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산진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진구는 부산광역시의 구로, 1914년 동래군 서면으로 설치된 후 부산부에 편입, 구제를 거쳐 1957년 부산진구로 설치되었다. 1975년 남구가 분리되었고, 1978년 북구가 설치되었으며, 1988년 자치구로 승격되었다. 부산진구는 11개의 법정동과 20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산의 교통 요충지로서 부산 도시철도와 한국철도공사 노선이 지난다. 에어부산 본사, 대우버스 부산공장이 위치해 있으며, 동의대학교 등 여러 대학교와 고등학교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부산진구의 행정 구역 - 전포동
    전포동은 부산 부산진구에 위치하며, 편의시설과 카페거리, 그리고 천연기념물인 구상반려암으로 유명한 동이다.
  • 부산 부산진구의 행정 구역 - 부전동 (부산)
    부전동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에 속하는 법정동으로, 부산의 지리적 중심지인 서면 일대에 위치하며 상업 시설과 주거 시설이 혼재되어 있다.
  • 부산 부산진구 - 서면 (부산)
    서면은 부산광역시 중심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서면교차로를 중심으로 광범위한 상업 지역과 다양한 상권 및 시설들이 복합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부산 도시철도 서면역과 버스 노선이 집중된 시내 교통의 요충지로서, 1930년대 이후 급속한 발전을 거쳐 현재 부산의 대표적인 도심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 부산 부산진구 - 부산시민공원
    부산시민공원은 일제강점기 경마장과 미군 기지를 거쳐 조성되었으며, 2006년 부산시에 반환된 후 환경 정화 과정을 거쳐 2014년 5월 1일 개장한 공원이다.
  • 부산광역시의 구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부산광역시의 구 - 서구 (부산광역시)
    서구는 부산광역시의 구로, 해방 이후 서부출장소에서 구제로 개편되어 현재 13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었으며, 남해 바다와 접하고 온대계절풍 기후의 영향을 받으며, 송도해수욕장, 임시수도기념관, 송도해상케이블카 등의 시설이 있다.
부산진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부산진구 지도
부산진구 지도
기본 정보
이름부산진구
한자 표기釜山鎭區
로마자 표기Busanjin-gu
맥큔-라이샤워 표기Pusanjin-ku
행정 구역 유형자치구
관할 지역영남
광역 자치 단체부산광역시
하위 행정 구역20개 행정동
지리
면적29.67 km²
인구
총 인구361,437명
인구 밀도13,880명/km²
인구 조사 기준일2024년 9월
사용 언어경상도
정치 및 행정
구청장김영욱
구청장 소속 정당국민의힘
국회의원 (갑)정성국(국민의힘)
국회의원 (을)이헌승(국민의힘)
행정동 수20개
상징
구의 나무은행나무
구의 꽃국화
구의 새까치
기타 정보
웹사이트부산진구청
부산진구 깃발
부산진구 깃발

2. 역사


  • 1914년 4월 1일 - 동래군 서면이 설치되었다.
  • 1936년 4월 1일 - 동래군 서면이 부산부에 편입되어 부산진출장소가 설치되었다.
  • 1949년 8월 15일 - 부산부가 부산시로 개칭되었다.
  • 1957년 1월 1일 : 구제(區制)가 실시되어 경상남도 부산시 부산진구가 설치되었다.[8] 이때 부전동, 범전동, 연지동, 초읍동, 양정동, 전포동, 부암동, 당감동, 개금동, 가야동, 대연동, 용호동, 감만동, 우암동, 용당동, 문현동 및 범일동 일부 지역을 포함하였다.
  • 1959년 1월 1일 : 범일동의 각 행정동명을 범천동으로 개칭하였다.
  • 1963년 1월 1일 : 부산시가 정부직할이 되었고, 동래군 구포읍사상면을 부산진구에 편입하였다.[9][10] 성지동을 연지동·초읍동으로, 가야동을 가야동·개금동으로 분동하였다. (38행정동)
  • 1966년 1월 1일: 범천2동을 범천2동과 범천4동으로 분동하였다. (39행정동)
  • 1970년 7월 1일: 양정동을 양정1동·양정2동으로, 전포1동을 전포1동·전포3동으로, 가야동을 가야1동·가야2동으로, 대연동을 대연1동·대연2동으로 분동하였다. (43행정동)
  • 1970년 10월 1일: 당감1동을 당감1동과 동평동으로 분동하였다. (44행정동)
  • 1975년 1월 1일: 개금동을 개금1동·개금2동으로, 용호동을 용호1동·용호2동으로 분동하였다. (46행정동)
  • 1975년 10월 1일 : 대연출장소, 문현(1·2)동, 범천3동과 동래구 수영출장소를 관할로 남구가 설치되고, 구포출장소와 사상출장소를 폐지해 시 직할의 북부출장소가 설치되었다.[11] 전포2동을 전포2동과 전포4동으로 분동하였다. (36행정동)
  • 1978년 2월 15일 : 부산진구의 일부를 분리하여 북구가 설치되었다.[12] 금성동동래구로 이관하였다. (22행정동)
  • 1979년 1월 1일: 당감1동을 당감1동·당감3동으로, 동평동을 동평1동·동평2동으로, 가야2동을 가야2동·가야3동으로 분동하였다. (25행정동)
  • 1979년 8월 8일: 양정1동을 양정1동·양정3동으로, 양정2동을 양정2동·양정4동으로, 부암동을 부암1동·부암2동으로, 개금1동을 개금1동·개금3동으로 분동하였다. (29행정동)
  • 1982년 5월 1일: 법정동 범일동의 명칭을 범천동으로 변경하였다. 동평1동, 동평2동을 각각 당감4동, 부암3동으로 개칭하였다.
  • 1988년 5월 1일 : 부산진구가 자치구로 승격되었다.
  • 1995년 1월 1일 :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개칭되어 부산광역시 부산진구가 되었다.[13]
  • 1998년 7월 1일: 양정1동·양정3동을 양정1동으로, 양정2동·양정4동을 양정2동으로, 전포2동·전포4동을 전포2동으로, 부암1동·부암2동을 부암1동으로 합동하였다. (25행정동)
  • 2013년 2월 1일 : 당감3동을 당감1동으로, 가야3동을 가야1동으로 합동하였다.[14] (23행정동)
  • 2015년 1월 1일 : 범전동을 부전1동으로, 전포3동을 전포1동으로 합동하고, 가야1동의 일부가 가야2동에 편입되었다.[15] (21행정동)
  • 2015년 12월 6일 : 양정1동 중 유림아시아드 아파트 지역을 연제구 거제4동에 편입하였다.[16]
  • 2016년 1월 1일 : 범천4동을 범천2동으로 합동하였다.[17] (20행정동)

3. 지리

부산진구는 북부, 남서부, 동남부가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남쪽으로는 서구, 동구, 남구와 접하고, 동쪽으로는 연제구, 서쪽으로는 사상구와 인접하며, 북쪽으로는 북구, 동래구와 접한다.

부산진구 남서쪽에는 부산항 뒤편에 있는 구덕산이 있어 부산 중심부는 산과 바다 사이에 있는 지형을 이룬다. 부산진구는 부산 원도심에서 북쪽으로 갈 때의 출입구에 해당하며, 시내와 시외 교통의 요충지이다. 시외에서 부산으로 들어오는 철도(경부선)와 고가도로는 산지를 피해 부산진구 내부를 우회하여 지나간다.

4. 행정 구역

1957년 1월 1일 구제(區制)가 실시되어 경상남도 부산시 부산진구가 설치되었다.[8] 1963년 1월 1일 부산시가 정부직할이 되었고, 동래군 구포읍사상면이 부산진구에 편입되었다.[9][10]

1975년 10월 1일 남구가 설치되고, 시 직할의 북부출장소가 설치되었다.[11] 1978년 2월 15일에는 북구가 설치되었다.[12]

1988년 5월 1일 부산진구는 자치구로 승격되었고, 1995년 1월 1일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개칭되어 부산광역시 부산진구가 되었다.[13] 이후 행정동 통폐합 과정을 거쳐 2016년 1월 1일 범천4동범천2동으로 합동하여[17] 현재 20개의 행정동이 있다.

4. 1. 법정동 및 행정동

부산진구는 11개의 법정동, 20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산진구 행정구역


행정동한자면적 (km2)인구 (명)세대
부전1동釜田1洞1.23km215,5699,727
부전2동釜田2洞0.71km210,1115,540
연지동蓮池洞0.99km220,6528,540
초읍동草邑洞5.91km222,45710,033
양정1동楊亭1洞1.19km220,5489,094
양정2동楊亭2洞0.89km213,0707,820
전포1동田浦1洞1.78km218,08910,459
전포2동田浦2洞1.14km221,40311,286
부암1동釜岩1洞0.8km222,7489,534
부암3동釜岩3洞1.83km218,1897,057
당감1동堂甘1洞2.44km224,15110,489
당감2동堂甘2洞0.86km210,3504,539
당감4동堂甘4洞0.87km211,9305,232
가야1동伽倻1洞2.03km220,18710,356
가야2동伽倻2洞1.17km217,1017,247
개금1동開琴1洞0.58km217,2758,866
개금2동開琴2洞0.92km211,5345,070
개금3동開琴3洞2.03km229,76912,382
범천1동凡川1洞0.55km212,0267,155
범천2동凡川2洞1.77km220,60910,198
부산진구釜山鎭區29.69km2357,768170,624




5. 인구

2020년 8월 현재 부산진구의 인구는 다음과 같다.

행정동한자면적 (1km2)인구 (명)세대
부전1동釜田1洞1.23km215,5699,727
부전2동釜田2洞0.71km210,1115,540
연지동蓮池洞0.99km220,6528,540
초읍동草邑洞5.91km222,45710,033
양정1동楊亭1洞1.19km220,5489,094
양정2동楊亭2洞0.89km213,0707,820
전포1동田浦1洞1.78km218,08910,459
전포2동田浦2洞1.14km221,40311,286
부암1동釜岩1洞0.8km222,7489,534
부암3동釜岩3洞1.83km218,1897,057
당감1동堂甘1洞2.44km224,15110,489
당감2동堂甘2洞0.86km210,3504,539
당감4동堂甘4洞0.87km211,9305,232
가야1동伽倻1洞2.03km220,18710,356
가야2동伽倻2洞1.17km217,1017,247
개금1동開琴1洞0.58km217,2758,866
개금2동開琴2洞0.92km211,5345,070
개금3동開琴3洞2.03km229,76912,382
범천1동凡川1洞0.55km212,0267,155
범천2동凡川2洞1.77km220,60910,198
부산진구釜山鎭區29.69km2357,768170,624



연도총인구비고
1966년426,496명
1970년580,665명
1975년785,330명
1980년503,003명1975년 남구 분리[18], 1978년 북구 분리[19]
1985년515,424명
1990년515,235명
1995년475,280명
2000년433,666명
2005년406,718명
2010년395,703명
2015년386,668명
2020년357,284명


6. 정치

부산진구의 북쪽 지역은 부산진구 갑이, 남쪽 지역은 부산진구 을이 대표한다.

7. 경제

에어부산 본사가 부산진구에 있다.[2]

대우버스 부산공장이 위치해 있다.[3]

부산시민공원(구 캠프 하야리아)은 부산진구에 위치한 과거 일제 군 시설이자 미군 캠프이다.

8. 교통

부산진구에는 한국철도공사동해선, 부전선, 가야선부산교통공사에서 운영하는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이 지난다.

8. 1. 도시 철도


8. 2. 철도

한국철도공사 동해선[5]

: 범일역 - 부전역

한국철도공사 부전선

: 가야역 - 부전역

한국철도공사 가야선

: 가야역 - 범일역

부산교통공사 1호선

: 범일역 - 범내골역 - 서면역 - 부전역 - 양정역

부산교통공사 2호선

: 다대포항역 - 서면역 - 부암역 - 가야역 - 동의대역 - 개금역

노선구간
1호선시청역 ↔ 양정역부전역서면역(2호선 환승) ↔ 범내골역범일역
2호선냉정역개금역동의대역가야역부암역서면역(1호선 환승) ↔ 전포역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
동해선 광역철도(시/종착역) ↔ 부전역태화강역


9. 교육

동의대학교


부산진구에는 여러 대학교와 고등학교가 있다.


10. 자매 도시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9-01
[2] 웹사이트 info_person.html https://web.archive.[...] 2010-02-14
[3] 웹사이트 Busan Plant http://www.daewoobus[...] 2008-12-01
[4]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5] 일반
[6] 웹인용 2024년 11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7]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8] 법률 부산시구설치에관한법률 1956-12-17
[9] 법률 부산시정부직할에관한법률 1962-11-21
[10] 법률 부산시구설치에관한법률 1962-12-31
[11] 대통령령 구의증설및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5-09-23
[12] 일반
[13] 법률 지방자치법 1994-12-22
[14] 조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행정운영동의 설치 및 동장정수 조례 2012-12-24
[15] 조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행정운영동의 설치 및 동장정수 조례 2014-12-09
[16] 대통령령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와 연제구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2015-11-26
[17] 조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행정운영동의 설치 및 동장정수 조례 2015-12-08
[18] 일반
[19]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