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리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천리층은 주로 흑색 또는 암회색 셰일로 구성된 지층으로,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읍 일대에 분포한다. 백악기 시대에 퇴적된 것으로 추정되며, 사암 내 크롬 첨정석과 같은 부수광물과 일본에서 기원된 것으로 해석되는 방산충 화석을 포함한 처트 역, 공룡 발자국 화석, 연질퇴적변형구조 등 다양한 지질학적 특징을 보인다. 기장군 일광읍의 신평소공원, 선바위유원지, 부경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해안 등에서 이천리층의 노두를 관찰할 수 있으며, 신평소공원에서는 공룡 화석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광역시의 지리 - 동래 단층
동래 단층은 부산광역시와 양산시 일대에 위치하며 신생대 고제3기에 활동했고, 북북동 방향으로 연장되며, 도시 개발과 지형에 영향을 미치는 활성단층 여부가 연구 과제로 남아있다. - 부산광역시의 지리 - 이기대 도시자연공원
이기대 도시자연공원은 약 8~7천만 년 전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안산암질 화산암류와 응회질 퇴적암으로 이루어져 지질학적 가치가 높고, '이기대'라는 이름은 좌수영 남쪽 두 기생의 무덤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으며, 여러 영상 매체에도 등장한 곳이다. - 지질공원 - 영월군
영월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하며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에 둘러싸여 동강과 서강이 흐르고, 단종 유배지와 장릉, 김삿갓 유적지 등 역사·문화 유적과 관광지가 있는 고생대 지층의 카르스트 지형과 지하자원이 풍부한 지역이었으나 석탄 산업 쇠퇴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 지질공원 - 동래 단층
동래 단층은 부산광역시와 양산시 일대에 위치하며 신생대 고제3기에 활동했고, 북북동 방향으로 연장되며, 도시 개발과 지형에 영향을 미치는 활성단층 여부가 연구 과제로 남아있다. - 사암 지층 - 퇴적암
퇴적암은 바람, 빙하, 중력, 유수에 의해 운반된 퇴적물이 층상으로 쌓여 압축 및 교결 작용을 거쳐 형성되며, 층리와 화석을 특징으로 하고, 쇄설성, 생화학적, 화학적 퇴적암 등으로 분류된다. - 사암 지층 - 영월군
영월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하며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에 둘러싸여 동강과 서강이 흐르고, 단종 유배지와 장릉, 김삿갓 유적지 등 역사·문화 유적과 관광지가 있는 고생대 지층의 카르스트 지형과 지하자원이 풍부한 지역이었으나 석탄 산업 쇠퇴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이천리층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천리층 |
시대 | 백악기 |
시기 | 백악기 |
![]() | |
유형 | 퇴적암 |
주암질 | 셰일 |
나머지 암질 | 사암 역암 이암 |
이름 따옴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읍 이천리 |
지방 | 경상 분지 |
상위 단위 | 경상 누층군 |
하층 | 불명 |
상층 | 경상 누층군 유천층군 |
범위 | 약 37 km2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읍 |
2. 분포
이천리층은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읍 대부분 지역, 기장읍 일부, 금정구 청룡동 계명산 산정부, 부산진구 초읍동 금정봉 주변 등에 분포한다.[1] 일광 단층이 이천리층 분포지를 가로지른다.[1]
이천리층은 주로 흑색 또는 암회색 셰일로 구성되며, 암회색 세립사암이 극히 소량 함유되어 있다. 일광읍에서 북동 30~45°의 주향과 북서 18~30°의 경사를 보이고, 냉정사 부근에서는 북서 4~32°의 주향과 남서 14~26°의 경사를 보이는 등 분포 지역에 따라 주향과 경사가 크게 변한다.[2]
3. 암상
3. 1. 신평소공원
기장군 일광읍 신평리 신평소공원(일광읍 신평리 11-1) 해안에는 이천리층의 표식지가 드러나 있다. 이곳의 이천리층은 대체로 북동 70°의 주향과 북서 30°내외의 경사를 가지며 해안을 따라 간헐적으로 노출되어 있다. 전반적으로 조립질(역암, 사암)과 세립질(사암, 셰일, 이암) 우세 퇴적층이 수 미터 두께로 반복된다. 방산충 화석을 함유한 처트역과 무척추동물의 생흔 화석이 산출되며, 진동층에서도 보고된 바 있는 양방향 사엽층리, 지진 기원의 연질퇴적변형구조(SSDS; Soft-Sediment Deformation Structures)가 나타난다.[3]
이천리층 사암은 미성숙한 조성과 조직을 보이며 백악기 당시 유라시아 동쪽 가장자리에서 일어난 고태평양판의 섭입에 의해 융기하여 발달한 화산호로부터 단시간에 퇴적물이 생성되어 운반된 것으로 보인다. 사암 내 부수광물로 크롬 첨정석이 다수 관찰되었는데 이는 기원지에 초고철질암이 분포하였음을 의미한다.[4]
이곳의 이천리층에서는 진동층에서 보고된 것과 유사한 기원으로 해석되는 양방향성 사엽층리, 일본에서 기원된 것으로 해석되는 방산충 화석을 포함한 처트 역들과 연질퇴적변형구조, ''Skolithos'' 등과 같은 무척추동물의 생흔 화석, 조각류, 용각류, 수각류를 포함한 공룡발자국 화석과 새발자국 화석, 특이 형태의 척추동물 발자국 화석, 골편(骨片) 화석, 케이로레피드과(Cheirolepidaceae)에 속하는 ''Frenolopsis'' type으로 보이는 구과식물 화석이 확인된다. 국내에서 공룡발자국 화석 산출 퇴적층에 골편 화석이 함께 산출된 경우는 매우 드물다.[1]
4. 지질시대
2014년 이천리층의 사암 내 저어콘 SHRIMP 연대측정을 통해 96 Ma가 보고되었으며, 이는 이천리층이 적어도 9600만 년 전 이후에 퇴적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는 이천리층이 경상 누층군 하양층군 진동층 내지 유천층군 다대포층에 층서적으로 대비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5]
그러나 다대포층에는 열변성에 의한 혼펠스화가 나타나지 않지만, 경상 누층군 진동층과 이천리층 퇴적암에는 혼펠스화가 상당히 진행된 점을 고려하면, 시층서적으로 이천리층이 진동층에 대비될 가능성도 있다.[1]
5. 이천리층의 노두
기장군 일광읍 이천리 선바위유원지, 동백리 수산과학연구소 해안, 신평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등에서 이천리층의 노두를 관찰할 수 있다. 이천리층의 표식지인 기장군 일광읍 신평리 신평소공원 해안에는 이천리층이 잘 드러나 있으며 이천리층 사암은 백악기 당시 유라시아 동쪽에서 일어난 고태평양판의 섭입으로 만들어진 화산호로부터 단시간에 퇴적물이 생성되어 운반된 것이다.[4]
5. 1. 이천리 선바위유원지 해안




일광읍 이천리 선바위유원지(지번 : 기장군 일광읍 이천리 산 1-1) 해안에 드러난 이천리층은 서쪽으로 경사한다.[1]
5. 2. 동백리 수산과학연구소 해안
부경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도로명주소 : 기장군 일광읍 일광로 474) 남동쪽 해안에는 이천리층의 노두가 대규모로 드러나 있으며 이곳은 지질명소가 아니지만 주변에는 무료 주차장(기장군 일광읍 문오성길 39 전면), 공중화장실(문오성길 74), 카페(문오성길 56 B동)와 같은 편의시설들이 다수 있다.




5. 3. 신평소공원
기장군 일광읍 신평리 신평소공원(일광읍 신평리 11-1) 해안에는 이천리층이 잘 드러나 있다. 이곳의 이천리층은 대체로 북동 70°의 주향과 북서 30° 내외의 경사를 가지며 해안을 따라 단속적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전반적으로 조립질(역암, 사암)과 세립질(사암, 셰일, 이암) 우세 퇴적층이 수 미터 두께의 규모로 반복된다. 또한 방산충 화석을 함유한 처트역과 무척추동물의 생흔 화석이 산출되며, 특이 지질구조로 진동층에서도 보고된 바 있는 양방향 사엽층리, 지진 기원의 연질퇴적변형구조(SSDS: Soft-Sediment Deformation Structures)가 나타난다.[3]
이천리층 사암은 미성숙한 조성과 조직을 나타내며 백악기 당시 유라시아 동쪽 연변부에서 일어난 고태평양판의 섭입에 의해 융기하여 발달한 화산호로부터 단시간에 퇴적물이 생성되어 운반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사암 내 부수광물로 크롬 첨정석이 다수 관찰되었는데 이는 기원지에 초고철질암이 분포하였음을 의미한다.[4]
신평소공원은 이천리층을 가장 잘 관찰할 수 있는 곳으로 이곳에서 공룡 화석이 발견되었다. 신평소공원의 지번 주소는 기장군 일광읍 신평리 11-1, 도로명주소는 일광읍 일광로 582-23~582-44 일대이다. 이곳에는 간이 무료주차장과 나무데크길, 배조형물전망대 같은 편의시설이 조성되어 있으며 주변에 카페, 펜션, 식당 등이 있다. 신평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에서는 북동쪽으로 약 4km 떨어진 고리원자력발전소가 육안으로 관측된다.















참조
[1]
웹인용
MGEO 지질정보시스템 1: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
웹인용
東萊·月內 地質圖幅說明書 (동래·월내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8-00-00
[3]
저널
Cretaceous Icheonri Formation at Sinpyeongri Coast, Gijang County, Busan, Korea : Occurrences and values in geological heritage (부산 기장군 신평리 해안에 분포하는 백악기 이천리층: 산상과 지질유산으로서의 가치)
https://www.dbpia.co[...]
2022-03-00
[4]
저널
부산 기장군에 분포하는 백악기 이천리층 사암 조성의 예비 연구: 기원지와 조구조 역사 해석에의 의의 Preliminary Results from Sandstone Petrography of the Icheonri Formation in Gijang-gun, Busan: Implications for Provenance and Tectonic Setting)
https://scienceon.ki[...]
2023-00-00
[5]
저널
Structural chracteristics and evolution of the Ilgwang Fault, SE Korea
https://www.dbpia.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