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욱 (1980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영욱은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로, 1980년생이다. SK 와이번스 투수로 프로에 데뷔하여 삼성 라이온즈를 거쳐 선수 생활을 했다. 2005년에 데뷔 첫 승을 거두었으며, 2013년 삼성 라이온즈로 이적했으나 방출되었다. 선수 은퇴 후에는 덕수고등학교 야구부 코치와 진성중학교 야구부 감독을 역임했다.
정인욱 (타자)는 2008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여 주로 백업 선수로 활약했다. 2009년부터 선발 출전하여 맹타를 휘둘렀으며, 2011년에는 한국시리즈에서 인상적인 수비를 보여주었다. 군 복무 후 2016년에 주전으로 활약했으나, 2017년 KIA 타이거즈로 트레이드되었고, 2018년 퇴단하며 은퇴했다.
정인욱은 대구상업고등학교와 홍익대학교를 졸업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칠성초등학교 동문 - 강은희
강은희는 칠곡 동명중학교 교사, 위니텍 대표이사 사장, 국회의원, 여성가족부 장관 등을 역임하고 현재 대구광역시교육청 교육감으로 재직 중인 대한민국의 교육인, 정치인이다. - 대구칠성초등학교 동문 - 안지만
안지만은 삼성 라이온즈 투수로서 2002년 입단하여 2016년 계약 해지될 때까지 선수 생활을 했으며, 불법 도박 혐의로 KBO 무기한 출전 정지 처분을 받았다. - 2007년 야구 - 후쿠하라 미네오
후쿠하라 미네오는 닛폰 통운 우라와 사회인 야구 선수에서 한큐 브레이브스 프로 야구 선수로 활동하며 1984년 퍼시픽 리그 우승과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고, 은퇴 후에는 일본과 한국 프로야구 구단에서 20년 이상 코치, 야구 해설가 및 평론가로 활동했다. - 2007년 야구 - 가토 하지메
가토 하지메는 일본 프로 야구 선수 출신으로, 투수로서 19년간 활동하며 신인왕 수상, 노히트 노런 달성 등의 활약을 펼쳤으며, 은퇴 후에는 야구 해설가와 지도자로 활동하다가 직장암으로 사망했다. - 대구상원고등학교 동문 - 이의근
이의근은 대통령비서실 서기관, 부천시장, 안양시장, 경상북도지사 등을 역임하고 영남대학교 등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홍조근정훈장 등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대구상원고등학교 동문 - 이수민 (1995년)
이수민은 1995년 출생의 전 야구 선수로, 2014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으며, 통산 2시즌 동안 6경기에 출전하여 평균자책점 4.50을 기록했다.
이영욱 (1980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영욱 |
한글 | 이영욱 |
한자 | 李永旭 |
로마자 표기 | I Yeong-uk |
출생일 | 1980년 8월 13일 |
출생지 | 대구광역시 |
포지션 | 구원 투수 |
투구/타석 | 우투/우타 |
프로 경력 | |
데뷔 리그 | KBO |
데뷔 연도 | 2005년 |
데뷔 팀 | 삼성 라이온즈 |
마지막 시즌 | 2013 시즌 |
리그 | KBO |
승-패 기록 | 16승 17패 |
세이브 | 0 |
평균자책점 | 3.90 |
소속팀 | SK 와이번스 (2003–2013) 삼성 라이온즈 (2014) 기아 타이거즈 (2015) |
기타 정보 | |
계약금 | 6,000만원 |
2. 정인욱 (투수)
이영욱은 KBO 리그 선수 시절 대부분 SK 와이번스에서 중간 계투로 활동했다. 홍익대학교를 졸업하고 2003년 SK 와이번스에 입단하여 2005년부터 1군에서 활약했다. 2008년 시즌 후 공익근무요원으로 복무를 마친 뒤 2011년 팀에 복귀했다. 2013년 시즌 후 2차 드래프트를 통해 삼성 라이온즈로 이적했으나, 2014년 시즌 종료 후 방출되었다.
통산 기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 | 팀 | 평균자책점 | 경기 | 승 | 패 | 세이브 | 홀드 | 이닝 | 탈삼진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실점 | 자책점 |
---|---|---|---|---|---|---|---|---|---|---|---|---|---|---|
2005 | SK | 2.51 | 39 | 1 | 0 | 0 | 1 | 64 2/3 | 41 | 59 | 5 | 26 | 19 | 18 |
2006 | 3.21 | 55 | 6 | 5 | 0 | 3 | 92 2/3 | 52 | 87 | 5 | 34 | 36 | 32 | |
2007 | 4.83 | 26 | 3 | 3 | 0 | 1 | 59 2/3 | 24 | 70 | 6 | 29 | 35 | 32 | |
2008 | 3.60 | 19 | 2 | 3 | 0 | 2 | 45 | 44 | 33 | 3 | 21 | 21 | 18 | |
2011 | 4.59 | 20 | 4 | 4 | 0 | 0 | 66 2/3 | 46 | 58 | 8 | 24 | 35 | 34 | |
2012 | 5.57 | 11 | 0 | 2 | 0 | 0 | 32 1/3 | 15 | 28 | 3 | 22 | 20 | 20 | |
2013 | 27.00 | 1 | 0 | 0 | 0 | 0 | 1 | 1 | 2 | 1 | 1 | 3 | 3 | |
통산 | 3.90 | 171 | 16 | 17 | 0 | 7 | 362 | 223 | 337 | 31 | 157 | 169 | 157 |
2. 1. 선수 시절
1999년 쌍방울 레이더스의 2차 8라운드 지명을 받았으나 홍익대학교(1999학번)에 진학하여 차일목과 배터리를 이루었다. 홍익대학교 졸업 후 2003년에 SK 와이번스에 입단했다. 2005년 1군에 올라와 주전 중간 계투로 자리 잡았으며, 2007년에는 투수 조장을 맡았다. 2008년 시즌 후 공익근무요원으로 입대하여 2011년에 복귀했다.연도 | 팀 | 평균자책점 | 경기 | 승 | 패 | 세이브 | 홀드 | 이닝 | 탈삼진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실점 | 자책점 |
---|---|---|---|---|---|---|---|---|---|---|---|---|---|---|
2005 | SK | 2.51 | 39 | 1 | 0 | 0 | 1 | 64.2 | 41 | 59 | 5 | 26 | 19 | 18 |
2006 | 3.21 | 55 | 6 | 5 | 0 | 3 | 94.2 | 52 | 87 | 5 | 34 | 36 | 32 | |
2007 | 4.83 | 26 | 3 | 3 | 0 | 1 | 59.2 | 24 | 70 | 6 | 29 | 35 | 32 | |
2008 | 3.60 | 19 | 2 | 3 | 0 | 2 | 45 | 44 | 33 | 3 | 21 | 21 | 18 | |
2011 | 4.59 | 20 | 4 | 4 | 0 | 0 | 66.2 | 46 | 58 | 8 | 24 | 35 | 34 | |
통산 | 3.90 | 171 | 16 | 17 | 0 | 7 | 362 | 223 | 337 | 31 | 157 | 169 | 157 |
2013년 11월 22일에 열린 2차 드래프트를 통해 고향 팀 삼성 라이온즈로 이적했다.
2. 1. 1. 아마추어 시절
1999년 쌍방울 레이더스의 2차 8라운드 59순위 지명을 받았으나 홍익대학교(1999학번)에 진학하였다. 홍익대학교 재학 시절 차일목과 배터리를 이루었다.2. 1. 2. SK 와이번스 시절
홍익대학교를 졸업하고 2003년에 입단했다. 2004년까지 2군에 머물렀으나, 2005년 1군에 올라와 64.2이닝 동안 1승 1홀드, 2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주전 중간 계투로 자리 잡았다. 2007년에는 투수 조장을 맡았다. 2008년 시즌 후 공익근무요원으로 입대하여 2011년에 복귀했다.연도 | 팀 | 평균자책점(ERA) | 경기 | 승 | 패 | 세이브 | 홀드 | 이닝 | 탈삼진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실점 | 자책점 |
---|---|---|---|---|---|---|---|---|---|---|---|---|---|---|
2005 | SK | 2.51 | 39 | 1 | 0 | 0 | 1 | 64.2 | 41 | 59 | 5 | 26 | 19 | 18 |
2006 | 3.21 | 55 | 6 | 5 | 0 | 3 | 94.2 | 52 | 87 | 5 | 34 | 36 | 32 | |
2007 | 4.83 | 26 | 3 | 3 | 0 | 1 | 59.2 | 24 | 70 | 6 | 29 | 35 | 32 | |
2008 | 3.60 | 19 | 2 | 3 | 0 | 2 | 45 | 44 | 33 | 3 | 21 | 21 | 18 | |
2011 | 4.59 | 20 | 4 | 4 | 0 | 0 | 66.2 | 46 | 58 | 8 | 24 | 35 | 34 | |
2012 | 2.74 | 11 | 0 | 2 | 0 | 0 | 32.1 | 15 | 28 | 3 | 22 | 20 | 20 | |
2013 | 2.74 | 1 | 0 | 0 | 0 | 0 | 1 | 1 | 2 | 1 | 1 | 3 | 3 | |
통산 | 3.90 | 171 | 16 | 17 | 0 | 7 | 362 | 223 | 337 | 31 | 157 | 169 | 157 |
2. 1. 3. 삼성 라이온즈 시절
2013년 11월 22일에 열린 2차 드래프트를 통해 고향 팀 삼성 라이온즈로 이적했으나, 2군에서 2패 1홀드, 9점대 평균자책점으로 부진하여 1군에 오르지 못하고 시즌 종료 직전에 방출되었다.2. 2. 야구선수 은퇴 후
2014년부터 덕수고등학교 야구부 코치를 맡았고, 2018년부터 경북 진성중학교 야구부 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2. 3. 에피소드
2005년 5월 29일 두산 베어스와의 경기에서 데뷔 첫 승을 거두었다. 1회말 선발 헤수스 산체스가 1/3이닝 5실점으로 부진하여, 1회부터 구원 투수로 긴급 투입되었다. 3회말 상대 타자 장원진에게 몸에 맞는 볼을 던졌고, 이에 장원진이 그를 구타하면서 양 팀 간 벤치 클리어링이 일어났다. 4회초 공격에서 1:5로 뒤지던 SK 와이번스는 6득점하면서 그에게 프로 데뷔 첫 승을 안겨줬다.[4]2. 4. 통산 기록
연도 | 팀 | 평균자책 | 경기수 | 승 | 패 | 세이브 | 홀드 | 완투 | 완봉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
2005 | SK | 2.51 | 39 | 1 | 0 | 0 | 1 | 0 | 0 | 64 2/3 | 59 | 5 | 26 | 41 | 19 | 18 |
2006 | 3.21 | 55 | 6 | 5 | 0 | 3 | 0 | 0 | 92 2/3 | 87 | 5 | 34 | 52 | 36 | 32 | |
2007 | 4.83 | 26 | 3 | 3 | 0 | 1 | 0 | 0 | 59 2/3 | 70 | 6 | 29 | 24 | 35 | 32 | |
2008 | 3.60 | 19 | 2 | 3 | 0 | 2 | 0 | 0 | 45 | 33 | 3 | 21 | 44 | 21 | 18 | |
2011 | 4.59 | 20 | 4 | 4 | 0 | 0 | 0 | 0 | 66 2/3 | 58 | 8 | 24 | 46 | 35 | 34 | |
2012 | 5.57 | 11 | 0 | 2 | 0 | 0 | 0 | 0 | 32 1/3 | 28 | 3 | 22 | 15 | 20 | 20 | |
2013 | 27.00 | 1 | 0 | 0 | 0 | 0 | 0 | 0 | 1 | 2 | 1 | 1 | 1 | 3 | 3 | |
통산 | 7시즌 | 3.90 | 171 | 16 | 17 | 0 | 7 | 0 | 0 | 362 | 337 | 31 | 157 | 223 | 169 | 157 |
정인욱(鄭寅煜중국어)은 삼성 라이온즈, KIA 타이거즈에서 활동했던 KBO 리그 외야수(우투좌타)였다.
3. 정인욱 (타자)
3. 1. 선수 경력
2008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여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입단 초기에는 주로 대주자로 출전했으나, 2009년부터 선발 출전 기회를 얻으며 맹타를 휘둘렀다.[1] 2011년 SK 와이번스와의 한국시리즈 2차전에서 보여준 인상적인 홈 송구는 그의 선수 경력에 중요한 장면으로 남았다.[2] 군 복무를 마친 뒤 2016년 주전으로 활약하기도 했으나, 2017년 박해민, 구자욱 등 젊은 선수들에게 밀려 출전 기회가 줄어들었다. 2017년 11월 29일 한기주 선수와 트레이드되어 KIA 타이거즈로 이적했지만,[3] 2018년에는 김주찬 등과의 경쟁에서 밀려 14경기 출전에 그쳤고, 2안타를 기록하는 데 그쳤다. 결국, 2018년 시즌을 마지막으로 퇴단했으며, 2019년 이후로는 소속 구단 없이 은퇴 상태이다.
3. 1. 1. 삼성 라이온즈 시절
2008년 드래프트에서 삼성 라이온즈의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
입단 첫해에는 동기 외야수 좌타자인 허승민에 밀려 14경기만 출전했다.
당시 군 복무 중이던 강명구를 대신하여 주로 대주자로 출전했지만 2009년부터 선발 출전하여 맹타를 휘둘렀다.[1]。 주로 박한이의 백업으로 출전했으며, 김상수와 함께 빠른 테이블 세터로 활약했다. 같은 해 88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할대, 4홈런, 29타점, 27득점, 16도루를 기록했다.
2011년에는 배영섭이 주전 중견수를 차지하여 백업으로 많이 출전했다. 입대 전, 2011년 SK 와이번스와의 한국시리즈 2차전에서 최형우를 대신하여 출전한 그는 최동수의 안타 때 강력하고 정확한 홈 송구를 보여 강한 인상을 남겼다. 그의 홈 송구로 홈으로 들어오려던 주자 최정은 진갑용의 블로킹에 막혀 홈에서 아웃되었다.[2]。
2012년에 입대하여, 2013년에 제대했다.
제대 후 2년 동안은 다소 성적이 하락했지만, 2016년에는 부활하여 주전으로 활약했다.
2017년에는 젊은 박해민과 구자욱에게 테이블 세터 역할을 빼앗겨 프로 입단 후 최악의 성적을 기록했고, 같은 해 11월 29일 한기주와의 트레이드로 KIA 타이거즈로 이적했다.[3]
3. 1. 2. 군 복무
2012년에 입대하여 2013년에 제대했다.[2]
3. 1. 3. 삼성 라이온즈 복귀
제대 후 2년 동안은 다소 성적이 하락했지만, 2016년에는 부활하여 주전으로 활약했다.[3] 2017년에는 젊은 박해민과 구자욱에게 테이블 세터 역할을 빼앗겨 프로 입단 후 최악의 성적을 기록했고, 같은 해 11월 29일 한기주와의 트레이드로 KIA 타이거즈로 이적했다.[3]
3. 1. 4. KIA 타이거즈 시절
2017년 11월 29일 한기주와의 트레이드로 KIA 타이거즈로 이적했다.[3] 2018년에는 김주찬 등과의 경쟁에서 밀려 14경기 출전에 그쳤고 2안타를 기록하는 데 그쳤다. 결국, 2018년 시즌을 마지막으로 팀에서 퇴단했으며, 2019년 이후로는 소속 구단 없이 은퇴 상태이다.
3. 2. 은퇴
KIA 타이거즈로 이적한 후 2018년에는 김주찬 등과의 경쟁에서 밀려 단 14경기 출전에 그쳤고 2안타라는 성적밖에 남기지 못했으며, 같은 해를 마지막으로 퇴단하여 2019년 이후 소속 구단 없이 은퇴 상태가 되었다.[3]
3. 3. 에피소드
2011년 SK 와이번스와의 한국시리즈 2차전에서 최형우를 대신하여 출전, 최동수의 안타 때 홈으로 들어오려던 주자 최정을 정확한 홈 송구로 아웃시켰다. 이때 진갑용이 최정을 블로킹하여 아웃되었다.[2]
3. 4. 통산 기록
연도 | 팀 |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루실패 | 사구 | 삼진 | 병살타 | 실책 |
---|---|---|---|---|---|---|---|---|---|---|---|---|---|---|---|---|---|
2008 | 삼성 라이온즈 | 0.000 | 14 | 7 | 1 | 0 | 0 | 0 | 0 | 0 | 0 | 0 | 0 | 1 | 4 | 0 | 0 |
2009 | 0.249 | 88 | 193 | 27 | 48 | 6 | 2 | 4 | 70 | 29 | 16 | 4 | 19 | 52 | 4 | 6 | |
2010 | 0.272 | 120 | 408 | 68 | 111 | 19 | 2 | 4 | 146 | 42 | 30 | 8 | 51 | 86 | 4 | 1 | |
2011 | 0.232 | 111 | 203 | 37 | 47 | 9 | 3 | 3 | 71 | 20 | 14 | 6 | 21 | 68 | 1 | 1 | |
2014 | 0.208 | 40 | 53 | 16 | 11 | 3 | 0 | 0 | 14 | 6 | 6 | 1 | 7 | 16 | 0 | 1 | |
2015 | 0.227 | 38 | 22 | 8 | 5 | 2 | 0 | 0 | 7 | 2 | 0 | 1 | 3 | 10 | 0 | 1 | |
2016 | 0.163 | 104 | 49 | 16 | 8 | 1 | 0 | 1 | 12 | 4 | 6 | 3 | 2 | 21 | 1 | 14 | |
2017 | 0.000 | 6 | 4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3 | 0 | 0 | |
2018 | KIA 타이거즈 | 0.125 | 14 | 16 | 0 | 2 | 0 | 0 | 0 | 2 | 1 | 1 | 0 | 0 | 4 | 0 | 0 |
통산 | 9시즌 | 0.243 | 535 | 955 | 173 | 232 | 40 | 7 | 12 | 322 | 104 | 73 | 23 | 104 | 264 | 10 | 11 |
4. 정인욱 (공통)
주어진 원본 소스가 없으므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하위 섹션의 내용이 출력에 직접적으로 포함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4. 1. 출신 학교
참조
[1]
뉴스
삼성 이영욱, "선발 백업 안 가리고 제 실력 발휘하고 싶다"
http://osen.freechal[...]
OSEN
[2]
뉴스
'폭풍 송구' 이영욱, "마치 추신수 같았다"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3]
뉴스
KIA·삼성, 한기주↔이영욱 트레이드
http://news.joins.co[...]
중앙일보
2017-11-29
[4]
뉴스
SK 조범현 감독, "두산 장원진이 우리를 뭉치게 만들었다"
https://news.naver.c[...]
조이뉴스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