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간 희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간 희극은 오노레 드 발자크의 소설 연작으로, 19세기 프랑스 사회를 광범위하게 묘사한다. 1830년경부터 구상되어 1842년에 제목이 정해졌으며, 발자크는 이 작품을 통해 사회의 다양한 측면을 연구하고자 했다. 인간 희극은 인물 재등장 기법을 통해 작품 간의 연관성을 형성하며, 풍속 연구, 철학 연구, 분석 연구의 세 가지 주요 연구로 나뉜다. 이 작품은 프랑스 혁명 이후의 사회 변화, 돈과 권력, 인간의 욕망 등을 비판적으로 다루며, 19세기 프랑스 사회의 모습을 종합적으로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29년 소설 - 빌헬름 마이스터의 편력시대
    빌헬름 마이스터의 편력시대는 괴테가 쓴 교양소설로, 빌헬름이 아들과 여행하며 다양한 경험과 성찰을 통해 예술, 윤리, 교육 등 여러 주제에 대한 고찰을 제시하는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시대》의 후속작이다.
인간 희극 - [서적]에 관한 문서
인간 희극
1851년 삽화 삽입판 표지
1851년 삽화 삽입판 표지
일반 정보
원제La Comédie humaine
저자오노레 드 발자크
장르풍속 연구 (소설, 단편, 콩트, 에세이)
국가프랑스
언어프랑스어
출판 장소파리
출판사베셰, 고슬랭, 맘, 샤르팽티에, 뒤보셰, 퓌르느, 헤첼
발행일1830년 - 1856년
시리즈총 92편
분류풍속 연구, 분석 연구, 철학적 연구

2. 작품의 탄생과 발전

1830년경, 발자크는 초기 작품들을 "사생활의 장면"이라는 제목으로 묶기 시작했다.[3] 1833년에는 "지방 생활의 장면"이라는 두 번째 시리즈를 구상했고, 같은 해 소설마다 등장인물을 재등장시키는 기법을 도입하여 ''고리오 영감''(1834-35)에 처음 사용했다.[4]

1834년, 발자크는 작품을 세 그룹으로 재구성하는 계획을 세웠다.

그룹명내용
"19세기 풍속 연구""사생활의 장면" 등 포함
"철학 연구"
"분석 연구""결혼 생리학" 포함



"풍속 연구"는 사회의 영향을, "철학 연구"는 영향의 원인을, "분석 연구"는 현상 뒤의 원리를 다룰 예정이었다.[4] 1836년경, "풍속 연구"는 이미 여섯 부분으로 나뉘었다.

"풍속 연구"의 하위 구분
"사생활의 장면"
"지방 생활의 장면"
"파리 생활의 장면"
"정치 생활의 장면"
"군대 생활의 장면"
"시골 생활의 장면"



1839년, 발자크는 "인간 희극"이라는 명칭을 처음 사용했고, 1841년에 이 제목으로 계약을 체결했다.[4] 1842년에는 ''인간 희극''의 서문을 통해 작품 구조와 원칙을 설명했다. 1845년, 발자크는 완성 및 미완성 작품 목록을 작성했다.[4]

발자크 사후, 샤를 라부는 미완성 작품을 완성하고 "결정판"을 출간했다.[6] 『인간 희극』의 구상은 1842년 발자크에 의해 처음 발표되었으나, 구상 자체는 1830년대부터 있었다. 1834년에 그는 저작 전체를 "19세기 풍속 연구", "철학적 연구", "분석적 연구"로 나누어 체계화하는 것을 생각하기 시작했고, 같은 해에 집필을 시작한 『고리오 영감』에서 "등장인물 재등장 기법"을 사용하기 시작했다.[4] 그 후, 1846년에는 『에포크』의 최초 구상에 변경을 가해, 집필 예정 작품을 포함한 『인간 희극』의 총체계를 발표했다. 그러나 1850년 발자크가 사망하면서 결국 『인간 희극』을 종결시키지 못했고, 집필 예정 작품도 50여 편이 남았다.

3. 주요 특징

단테의 ''신곡''을 연상시키는 제목은, 알프레드 드 뮈세 또는 알프레드 드 비니의 시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는 페르디낭 브뤼티에르의 제안도 있지만,[4] 현실주의 소설가로서 발자크의 세속적이고 인간적인 관심을 반영한다. 이야기는 다양한 배경을 가지며, 등장인물들은 여러 이야기에서 다시 등장한다.

1842년, 발자크는 자신의 방법과 작품 전체의 구조를 설명하는 서문("Avant-propos")을 썼다.[7] 조르주 루이 르클레르 드 뷔퐁, 조르주 퀴비에, 에티엔 조프루아 생틸레르의 연구에 영감을 받아, 발자크는 "사회적 종"을 이해하고자 했으며, 남성과 여성, 사물 간의 상호 관계를 묘사하려 했다. 그는 "사회에서 여성은 단순히 남성의 암컷이 아니다"라고 강조하며 여성의 중요성을 부각했다.[7] 월터 스콧, 프랑수아 라블레, 미겔 데 세르반테스 등 자신에게 영향을 준 작가와 작품 목록도 제시했다.

발자크는 자신의 작가적 역할을 사회의 "역사"를 기록하는 "비서"로 묘사하며, 이전 역사가들이 시도하지 않은 "무어르(moeurs)"(관습, 풍속, 도덕)의 역사를 탐구하고자 했다. 또한 사건의 표면 너머를 파고들어 사회 현상의 이유와 원인을 보여주고자 했으며, 종교와 군주제라는 두 가지 진리에 대한 믿음, 그리고 가족의 맥락에서 개인을 이해하려는 관심을 표명했다.

서문의 마지막 부분에서 발자크는 《인간 희극》의 다양한 부분들을 "틀(frames)"과 "갤러리(galeries)"에 비유하며 작품 전체의 거의 최종적인 형태를 설명했다.

역사 소설은 19세기 전반 유럽에서 나타난 현상으로, 월터 스콧, 제임스 페니모어 쿠퍼, 알렉상드르 뒤마, 아버지, 빅토르 위고의 작품을 통해 두드러졌다. 발자크의 첫 소설인 슈앙들은 혁명기 브르타뉴 농촌 주민들을 묘사하며, 쿠퍼와 유사하게 그들의 복장과 풍습을 묘사하고 있다.

''인간 희극''의 대부분은 왕정 복고와 7월 왕정 시대에 벌어지지만, 프랑스 혁명 동안을 배경으로 하는 소설이 여러 편 있으며, "메디치 가문의 카트린"과 "장수의 비약"을 포함하여 중세 시대나 르네상스를 배경으로 하는 소설도 있다.

발자크의 후기 작품들은 로망 푀유통 장르, 특히 외젠 쉬의 작품에 영향을 받았다. 발자크의 단편 작품 다수는 고딕 소설의 요소를 차용하고 있지만, 환상적인 요소는 종종 다른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샤그렌 가죽''에서 마법의 당나귀 가죽을 사용하는 것은 남성의 쇠퇴하는 힘에 대한 은유가 된다. "화해된 멜모스"에서는 찰스 로버트 매튜린의 소설 등장인물 방랑하는 멜모스의 성격을 약화시켜, 파리 증권 거래소에서 힘을 잃게 만드는 풍자를 보여준다.

발자크의 몇몇 등장인물들은 엠마누엘 스베덴보리의 영향을 받아 신비주의적 위기를 겪거나 영적 철학을 발전시킨다. 발자크의 영적 철학은 개인이 제한된 양의 영적 에너지를 가지며, 이 에너지는 창의적 또는 지적인 작업이나 육체적 활동(성행위 포함)을 통해 소모된다는 것을 시사하며, 이는 ''샤그린 가죽''에서 상징적으로 나타난다.

3. 1. 등장인물 재등장 기법

『인간 희극』에 속하는 작품들은 "A 작품의 조연이 B 작품의 주인공이 된다"와 같은 인물 재등장 기법으로 서로 연관되어 있다. 이를 통해 모든 계층, 모든 인간을 묘사하며 19세기 프랑스 사회를 웅장하게 비추고 있다.[1] 작품들은 풍속 연구, 철학적 연구, 분석적 연구의 3가지로 분류된다.[1]

다음은 여러 작품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들이다.

  • 외젠 드 라스티냐크 - 학생, 멋쟁이, 금융가, 정치가 (28개 작품)[1]
  • 뤼시앵 샤르동 드 뤼벙프레 - 저널리스트, 벼락부자[1]
  • 자크 콜랭 (일명 아베 카를로스 에레라, 일명 보트랭, 일명 트롱프-라-모르) - 강제 노동에서 도망친 범죄자[1]
  • 오라스 비앙숑 - 의사 (24개 작품)[1]
  • 롱케롤 백작 (20개 작품)[1]
  • 위그레 드 세리시 백작 부인 (20개 작품)[1]
  • 라울 나탕 - 작가, 정치가 (19개 작품)[1]
  • 장-자크 비시우 - 예술가 (19개 작품)[1]
  • 조제프 브리도 - 화가 (13개 작품)[1]

3. 2. 주제의 다양성과 사회 비판

프랑스 혁명 이후 프랑스 사회는 큰 변화를 겪었다. 발자크는 이러한 변화 속에서 돈과 권력이 사회를 지배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고 보았다. 특히 샤를 10세가 몰락하고 7월 왕정이 들어선 이후, 돈이 명예를 대체하는 현상이 두드러졌다고 한탄했다.[7]

뤼시앵 드 뤼 방프레와 외젠 드 라스티냐크는 모두 재능은 있지만 가난한 지방 출신 청년으로, 여성의 도움을 받아 사회적 성공을 꿈꾼다. 그러나 라스티냐크는 귀족 가문 출신이라는 배경 덕분에 성공하지만, 뤼 방프레는 어머니만 귀족 출신이라는 한계와 가난 때문에 결국 파리의 감옥에서 자살로 생을 마감한다.

에밀 블롱데와 라울 나탕은 둘 다 다재다능한 문인이지만, 블롱데는 재치 있고 신중한 반면 나탕은 경솔하고 무자비한 금융업자들에게 이용당한다. 블롱데는 결국 지사가 되지만, 나탕은 몰락하여 자살을 시도하고, 결국 권력에 굴복하여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는다.

《인간 희극》은 아버지와 자녀, 멘토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다룬다. 고리오 영감은 자식들에게 모든 것을 쏟아붓지만 버림받는 비극적인 아버지의 모습을 보여준다. 반면, 외제니 그랑데의 아버지는 돈에 눈이 멀어 딸을 학대한다.

발자크는 여성 캐릭터 또한 다양하게 묘사했다. 이상적인 여성, 비극적인 매춘부, 사교계 여성, 남성적인 여성 등 다양한 유형의 여성들이 등장한다. 특히, 금발의 소녀의 여주인공과 같이 레즈비언이나 양성애 성향을 가진 인물들도 등장한다.

이처럼 《인간 희극》은 돈과 권력을 쫓는 인간의 욕망, 사회적 불평등, 가족 관계, 사랑과 욕망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인물 재등장 기법을 통해 작품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19세기 프랑스 사회를 폭넓게 묘사하고 있다.

3. 3. 세 가지 연구

1842년 발자크는 『인간 희극』의 구상을 처음 발표했다. 이 구상은 1830년대부터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1834년에는 저작 전체를 "19세기 풍속 연구", "철학적 연구", "분석적 연구"로 나누어 체계화하는 것을 생각하기 시작했다. 같은 해 집필을 시작한 『고리오 영감』에서 "등장인물 재등장 기법"을 사용하기 시작했다.[7] 1846년에는 『에포크』의 최초 구상에 변경을 가해 집필 예정 작품을 포함한 『인간 희극』의 총체계를 발표했으나, 1850년 발자크가 사망하면서 『인간 희극』은 미완성으로 남았고, 50여 편의 작품이 집필되지 못했다.

『인간 희극』에 속하는 작품들은 "A 작품의 조연이 B 작품의 주인공이 된다"와 같은 인물 재등장 기법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를 통해 모든 계층과 인간 군상을 묘사하며 19세기 프랑스 사회를 웅장하게 비추고 있다. 작품들은 풍속 연구, 철학적 연구, 분석적 연구의 세 가지로 분류된다.

4. 구성

발자크는 1845년에 《인간 희극》의 구성을 최종 계획으로 확정했다. 여기에는 예정된 작품은 포함되지 않았으며, 작품의 최초 출판일을 기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간 희극》은 크게 세 가지 연구로 나뉜다.


  • '''풍속 연구 (Études de mœurs)'''는 다시 여섯 가지 정경(사생활, 지방 생활, 파리 생활, 정치 생활, 군대 생활, 시골 생활)으로 나뉜다.
  • '''철학 연구 (Études philosophiques)'''
  • '''분석 연구 (Études analytiques)'''

4. 1. 풍속 연구 (Études de mœurs)

《인간 희극》의 대부분은 왕정 복고와 7월 왕정 시대를 배경으로 하지만, 프랑스 혁명을 배경으로 하는 소설도 여러 편 있다. "메디치 가문의 카트린"과 "장수의 비약" 등은 중세 시대나 르네상스를 배경으로 한다.

4. 1. 1. 사생활 정경 (Scènes de la vie privée)

제목원제발표 연도
펠로트 치는 고양이의 집La Maison du chat-qui-pelote프랑스어1830년
소의 무도회Le Bal de Sceaux프랑스어1830년
지갑La Bourse프랑스어1832년
복수La Vendetta프랑스어1830년
마담 피르미아니Madame Firmiani프랑스어1832년
두 집안Une double famille프랑스어1830년
가정의 평화La Paix du ménage프랑스어1830년
가짜 정부La Fausse Maîtresse프랑스어1842년
여자의 연구Étude de femme프랑스어1830년
또 다른 여자의 연구Autre étude de femme프랑스어1842년
라 그랑드 브레체La Grande Bretèche프랑스어1832년
알베르 사바루스Albert Savarus프랑스어1842년
두 젊은 신부의 편지Mémoires de deux jeunes mariées프랑스어1842년
이브의 딸Une fille d'Ève프랑스어1838년 ~ 1839년
서른 살의 여자La Femme de trente ans프랑스어1832년
버려진 여자La Femme abandonnée프랑스어1832년
라 그르나디에르La Grenadière프랑스어1832년
메시지Le Message프랑스어1832년
고브세크Gobseck프랑스어1830년
결혼 계약Le Contrat de mariage프랑스어1835년
인생의 시작Un début dans la vie프랑스어1845년
모데스트 미뇽Modeste Mignon프랑스어1844년
베아트릭스Béatrix프랑스어1839년
오노린Honorine프랑스어1843년
샤베르 대령Le Colonel Chabert프랑스어1844년
무신론자의 미사La Messe de l'athée프랑스어1836년
금지L'Interdiction프랑스어1836년
피에르 그라수Pierre Grassou프랑스어1840년


4. 1. 2. 지방 생활 정경 (Scènes de la vie de province)


  • 위르쉴 미루에(1841)
  • 외제니 그랑데(1834)
  • '''독신남'' (''Les Célibataires'')'''
  • * 피에레트(1840)
  • * 투르의 신부(1832)
  • * 검은 양(1842)
  • '''''지방의 파리 사람들'' (''Les Parisiens en province'')'''
  • * 일뤼스트르 고디사르(1833)
  • * 지방의 뮤즈(1843)
  • '''''시골 마을의 질투'' (''Les Rivalités'')'''
  • * 늙은 처녀(1836)
  • * 골동품 수집관(1839)
  • '''잃어버린 환상 (''Illusions perdues'')'''
  • * 두 시인(1837)
  • * 파리의 위대한 지방 남자(1839)
  • * 이브와 다비드(1843)

4. 1. 3. 파리 생활 정경 (Scènes de la vie parisienne)

발자크의 후기 작품들은 당시 유행하던 연재 소설 ("로망 푀유통") 장르의 영향을 받았다. 특히 프랑스 사회 이면의 범죄와 악의 세계를 묘사한 외젠 쉬의 작품과 멜로드라마적 특징이 두드러진다.[1]

  • '''열셋 (''Histoire des Treize'')'''
  • 페라구스 (''Ferragus'', 1833)''[1]
  • 랑제 공작 부인 (''La Duchesse de Langeais'', 1834)''[1]
  • 금발의 소녀 (''La fille aux yeux d'or'', 1835)''[1]
  • 세자르 비로토 (''Histoire de la grandeur et de la décadence de César Birotteau'', 1837)''[1]
  • 뉘생 은행 (''La Maison Nucingen'', 1838)''[1]
  • '''창녀들의 영광과 고통 (''Splendeurs et Misères des courtisanes'', 1847)'''[1]
  • ''에스테르 행복 (Esther heureuse'', 1838)''[1]
  • ''늙은이에게 사랑이 치르는 대가 (À combien l’amour revient aux vieillards'', 1843)''[1]
  • ''악한 길의 종말 (Où mènent les mauvais chemins'', 1846)''[1]
  • ''보트랭의 마지막 화신 (La Dernière incarnation de Vautrin'', 1847)''[1]
  • 카디냥 공주의 비밀 (''Les Secrets de la princesse de Cadignan'', 1840)''[1]
  • 파치노 카네 (''Facino Cane'', 1836)''[1]
  • 사라신 (''Sarrasine'', 1830)''[1]
  • 피에르 그라수 (''Pierre Grassou'', 1840)''[1]
  • '''가난한 친척들 (''Les parents pauvres'')'''[1]
  • 사촌 베트 (''La Cousine Bette'', 1846)''[1]
  • 사촌 퐁 (''Le Cousin Pons'', 1847)''[1]
  • 사업가 (''Un homme d'affaires'', 1846)''[1]
  • ''보헤미아의 왕자 (Un prince de la Bohème'', 1844)''[1]
  • 고디사르 2세 (''Gaudissart II'', 1846)''[1]
  • ''정부 관리들 (Les Employés'', 1838)''[1]
  • ''무심한 코미디언들 (Les Comédiens sans le savoir'', 1846)''[1]
  • ''소시민 (Les Petits Bourgeois'', 1854)''[1]
  • ''역사의 뒷면 (L'envers de l'histoire contemporaine'', 1848)''[1]

4. 1. 4. 정치 생활 정경 (Scènes de la vie politique)


  • 어두운 일(1841, 일명 '역사 미스터리' 또는 '곤드르빌 미스터리')[1]
  • 공포 시대의 한 장면(1830)[2]
  • Z. 마르카(1840)[4]
  • 아르시의 대리인(발자크는 사망하기 전인 1847년에 '선거'를 출판했고, 라부에게 나머지 부분을 완성해 달라고 요청했다.)[5]

4. 1. 5. 군대 생활 정경 (Scènes de la vie militaire)

《슈앙들(Les Chouans)》(1829)은 역사 소설로, 혁명기 브르타뉴 농촌 주민들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발자크는 월터 스콧 경과 제임스 페니모어 쿠퍼의 영향을 받아 이 작품에서 농촌 주민들의 복장과 풍습을 상세하게 묘사했다. 《사막의 정열(Une passion dans le désert)》(1830) 또한 군대 생활 정경에 포함된다.

4. 1. 6. 시골 생활 정경 (Scènes de la vie de campagne)


  • 시골 의사([Le Médecin de campagne, 1833)
  • 계곡의 백합([Le Lys dans la vallée, 1836)
  • 마을 신부([Le Curé de Village, 1839)
  • 농민([Les Paysans, 1855; 1844년에 처음 출판, 일명 ''토지의 아들들'')

4. 2. 철학 연구 (Études philosophiques)

발자크의 단편 작품 다수는 인기 있는 "로망 누아르" 또는 고딕 소설의 요소를 차용하고 있지만, 발자크의 작품에서 환상적인 요소는 종종 매우 다른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그의 작품 ''샤그랭 가죽''에서 마법의 당나귀 가죽을 사용하는 것은 남성의 쇠퇴하는 힘에 대한 은유가 되며, 현대 세계에서 발자크가 생각하는 에너지와 의지의 핵심 상징이 된다.

비슷한 방식으로 발자크는 그의 작품 "화해된 멜모스"에서 찰스 로버트 매튜린의 환상 소설에서 힘과 장수를 위해 영혼을 판 등장인물 방랑하는 멜모스의 성격을 약화시킨다. 발자크는 이 등장인물이 자신의 힘을 파리의 다른 남자에게 팔도록 한다. 이 남자는 다시 이 선물을 팔고, 지옥의 힘은 파리 증권 거래소에서 사람에서 사람으로 빠르게 거래되어 원래의 힘을 잃게 된다.

발자크의 몇몇 등장인물들, 특히 루이 랑베르는 엠마누엘 스베덴보리 (1688–1772)의 삶과 작품을 모델로 삼아 인간의 에너지와 활동에 대한 신비주의적 위기를 겪거나, 종교 통합적인 영적 철학을 발전시킨다. 그의 작품에서 묘사된 발자크의 영적 철학은 개인이 제한된 양의 영적 에너지를 가지고 있으며, 이 에너지는 창의적 또는 지적인 작업이나 육체적 활동(성행위 포함)을 통해 소모된다는 것을 시사하며, 이는 마법의 당나귀 가죽이 소유자에게 무한한 힘을 부여하지만 과학에 사용될 때마다 줄어드는 그의 철학적 이야기인 ''샤그랭 가죽''에서 상징적으로 나타난다.

제목발표 연도
샤그랭 가죽1831
절대자를 찾아서1834
플랑드르의 예수1831
멜모스 화해1835
알려지지 않은 걸작1831
증오받는 아들1831
감바라1837
마시밀라 도니1839
마라나스1834
안녕1830
징집병1831
엘 베르두고1830
바닷가의 드라마1834
붉은 여인숙1831
생명 연장의 영약1831
추방자1831
마이트르 코르넬리우스1831
메디치 가문의 카트린에 관하여1842
루이 랑베르1832
세라피타1835


4. 3. 분석 연구 (Études analytiques)

결혼의 생리학(결혼의 생리학) (1829)

결혼 생활의 작은 비참함(결혼 생활의 작은 비참함) (1846)

사회 생활의 병리학(사회 생활의 병리학) (1839) - ''우아한 생활론''(Traité de la vie élégante, 1830), ''보행 습관에 관한 이론''(Théorie de la démarche, 1833), ''현대적 자극제론''(Traité des excitants modernes, 1839)을 포함하는 비소설 에세이 모음.

참조

[1] 서적 Pierre Citron
[2] 번역 The Hundred Funny Tales
[3] 서적 Balzac: A Life W. W. Norton and Company, Inc.
[4] 서적 Honoré de Balzac J. B. Lippincott & Co.
[5] 서적 Encyclopedia of Literary Translation into English Fitzroy Dearborn Publishers
[6] 간행물 Marriage, Ellen (1865–1946)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2010-05
[7] 서적 Oeuvres complètes https://archiv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