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폴리트 보그다노비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폴리트 보그다노비치는 18세기 러시아의 시인, 번역가, 문예지 편집자이다. 그는 우크라이나 출신으로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수학하며 문학 활동을 시작했다. 프랑스 계몽주의 사상을 전파하며, 문예지 《보잘것없는 습작》을 통해 볼테르, 엘베시우스 등의 저술을 소개했다. 대표작으로는 서사시 《더없이 큰 행복》, 시집 《리라》, 우화 <꿀벌과 호박벌>, 그리고 라 퐁텐의 작품을 재작업한 《두셴카》 등이 있다. 보그다노비치는 18세기 러시아 문학에서 계몽주의 사상을 전파하고 경시(輕詩) 장르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그의 작품은 푸시킨 등 후대 문인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03년 사망 - 조지 배스
    영국의 해군 군의관이자 탐험가인 조지 배스는 매슈 플린더스와 함께 오스트레일리아 남동부 해안을 탐험하고 태즈메이니아가 섬임을 확인했으며, 그의 이름을 딴 배스 해협이 생겨났으나 1803년 항해 중 실종되었다.
  • 1803년 사망 - 프리드리히 고틀리프 클로프슈토크
    프리드리히 고틀리프 클로프슈토크는 18세기 독일의 시인이자 작가로, 서사시 《메시아》를 통해 독일 문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언어 및 문헌학 연구에도 기여했으며 미국 독립 전쟁과 프랑스 혁명에도 관심을 가진 인물이다.
  • 1743년 출생 - 니콜라 드 콩도르세
    니콜라 드 콩도르세는 프랑스의 수학자, 철학자, 정치인이자 계몽주의 사상가로서, 수학 분야에서 업적을 남기고 프랑스 혁명 기간 동안 진보적인 정치 사상을 펼쳤으며, 인류의 무한한 진보를 전망한 『인간 정신 진보의 역사적 개관 초고』와 선거 방법론을 다룬 『다수결의 결정 확률에 대한 분석의 적용에 관한 논문』 등의 저서를 남겼다.
  • 1743년 출생 -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야코비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야코비는 독일의 철학자, 작가, 사업가로, 칸트 등 독일 관념론 철학을 비판하고 이성과 믿음의 관계에 대한 독자적인 사상을 제시했으며, 독일 사상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우크라이나계 러시아인 - 알렉세이 나발니
    알렉세이 나발니는 러시아의 변호사이자 정치 활동가, 반부패 운동가로서, 러시아 정부 고위층의 부정부패 폭로와 블라디미르 푸틴 정권 비판 활동으로 국제적 명성을 얻었으나, 독살 시도 후 체포 및 투옥되었고, 그의 활동과 사망은 엇갈린 평가와 국제적 비난을 야기했다.
  • 우크라이나계 러시아인 - 예브게니 프리마코프
    예브게니 프리마코프는 소련과 러시아의 정치인, 외교관, 학자로, KGB 협력자, 소련 최고회의 의장, 러시아 외국정보국 국장, 외무장관, 총리 등을 역임하며 '프리마코프 독트린'을 통해 러시아의 국익을 대변하고 경제 위기 극복에 기여한 인물이다.
이폴리트 보그다노비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폴리트 보그다노비치
이폴리트 보그다노비치
본명이폴리트 표도로비치 보그다노비치
출생1743년 12월 23일
출생지페레볼로치나, 폴타바 연대, 코사크 헤트만국
사망1803년 1월 6일
사망지쿠르스크, 쿠르스크 현, 러시아 제국
국적러시아
직업시인, 편집자
활동 기간알 수 없음
대표 작품시 "두셴카"
사조로코코
교육알 수 없음
모교모스크바 제국 대학교(1763년)

2. 생애

이폴리트 보그다노비치는 1744년 우크라이나의 가난한 귀족 집안에서 태어나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공부했다. 문학 경력을 쌓은 후 드레스덴 주재 러시아 대사관에서 비서로 근무했으며,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돌아와 ''베도모스티''를 편집했다. 1788년 국가 기록 보관소 소장을 역임했고, 볼테르, 디드로, 루소의 작품을 번역했다.

1778년 출판된 ''두셴카''는 아풀레이우스의 작품을 러시아 민담으로 재해석한 장시로, 보그다노비치의 대표작이다. 이 작품은 외설적인 구절로 인해 큰 인기를 얻었으며, 경시(輕詩)의 대가로 인정받는 계기가 되었다. 예카테리나 2세는 그에게 에르미타주 극장 희극 집필을 의뢰했다.[2]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744년 우크라이나의 가난한 귀족 집안에서 태어났다. 열 살 무렵 모스크바로 보내져 최고 재판소 부속 수학 전문학교에서 수학했다. 시, 음악, 연극에 관심을 보인 보그다노비치는 미하일 헤라스코프와 가까워졌고, 그의 승인으로 모스크바 대학교에 입학했다.

1760년~1762년 보그다노비치는 헤라스코프가 발간하던 문예지 《유익한 유흥》에 참여해 자작시를 실었다. 이 시기 파닌, 다슈코바 등과 교류했다. 특히 다슈코바의 후원으로 문예지 《보잘것없는 습작》을 발간했으나, 약 6개월 만에 폐간되었다.

2. 2. 외교 및 문학 활동

1766년 보그다노비치는 페테르부르크로 이동하여 외무성 통역관으로 근무했으며, 드레스덴 주재 러시아 대사관에서 약 3년 동안 사무관으로 근무했다. 러시아로 귀국한 후에도 외무성에서 계속 근무했다. 그는 ≪저녁≫, ≪러시아 문학 애호가들의 지침서≫, ≪월간 신작들≫ 등 여러 문예지에 공동 편집진으로 참여하면서 서정시, 송시, 시편, 목가시 등을 번역하여 기고했다.

보그다노비치는 프랑스 계몽주의 사상을 전파하며 18세기 러시아의 유명한 저술가 중 한 명이 되었다. 그가 편집한 문예지 ≪보잘것없는 습작≫에서는 볼테르, 엘베시우스 등의 저술을 번역하여 소개했다. 이 문예지 1호에는 <신분 평등에 대한 연설>이라는 시와 볼테르의 <리스본 지진에 대한 시>가 실렸는데, 이 작품들은 인류애를 표방하며 관념론적 낙관주의를 비판했다.

1765년에는 교훈적 서사시 ≪더없이 큰 행복≫을 출판하여 인간의 기본권에 대한 이론을 제시하고, 물질적 평등과 사유 재산의 부재를 통한 보편적 행복을 주장했다.

2. 3. 후기 생애 및 작품 활동

보그다노비치는 1773년 시집 《리라》를 출간했다. 이 시집에는 국민의 행복이 자유에서 나온다고 생각한 프랑스 작가 마르몽텔 작품들의 번역본과 보그다노비치 본인의 자작시들이 포함되었다. 그는 <꿀벌과 호박벌(Пчёлы и шмель)>이라는 우화에서 일을 하지 않고 즐기기만 하는 귀족들을 수벌(게으름뱅이)에 비유하며 비판했다. 그러나 푸가초프의 난 이후로는 그의 저작에서 사회 개혁적 모티프가 사라졌다. 그는 자신이 견지하던 자유사상에서 한발 물러서며, 궁중 시인으로서의 자리를 지켰다.[1]

1780년 상트페테르부르크 문서국에서 근무했다. 1775∼1782년에는 정부 기관지인 《상트페테르부르크 통보》를 발행했다. 1785년 예카테리나 2세의 칙령에 따라 《러시아 격언들》이라는 작품집을 출간했다. 그러나 이 작품집에서 러시아 민속 문학은 정부 차원에서의 애국심을 고취하는 수단으로 변질되었고, 민중의 신앙심과 정중함을 입증하는 사례로서 사용될 뿐이었다. 보그다노비치는 격언을 바탕으로 희곡과 서정적인 희극인 <두셴카의 기쁨>을 썼지만, 독자층으로부터 아무런 반향도 불러일으키지 못했다. 1786년 투만스키와 공동으로 문예지 《세계의 거울》을 편찬했다. 1788년 문서국장을 맡았고, 1796년 퇴임한 후 쿠르스크로 이주하여 1803년 1월 6일(18일) 그곳에서 생을 마감했다.

3. 대표작 《두셴카》

보그다노비치는 《두셴카》를 1778년에 출판하여 지속적인 명성을 얻었다.[1] 이 장시는 풍자 서사시와 유사하며, 라 퐁텐의 《프시케》를 재작업한 것이다. 아풀레이우스의 원작을 러시아 민담으로 독창적으로 각색했다. 1783년 최종판은 다소 외설적인 구절로 인해 즉시 인기를 얻었다. 라 퐁텐의 여주인공을 "중간 계층의 귀족 가문 출신의 살아있는 현대적인 소녀"로 묘사했다.[1] 《두셴카》 출판 이후, 보그다노비치는 경시(輕詩)의 최고 실천가로 인정받고 다쉬코바 공주의 문학 서클에 입문했으며, 러시아의 예카테리나 2세는 에르미타주 극장을 위한 여러 희극을 쓰도록 의뢰했다. 영어 번역본은 ''18세기 러시아 문학'' 선집에서 찾아볼 수 있다.[2]

3. 1. 《두셴카》에 대한 평가

표도르 톨스토이의 신고전주의 삽화 중 하나인 《두셴카》(1820-33).


1841년까지 보그다노비치의 대표작 《두셴카》는 15판을 거쳤다. 오늘날 이 작품은 주로 표도르 톨스토이의 신고전주의 삽화와 푸시킨의 작품, 예를 들어 《예브게니 오네긴》 등에 인용된 것으로 기억된다.[3] 실제로 《두셴카》는 어린 푸시킨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푸시킨은 리체 시절 이 시를 열렬히 읽었지만, 나중에는 보그다노비치의 시를 미성숙하다고 여겨 버렸다.

나보코프는 《두셴카》에 대한 당대의 의견을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 "4보격 구절의 가벼움과 진주빛 재치는 젊은 푸시킨의 예술을 예감하게 한다. 이는 러시아 시의 발전에 있어서 중요한 단계이며, 그 소박한 구어체 멜로디는 푸시킨의 직접적인 선배들인 카람진, 바튜시코프, 주콥스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3]

4. 영향 및 유산

보그다노비치는 18세기 러시아 문학에서 계몽주의 사상을 전파하고, 경시(輕詩) 장르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그의 작품, 특히 《두셴카》는 당대와 후대 러시아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푸시킨을 비롯한 많은 작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그의 문학적 업적과 사회적 활동은 러시아 문화와 역사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남아 있다. 한국에서는 러시아 문학 전공자들을 중심으로 그의 생애와 작품이 연구되고 있으며, 그의 작품이 지닌 계몽주의적 가치와 예술성은 한국 독자들에게도 충분히 어필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평가받는다.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Russian Litera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2] 서적 The Literature of Eighteenth-Century Russia, Vol. II E.P. Dutton & Co., Inc. 1967
[3] 서적 Eugene Onegin: A Novel in Verse: Commenta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