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원패는 16세에 요절한 인물로, 무덕 원년에 위왕으로 추봉되었으며 진주총관과 사공의 지위가 추증되었고, 시호는 회이다. 자녀가 없어 조카 이태가 제사를 이었다. 소설 《설당》 등에서는 이원패가 이원패로 개작되어 등장하며, 뇌고옹금추를 사용하는 맹장으로 묘사되어 수당 18호걸 중 첫 번째로 꼽힌다. 이원패에 대한 기록은 《구당서》와 《신당서》에서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99년 출생 - 김흠순
김흠순은 신라의 왕족이자 장군으로, 김유신의 동생이며 황산벌 전투에서 아들의 죽음으로 신라군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고구려 정벌에 참여하여 삼국 통일에 기여한 후 승상에 올랐으나 당나라에 억류되기도 했고, 그의 삶은 여러 작품에서 재조명되었다. - 614년 사망 - 목갈라나 3세
- 614년 사망 - 곡사정
곡사정은 수나라의 인물로, 친위로 시작하여 군공을 세우고 양제의 총애를 받았으나 양현감의 반란에 연루되어 고구려로 망명했다가 송환된 후 사살되었다. - 수나라 사람 - 문덕황후 (당나라)
문덕황후는 수나라 장군 장손성의 딸이자 당 태종 이세민의 황후로, 뛰어난 지혜와 덕망으로 태종의 치세에 큰 영향을 미치고 검소함과 백성을 생각하는 마음으로 태종을 보좌하여 현명한 황후의 표본으로 평가받는다. - 수나라 사람 - 장손무기
장손무기는 수나라 장군 장손승의 아들이자 당 태종의 처남으로, 당나라 건국과 현무문의 변에 공을 세워 당 태종의 측근으로 중용되었으나, 고종 때 측천무후 옹립을 반대하다 모함으로 자결한 당나라 초기의 정치가이자 외척이다.
이원패 | |
---|---|
인물 정보 | |
![]() | |
이름 | 이현패 |
로마자 표기 | Yi Hyeon-pae |
시대 | 수나라 |
생몰년도 | 미상 |
본관 | 농서 이씨 |
부모 | 아버지: 이연 |
형제자매 | 형: 이건성 형: 이세민 형: 이원길 동생: 이원경 동생: 이원창 동생: 이원형 동생: 이원방 동생: 이원례 동생: 이원가 동생: 이원칙 동생: 이원궤 동생: 이봉 동생: 이명 누이: 장사공주 누이: 양양공주 누이: 평양공주 누이: 고밀공주 누이: 계양공주 누이: 관도현주 |
배우자 | 미상 |
자녀 | 미상 |
관직 및 작위 | |
작위 | 위회왕 |
2. 생애
어릴 때부터 총명하고 언변이 뛰어났다. 대업 10년(614년)에 16세로 사망했다. 무덕 원년(618년)에 위왕으로 추봉되었고, 진주총관·사공의 지위가 추증되었다. 시호는 회(懷)였다.
자식이 없었으므로, 조카 이태가 의도왕이 되어 그 제사를 이었다.
2. 1. 요절
어릴 때부터 총명하고 언변이 뛰어났다. 대업 10년(614년)에 16세로 사망했다. 무덕 원년(618년)에 위왕으로 추봉되었고, 진주총관·사공의 지위가 추증되었다. 시호는 회(懷)였다.자식이 없었으므로, 조카 이태가 의도왕이 되어 그 제사를 이었다.
2. 2. 사후 추증
어릴 때부터 총명하고 언변이 뛰어났다. 대업 10년(614년)에 16세로 사망했다. 무덕 원년(618년)에 위왕(衛王)으로 추봉되었고, 진주총관·사공의 지위가 추증되었다. 시호는 회(懷)였다.자식이 없었으므로, 조카 이태가 의도왕이 되어 그 제사를 이었다.
2. 3. 가계
이원패는 어릴 때부터 총명하고 언변이 뛰어났다. 대업 10년(614년)에 16세로 사망했다. 무덕 원년(618년)에 위왕으로 추봉되었고, 진주총관·사공의 지위가 추증되었다. 시호는 회(懷)였다.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조카 이태가 의도왕이 되어 그 제사를 이었다.
3. 소설 속 묘사
『설당』 등의 고전 소설에서는, 이현패는 "이원패"로 개자되어 등장한다. 후한의 복파장군 마원이 사용했다고 전해지는 무게 800근의 뇌고옹금추 한 쌍을 휘두르며, 감천관에 집결한 18반왕 180만 군세에 맞서 단 한 기로 싸워 승리를 거둔 맹장으로 묘사된다. 수당 18호한의 필두로 여겨진다.
3. 1. 무용담
이원패는 설당 등의 고전 소설에서 후한의 복파장군 마원이 사용했다고 전해지는 무게 800근의 뇌고옹금추(擂鼓瓮金錘) 한 쌍을 자유자재로 다루는 맹장으로 묘사된다. 감천관(甘泉關) 전투에서 18반왕(十八反王)이 이끄는 180만 대군에 맞서 단기로 싸워 승리하는 등, 압도적인 무용(武勇)을 보여준다.3. 2. 수당 18호걸
『설당』 등의 고전 소설에서는, 후한의 복파장군 마원이 사용했다고 전해지는 무게 800근의 뇌고옹금추 한 쌍을 휘두르는 맹장으로 묘사되며, 감천관에 집결한 18반왕 180만 군세에 맞서 단 한 기로 싸워 승리한다. 이원패는 수당(隋唐) 시대 18명의 뛰어난 호걸(豪傑) 중 첫 번째 인물, 즉 수당제일호한(隋唐第一好漢)으로 꼽힌다.4. 전기 자료
이원패에 대한 기록은 주로 다음 역사서에서 찾아볼 수 있다.
4. 1. 정사(正史)
《구당서》 권64 열전 제14 「위왕현패전(衛王玄霸傳)」, 《신당서》 권79 열전 제4 「위왕현패전(衛王玄霸傳)」참조
[1]
서적
Xin Tang Shu
[2]
서적
Xin Tang Shu
[3]
문서
[4]
서적
Jiu Tang Sh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