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임실 이문원 고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임실 이문원 고택은 전라북도 임실군 오수면 둔기리에 위치한 가옥입니다. 2022년 10월 21일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 예고되었습니다.
역사 및 건축학적 특징:


  • 1650년경 처음 건립되었고, 1831년에 중건되었습니다.
  • 둔덕리 동촌마을 전주이씨 세거지에서 후손들이 분가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습니다.
  • 병자호란 당시 남한산성에서 독전어사를 지낸 충경공 이상형의 둘째 아들인 이문원(李文源, 1613~1685)이 살았던 집으로, 장악원정(掌樂院正)에 추증되어 '장악원정 고택'으로도 불립니다.
  • 오수천과 월평천 사이의 둔기리 자연 지형을 이용하여 안채를 높은 곳에 배치하고, 날개채와 위계를 두어 건립되었습니다.
  • 사랑채는 중문채 바깥에 배치하여 안채를 자연스럽게 보호하는 조선시대 사대부 가옥의 전형적인 특징을 갖추고 있습니다.
  • 안채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몸체에 양쪽 날개부가 3칸씩 돌출되어 안마당을 감싸는 형태입니다. 대청마루, 부엌, 툇마루, 광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사랑채와 안채에 사용된 부재가 건실하고 독특한 건축기법이 사용되어 건축사적인 가치가 있습니다.

문화적, 역사적 가치:

  • 임실군 오수면 출신 독립유공자 고(故) 이강진(李康珍, 1896~1923) 선생의 생가로, 교육적 가치가 높습니다.
  • 1919년 8월경, 이강진 선생은 조선 독립대동단(獨立大同團) 강령을 듣고 대대로 내려오던 종택을 팔아 독립자금을 지원했다고 전해집니다.
  • 오수는 1919년 3.23 오수만세운동이 일어난 곳으로, 3.1운동으로 체포되어 옥고를 치른 100여 명 중 둔덕이씨가 17명에 이릅니다.

지정 현황:

  • 전라북도 문화유산자료 (지정 대상: 안채 1동, 중문채 1동, 사랑채 1동)


임실 이문원 고택
기본 정보
이문원 고택
이문원 고택 전경
유형문화재자료
지정 번호문화재자료 제123호
지정 일자1987년 12월 1일
소재지전라북도 임실군 지사면 영천리 300
관리국유
상세 정보
시대조선시대
특징전형적인 양반 가옥의 형태를 갖춤
사랑채, 안채, 사당 등으로 구성
기와지붕과 돌담이 특징
건축 양식전통 목조 건축 양식
보존 상태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음
역사
건립 시기조선 숙종 15년 (1689년)
건립 배경이문원 선생이 낙향하여 지음
소유자 변천이문원 선생의 후손들이 대대로 소유 및 관리
주요 사건한국전쟁 당시 일부 소실
1987년 문화재자료로 지정
건축물 구성
주요 건축물사랑채
안채
사당
곳간
대문채
사랑채 설명손님을 맞이하고 학문을 연구하던 공간
안채 설명가족들이 생활하는 공간
사당 설명조상에게 제사를 지내는 공간
기타 시설장독대, 우물
주변 환경
자연 환경섬진강 지류 인근에 위치
주변에 과 들판이 펼쳐져 있음
문화재인근에 임실 치즈 테마파크 위치
활용 정보
개방 여부일부 개방 (사전 문의 필요)
관람 안내임실군청 문화관광과 문의
교통 정보임실 시외버스터미널에서 차량 이용
국도 제17호선 이용
참고 사항고택 내부에 거주민이 있으므로 예절을 지킬 것
문화재 보호에 협조할 것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