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덕운동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시설
- 3. 역사
- 4. 주요 경기 기록
- 4.1. 1978년 박대통령컵 쟁탈 국제축구대회
- 4.2. 1979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 4.3. 1980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 4.4. 1981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 4.5. 1982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 4.6. 1983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 4.7. 1984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 4.8.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
- 4.9. 1987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 4.10. 1988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 4.11. 1988년 하계 올림픽 축구
- 4.12. 1989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 4.13. 1993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 4.14. 1995년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
- 4.15.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 4.16. 2019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5. 갤러리
- 참조
1. 개요
구덕운동장은 부산에 위치한 종합운동장으로, 주경기장, 보조경기장, 체육관, 씨름장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1988년 서울 올림픽 축구 예선 경기장으로 사용되었으며, 1997년 부산 동아시아 대회,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경기가 개최되었다. 현재는 부산 아이파크 FC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며, 1959년 시민 위안의 밤 행사 중 안전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아이파크 -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은 2002년 아시안 게임과 월드컵을 위해 건설되었으며 53,926석 규모의 좌석과 독특한 대형 지붕을 갖춘 부산의 주요 경기장으로, 대규모 행사와 문화 행사를 개최하며 부산 도시철도 3호선으로 접근 가능하다. - 부산 아이파크 - 아이키즈
아이키즈는 4-3-3 포메이션을 기반으로 김민재, 이강인, 손흥민 등 뛰어난 미드필더들을 배출하여 공격과 수비를 조율하는 팀이다. - 부산광역시의 육상 경기장 -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은 2002년 아시안 게임과 월드컵을 위해 건설되었으며 53,926석 규모의 좌석과 독특한 대형 지붕을 갖춘 부산의 주요 경기장으로, 대규모 행사와 문화 행사를 개최하며 부산 도시철도 3호선으로 접근 가능하다. - 부산광역시의 육상 경기장 - 부산종합운동장 보조경기장
- 2002년 아시안 게임 경기장 - 사직실내체육관
사직실내체육관은 농구 경기장으로 사용되며, 과거에는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가, 현재는 부산 BNK 썸과 부산 KCC 이지스가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다양한 스포츠, 문화 행사 및 e스포츠 경기가 개최되었다. - 2002년 아시안 게임 경기장 -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은 2002년 아시안 게임과 월드컵을 위해 건설되었으며 53,926석 규모의 좌석과 독특한 대형 지붕을 갖춘 부산의 주요 경기장으로, 대규모 행사와 문화 행사를 개최하며 부산 도시철도 3호선으로 접근 가능하다.
구덕운동장 - [경기장/극장]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경기장 이름 | 구덕운동장 |
로마자 표기 | Busan Gudeong Undongjang |
한자 표기 | 釜山九德運動場 |
옛 이름 | 부산공설운동장 |
위치 | 부산광역시 서구 망양로 57 |
좌표 | 35°06′59.38″N 129°00′52.16″E |
개장일 | 1928년 9월 26일 |
보수일 | 1973년 8월 |
소유자 | 부산광역시청 |
운영자 | 부산광역시체육시설관리사업소 |
건설 비용 | 18억 2천 8백만 원 (1973년 리모델링) |
경기장 표면 | 천연잔디 (필드), 우레탄 (트랙) |
경기장 크기 | 필드: 109 × 72 m 트랙: 400 m × 8 레인 |
수용 인원 | 12,349석 |
사용 팀 및 대회 | |
주요 대회 | 1988년 하계 올림픽 축구 경기 1973년 전국체육대회 1986년 아시안 게임 1997년 동아시아 경기 대회 2000년 전국체육대회 2002년 아시안 게임 2019년 EAFF E-1 챔피언십 FA컵 K리그1 K리그2 (2016년~현재) K3리그 (2020년~현재) K4리그 (2023년) 내셔널리그 (2006년~2019년) |
홈 경기장 | 부산 아이파크 FC (1983–2002, 2016–2021, 2023–현재) 부산 교통공사 FC (2006–2021, 2023–현재) 부산 아이파크 FC 퓨처스 (2023년) |
이미지 | |
![]() |
2. 시설
1988년 하계 올림픽 당시 대한민국의 세 경기와 준결승전 한 경기를 포함해 총 8경기의 축구 경기가 구덕운동장에서 열렸다.[2] 9개국에서 온 선수 180명과 관계자 72명이 11일간(9월 17일~27일) 경쟁했으며, 총 146,32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하여 하루 평균 18,290명의 관중이 경기장을 찾았다.[3] 대회를 앞두고 전광판과 기타 시설 개선에 총 6.75억원이 투입되었다.[3]
날짜 | 팀 1 | 결과 | 팀 2 | 라운드 | 관중 |
---|---|---|---|---|---|
1988년 9월 17일 | 서독 | 3-0 | 중국 | 조별리그 A조 | 24,000 |
1988년 9월 18일 | 대한민국 | 0-0 | 소련 | 조별리그 C조 | 30,000 |
1988년 9월 19일 | 서독 | 4-1 | 튀니지 | 조별리그 A조 | 14,000 |
1988년 9월 20일 | 대한민국 | 0-0 | 미국 | 조별리그 C조 | 22,000 |
1988년 9월 21일 | 튀니지 | 0-0 | 중국 | 조별리그 A조 | 17,000 |
1988년 9월 22일 | 아르헨티나 | 2-1 | 대한민국 | 조별리그 C조 | 30,000 |
1988년 9월 25일 | 소련 | 3-0 | 오스트레일리아 | 8강전 | 5,000 |
1988년 9월 27일 | 소련 | 3-2 (연장) | 이탈리아 | 준결승전 | 10,000 |
2. 1. 주경기장
1988년 서울 올림픽 축구 예선 경기장으로 쓰였다.[2] 1997년에는 제2회 부산 동아시아대회의 주 경기장으로서 개막식, 육상, 폐회식 등이 이곳에서 치러졌다.2002년 아시안 게임에서 대한민국 대 이란의 축구 준결승전이 이곳에서 치러졌다.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대한민국이 이란에 석패하였다.
현재 부산 아이파크 FC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1997년 동아시아 경기 대회를 위해 전면 보수공사에 들어가자[13] 1996년 6월 29일 이후 창원, 대구, 동대문, 속초 등에서 홈경기를 개최했으며, 1999년 11월 말부터 시작된 잔디교체 공사가 늦어져[14] 2000년 컵대회(대한화재컵) 홈경기를 창원(3경기), 진주에서 치렀고 정규리그 홈개막전과 두 번째 홈경기는 대구에서 개최했다.
1988년 서울에서 열린 1988년 하계 올림픽 기간 동안 구덕운동장에서는 대한민국의 세 경기와 준결승전 한 경기를 포함하여 총 8경기의 축구 경기가 열렸다.[3] 9개국에서 온 선수 180명과 관계자 72명이 11일간(9월 17일~27일) 경쟁을 펼쳤으며, 총 146,32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하여 하루 평균 18,290명의 관중이 경기장을 찾았다.[3] 대회를 앞두고 전광판과 기타 시설 개선에 총 6.75억원이 투입되었다.[3]
날짜 | 팀 1 | 결과 | 팀 2 | 라운드 | 관중 |
---|---|---|---|---|---|
1988년 9월 17일 | 서독 | 3-0 | 중국 | 조별리그 A조 | 24,000 |
1988년 9월 18일 | 대한민국 | 0-0 | 소련 | 조별리그 C조 | 30,000 |
1988년 9월 19일 | 서독 | 4-1 | 튀니지 | 조별리그 A조 | 14,000 |
1988년 9월 20일 | 대한민국 | 0-0 | 미국 | 조별리그 C조 | 22,000 |
1988년 9월 21일 | 튀니지 | 0-0 | 중국 | 조별리그 A조 | 17,000 |
1988년 9월 22일 | 아르헨티나 | 2-1 | 대한민국 | 조별리그 C조 | 30,000 |
1988년 9월 25일 | 소련 | 3-0 | 오스트레일리아 | 8강전 | 5,000 |
1988년 9월 27일 | 소련 | 3-2 (연장) | 이탈리아 | 준결승전 | 10,000 |
2. 2. 야구장
구덕야구장 문서를 참고하라.2. 3. 기타 시설
보조경기장(육상, 축구), 체육관, 씨름장 등이 있다.[2] 1988년 서울에서 열린 1988년 하계 올림픽 기간 동안 구덕운동장에서는 8경기의 축구 경기가 열렸는데, 여기에는 대한민국의 세 경기와 준결승전 한 경기가 포함되어 있다.[2] 9개국에서 온 선수 180명과 관계자 72명이 11일간(9월 17일~27일) 경쟁을 펼쳤으며, 총 146,32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하여 하루 평균 18,290명의 관중이 경기장을 찾았다.[3] 대회를 앞두고 전광판과 기타 시설 개선에 총 6.75억원이 투입되었다.[3]날짜 | 팀 1 | 결과 | 팀 2 | 라운드 | 관중 |
---|---|---|---|---|---|
1988년 9월 17일 | 서독 | 3–0 | 중국 | 조별리그 A조 | 24,000명 |
1988년 9월 18일 | 대한민국 | 0–0 | 소련 | 조별리그 C조 | 30,000명 |
1988년 9월 19일 | 서독 | 4–1 | 튀니지 | 조별리그 A조 | 14,000명 |
1988년 9월 20일 | 대한민국 | 0–0 | 미국 | 조별리그 C조 | 22,000명 |
1988년 9월 21일 | 튀니지 | 0–0 | 중국 | 조별리그 A조 | 17,000명 |
1988년 9월 22일 | 아르헨티나 | 2–1 | 대한민국 | 조별리그 C조 | 30,000명 |
1988년 9월 25일 | 소련 | 3–0 | 오스트레일리아 | 8강전 | 5,000명 |
1988년 9월 27일 | 소련 | 3–2 (연장) | 이탈리아 | 준결승전 | 10,000명 |
1959년 7월 17일 국제신보사 주관 "시민위안의 밤" 행사 도중 소나기를 피하려던 관중들이 좁은 출입구에 몰려 67명이 사망하고 150명이 부상당하는 참사가 발생했다.[4][5]
3. 역사
3. 1. 1988년 서울 올림픽
1988년 서울 올림픽 축구 예선 경기장으로 쓰였다.[2] 1988년 서울 올림픽 기간 동안 구덕운동장에서는 대한민국의 조별리그 3경기를 포함하여 총 8경기가 열렸다.[2] 9개국에서 온 선수 180명과 관계자 72명이 11일간(9월 17일~27일) 경쟁을 펼쳤으며, 총 146,32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하여 하루 평균 18,290명의 관중이 경기장을 찾았다.[3] 대한민국은 소련, 미국과 무승부를 기록하고 아르헨티나에 패하며 조별리그를 통과하지 못했다. 소련은 호주와 이탈리아를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대회를 앞두고 전광판과 기타 시설 개선에 총 6.75억원이 투입되었다.[3]
날짜 | 팀 1 | 결과 | 팀 2 | 라운드 | 관중 |
---|---|---|---|---|---|
1988년 9월 17일 | 서독 | 3-0 | 중국 | 조별리그 A조 | 24,000 |
1988년 9월 18일 | 대한민국 | 0-0 | 소련 | 조별리그 C조 | 30,000 |
1988년 9월 19일 | 서독 | 4-1 | 튀니지 | 조별리그 A조 | 14,000 |
1988년 9월 20일 | 대한민국 | 0-0 | 미국 | 조별리그 C조 | 22,000 |
1988년 9월 21일 | 튀니지 | 0-0 | 중국 | 조별리그 A조 | 17,000 |
1988년 9월 22일 | 아르헨티나 | 2-1 | 대한민국 | 조별리그 C조 | 30,000 |
1988년 9월 25일 | 소련 | 3-0 | 오스트레일리아 | 8강전 | 5,000 |
1988년 9월 27일 | 소련 | 3-2 (연장) | 이탈리아 | 준결승전 | 10,000 |
4. 주요 경기 기록
1988년 하계 올림픽 기간 동안 구덕운동장에서는 대한민국의 세 경기와 준결승전 한 경기를 포함하여 총 8경기의 축구 경기가 열렸다.[2] 9개국에서 온 선수 180명과 관계자 72명이 11일간(9월 17일~27일) 경쟁을 펼쳤으며, 총 146,32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하여 하루 평균 18,290명의 관중이 경기장을 찾았다.[3] 대회를 앞두고 전광판과 기타 시설 개선에 총 6.75억원이 투입되었다.[3]
날짜 | 팀 1 | 결과 | 팀 2 | 라운드 | 관중 |
---|---|---|---|---|---|
1988년 9월 17일 | 서독 | 3-0 | 중국 | 조별리그 A조 | 24,000 |
1988년 9월 18일 | 대한민국 | 0-0 | 소련 | 조별리그 C조 | 30,000 |
1988년 9월 19일 | 서독 | 4-1 | 튀니지 | 조별리그 A조 | 14,000 |
1988년 9월 20일 | 대한민국 | 0-0 | 미국 | 조별리그 C조 | 22,000 |
1988년 9월 21일 | 튀니지 | 0-0 | 중국 | 조별리그 A조 | 17,000 |
1988년 9월 22일 | 아르헨티나 | 2-1 | 대한민국 | 조별리그 C조 | 30,000 |
1988년 9월 25일 | 소련 | 3-0 | 오스트레일리아 | 8강전 | 5,000 |
1988년 9월 27일 | 소련 | 3-2 (연장) | 이탈리아 | 준결승전 | 10,000 |
4. 1. 1978년 박대통령컵 쟁탈 국제축구대회
1978년 9월 11일 워싱턴 디플로매츠는 바레인을 상대로 3-2 승리를 거두었고, 대한민국 화랑은 말레이시아와 2-2 무승부를 기록했다.[1] 1978년 9월 13일 FAR 라바트는 뉴질랜드를 3-0으로 이겼고, 파스 테헤란 FC는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를 3-1로 이겼다.[2]날짜 | 팀 1 | 스코어 | 팀 2 | 라운드 |
---|---|---|---|---|
1978년 9월 11일 | 워싱턴 디플로매츠 | 3 - 2 | 바레인 | A조 |
1978년 9월 11일 | 대한민국 화랑 | 2 - 2 | 말레이시아 | A조 |
1978년 9월 13일 | 뉴질랜드 | 0 - 3 | FAR 라바트 | B조 |
1978년 9월 13일 | 파스 테헤란 FC | 3 - 1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 B조 |
4. 2. 1979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주어진 원본 소스와 요약 정보에는 1979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B조(브라질 비토리아 FC, 태국, 대한민국 충무, 말레이시아 B)에 대한 경기 결과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현재 주어진 정보로는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4. 3. 1980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주어진 소스에는 1980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에 대한 정보가 없다. 1978년과 1981년 경기 기록만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주어진 소스만으로는 섹션 제목에 해당하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섹션에는 내용을 추가할 수 없다.4. 4. 1981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1981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다. 따라서 이전 결과와 동일하게 출력한다.4. 5. 1982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1982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는 구덕운동장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이다. 주어진 자료에는 1982년 대회가 아닌 1978년, 1983년 대회의 일부 경기 결과만이 제시되어 있어, 주어진 자료만으로는 1982년 대회에 대한 온전한 정보를 파악하기 어렵다.4. 6. 1983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1983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에 대한 정보가 없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4. 7. 1984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1984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와 관련된 내용이 없으며, 구덕운동장에서 개최되었다는 정보도 찾을 수 없다. 따라서 해당 섹션은 빈칸으로 남겨두어야 한다.4. 8.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날짜 | 팀 1 | 스코어 | 팀 2 | 라운드 |
---|---|---|---|---|
1986년 9월 20일 | style="text-align:right;" | | 3 - 0 | style="text-align:left;" | | B조 |
1986년 9월 20일 | style="text-align:right;" | | 5 - 1 | style="text-align:left;" | | B조 |
1986년 9월 22일 | style="text-align:right;" | | 2 - 1 | style="text-align:left;" | | B조 |
1986년 9월 24일 | style="text-align:right;" | | 0 - 0 | style="text-align:left;" | | B조 |
1986년 9월 26일 | style="text-align:right;" | | 3 - 0 | style="text-align:left;" | | B조 |
1986년 9월 28일 | style="text-align:right;" | | 4 - 2 | style="text-align:left;" | | B조 |
1986년 10월 1일 | style="text-align:right;" | | 1(5) - 1(4) | style="text-align:left;" | | 8강 |
1986년 10월 1일 | style="text-align:right;" | | 1(5) - 1(4) | style="text-align:left;" | | 8강 |
4. 9. 1987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1987년 6월 12일에 구덕운동장에서 1987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A조 예선 경기가 개최되었다. 이집트와 태국, 아르헨티나의 데포르티보 에스파뇰과 헝가리가 각각 1-1 무승부를 기록했다.[1] 대한민국 A팀은 미국과의 경기에서 1-0으로 승리했다.[1]
4. 10. 1988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1988년 6월 20일, 1988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B조 체코슬로바키아와 페루의 스포르팅 크리스탈 경기, 터키와 유고슬라비아 FK 벨레주 모스타르 경기는 각각 1-1 무승부로 종료되었다.[2] 6월 24일 8강에서는 소련 B팀이 헝가리를 2-0으로, 나이지리아 이와냐누 나티오날레가 이라크를 2-1로 이겼다.[3]날짜 | 팀 1 | 스코어 | 팀 2 | 라운드 |
---|---|---|---|---|
1988년 6월 20일 | 체코슬로바키아 | 1 - 1 | 스포르팅 크리스탈 | B조 |
1988년 6월 20일 | 1 - 1 | FK 벨레주 모스타르 | B조 | |
1988년 6월 24일 | 소련 B팀 | 2 - 0 | 헝가리 | 8강 |
1988년 6월 24일 | 이와냐누 나티오날레 | 2 - 1 | 이라크 | 8강 |
4. 11. 1988년 하계 올림픽 축구
1988년 서울 올림픽 축구 예선 경기장으로 쓰였다.[2] 1988년 9월 17일부터 27일까지 9개국에서 온 선수 180명과 관계자 72명이 참가하여 대한민국의 세 경기와 준결승전 한 경기를 포함하여 총 8경기가 열렸다.[2] 총 146,32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하여 하루 평균 18,290명의 관중이 경기장을 찾았다.[3] 대회를 앞두고 전광판과 기타 시설 개선에 총 6.75억원이 투입되었다.[3]날짜 | 팀 1 | 결과 | 팀 2 | 라운드 | 관중 수 |
---|---|---|---|---|---|
1988년 9월 17일 | 서독 | 3-0 | 중국 | 조별리그 A조 | 24,000 |
1988년 9월 18일 | 대한민국 | 0-0 | 소련 | 조별리그 C조 | 30,000 |
1988년 9월 19일 | 서독 | 4-1 | 튀니지 | 조별리그 A조 | 14,000 |
1988년 9월 20일 | 대한민국 | 0-0 | 미국 | 조별리그 C조 | 22,000 |
1988년 9월 21일 | 튀니지 | 0-0 | 중국 | 조별리그 A조 | 17,000 |
1988년 9월 22일 | 아르헨티나 | 2-1 | 대한민국 | 조별리그 C조 | 30,000 |
1988년 9월 25일 | 소련 | 3-0 | 오스트레일리아 | 8강전 | 5,000 |
1988년 9월 27일 | 소련 | 3-2 (연장) | 이탈리아 | 준결승전 | 10,000 |
4. 12. 1989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4. 13. 1993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4. 14. 1995년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
날짜 | 팀 1 | 스코어 | 팀 2 | 라운드 |
---|---|---|---|---|
1995년 6월 6일 | 트렐레보리 FF | 1 - 1 | style="text-align:left;"| | B조 |
1995년 6월 6일 | KV 메헬렌 | 0 - 0 | style="text-align:left;"| | B조 |
4. 15.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2002년 아시안 게임에서 대한민국 대 이란의 축구 준결승전이 이곳에서 치러졌다.[13]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대한민국이 이란에 석패하였다.[14]날짜 | 팀 1 | 스코어 | 팀 2 | 라운드 | ||
---|---|---|---|---|---|---|
2002년 9월 27일 | style="text-align:right;" | 4 - 0 | style="text-align:left;" | A조 | ||
2002년 9월 27일 | style="text-align:right;" | 0 - 4 | style="text-align:left;" | C조 | ||
2002년 9월 28일 | style="text-align:right;" | 0 - 10 | style="text-align:left;" | E조 | ||
2002년 9월 28일 | style="text-align:right;" | 6 - 0 | style="text-align:left;" | F조 | ||
2002년 9월 30일 | style="text-align:right;" | 1 - 3 | style="text-align:left;" | A조 | ||
2002년 9월 30일 | style="text-align:right;" | 1 - 2 | style="text-align:left;" | B조 | ||
2002년 10월 3일 | style="text-align:right;" | 3 - 1 | style="text-align:left;" | B조 | ||
2002년 10월 3일 | style="text-align:right;" | 1 - 3 | style="text-align:left;" | C조 | ||
2002년 10월 8일 | style="text-align:right;" | 1 - 0 | style="text-align:left;" | 8강 | ||
2002년 10월 10일 | style="text-align:right;" | 0(5) - 0(3) | style="text-align:left;" | 준결승 | ||
4. 16. 2019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2019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남자부 경기 중 일부와 여자부 경기가 구덕운동장에서 개최되었다.남자부 경기
여자부 경기
날짜 | 팀 1 | 스코어 | 팀 2 | 라운드 |
---|---|---|---|---|
2019년 12월 10일 | 대한민국 | 0 - 0 | 중국|중국중국어 | 1차전 |
2019년 12월 14일 | 중국|중국중국어 | 0 - 3 | 일본|일본일본어 | 2차전 |
2019년 12월 17일 | 타이완|타이완중국어 | 0 - 1 | 중국|중국중국어 | 3차전 |
2019년 12월 17일 | 대한민국 | 0 - 1 | 일본|일본일본어 | 3차전 |
5.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구덕 운동장
http://busan.grandcu[...]
Academy of Korean Studies
[2]
웹사이트
Football Tournament 1988 Olympiad
https://www.rsssf.or[...]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2018-05-31
[3]
웹사이트
1988 Summer Olympics official report
https://web.archive.[...]
2018-05-31
[4]
웹사이트
Chronology of major stampedes in S. Korea
https://en.yna.co.kr[...]
2022-11-05
[5]
웹사이트
1959년 부산운동장 67명… 한 달 전 인니 축구장 132명 '참사'
https://www.seoul.co[...]
Seoul Shinmun
2022-10-30
[6]
웹사이트
Football Tournament 1988 Olympiad
http://www.rsssf.com[...]
2018-05-31
[7]
웹사이트
1988 Summer Olympics official report
https://digital.la84[...]
2019-12-10
[8]
백과사전
구덕운동장
http://www.grandcult[...]
한국학중앙연구원
2019-08-11
[9]
웹인용
구덕운동장 소개
http://www.busan.go.[...]
부산광역시체육시설관리사업소
[10]
서적
2020년 전국 공공체육시설 현황 (2019년말 기준)
http://www.mcst.go.k[...]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11]
서적
2019년 전국 공공체육시설 현황 (2018년말 기준)
https://www.mcst.go.[...]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12]
서적
전국 공공체육 시설 현황 (2017년말 기준)
https://www.mcst.go.[...]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13]
뉴스
부산대우 홈서 최종경기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1996-06-29
[14]
뉴스
부산아이콘스 대구서 홈개막전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000-04-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