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식 (1945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태식은 1945년 경상북도 경주시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존스 홉킨스 대학교 대학원 SAIS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73년 외무고시에 합격하여 외교관 생활을 시작했으며, 주 라이베리아 3등서기관, 주 필리핀 대사관 3등서기관, 주 미국 대사관 1등서기관 등을 역임했다. 이후 안보전략연구부 연구관, 국제경제국심의관, 외무부 통상국장을 거쳐 한반도 에너지 개발 기구 사무차장, 주 이스라엘 대사, 외교통상부 차관보, 주 영국 대사, 외교통상부 차관, 주 미국 대사를 역임했다. 주미 대사 임명 후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환영을 받았다. 2011년에는 제주특별자치도 국제고문단, 재단법인 한미동맹재단 고문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스라엘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정의용
정의용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외교부에서 다양한 직책을 역임하고 국회의원과 문재인 정부의 국가안보실장 및 외교부 장관을 지냈으며,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 개최에 기여했으나 북한 선원 강제 북송 사건으로 기소되었다. - 이스라엘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신각수
신각수는 서울대학교에서 법학 학위를 받고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 주이스라엘 대한민국 대사, 외교통상부 제1차관 등을 역임했으며, 퇴임 후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한 발언과 함께 욱일대수장을 수여받았다. - 대한민국의 외교통상부 차관 - 천영우
천영우는 외무고시를 통해 외교관으로 시작하여 외교통상부, 주유엔대표부, 주영국 대사 등을 역임하고,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 한반도평화교섭본부 본부장, 제2차관, 대통령실 외교안보수석비서관을 거쳐 현재 한반도미래포럼 이사장 등으로 활동한다. - 대한민국의 외교통상부 차관 - 김성환 (1953년)
김성환(1953년)은 외무고시 합격 후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여러 국가의 대사를 역임하고 외교통상부 장관을 지냈으며, 현재는 대학교수, 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 영국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천영우
천영우는 외무고시를 통해 외교관으로 시작하여 외교통상부, 주유엔대표부, 주영국 대사 등을 역임하고,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 한반도평화교섭본부 본부장, 제2차관, 대통령실 외교안보수석비서관을 거쳐 현재 한반도미래포럼 이사장 등으로 활동한다. - 영국 주재 대한민국 대사 - 김용우 (정치인)
김용우는 배재고등보통학교와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하고 서울특별시 후생국장, 국회의원, 국방부 차관 및 장관, 주영국 대사, 대한적십자사 총재 등을 역임했으며, 동양방송 TV를 설립하고 국방부 장관 재직 시 안식교 신자 병사 배치를 지시했으며, 주영국 대사 재임 중 해임되었다.
이태식 (1945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지 | 서라벌, 남한 (현재 경상북도 경주시) |
출생일 | 1945년 10월 26일 |
직업 | 외교관 |
학력 | 서울대학교 (1970년) |
주요 경력 | |
직위 |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 |
임기 시작 | 2005년 11월 10일 |
임기 종료 | 2009년 3월 |
대통령 | 노무현, 이명박 |
전임 | 홍석현 |
후임 | 한덕수 |
직위 | 주이스라엘 대한민국 대사 |
대통령 | 김대중 |
임기 시작 | 2000년 7월 |
임기 종료 | 2002년 2월 |
한국어 이름 정보 | |
한글 | 이태식 |
문화관광부 로마자 표기 | I Taesik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Yi T'aesik |
2.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했다. 존스홉킨스대학교 대학원 SAIS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73년 외무고시에 합격했다.[1]
3. 경력
1975년 주 라이베리아 3등서기관으로 근무했다.
1977년 주 필리핀 대사관 3등서기관으로 근무했다.
1981년 주 미국 대사관 1등서기관으로 근무했다.[1]
1987년 안보전략연구부 연구관을 역임했다.
1992년 국제경제국심의관을 역임했다.
1997년 외무부 통상국장을 역임했다.
1998년 한반도 에너지 개발 기구 사무차장을 역임했다.
2000년 주 이스라엘 대사를 역임했다.[1]
2002년 외교통상부 차관보를 역임했다.
2003년 주 영국 대사를 역임했다.[1]
2005년 외교통상부 차관을 역임했다.
2005년 주 미국 대사를 역임했다.[1][2]
2011년 제주특별자치도 국제고문단, 재단법인 한미동맹재단 고문을 역임하였다.
3. 1. 외교관 경력
이태식은 1945년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태어나, 1970년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했다. 1973년 외무고시에 합격하여 외교관 생활을 시작했다.[1]
1975년 주 라이베리아 3등서기관을 시작으로, 1977년 주 필리핀 대사관 3등서기관, 1981년 주 미국 대사관 1등서기관을 역임했다.[1] 1987년에는 안보전략연구부 연구관, 1992년 국제경제국심의관, 1997년 외무부 통상국장을 거쳤다. 1988년에는 존스 홉킨스 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을 졸업했다.
1998년 한반도 에너지 개발 기구 사무차장을 역임하고, 2000년부터 2002년까지 주 이스라엘 대사를 지냈다.[1] 이후 2002년 외교통상부 차관보, 2003년 주 영국 대사를 역임했다.[1] 2005년에는 외교통상부 차관을 거쳐, 같은 해 10월부터 2009년 2월까지 주 미국 대사를 역임했다.[1][2] 주미 대사 임명 후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환영을 받았다.
2011년 제주특별자치도 국제고문단, 재단법인 한미동맹재단 고문을 역임하였다.
3. 2. 기타 경력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1945년에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1970년에 졸업하였다. 1973년 외무고시에 합격하여 외무부에 입성했다. 한반도 에너지 개발 기구 사무차장, 2000년-2002년 주 이스라엘 대사, 2002년-2003년 외교통상부 차관보, 2003년-2004년 주 영국 대사, 2005년 외교통상부 차관, 2005년-2009년 주 미국 대사를 역임했다.
4. 비판 및 논란
4. 1. 참여정부 시절 대북 정책 관련 논란
4. 2. 한미 FTA 관련 논란
참조
[1]
뉴스
South Korean ambassador to the United States Tae-sik Lee to give 2008 Graduate Commencement address
http://www.vtnews.vt[...]
Virginia Tech News
2008-04-20
[2]
웹사이트
Diplomatic Representation for South Korea
https://2001-2009.st[...]
Office of the Chief of Protocol
2013-06-07
[3]
뉴스
駐米大使に李泰植外務次官内定
http://japanese.dong[...]
東亜日報
2007-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