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산은 주변 지형보다 높이 솟아오른 지형을 의미하며, 고도, 부피, 지형, 경사 등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지형이 산으로 불리는지는 지역적 용법에 따라 다르며, 화산, 습곡산, 단층산 등 지형학적으로 분류된다. 산의 높이는 해수면을 기준으로 하며, 지구에서 가장 높은 산은 에베레스트 산이다. 산의 기후는 고도에 따라 변화하며, 식물과 동물의 서식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 산은 인간의 거주, 자원 이용, 문화, 종교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등산과 같은 여가 활동의 장소로도 활용된다.

2. 정의 및 특징

산에 대한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정의는 없으며, 고도, 부피, 지형, 경사, 간격 및 연속성이 산을 정의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어 왔다. 영국의 옥스퍼드 영어사전에서는 산을 "주변 지대에서 다소 급격하게 상승하여 인접한 고도에 비해 인상적이거나 주목할 만한 고도에 도달하는 지표면의 자연적인 융기"로 정의한다.

지형이 산으로 불리는지 여부는 지역적 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존 위토(John Whittow)의 『물리 지리학 사전』[5]에서는 "일부 당국에서는 600m 이상의 고지를 산으로 간주하고, 그 이하는 언덕으로 지칭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영국과 아일랜드 공화국에서는 산을 일반적으로 약 609.60m 이상의 높이를 가진 정상으로 정의하며,[6][7][8][9][10] 이는 영국 정부의 공식적인 정의와 일치한다.[11] 또한, 일부 정의에는 산이 주변 지형보다 300m 이상 높이 솟아 있는 등의 지형적 돌출량 요건이 포함되기도 한다.[1]

미국 지명위원회는 한때 산을 약 304.80m 이상의 높이로 정의했지만, 1970년대 이후로는 이 정의를 폐기했다. 이보다 낮은 유사한 지형은 언덕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오늘날 미국 지질조사국은 이러한 용어가 미국에서는 기술적 정의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결론짓고 있다.[13]

유엔환경계획의 "산악 환경" 정의는 다음과 같다.

종류조건
1종고도가 4500m 이상
2종고도가 3500m에서 4500m 사이
3종고도가 2500m에서 3500m 사이
4종고도가 1500m에서 2500m 사이이고 경사가 2도 이상
5종고도가 1000m에서 1500m 사이이고 경사가 5도 이상이거나 300m의 고도 범위가 7km 이내
6종고도가 300m에서 1000m 사이이고 300m의 고도 범위가 7km 이내
7종1종부터 6종 산으로 완전히 둘러싸여 있지만 1종부터 6종 산의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면적이 25km2 미만인 고립된 내륙 분지 및 고원



이러한 정의를 사용하면 산은 유라시아의 33%, 남아메리카의 19%, 북아메리카의 24%, 아프리카의 14%를 차지한다. 전체적으로 지구 육지 면적의 24%가 산악 지형이다.[14]

산은 다른 산들과 이어져 산맥을 이루고 있으며, 산기슭, 산등성이가 많다. 화산과는 달리 봉우리 부분이 뾰족하게 솟아 있는 것이 특징이다.


  • '''산맥 :''' 산봉우리가 길게 이어져 있는 지형
  • '''산등성이(능선) :''' 산의 등줄기
  • '''고개 :''' 산이나 언덕 사이 낮은 부분으로 보통 넘어 다니는 길이 나있다.
  • '''산기슭 :''' 산 비탈이 끝나는 아랫부분
  • '''산비탈(산복) :''' 산기슭의 비탈진 곳
  • '''산자락 :''' 밋밋하게 비탈져 나간 산의 밑부분

3. 지형학적 분류

산은 크게 화산, 습곡산, 단층산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15] 이들은 모두 판구조론에 의해 형성된다. 지구 지각이 움직이고, 구겨지고, 침강할 때, 압축력, 등정역학적 융기, 화성 물질의 관입으로 인해 지표면 암석이 위로 밀려 올라가 주변 지형보다 높은 지형을 형성한다. 이 지형의 높이에 따라 언덕이 되거나, 더 높고 가파르면 산이 된다. 주요 산맥은 일반적으로 긴 선형 아크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는 판의 경계와 활동을 나타낸다.

산은 침식 작용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융기 이후, 산은 물, 바람, 얼음, 중력과 같은 침식 작용에 노출된다. 침식은 산의 표면을 산을 구성하는 암석보다 더 젊게 만든다.

지형의 높낮이에 따라 저산성 산지, 중산성 산지, 고산성 산지로 분류할 수 있다. 산지를 형성한 작용에 따라 화산 작용으로 형성된 화산성 산지, 침식 작용으로 형성된 침식 산지, 지각 운동에 의해 형성된 산지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3. 1. 화산

후지 화산


화산은 섭입하는 판이 다른 판 아래로 밀려들어갈 때, 또는 해령이나 열점에서 형성된다.[16] 지하 약 100km 깊이에서, 슬래브 위의 암석에서 (물이 추가됨으로 인해) 용융이 발생하여 지표면에 도달하는 마그마를 형성한다. 마그마가 지표면에 도달하면, 종종 순상화산이나 성층화산과 같은 화산 산을 만든다. 화산의 예로는 일본의 후지산과 필리핀의 피나투보 산이 있다. 산을 만들기 위해 마그마가 지표면에 도달할 필요는 없다. 지하에서 고체화된 마그마는 여전히 미국의 나바호 산과 같은 돔 산을 형성할 수 있다.[17]

화산 작용으로 형성된 산지를 화산성 산지라고 한다. 화산성 산지는 형태와 구조에 따라 단성화산과 복성화산(복합화산)으로 분류된다. 단성화산에는 성층화산, 순상화산 등이 포함되고, 복성화산에는 칼데라나 여러 개의 단성화산의 복합 등이 포함된다. 칼데라 화산은 다시 이중식 화산이나 삼중식 화산으로 분류된다. 또한 화산성 산지는 그 분출 장소에 따라 육상 화산, 해저 화산, 빙저 화산으로 분류된다.

3. 2. 습곡 산맥

습곡 산맥은 두 개의 판이 충돌할 때 발생한다. 역단층을 따라 단축이 발생하고 지각이 두꺼워진다.[18] 밀도가 낮은 대륙 지각은 그 아래에 있는 밀도가 높은 맨틀 암석 위에 "떠 있기" 때문에 언덕, 고원 또는 산을 형성하기 위해 위로 밀려 올라온 지각 물질의 무게는 맨틀로 아래로 밀려 내려간 훨씬 더 큰 부피의 부력에 의해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따라서 대륙 지각은 일반적으로 저지대에 비해 산 아래에서 훨씬 더 두껍다.[19] 암석은 대칭적으로 또는 비대칭적으로 습곡될 수 있다. 위로 솟은 부분은 배사이고 아래로 굽은 부분은 향사이다. 비대칭 습곡에는 횡와 습곡과 전도 습곡이 있을 수도 있다. 발칸 산맥[20]과 쥐라 산맥[21]은 습곡 산맥의 예이다.

습곡 위에 형성된 산의 그림. 단층으로 인해 밀려 올라왔다.

3. 3. 단층 산지

단층산지는 지각의 단층, 즉 암석이 서로 지나간 면에 의해 형성된다. 단층 한쪽의 암석이 다른 쪽에 비해 상승하면 산이 형성될 수 있다.[22] 상승한 지괴는 단층산지 또는 호르스트라고 한다. 그 사이에 내려앉은 지괴는 그라벤이라고 하며, 크기가 작거나 광대한 리프트 밸리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지형은 동아프리카,[23] 보주 산맥과 라인 계곡,[24] 그리고 북미 서부의 분지와 산맥 지방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지역은 지역적인 응력이 신장성이고 지각이 얇아질 때 자주 발생한다.

피린 산맥의 최고봉
피린 산맥, 불가리아, 단층으로 형성된 릴라 산맥-로도피 산괴의 일부

3. 4. 침식 산지

뉴욕주 북부의 캐츠킬 산맥(Catskills)은 침식된 고원을 보여준다.


융기 과정 이후, 산들은 물, 바람, 얼음, 중력과 같은 침식 작용에 노출된다. 침식은 산의 표면을 산을 구성하는 암석보다 더 젊게 만든다. 빙하 작용은 피라미드형 봉우리, 날카로운 능선(아레테), 호수를 포함할 수 있는 둥근 빙식곡과 같은 독특한 지형을 만든다.[25] 캐츠킬 산맥과 같은 고원 산지는 융기된 고원의 침식으로 형성된다.[26]

침식 산지의 분류로는 습윤 지역에서 생기는 "잔구", 건조 지역에서 생기는 인젤베르크나 보른하르트가 있다.

4. 산의 높이

산의 높이는 보통 해수면을 기준으로 한다. 히말라야산맥은 평균 5km, 안데스산맥은 평균 4km 정도의 높이이며, 다른 기준으로 산의 높이를 정하기도 한다.





히말라야 산맥


산의 높이(표고)는 일반적으로 해수면의 연장인 지오이드로부터의 거리로 하며, 이를 해발이라고 한다.

지구상의 최고봉(가장 높은 산)은 히말라야 산맥의 에베레스트 산(해발 8,848m)으로 여겨진다.[69] 그러나 해발 이외의 지표에 따라 최고봉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구 중심에서 본 최고봉은 남미 안데스 산맥의 친보라소 산(해발 6,310m)이다.[70]

지구는 자전의 원심력에 의해 회전 타원체가 되어 적도 부근이 부풀어 있다. 따라서 적도에서 불과 150km 떨어진 친보라소 산은 에베레스트보다 지구 중심에서 2,150m 더 높다. 하와이의 마우나케아도 해발은 4205m이지만, 태평양 해저에서 무려 10203m나 솟아 있어 기반 부분부터의 표고로는 세계 최고봉이다.[71]

일본 국내에서는 최고봉은 후지산(표고 3,776m)이다. 반대로 가장 낮은 산은 센다이시의 히와야마 산(표고 3m)[72]이지만, 산의 정의나 지형학적 분류 또는 지도 제작 측량에 따라 해석이 다양하며 가장 낮은 산의 결정이 어렵다.

지구 이외의 천체에서는 지오이드에 상당하는 면으로부터의 거리를 표고로 한다. 단, 지구 이외의 천체에는 해수면이 없으므로 천체마다 임의적으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화성에서 지오이드에 상당하는 아레이드는 온도 0.01°C이고 기압 610.5파스칼이 되는 면이다. 한국어에서는 지구상, 지구 밖 모두 “산”이라고 하지만, 영어에서는 Mons라고 하여 지구의 산과 구별된다.

참고로, 태양계에서 알려진 최고봉은 화성의 올림푸스 산이며, 표고는 약 27km에 달한다. 화성에는 이 외에도 알시아 산(표고 19km), 아스클레우스 산(표고 18km), 파보니스 산(표고 14km) 등 지구보다 훨씬 높은 화산이 존재한다. 이것은 화성에 플레이트 테크토닉스가 존재하지 않고, 마그마가 분출하는 핫스팟이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용암이 같은 장소에 계속 쌓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5. 산의 기후

산에서는 올라갈수록 공기가 희박해져 기압이 내려가고, 일반적으로 표고 100m 상승할 때마다 기온은 평균 0.6℃씩 내려간다.[75] 고산은 저지대보다 태양이 가깝고 특히 저위도 지방의 고산에는 광선이 바로 위에서 내리쬐어 많은 열이 도달되지만, 공기가 희박하여 기압이 낮으므로 열이 보존되지 않아 기온은 낮아진다. 또한, 고산은 공기가 희박하고 보수력(保水力)이 약한 데다가 강풍이 불어 저온에서도 수분 증발을 왕성하게 하므로 건조하다.

고위도 고지대에 위치한 우랄 산맥 북부는 고산 기후와 황량한 지형을 보인다.


여름철 이탈리아의 돌로미티 산맥. 돌로미티 산맥의 기후는 짧지만 따뜻하고 온화한 여름과 길고 매우 추운 겨울이 특징이다.


산악 지대의 기후는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복사대류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더욱 추워진다. 가시광선 영역의 햇빛이 지면에 도달하여 지면을 가열하면 지면이 표면의 공기를 가열한다. 만약 복사가 지면에서 우주로 열을 전달하는 유일한 방법이라면, 대기 중 기체의 온실 효과로 인해 지면 온도는 약 333,000 정도가 유지되고, 온도는 고도에 따라 지수적으로 감소할 것이다.[27]

그러나 공기가 뜨거우면 팽창하여 밀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뜨거운 공기는 상승하여 위쪽으로 열을 전달하는 대류 과정이 발생한다. 대류는 주어진 고도에서 기포의 밀도가 주변과 같을 때 평형 상태에 도달한다. 공기는 열의 불량한 전도체이므로, 기포는 열을 교환하지 않고 상승하고 하강하는 단열 과정을 거친다.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온도가 감소하는데, 고도에 따른 온도 감소율을 단열 감률이라고 하며, 약 9.8°C/km (1000피트당 5.4°F-change)이다.[27]

대기 중에 물이 존재하면 대류 과정이 복잡해진다. 수증기는 증발열을 포함하고, 공기가 상승하고 식으면 결국 이슬점에 도달하여 수증기량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수증기는 응결되어 구름을 형성하고 열을 방출하며, 이는 단열 감률을 건조 단열 감률에서 습윤 단열 감률(5.5 °C/km 또는 1000피트당 3°F-change)로 변화시킨다.[28] 실제 감률은 고도와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산에서 100m 이동하는 것은 가장 가까운 극지방을 향해 약 80km 이동하는 것과 거의 같다. 그러나 이 관계는 근사치일 뿐이며, 해양과의 근접성과 같은 지역적 요인이 기후를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29]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주요 강수 형태는 눈이 되고 바람이 증가한다.

타트라 산맥( 자코파네(Zakopane), 폴란드)


고도에 따른 생태계에 대한 기후의 영향은 강수량과 생물 온도를 결합하여 포착할 수 있다.[30] 생물 온도는 평균 온도이며, 0°C 미만의 모든 온도는 0 °C로 간주된다. 온도가 0°C 미만이면 식물은 휴면 상태이므로 정확한 온도는 중요하지 않다. 만년설이 있는 산봉우리의 생물 온도는 1.5°C 미만일 수 있다.

산의 기상은 변화하기 쉽고, 바람도 강하며, 강수량도 많다.[75] 산은 지형이 험하기 때문에 지상 부근의 따뜻한 공기와 고지대의 차가운 공기가 섞여 구름이 발생하기 쉽다.

표고가 높아짐에 따라 식생은 더욱 한랭한 환경에 적응한 것이 되어 가므로, 산록의 저지대가 열대인데도 정상의 식생이 온대성이나 냉대성을 나타내거나, 더 나아가서는 삼림이 자랄 수 있는 온도를 밑돌아 툰드라빙하가 펼쳐져 있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의 적도 바로 아래에 있는 킬리만자로 산에서는 산록의 표고 1,900m 정도까지는 사바나가 펼쳐져 있는 반면, 표고 2,500m 정도까지는 열대우림, 3,000m 부근까지는 운무림이 나타난다. 그보다 위로는 수목한계선에 이르기 때문에 수목이 자랄 수 없고 드문드문 낮은 관목과 초원이 펼쳐진다. 4,400m 이상에서는 식물이 자랄 수 없게 되고, 5,500m 이상에서는 적도 직하임에도 불구하고 빙하가 존재한다.

특히 해발 수천 미터의 고산에서는 기상 환경이 혹독하며, 어느 정도 표고 이상에서는 기온이 너무 낮아 더 이상 수목이 자랄 수 없고, 그러한 환경에 적응한 특수한 고산식물·고산동물이 서식하고 있다. 수목이 자랄 수 없게 되는 지점을 수목한계선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기본적으로 표고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지만, 지표의 여러 조건에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반드시 직선적으로 한계선이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또한, 수목한계선은 기온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장소에 따라 그 고도는 크게 다르며, 기본적으로 위도가 낮을수록 수목한계선의 고도는 높고, 위도가 높을수록 그 고도는 낮아진다. 한대에 있는 산악의 경우, 산록에서 정상까지 툰드라나 설빙으로 덮여 있는 것은 드물지 않다.

표고가 높은 산악에서는 사면에 우운이 부딪히기 때문에 산록에 강우를 가져오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산맥을 넘은 공기는 건조해지게 되어 산의 반대편에 푄 현상을 가져오는 경우가 있다.

해안에서 높은 산맥에 막힌 반대편에서는 산맥 쪽에서 불어오는 우세풍의 풍하가 되어 이미 수분의 대부분을 비로 떨어뜨렸기 때문에, 극도로 건조한 기후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강우량 그림자 효과라고 하며, 타클라마칸 사막이나 그레이트 베이슨 등이 이 요인으로 사막이 되어 있다. 반대로 산악의 풍상측에서는 건조지에서도 강우를 가져오는 경우가 흔하다.

6. 산의 생태

산에서는 식물 경관이 수직적으로 달라지는데, 밑에서부터 차례로 저지대, 아고산대, 고산대로 구분된다. 이러한 고도에 따른 식물의 수직 분포는 주로 온도의 영향을 받으며, 저지대에서 고지대로의 변화는 저위도에서 고위도 지방으로의 수평 분포와 대체로 일치한다. 여기서 고산대는 삼림 한계선 위의 고지로, 만년설로 덮여 있는 항설대의 하한선까지를 말한다.[38]

산에 올라갈수록 공기는 희박해져 기압이 내려가고, 일반적으로 표고 100m 상승할 때마다 기온은 평균 0.6°C씩 내려간다. 고산은 공기가 희박하고 보수력이 약하며 강풍이 불어 건조하다.

고산에 사는 동물은 희박한 공기로 인한 호흡 곤란, 저온, 건조, 강풍, 식량 부족 등의 악조건을 견뎌야 한다. 표고가 높아질수록 생존 가능한 동물의 종수는 적어진다. 고산의 환경은 온도가 낮은 면에서 극지의 환경과 비슷하여, 고산 동물은 극지 동물과 비슷하게 적응된 것이 많다. 예를 들어 고지에 사는 퓨마는 저지의 퓨마보다 크며, 이는 추위에 대한 적응 현상이다. 고산 동물은 일반적으로 두꺼운 모피나 깃털로 덮여 있으며, 곤충인 파리조차도 털이 많다. 많은 동물은 눈이 쌓인 주변이나 빙하 근처에서 물을 얻으며 생활한다.

사슴, 큰뿔양, 아이벡스 등은 겨울에 추위를 피하고 먹이를 얻기 위해 저지로 내려갔다가 여름에 다시 고산으로 돌아온다. 이들은 발굽이 단단하게 되어 있어 고산의 바위너설을 오르내릴 수 있다. 아르갈리양은 중앙 아시아 고원에 사는데, 겨울에는 골짜기로 모이고 여름에는 5400m 고지까지 이동한다. 마코르산양과 히말라야타르도 겨울을 저지에서 보내고 여름에 고지로 올라간다. 알프스마모트는 겨울잠을 자고, 생토끼는 겨울에 대비하여 먹이를 저장한다. 작은 설치류는 겨울에 굴을 파고 숨는다. 고산의 작은 동물은 생육기가 짧아 저지 동물보다 새끼를 적게 낳는다. 변온 동물은 추위에 견디는 힘이 매우 강하다. 톡토기의 어떤 것은 빙하 속에서 3년을 갇혀 있다가 되살아나기도 했다. 고산 동물은 허파와 심장이 비교적 크고, 적혈구 수가 많아 산소 부족에도 불편 없이 활동할 수 있다.

고산 지역은 강한 바람이 불기 때문에 새나 곤충은 많이 날지 않거나 날개가 퇴화되어 있다. 고산에 사는 새는 몸이 작고 가끔씩밖에 날지 않으며, 삼림 한계선 이상의 고지에 사는 곤충의 60%는 날개가 퇴화되어 있고, 날개가 있는 것도 좀처럼 날지 않는다. 고산의 강한 태양열에 적응하여 몸빛깔이 검게 변한 예가 많은데, 이는 유해한 자외선을 흡수하여 내부 조직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흰바위산양은 조밀한 외피 밑에 두꺼운 지방층이 있어 추위에 잘 견딘다. 아이벡스는 빙하 후퇴기에 알프스, 피레네 등 8군데의 고지와 사막에서 생존하여 격리된 동물이다. 샤모아는 유럽과 서아시아의 산꼭대기에, 타킨은 중국 서부 및 히말라야의 만병초와 대나무 밀림에 살고 있다. 야크는 티베트에서 가축화되었으나, 중국 북서부에는 야생 무리가 남아 있다. 비쿠나와 구아나고는 남아메리카 고지에 산다. 설치류는 굴을 파고 먹이를 저장하는 습성이 있어 겨울에도 고산에서 견딜 수 있다. 마운팅파카는 안데스의 습하고 차가운 숲에 산다.

고산에는 강한 바람에 견딜 수 있는 몸집이 큰 맹금과 작은 새가 산다. 수염수리는 아프리카와 유라시아 산지에 살며 9000m 상공을 날아다닌다. 안데스콘도르는 남아메리카 안데스 산맥에서 4800m∼5000m 상공을 날아다닌다. 노랑부리까마귀는 유라시아와 북아프리카 고지에 산다. 벽발바리는 유럽과 일부 아시아의 특산종이며, 5400m 고지의 바위틈에 둥지를 만든다. 바위종다리는 유라시아에 분포하며 여름에는 고지에서 곤충을 먹고 겨울에는 저지로 이동한다.

산악 지대의 차가운 기후는 산에 서식하는 식물과 동물에 영향을 미친다. 특정 식물과 동물은 비교적 좁은 범위의 기후에 적응하는 경향이 있어, 생태계는 거의 일정한 기후의 고도대를 따라 분포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을 고도대별 구역화라고 한다.[39] 건조한 기후의 지역에서는 산이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강수량이 증가하고 온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어 다양한 조건을 제공하고 구역화를 강화한다.[39]

고도대별 구역에 서식하는 일부 식물과 동물은 특정 지역의 상하 조건이 불리하여 이동이나 분산을 제한하기 때문에 고립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고립된 생태계를 하늘섬이라고 한다.[40]

고도대별 구역은 일반적인 패턴을 따르는데, 가장 높은 고도에서는 나무가 자랄 수 없으며, 존재하는 생물은 고산형이며 툰드라와 유사하다.[39] 수목 한계선 바로 아래에는 추위와 건조한 조건을 견딜 수 있는 침엽수의 아고산대 숲이 있다.[41] 그 아래에는 산악림이 자라는데, 지구의 온대 지역에서는 이러한 숲이 침엽수인 경향이 있지만 열대 지방에서는 활엽수가 열대우림에서 자랄 수 있다.

7. 산과 인간

지역 및 고도별 산맥 분포


산은 인간에게 혹독한 환경을 제공하기도 하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인간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고대에는 "산은 갈라놓고, 바다는 잇는다"는 말처럼 교통의 장애물로 여겨졌지만, 동시에 문화, 언어, 민족의 경계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지방자치단체나 국가의 경계선은 산의 능선을 따라 정해지는 경우가 많았으며, 지정학에서도 산악은 종종 이상적인 자연 국경으로 여겨졌다.[76][77]

알려진 가장 높은 고도의 영구 거주 가능 지역은 5950m이다.[42] 그러나 이 정도 고도에서는 대기압 감소로 인해 호흡에 필요한 산소가 줄어들고, 태양 복사(자외선)로부터의 보호도 약해진다. 8000m 이상에서는 인간 생존에 충분한 산소가 없어 '죽음의 지대'라고 불리기도 한다.[43] 에베레스트 산과 K2 정상이 바로 이 죽음의 지대에 속한다.

세계의 많은 강은 산악 지대를 발원지로 하며, 산에 내린 눈은 하류 주민들을 위해 물을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84] 인류의 절반 이상이 산에서 온 물에 의존하여 생활하고 있다.[85][86] 또한, 산악은 강수량이 많기 때문에 많은 국가에서 산악 지대에 을 설치하여 수자원 확보와 발전을 하고 있다. 이러한 산악 유수의 에너지는 예로부터 수차 등으로 이용되어 왔고, 20세기 후반 이후에는 소규모 수력 발전이 여러 곳에 설치되기 시작했다.

또한, 초단파 이상의 주파수로 발사하는 송신소의 대부분은 산에 설치되어 있다.

최근에는 파워스팟의 하나로 후지산과 같은 산이 그 대상 중 하나가 되고 있다.

7. 1. 거주와 이용

산악 지역은 저지대보다 인간 거주에 불리한 조건이 많다. 혹독한 날씨와 농업에 부적합한 평지 부족 등이 그 이유이다. 지구 육지 면적의 7%가 2500m 이상 고도에 해당하지만,[78] 이 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1억 4천만 명에 불과하며, 3000m 이상 고도에는 2천만~3천만 명만이 거주한다.[79] 산악 거주자의 약 절반은 안데스 산맥, 중앙아시아, 아프리카에 거주한다.[14]

고도에 이르는 라파스 도시.


인프라 접근성이 제한적이어서 4000m 이상 고도에는 소수의 공동체만이 존재한다.[46] 이들은 규모가 작고 특정 산업(농업, 광업, 관광 등)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46] 5100m 고도에 위치한 페루의 라린코나다는 금광 도시이자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거주지인 반면,[47] 4150m 고도에 있는 볼리비아엘알토는 다양한 서비스 및 제조업 경제와 약 100만 명의 인구를 가진 대조적인 사례이다.[48]

전통적인 산악 사회는 농업에 의존하지만, 저지대보다 작황 실패 위험이 높다. 광물 자원이 풍부하여 광업이 중요한 경제 기반이 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국립공원, 스키 리조트 등 관광 산업이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산악 주민의 약 80%는 빈곤선 이하의 생활을 하고 있다.[14]

세계 대부분의 강은 산악 지대에서 발원하며, 눈은 하류 지역의 중요한 수자원 저장고 역할을 한다. 인류의 절반 이상이 산에서 물을 얻는다.[49][50]

지정학적으로 산은 종종 국가 간의 자연 경계 역할을 한다.[51][52]

7. 2. 문화와 종교

산은 종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그리스에는 올림푸스 산과 같이 신들의 고향으로 여겨졌던 여러 신성한 산이 있다.[53] 일본 문화에서 3m 높이의 후지산 또한 신성하게 여겨지며, 매년 수만 명의 일본인들이 이 산에 오른다.[54] 중국 티베트 자치구에 있는 카일라스 산은 힌두교, 본교, 불교, 자이나교의 네 종교에서 신성하게 여겨진다. 아일랜드에서는 아일랜드 가톨릭 신자들이 952m 높이의 브랜든 산으로 순례를 간다.[55] 히말라야의 난다 데비 봉우리는 힌두교 여신 난다와 수난다와 관련이 있으며,[56] 1983년부터 등반이 금지되어 있다. 아라랏 산은 성경에 나오는 노아의 방주의 착륙 지점으로 믿어지기 때문에 신성한 산으로 여겨진다. 유럽, 특히 알프스에서는 눈에 띄는 산꼭대기에 종종 정상십자가가 세워진다.[57]

세계 여러 지역에서는 산에 대한 신앙이 신성한 산으로서 자리 잡고 있다. 일본에서는 후지산을 비롯한 주요 산에서 산악신앙이 존재하며, 아사마 신앙이나 하쿠산 신앙처럼 신도와 결합하여 신격화되었다.[87] 산악신앙은 특히 수행도와 결합하여,[88] 신앙의 흥륭과 함께 서민들의 등산도 성행하여 등산객에게 숙소 등을 제공하는 온시가 생겨났다.[89] 또한 민간신앙에서도 산은 이계로 통하는 두려운 대상인 동시에, 날씨와 생업과 관련된 신성한 세계로 인식되어 산의 신이나 우기 등 산과 관련된 민속이 존재한다. 산악신앙에는 산에 오르는 형태도 있고, 산을 멀리하고 바라보기만 하는 형태도 있었다.

7. 3. 등산

남티롤에서 등반하는 등산가들


근대에 들어서면서 유럽에서는 산의 자연의 아름다움이 점차 인정받게 되어, 18세기 말에는 탐험이나 스포츠로서의 등산이 성행하게 되었다.[90] 이에 따라 산은 여가·오락의 장소로 여겨지게 되었다. 현대에는 등산뿐만 아니라 스키, 캠핑 등 다양한 여가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참조

[1] 서적 Glossary of Geology American Geological Institute
[2] 서적 The Earth Through Time Wiley
[3] 서적 Geomorphology in Desert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 웹사이트 The 'Highest' Spot on Earth https://www.npr.org/[...] Npr.org 2012-07-31
[5] 서적 Dictionary of Physical Geography Penguin
[6] 서적 England Cicerone
[7] 뉴스 Survey turns hill into a mountain http://news.bbc.co.u[...] 2013-02-03
[8] 웹사이트 A Mountain is a Mountain – isn't it? http://www.go4awalk.[...] 2013-02-03
[9] 백과사전 mountain http://dictionary.re[...] 2013-02-03
[10] 학술지 Listing the Irish hills and mountains http://www.ucd.ie/gs[...] University of Ulster
[11] 웹사이트 What is a "Mountain"? Mynydd Graig Goch and all that... http://metricviews.o[...] 2013-02-03
[12] 웹사이트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mountain", "hill", and "peak"; "lake" and "pond"; or "river" and "creek?" https://www.usgs.gov[...]
[13] 웹사이트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lake and pond; mountain and hill; or river and creek? http://gallery.usgs.[...] USGS 2013-02-11
[14] 웹사이트 High Stakes http://panos.org.uk/[...] 2009-02-17
[15] 서적 Science matters: earth and beyond; module 4 Pearson South Africa
[16] 서적 Science of Earth Systems https://archive.org/[...] Thompson
[17] 서적 Geological evolution of the Colorado Plateau of eastern Utah and western Colorado, including the San Juan River, Natural Bridges, Canyonlands, Arches, and the Book Cliffs University of Utah Press
[18] 서적 4-D framework of continental crust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19] 서적 Earth https://archive.org/[...] W.H. Freeman
[20] 학술지 Geologic evolution of Bulgaria in light of plate tectonics 1977-07
[21] 학술지 The Jura Mountains — an active foreland fold-and-thrust belt? 2000-06
[22] 서적 CliffsQuickReview Earth Science https://archive.org/[...] Wiley
[23] 학술지 The East African rift system 2005-10
[24] 학술지 Cenozoic uplift of Variscan Massifs in the Alpine foreland: Timing and controlling mechanisms 2007-07
[25] 서적 Principles of geomorphology Wiley
[26] 학술지 Beneath it all: bedrock geology of the Catskill Mountains and implications of its weathering: Bedrock geology and weathering of the Catskills 2013-07
[27] 서적 Atmospheres Prentice-Hall
[28] 웹사이트 Dry Adiabatic Lapse Rate http://meteorologytr[...] 2016-05-02
[29] 웹사이트 Factors affecting climate http://www.ecn.ac.uk[...] The United Kingdom Environmental Change Network
[30] 학술지 The Holdridge Life Zones of the conterminous United States in relation to ecosystem mapping http://www.epa.gov/w[...]
[31] 학술지 Scientists' warning of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mountains 2022-10-24
[32] 학술지 Climate Changes and Their Elevational Patterns in the Mountains of the World https://boris.unibe.[...]
[33] 웹사이트 Carbon Dioxide's Effect on Mountain Climate Systems https://eos.org/rese[...] 2023-11-07
[34] 서적 Recent Climate Change Impacts on Mountain Glaciers Wiley
[35] 서적 Snow and Ice-Related Hazards, Risks, and Disasters Elsevier
[36] 논문 Increasing dependence of lowland populations on mountain water resources
[37] 논문 Climate change impacts on the Alpine ecosystem: an overview with focus on the soil
[38] 논문 Vegetational Zonation in the Rocky Mountains 1943-06-00
[39] 웹사이트 Biotic Communities of the Colorado Plateau: C. Hart Merriam and the Life Zones Concept http://cpluhna.nau.e[...]
[40] 서적 The Great Southwest Nature Factbook https://archive.org/[...] Alaska Northwest Books
[41] 백과사전 Tree Microsoft Corporation
[42] 논문 Highest permanent human habitation
[43] 웹사이트 Everest: The Death Zone https://www.pbs.org/[...] PBS 1998-02-24
[44] 논문 Human Genetic Adaptation to High Altitude
[45] 논문 The influence of high-altitude living on body iron http://bloodjournal.[...]
[46] 백과사전 Alps – The economy https://www.britanni[...]
[47] 잡지 Tears of the Sun http://www.newyorker[...] 2015-04-20
[48] 웹사이트 El Alto, Bolivia: A New World Out of Differences http://upsidedownwor[...]
[49] 웹사이트 International Year of Freshwater 2003 http://www.wateryear[...]
[50] 웹사이트 The Mountain Institute http://www.mountain.[...]
[51] 논문 Border studies: changing perspectives and theoretical approaches
[52] 논문 The geopolitics of borders and boundaries
[53] 웹사이트 Mt. Olympus https://sacredsites.[...]
[54] 웹사이트 How Mount Fuji became Japan's most sacred symbol https://www.national[...] 2019-02-06
[55] 웹사이트 Mount Brandon https://pilgrimageme[...] 2016-06-06
[56] 웹사이트 Nanda Devi https://thecompletep[...] 2015-08-11
[57] 서적 Berg- und Gipfelkreuze in Tirol Universitätsverlag Wagner
[58] 뉴스 Nepal and China agree on Mount Everest's height http://news.bbc.co.u[...] 2010-04-08
[59] 서적 The Finest Peaks: Prominence and Other Mountain Measures Trafford
[60] 웹사이트 Mountains: Highest Points on Earth http://science.natio[...] National Geographic Society
[61] 학회 Using GIS to estimate the total volume of Mauna Loa Volcano, Hawaii http://gsa.confex.co[...]
[62] 문서 (일반적으로 산과 약간 구분하면서) 평탄하고 고도가 높은 지형은 고원, 고지, 평원이라고 한다.
[63] 문서 Blyth et,al. 2002 p.74.
[64] 문서 Blyth et,al. 2002 p.14.
[65] 웹사이트 High Stakes http://panos.org.uk/[...]
[66] 웹사이트 레퍼런스 사례 상세 https://crd.ndl.go.j[...] 국립국회도서관
[67] 문서 산악 중에서도 고도가 높고 눈에 띄는 꼭대기 부분을 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68] 문서 지각 운동의 각 세부 사항은 습곡, 융기, 단층, 경사 등을 참조하십시오.
[69] 뉴스 Nepal and China agree on Mount Everest's height http://news.bbc.co.u[...] BBC News 2010-04-08
[70] 웹사이트 The 'Highest' Spot on Earth https://www.npr.org/[...] Npr.org 2007-04-07
[71] 웹사이트 Mountains: Highest Points on Earth http://science.natio[...]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10-09-19
[72] 웹사이트 標高3メートル、日本一低い山に…天保山下回る:社会: http://www.yomiuri.c[...] 読売新聞(YOMIURI ONLINE)
[73] 서적 山はどうしてできるのか ダイナミックな地球科学入門 講談社 2012-01-20
[74] 서적 山はどうしてできるのか ダイナミックな地球科学入門 講談社 2012-01-20
[75] 웹사이트 山を知ろう http://www.jac.or.jp[...] 公益社団法人 日本山岳会
[76] 논문 Border studies: changing perspectives and theoretical approaches
[77] 논문 The geopolitics of borders and boundaries
[78] 논문 Human Genetic Adaptation to High Altitude
[79] 논문 The influence of high-altitude living on body iron http://bloodjournal.[...]
[80] 웹사이트 El Alto, Bolivia: A New World Out Of Differences http://upsidedownwor[...] 2018-07-08
[81] 웹사이트 Tears of the Sun http://www.newyorker[...] Condé Nast Publications 2018-07-08
[82] 논문 Highest permanent human habitation
[83] 웹사이트 Everest:The Death Zone https://www.pbs.org/[...] PBS 2018-07-08
[84] 문서 Blyth et,al. 2002
[85] 웹사이트 International Year of Freshwater 2003 http://www.wateryear[...] 2006-12-07
[86] 웹사이트 The Mountain Institute http://www.mountain.[...] 2006-12-07
[87] 서적 登山の誕生 中公新書 2001-06-25
[88] 서적 登山の誕生 中公新書 2001-06-25
[89] 서적 登山の誕生 中公新書 2001-06-25
[90] 서적 登山の誕生 中公新書 2001-06-25
[91] 웹사이트 山梨のパワースポット http://www.yamanashi[...] 社団法人やまなし観光推進機構 2011-03-06
[92] 문서 키보봉의 최고 지점
[93] 문서 킬리만자로 중 하나
[94] 문서 세계에서 가장 높은 화산
[95] 문서 세계 최고봉
[96] 문서 지구의 성층권 부분에 달하는 높이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