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임철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철우는 1954년 전라남도 완도군에서 태어나, 광주에서 성장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전남대학교에서 영문학 학사 학위를, 서강대학교와 전남대학교에서 영문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한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1981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했으며, 1980년대 광주 민주화 운동과 한국 분단 문제를 배경으로 한 작품을 주로 발표했다. 주요 작품으로 《아버지의 땅》, 《그 섬에 가고 싶다》 등이 있으며, 여러 문학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양 임씨 - 임방현
    임방현은 언론인 출신 정치인으로,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하버드 대학교 니만연구원을 지냈으며, 여러 언론사에서 기자 및 편집국장 등을 역임하고 대통령 특별보좌관과 공보수석비서관을 거쳐 국회의원을 지냈다.
  • 조양 임씨 - 임종인 (1956년)
    임종인은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제17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며, 《법률사무소 김앤장》, 《희망은 국민에게 있다》 등의 저서가 있다.
  • 광주숭일고등학교 동문 - 김택수 (탁구 선수)
    김택수는 대한민국의 탁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선수 시절 세계 선수권과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했으며, 국가대표팀 감독과 탁구단 총감독을 역임했다.
  • 광주숭일고등학교 동문 - 조영길 (1940년)
    조영길은 1961년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제2군사령관과 합참의장을 지낸 군인 출신으로, 노무현 정부에서 국방부 장관을 역임하고 이후 정치 활동을 하였으며, 전시작전통제권 환수 정책에 반대했다.
  • 요산김정한문학상 수상자 - 백낙청
    백낙청은 대한민국의 영문학자이자 문학평론가, 사회운동가로서, 《창작과비평》 창간, D. H. 로런스 연구, 유신 정권 비판, 남북 화해와 통일 운동 참여, 민족 문학론과 분단 극복론 주창 등 비판적 지식인으로서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끼쳤다.
  • 요산김정한문학상 수상자 - 성석제
    성석제는 해학과 풍자를 통해 인간과 사회의 부조리를 그려내는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시인으로, 유머와 비애를 조화시키는 능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으며 다양한 문학상을 수상했다.
임철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임철우, SIBF 2014
임철우, SIBF 2014
본명임철우
출생일1954년 10월 15일
출생지완도, 완도군, 전라남도, 대한민국
국적대한민국
직업소설가
언어한국어
학력
모교전남대학교 영문학 학사
서강대학교 영문학 석사
전남대학교 영문학 박사
작품 활동
활동 기간1981년 - 현재
장르소설
데뷔작개 도둑
대표작그 섬에 가고 싶다
가족
배우자알 수 없음
자녀알 수 없음
친척알 수 없음
수상
수상 내역알 수 없음
기타
서명알 수 없음

2. 생애

임철우는 1954년 10월 15일 전라남도 완도군에서 태어났다.[2] 10세에 광주광역시로 이주하여[3] 그곳의 숭일고등학교를 다녔다. 전남대학교에서 영문학 학위를 받았으며, 서강대학교전남대학교에서 영문학 석사 과정을 마쳤다. 한신대학교에서 창작 강의를 하고 있다.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광주에 있었으며, 이는 그의 시각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4] 그의 작품은 그 사건의 극화와 더 일반적으로 한국 분단의 문제에 초점을 맞춘 작품들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1981년 '개 사냥꾼'으로 데뷔했다.[5] 1985년에는 '아버지의 땅'으로 제17회 한국일보 문학상을, 1988년에는 '붉은 방'으로 제12회 이상문학상을 수상했으며, 이후 동명의 작품집에 수록되었다. 1994년 임철우의 소설 '섬에 가고 싶다'는 한국 영화 '별을 쏘다'로 제작되었다.[6]

연도내용
1954년 10월 15일전라남도 완도군에서 출생.[11]
1981년서울신문 신춘문예에 개도둑한국어이 당선되어 등단.
1985년제17회 한국일보 문학상 수상.
1988년제12회 이상 문학상 수상.
1995년한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
1998년제12회 단재상 수상.
2005년제22회 낙산 문학상 수상.



임철우의 작품은 남북 분단의 문제와 이데올로기의 폭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개도둑한국어, 직선과 독가스한국어, 붉은 방한국어 등의 작품은 1980년대 광주 민주화 운동을 배경으로 한 소설이다. 또한, 1990년대에 발표한 그 섬에 가고 싶다한국어, 등대 아래서 휘파람한국어, 붉은 산 흰 새한국어 등은 임철우의 고향인 평일도가 배경이며, 한국 전쟁과 남북 분단이 주제이다. 임철우는 서정적인 문체로 소설을 쓰는 특징이 있으며, 이 때문에 무거운 주제임에도 읽기 쉽다는 평을 받는다.

3. 작품 세계

임철우는 반항적인 작가로 알려져 있다.[7] 5·18 광주 민주화 운동 1년 후, 민족 분단과 한국의 이념 갈등의 폭력에 초점을 맞춘 첫 단편 소설 《개》를 발표했다. 작품 대부분은 죄책감의 심리를 탐구하는 배경으로서 5·18 광주 민주화 운동과 한국 전쟁에 초점을 맞춘다. 5·18 광주 민주화 운동에 대한 작품은 8년에 걸쳐 쓰인 5권짜리 소설 《봄날》로 절정에 달했다.[8]

작품은 남북 분단의 문제와 이데올로기의 폭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개도둑한국어」, 「직선과 독가스한국어」, 「붉은 방한국어」 등은 1980년대 광주 민주화 운동을 배경으로 한 소설이다. 1990년대에 발표한 「그 섬에 가고 싶다한국어」, 「등대 아래서 휘파람한국어」, 「붉은 산 흰 새한국어」 등은 고향인 평일도가 배경이며, 한국 전쟁과 남북 분단이 주제이다. 서정적인 문체로 소설을 쓰는 특징이 있으며, 이 때문에 무거운 주제임에도 읽기 쉽다는 평을 받는다. 「그 섬에 가고 싶다한국어」는 영화화되었다.

4. 작품 목록

임철우 작가는 소설집과 장편 소설을 모두 발표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사평역》, 《아버지의 땅》, 《그리운 남쪽》, 《붉은 산 흰 새》, 《불임기》, 《봄날》 등이 있다.[13][14]

4. 1. 소설집


  • 사평역 (1983년)
  • 《아버지의 땅》 (1984년)[13][14]
  • 《그리운 남쪽》 (1985년)
  • 《달빛 밟기》 (1987년)
  • 《불임기》 (1987년)
  • 《직선과 독가스》 (1989년)
  • 《물 그림자》 (1991년)
  • 그 섬에 가고 싶다 (1991년)
  • 《등대 아래서 휘파람》 (1993년)
  • 《곡두운동회》 (1995년)
  • 봄날 (1997년)
  • 《등대》 (2002년)
  • 백년여관 (2004년)
  • 《붉은 산 흰 새》

4. 2. 장편 소설

5. 수상 경력


  • 1985년, 소설 《아버지의 땅》으로 제17회 한국일보 창작 문학상을 수상했다.
  • 1988년, 소설 《붉은 방》으로 제12회 이상문학상을 수상했다.
  • 1998년, 제12회 단재상을 수상했다.
  • 2005년, 제22회 낙산 문학상을 수상했다.

참조

[1] 웹아카이브 임철우 biographical PDF http://klti.or.kr/ke[...] 2013-09-21
[2] 웹사이트 임철우 작가 정보 http://www.klti.or.k[...] 2017-12
[3] 간행물 Koreana Magazine koreana.kf.or.kr/vie[...]
[4] 간행물 Koreana Magazine koreana.kf.or.kr/vie[...]
[5] 서적 The Star and Other Korean Short Stories
[6] 웹사이트 Image http://www.koreafilm[...] 2011-01-03
[7] 서적 The Northern Region of Korea: History, Identity, and Culture Center for Korea Studies
[8] 서적 Korean Writers The Novelists Minumsa Press
[9] 웹사이트 완도 출신 소설가 임철우의 “문학과 고향” 이야기 http://www.wandonews[...] 2023-07-26
[10] 학술지 The Genealogy of Violence and Memory of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 Focusing on the Lim Chul-woo, A Hundred Years inn - https://www.kci.go.k[...] 2022
[11] 웹사이트 인물정보(人物情報) http://people.search[...] 2014
[12] 웹사이트 한국문학번역원 문인DB 임철우 http://www.klti.or.k[...] 2014
[13] 웹사이트 임철우 (NAVER 한국현대문학대사전) http://terms.naver.c[...] 2014
[14] 웹사이트 임철우 (NAVER Doosan百科) http://terms.naver.c[...] 2014
[15] 서적 사평역 사피엔스
[16] 서적 사평역 사피엔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