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풀레이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풀레이우스는 2세기 로마 제국 시대의 작가이자 철학자로, 북아프리카 누미디아의 마다우루스에서 태어났다. 그는 카르타고와 아테네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플라톤 철학을 공부하고 소아시아와 이집트를 여행하며 다양한 종교와 철학을 탐구했다. 그의 주요 작품으로는 라틴어 소설인 《황금 당나귀》, 변론문인 《변론》, 그리고 연설문 모음집인 《플로리다》 등이 있다. 아풀레이우스는 마법 혐의로 재판을 받았으나, 자신의 웅변으로 무죄를 입증했으며, 이후 문학 활동에 전념했다. 그의 사망 시기와 장소는 알려지지 않았으며, 170년 이후의 기록이 없어 그 무렵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4년 출생 - 임안 (후한)
임안은 후한 말의 인물이다.
아풀레이우스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아풀레이우스 |
로마자 표기 | Apuleius |
출생 | 기원후 124년경 |
출생지 | 마다우로스, 누미디아 |
사망 | 기원후 170년경 |
직업 | 소설가, 작가, 대중 연설가 |
주요 작품 | 황금 당나귀 |
학파 | 중기 플라톤주의 |
이름 발음 |
2. 생애
아풀레이우스의 생애에 관한 정보는 대부분 그의 변론(Apology)과 플로리다(Florida)(그의 훌륭한 연설 중 일부 발췌)에서 얻을 수 있다. 그는 로마에서 라틴 수사학을 공부하고 북아프리카로 돌아가기 전 법정 변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풀레이우스는 자신의 집을 매춘굴로 만들고 아내를 매춘부로 만든 원수를 고발하기도 했다.[16]
2. 1. 출생과 교육
아풀레이우스는 북아프리카 해안의 누미디아에 위치한 로마 식민지 마다우루스(오늘날 알제리의 메다우루슈)에서 태어났다. 그는 자신을 "누미디아인과 가에툴리아인의 혼혈"이라고 묘사했다.[5] 그의 아버지는 지방 자치 관리관(duumvir)[5]이었으며, 사망 시 두 아들에게 거의 를 유산으로 남겼다.[7] 아풀레이우스는 카르타고와 아테네에서 공부했는데, 아테네에서는 플라톤 철학을 공부했다.[8]2. 2. 여행과 종교적 탐구
아풀레이우스는 로마, 소아시아, 이집트를 광범위하게 여행하며 철학과 종교를 연구했고, 이 과정에서 자신의 유산을 다 써 버렸다.[8] 그는 디오니소스 신비 의식을 포함한 여러 그리스-로마 신비 의식의 입문자였다.[9] 아스클레피오스의 사제였으며,[10] 아우구스티누스에 따르면,[11] 카르타고 지방의 사제(sacerdos provinciae Africae)였다.2. 3. 마법 혐의와 재판
아풀레이우스는 고향으로 돌아온 지 얼마 되지 않아 알렉산드리아로 새로운 여행을 떠났다.[12] 가는 길에 오에아(Oea)(오늘날 트리폴리) 마을에서 병이 들었고, 아테네에서 공부할 때 친구였던 시키니우스 폰티아누스(Sicinius Pontianus)의 집에서 신세를 졌다.[12] 폰티아누스의 어머니인 푸덴틸라(Pudentilla)는 매우 부유한 과부였다. 아들의 동의, 아니 오히려 격려하에 아풀레이우스는 그녀와 결혼하기로 합의했다.[13] 한편 폰티아누스 자신은 헤레니우스 루피누스(Herennius Rufinus)의 딸과 결혼했는데, 그는 푸덴틸라의 재산이 가족 밖으로 나가는 것을 분개하여 사위와 어린 남동생 시키니우스 푸덴스(Sicinius Pudens) 그리고 그의 아버지의 삼촌 시키니우스 에밀리아누스(Sicinius Aemilianus)와 함께 아풀레이우스가 마법으로 푸덴틸라의 마음을 얻었다고 고발했다.[14] 이 사건은 트리폴리 근처 사브라타(Sabratha)에서 기원후 158년경 아프리카(Africa)의 속주 총독 클라우디우스 막시무스(Claudius Maximus) 앞에서 심리되었다.[15] 고발 내용은 어리석어 보였고, 아풀레이우스는 활기차고 승리에 찬 변론을 통해 무죄를 주장했는데, 이 변론은 아직까지 남아 있다. 이것은 변론(마법에 대한 논고)(Apologia (A Discourse on Magic))으로 알려져 있다.[2]2. 4. 이후의 삶과 죽음
재판 이후 아풀레이우스는 카르타고에 거주하며 저술 활동에 전념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대중 연설가로서도 명성을 얻었으며, 카르타고와 마다우로스에는 그의 조각상이 세워졌다.[17][18][19][31] 그의 사망 시기와 장소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20][21] 170년 이후의 기록이 없는 것으로 보아 그 무렵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2]3. 주요 작품
- 『황금 당나귀』 (『변신』): 마술에 관심을 가진 주인공 루키우스가 실수로 당나귀로 변하고, 여러 시련을 겪은 후 이시스의 신비 의식으로 다시 인간이 된다는 내용의 소설이다. 로마 시대 라틴어 소설 중 유일하게 현존하는 완전한 작품이다.[31]
- 『변명(Apologia)』: 마법 혐의로 고발당한 아풀레이우스가 자신을 변호하기 위해 제출한 변론문이다.
- 『플로리다(Florida)』: 아프리카에서의 연설 중에서 발췌한 명구집으로, 전 4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 『플라톤과 그의 교설』
- 『소크라테스의 신에 관하여』
- 가짜 아리스토텔레스의 『천체론』: 그리스어에서 라틴어로 번역한 작품이다.
- 『변론』
3. 1. 『황금 당나귀』 (Metamorphoses)
《황금 당나귀》(Asinus Aureusla) 또는 《변신 이야기》(Metamorphoses)는 완전한 형태로 전해지는 유일한 라틴어 소설이다. 이 작품은 상상력이 풍부하고, 불경스러우며, 재미있는 이야기로, 플루타르코스와 케로네이아의 섹스투스의 친척이라고 소개하는 루키우스의 모험을 다룬다. 루키우스는 마법을 실험하다가 우연히 당나귀로 변하게 된다. 당나귀가 된 그는 여러 특이한 일들을 보고 들으며 곤경을 겪는다. 이러한 틀 이야기 안에는 많은 삽화 이야기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중 가장 긴 이야기는 큐피드와 프시케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는 고대 문학 텍스트에 보존된 희귀한 동화의 예이다.[4]《변신 이야기》는 다시 인간이 된 주인공 루키우스가 이시스 신비 종교에 입문하고자 하는 열망으로 끝맺는다. 그는 금단의 음식을 삼가고, 목욕하고, 정화한다. 그는 ''이시스의 배''를 소개받는다. 그런 다음 종교 서적의 비밀이 그에게 설명되고, 지하 세계로 여행하는 동안 겪는 4원소 시련을 포함하는 입문 과정을 거치기 전에 더 많은 비밀이 밝혀진다. 루키우스는 로마에서 오시리스 종교에 입문하라는 요청을 받고, 결국 이시스와 오시리스를 섬기는 사제단인 ''파스토포로이(pastophoroi)''에 입문한다.[23]
루키우스가 마술에 관심을 가지고 실수로 당나귀로 변했다가 여러 시련을 겪은 후, 이시스의 신비 의식으로 다시 인간으로 돌아온다는 내용의 소설이다. 로마 시대 라틴어 소설 중 완전히 현존하는 유일한 것이다.[31]
3. 2. 『변론』 (Apologia)
변명론la(Apulei Platonici pro Se de Magia)은 158-159년 사브라타에서 마법 혐의로 고발당한 아풀레이우스가 총독 클라우디우스 막시무스 앞에서 자신을 변호하기 위해 제출한 변론문이다.[24] 변론은 전통적인 서론과 결론 사이에 세 부분으로 나뉜다.# 아풀레이우스는 자신의 사생활에 대한 비난을 반박한다. 그는 푸덴틸라와 결혼함으로써 이익을 추구한 동기가 없었으며, 지적, 도덕적으로 상대방을 압도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 그는 자신의 소위 "마법 행위"가 실제로는 아리스토텔레스와 히포크라테스를 모방한 과학적 실험이거나, 로마 플라톤주의자의 종교적 행위였다는 것을 증명하려고 시도한다.
# 그는 자신이 오에아에 도착한 이후 발생한 사건들을 재구성하여 그에 대한 반박 주장들을 무력화시킨다.
변명론la은 2세기 아프리카의 저자, 마법, 그리고 삶에 대한 상당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24]
3. 3. 『플로리다』 (Florida)
아풀레이우스의 다양한 연설과 강연에서 발췌한 23개의 글을 모은 것이다.[25] 전 4권으로, 아프리카에서의 연설 중에서 발췌한 명구집이다.3. 4. 철학 저술
- '''플라톤과 그의 교리에 대하여 (''De Platone et dogmate eius'')''': 플라톤의 물리학과 윤리학 개요를 두 권으로 구성한 책으로, 플라톤의 일생을 서술하는 부분이 앞에 붙어 있다.[25]
- '''소크라테스의 신에 대하여 (''De Deo Socratis'')''': 신과 인간 사이의 중개자인 다이몬의 존재와 본성에 관한 저술이다.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이 논문을 비판했다. 신과 왕을 비교하는 구절이 들어 있는데, 이는 "'''익숙함이 무시를 낳는다'''"라는 속담이 처음 기록된 사례이다.[25]
- '''우주에 대하여 (''On the Universe'')''': 가짜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 ''천체론''의 라틴어 번역본으로, 아풀레이우스가 번역했을 가능성이 높다.
3. 5. 기타 저술
Floridala는 그의 다양한 연설과 강연에서 발췌한 23개의 글을 모은 것이다. De Platone et dogmate eiusla는 플라톤의 물리학과 윤리학 개요를 두 권으로 구성한 것으로, 플라톤의 일생을 서술하는 부분이 앞에 붙어 있다. De Deo Socratisla는 신과 인간 사이의 중개자인 다이몬의 존재와 본성에 관한 저술이다. 이 논문은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에 의해 비판을 받았다. 신과 왕을 비교하는 구절이 들어 있는데, 이는 "'''익숙함이 무시를 낳는다'''"라는 속담이 처음 기록된 사례이다.[25]On the Universela는 가짜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 ''천체론 (De Mundo)''의 라틴어 번역본으로, 아풀레이우스가 번역했을 가능성이 높다.
아풀레이우스는 현재까지 전해지지 않은 많은 저술을 남겼다. 그는 시와 소설을 비롯하여 정치, 수목학, 농업, 의학, 자연사, 천문학, 음악, 산술에 관한 전문적인 논문들을 저술했으며, 플라톤의 ''파이돈''을 번역하기도 했다.
4. 아풀레이우스의 구 (Apuleian Sphere)
『네케프소에게 보낸 페토시리스의 편지』[27]에 묘사된 아풀레이우스의 구는 "콜룸킬레의 원" 또는 "페토시리스의 원"으로도 알려져 있으며,[27] 환자의 생존 여부를 예측하는 마법 예언 도구이다.[28]
5. 한국어 번역
- Apuleiusla, 愛と魂 キューピッドとプシケーの物語일본어 (오무일 역, 이와나미 문고, 1940년)
- Apuleiusla, 黄金の驢馬일본어 전2권 (오무일, 구니하라 기치노스케 역, 이와나미 문고, 상권 1956년, 하권 1957년, 개정판 2013년)
- Apuleiusla, プラトン哲学入門일본어』 중 「플라톤과 그의 교설」(국방영이 역, 교토대학학술출판회, 2008년)
참조
[1]
웹사이트
Lucius Apuleius
https://www.britanni[...]
[2]
웹사이트
Apuleius, Apology
https://faculty.geor[...]
[3]
백과사전
Berbers
Scholastic Library Publishing
[4]
서적
Encyclopedia of Greek and Roman mythology
https://books.google[...]
Infobase
[5]
문서
Apology
[6]
서적
The fortunes of Apuleius and the Golden Ass: a study in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7]
문서
Apology
[8]
문서
Florida
[9]
학술지
Apology as Prosecution: The Trial of Apuleius
http://digitalcommon[...]
[10]
문서
Florida
[11]
문서
Epistle
[12]
문서
Apology
[13]
문서
Apology
[14]
문서
Apology
[15]
문서
Apology
[16]
문서
Apology
[17]
문서
Apology
[18]
문서
Florida
[19]
문서
Ep.
[20]
서적
The Religious Dreamworld of Apuleius' Metamorphoses: Recovering a Forgotten Hermeneutic
https://books.google[...]
Wilfrid Laurier Univ. Press
[21]
서적
The Golden Ass, Or, The Metamorphoses
https://books.google[...]
Barnes & Noble Publishing
[22]
서적
The Logic of Apuleius: Including a Complete Latin Text and English Translation of the Peri Hermeneias of Apuleius of Madaura
https://books.google[...]
Brill Publishers
[23]
서적
Ancient Religion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24]
백과사전
Apulée
http://journals.open[...]
Edisud
[25]
서적
Apuleius
Oxford University Press
[26]
서적
The Roman philosophers
Routledge
[27]
웹사이트
Types of Greek Numerology
http://www.kalvesmak[...]
2006-11-18
[28]
학술지
Art of Beekeeping Meets the Arts of Grammar: A Gloss of 'Columcille's Circle'
https://www.proquest[...]
[29]
서적
ギリシア神話
新潮社
[30]
문서
아프리카 속주
[31]
서적
黄金の驢馬
岩波文庫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