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의 축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제강점기의 축구는 1920년 조선체육회 창립을 시작으로, 조선심판협회, 조선축구협회 등의 기관을 통해 발전했다. 전조선축구대회, 전조선축구선수권대회, 경평전 등 다양한 컵대회와 도시대항전이 개최되었으며, 실업축구와 학원축구도 활성화되었다. 특히 학원 축구는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연희전문, 보성전문, 숭실전문 등이 주요 축구단으로 활약했다. 김원겸, 이영민, 김용식 등 뛰어난 선수들이 한국 축구 발전에 기여했으며, 경성운동장, 기림리공설운동장 등이 주요 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
1920년 창립된 조선체육회(현 대한체육회의 전신)는 1928년 조선심판협회, 1933년 조선축구협회(현 대한축구협회의 전신)가 창립되기 전까지 축구 전반에 관한 문제를 통할한 가장 권위 있는 기관이었다. 한편 각 지역별로 체육협회가 생겼는데, 그 중 1925년 평양에 설립된 관서체육회는 조선체육회와 더불어 가장 활발하고 광범위한 활동을 한 단체였다.
1920년 조선체육회(현 대한체육회의 전신)는 1928년 조선심판협회, 1933년 조선축구협회(현 대한축구협회의 전신)가 창립되기 전까지 축구 전반에 관한 문제를 통할한 가장 권위 있는 기관이었다. 한편 각 지역별로 체육협회가 생겼는데, 그 중 1925년 평양에 설립된 관서체육회는 조선체육회와 더불어 가장 활발하고 광범위한 활동을 한 단체였다.
2. 협회
3. 축구대회
일제강점기에는 다양한 축구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크게 컵대회, 도시대항전, 실업축구, 학원축구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종류 설명 컵대회 성인 클럽, 소학, 중등, 전문, 실업부 등이 참가하는 토너먼트 방식 도시대항전 도시 연고 팀 단위로 참가하며, 리그전 방식으로 진행 실업축구 직장 단위 실업팀들이 참가 학원축구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독립운동의 기반을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
3. 1. 컵대회
조선축구협회(1938~1940)전국축구선수권대회 및 FA컵으로 계승 전조선축구선수권대회 조선축구협회(1935~1940)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로 계승 전조선아식축구대회 오사카아사히신문경성지사(1927~1935) 조선신궁대회 조선체육협회(1925~1943) 재조선일본인 중심 대회 평양 전조선축구대회 평양기독청년회(1921~1926),
관서체육회(1925~1941),
조선체육진흥회평남지부(1942)| 기타 지역 일본 본토 전일본종합축구선수권대회 일본축구협회(1921~1940) 천황배 전일본 축구 선수권 대회로 계승 명치신궁경기대회 내무성, 명치신궁체육회, 후생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