. 3.1 운동 참여와 투옥

1919년 9월, 이영식은 일제 당국에 의해 3·1 운동과 대구 지역의 다른 한국 독립 운동 활동의 지도적 역할을 했다는 이유로 대구 감옥에서 18개월 동안 투옥되었다. 일본 경찰의 고문으로 인해 한쪽 귀의 영구적인 청력 손실을 입었다.[1]

3. 목회 활동

이영식은 1923년 일본 고베에 있는 고베 신학교(神戶神學校)에 입학하여, 1927년 한국으로 돌아와 대구 서문교회에서 목회 활동을 시작하면서 목사 안수를 받았다. 그는 대구의 나환자 요양소에서 목사로 봉사하며 평생의 사회 사업과 목회 여정을 시작하였다.

1945년 한국이 일본으로부터 독립한 이후, 고아와 장애 아동을 돌보며 사회 사업을 확대했다. 1946년에는 한국인에 의해 설립된 최초의 특수 교육 학교인 대구맹학교를 설립했다.[1] 한국 전쟁 (1950–1953)으로 전쟁 고아와 장애인이 증가하자, 이영식 목사는 그들을 돕는 데 헌신하였다. 고아원은 많은 장애 아동들을 수용하여 옷을 입히고, 먹이고, 결국 고아원을 떠나 독립적으로 생활하는 데 도움이 될 기술을 가르쳤으며, 이영식 목사는 기금을 모으고, 기부를 유도하고, 자원 봉사 교사와 의사를 모집하는 것 외에도 아이들의 영적, 정서적 필요를 돌보았다.[1]

3. 1. 목사 안수와 초기 사역

이영식은 1923년 일본 고베에 있는 고베 신학교(神戶神學校)에 입학했다. 1927년 한국으로 돌아와 대구 서문교회에서 목회를 시작했고, 목사 안수를 받았다. 이영식은 설교로 널리 알려지고 인기가 있었지만, 주변의 가장 불우한 사람들을 섬기는 데 마음을 쏟았다. 그는 대구의 나환자 요양소에서 목사로 봉사하며 평생의 사회 사업과 목회 여정을 시작했다.

3. 2. 해방 이후 사회 사업

1945년 한국이 일본으로부터 독립한 이후, 이영식은 고아와 장애 아동을 돌보며 사회 사업을 확대했다. 1946년, 이영식은 한국인에 의해 설립된 최초의 특수 교육 학교인 대구맹학교를 설립했다.[1] (한국 최초의 특수 교육 학교인 평양맹아학교는 1894년 미국의 의료 선교사이자 교육자인 로제타 셔우드 홀에 의해 설립되었다. 1913년, 일본 통치 정부는 서울맹학교를 설립했다.) 참혹한 한국 전쟁 (1950–1953)으로 전쟁 고아와 장애인이 증가하자, 이영식 목사는 그들을 돕는 데 헌신한 몇 안 되는 사람 중 한 명이었다.[1] 고아원은 많은 장애 아동들을 수용하여 옷을 입히고, 먹이고, 결국 고아원을 떠나 독립적으로 생활하는 데 도움이 될 기술을 가르쳤다. 이영식 목사는 기금을 모으고, 기부를 유도하고, 자원 봉사 교사와 의사를 모집하는 것 외에도 아이들의 영적, 정서적 필요를 돌보았다.[1]

4. 대구대학교 설립

이영식은 장애 학생 교육뿐만 아니라 특수 교육 교사와 사회 복지사 양성의 중요성도 인식하였다. 이러한 노력으로 한국사회사업학교(1956년)와 대구대학교(1981년)를 설립하여 한국 사회 복지와 특수 교육 발전에 기여했다.[1]

4. 1. 한국사회사업학교 설립

이영식은 특수 교육 교사와 사회 복지사를 양성할 필요성을 느꼈다. 1956년, 그는 대구에 한국사회사업학교를 설립했다.[1] 이 학교는 1961년에 정식 대학으로 승격되었다.[1] 1969년 5월, 박정희 대통령은 이영식에게 5·16 민족상 교육부문 본상을 수여했다.[1]

4. 2. 대구대학교 발전

1961년에 설립된 한국사회사업대학은 1981년 대구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1] 이영식은 1961년부터 1982년까지 대구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1] 대구대학교는 1981년 한국 최초의 점자 도서관을 설치했으며, 현재까지도 한국 사회 복지와 특수 교육 분야에서 선두를 유지하고 있다.[1]

5. 마리아나 제도에서의 활동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이영식은 제2차 세계 대전 전과 중에 많은 한국인 노동자들이 일제에 의해 강제 노역을 당했던 마리아나 제도를 광범위하게 방문했다. 이영식 목사는 티니안섬 등에서 강제 징용 희생자 유해 송환 및 추모 사업을 진행하였다.

5. 1. 강제 징용 희생자 유해 송환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이영식은 제2차 세계 대전 전과 중에 많은 한국인 노동자들이 일제에 의해 강제 노역을 당했던 마리아나 제도를 광범위하게 방문했다. 이영식 목사는 티니안의 정글 깊숙한 곳에서 수십 년 된 한국인 노동자들의 매장지를 발견하고, 유해를 한국의 국립망향의 동산([http://www.nmhc.go.kr/eng/_together/cyber_list.jsp?menu_code=MN02030201&ceno=%ED%95%A9%EC%9E%A5%20%EC%A0%9C%202%ED%98%B8 국립망향의 동산 태평양 사이판 티니안 전몰 무명한국인묘])로 송환했다. 그는 또한 사이판 섬에 한국 평화 기념비(
사이판 말피 포인트에 있는 한국 평화 기념비
)와 티니안에 ''[http://www.mvariety.com/special-features/around-the-island/62658-korean-monuments-on-tinian 티니안의 한국 기념비]''를 세우는 단체를 설립하여, 그 섬에서 사망한 수천 명의 한국인 노동자들을 기렸다.

5. 2. 추모 사업

이영식은 1970년대와 1980년대에 마리아나 제도를 여러 차례 방문했는데, 이곳은 제2차 세계 대전 이전과 전쟁 중에 일본이 팽창하면서 많은 한국인 노동자들이 일본군에 의해 강제 노역을 당했던 곳이다. 그는 사이판 섬에 한국 평화 기념비()와 티니안에 추모비를 건립하는 단체를 설립하여, 그 섬에서 사망한 수천 명의 한국인 노동자들을 기렸다.

6. 가족

관계이름출생사망비고
아들이태영1929년1995년 11월 30일
며느리고은애1930년2020년 7월 3일
첫째 손자이근용대구사이버대학교 총장
둘째 손자이근민애광학원 이사장
셋째 손자이근도UCLA 연구원
손녀이예숙대구미래대학교 총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