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도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완도군은 전라남도에 위치한 군으로, 백제 시대에는 해남군의 관할이었다. 1896년 영암군, 강진군, 해남군, 장흥군의 도서 지역을 통합하여 완도군으로 설치되었으며, 3읍 9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섬으로는 완도, 고금도, 노화도, 청산도 등이 있으며,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해 수려한 해상 경관을 자랑한다. 전통적으로 어업이 발달하여 김, 다시마, 전복 등 다양한 해산물을 생산하며, 특히 김 생산량은 전국 최대 규모이다. 주요 관광지로는 완도타워, 장보고기념관, 신지명사십리해수욕장 등이 있으며, 윤선도 원림, 청산도 슬로시티 등 다양한 문화·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라남도의 행정 구역 - 완도군의 행정 구역
완도군의 행정 구역은 완도읍을 중심으로 금일읍, 노화읍, 군외면, 신지면, 고금면, 약산면, 청산면, 소안면, 금당면, 보길면, 생일면으로 구성된 1읍 11면으로 이루어져 완도군의 행정, 경제, 문화, 관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완도군 - 장보고 수산물축제
- 완도군 - 청산도 슬로걷기축제
청산도 슬로걷기축제는 전라남도 완도군 청산도에서 매년 봄 '느림'을 주제로 개최되는 축제로, 국제슬로시티연맹 공식길 인증 및 유네스코 세계농업유산 등재 등과 관련된 행사들이 진행된다. - 1896년 설치 - 충청북도
충청북도는 대한민국의 내륙도로, 경상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경기도 및 강원도와 접하며, 삼국 시대에는 백제, 고구려, 신라의 경계 지역이었고, 현재는 3개의 시와 8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청 소재지는 청주시이다. - 1896년 설치 - 충청남도
충청남도는 삼국 시대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역사적 변천을 겪었으며, 현재는 8개의 시와 7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농업, 수산업, 제조업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하여 해양관광 및 생태관광이 활성화되고 있다.
완도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완도군 |
한글 표기 | 완도군 |
한자 표기 | 莞島郡 |
로마자 표기 | Wando-gun |
McCune-Reischauer 표기 | Wando-gun |
지역 | 호남 |
방언 | 전라 |
면적 | 391.81 km² |
인구 | 45,837 명 (2024년 9월) |
인구 밀도 | 179 명/km² |
행정 구역 | 3 읍, 9 면 |
![]() | |
![]() | |
상징 | |
군목 | 동백나무 |
군화 | 동백꽃 |
군조 | 갈매기 |
행정 | |
군수 | 신우철 (더불어민주당) |
국회의원 |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해남군·완도군·진도군) |
군청 소재지 | 완도읍 청해진남로 51 |
홈페이지 | 완도군청 |
2. 역사
완도군의 역사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여러 행정 구역 변화와 사건들을 겪으며 이어져 왔다.
=== 고대 ~ 조선시대 ===
- 백제 : 새금현(현재의 해남군) 관할이었다.
- 828년(신라 흥덕왕 3년) : 장보고가 청해진을 설치하였다.
- 851년(신라 문성왕 13년) : 청해진이 폐지되고, 거주민들은 벽골군 (현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으로 강제 이주되었다.
- 1271년(고려 원종 12년) : 삼별초의 난 때 송징 장군이 완도에 들어왔다.
- 1352년(고려 공민왕 원년) : 주민들의 입주가 허용되었다.
- 1449년(조선 세종 31년) : 주민 거주 금지령이 공포되었다.
- 1522년(조선 중종 17년) : 가리포진(加里浦鎭)이 설치되고, 첨사(僉使)를 두었다.
- 1608년(조선 선조 41년) : 해금령이 풀려 주민들이 다시 입주할 수 있게 되었다.
=== 근현대 ===
- 1896년 : 영암군, 강진군, 해남군, 장흥군의 도서 지역을 통합하여 '''완도군'''을 설치하였다.[17]
- 1914년 4월 1일 : 팔금면을 무안군에, 득량도를 고흥군에 이속하고, 상·하추자면과 보길면 횡간도를 추자면으로 통합해 제주도(濟州島)에 이속, 삼마도는 해남군에, 군내면의 가우도는 강진군에 이속하였다.[17]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완도군 평일면(平日面), 금당면(金塘面), 생일면(生日面) | 금일면 일원 |
완도군 노화면(蘆化面), 보길면(甫吉面) | 노화면 일원 |
완도군 고금면(古今面), 조약면(助藥面) | 고금면 일원 |
완도군 여서면(麗瑞面), 청산면(靑山面) | 청산면 일원 |
완도군 군내면(郡內面), 군외면(郡外面) 일부 | 군내면 일원 |
완도군 군내면 일부, 군외면 일부 | 군외면 일원 |
- 1943년 10월 1일 : 완도면이 완도읍으로 승격하였다.[18]
- 1949년 4월 1일 : 고금면 조약도가 분리되어 약산면이 설치되었다.
- 1962년 1월 27일 : 금당도에 금일면 금당출장소가 설치되었다.
- 1964년 8월 24일 : 모도에 청산면 모도출장소, 넙도에 노화면 넙도출장소가 설치되었다.
- 1971년 5월 24일 : 생일도에 금당면 생일출장소가 설치되었다.
- 1973년 7월 1일 : 군외면 대야리가 완도읍에 편입되었다.
- 1980년 12월 1일 : 금일면과 노화면이 각각 금일읍, 노화읍으로 승격하였다.[19]
- 1982년 10월 1일 : 보길도에 노화면 보길출장소가 설치되었다.
- 1986년 4월 1일 : 금일읍 금당출장소와 노화읍 보길출장소가 각각 금당면, 보길면으로 분리되었다.
- 1989년 4월 1일 : 금일읍 생일출장소가 생일면으로 분리되었다.
- 1921년 4월 1일 - 군외면 어불도가 해남군 송지면에 편입.
- 1969년 2월 1일 - 완도대교(1대) 개통.
- 1983년 9월 24일 - 완도대교(2대) 개통.
- 2012년 3월 29일 - 완도대교 개통.
2. 1. 고대 ~ 조선시대
- 백제 때 : 새금현(현재의 해남군) 관할이었다.
- 828년(신라 흥덕왕 3년) : 장보고가 청해진을 설치하였다.
- 851년(신라 문성왕 13년) : 청해진이 폐지되고, 거주민들은 벽골군 (현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으로 강제 이주되었다.
- 1271년(고려 원종 12년) : 삼별초의 난 때 송징 장군이 완도에 들어왔다.
- 1352년(고려 공민왕 원년) : 주민들의 입주가 허용되었다.
- 1449년(조선 세종 31년) : 주민 거주 금지령이 공포되었다.
- 1522년(조선 중종 17년) : 가리포진(加里浦鎭)이 설치되고, 첨사(僉使)를 두었다.
- 1608년(조선 선조 41년) : 해금령이 풀려 주민들이 다시 입주할 수 있게 되었다.
2. 2. 근현대
1896년 영암군, 강진군, 해남군, 장흥군의 도서 지역을 통합하여 '''완도군'''을 설치하였다.[17] 1914년 4월 1일 팔금면을 무안군에, 득량도를 고흥군에 이속하고, 상·하추자면과 보길면 횡간도를 추자면으로 통합해 제주도(濟州島)에 이속, 삼마도는 해남군에, 군내면의 가우도는 강진군에 이속하였다.[17]조선총독부령 제111호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완도군 평일면(平日面), 금당면(金塘面), 생일면(生日面) | 금일면 일원 |
완도군 노화면(蘆化面), 보길면(甫吉面) | 노화면 일원 |
완도군 고금면(古今面), 조약면(助藥面) | 고금면 일원 |
완도군 여서면(麗瑞面), 청산면(靑山面) | 청산면 일원 |
완도군 군내면(郡內面), 군외면(郡外面) 일부 | 군내면 일원 |
완도군 군내면 일부, 군외면 일부 | 군외면 일원 |
완도군은 다도해의 여러 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주해협을 통해 제주특별자치도와 접한다. 서쪽으로는 해남군, 진도군, 북쪽으로는 강진군, 장흥군, 동북쪽으로는 고흥군, 동쪽으로는 여수시와 접해 있다. 완도군 해역의 상당 부분은 다도해해상 국립공원에 속한다.
1943년 10월 1일 완도면이 완도읍으로 승격하였고,[18] 1949년 4월 1일 고금면 조약도가 분리되어 약산면이 설치되었다. 1962년 1월 27일 금당도에 금일면 금당출장소가 설치되었고, 1964년 8월 24일 모도에 청산면 모도출장소, 넙도에 노화면 넙도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71년 5월 24일에는 생일도에 금당면 생일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73년 7월 1일 군외면 대야리가 완도읍에 편입되었다. 1980년 12월 1일 금일면과 노화면이 각각 금일읍, 노화읍으로 승격하였다.[19] 1982년 10월 1일 보길도에 노화면 보길출장소가 설치되었고, 1986년 4월 1일 금일읍 금당출장소와 노화읍 보길출장소가 각각 금당면, 보길면으로 분리되었다. 1989년 4월 1일에는 금일읍 생일출장소가 생일면으로 분리되었다.
3. 지리
완도군은 한반도 최남단 해남군 앞바다에 있으며, 265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해남반도가 북서풍을 막아주어 섬들과 그 주변은 온화한 해양성 기후를 띠며, 온대 상록활엽수림, 염생습지, 사질 해안, 간석지, 조간대 등 다양한 생태계가 나타난다. 완도의 바다는 갯벌, 해조류 숲, 맥반석과 초석 등이 물을 정화하여 청정한 환경을 만들고, 이 곳에서 생산된 해조류는 최고의 맛을 자랑한다. 2021년에는 주변 해역을 포함하여 유네스코(UNESCO)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다.[7]
3. 1. 완도군에 속한 주요 섬
소안도는 전체 면적이 23km2이고, 해안선의 길이는 42km이다. 소안도의 선착장에 도착하면 양옆으로 넓게 펼쳐진 섬의 전경이 한눈에 들어온다. 소안도에는 소안 항일운동기념탑, 맹선리와 미라리 상록수림, 미라8경, 미라해수욕장, 괴목해수욕장, 부상해수욕장, 진상리해수욕장이 있다.[20][21]
'''청산도'''(靑山島)는 대한민국 남해 연안의 섬으로, 전라남도 완도군 청산면의 주도(主島)이다. 대모도, 소모도, 여서도, 장도 등 4개의 유인도와 여러 무인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시사철 섬이 푸르다고 해서 '청산도'라 부른다. 맑고 푸른 다도해와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운 풍경으로 인해 예로부터 신선이 산다는 섬이라 해서 '선산(仙山)' 또는 '선원(仙源)'이라고도 불렀다.
보길도는 면적이 33km2이고 해안선의 길이가 41km에 이르는 고산 윤선도의 오래된 낙원이다.[22]
3. 2. 사수도 관할권 분쟁
제주특별자치도와 완도군 사이에는 사수도 (완도군에서는 장수도라고 부름)의 관할권을 놓고 분쟁이 있다. 현재 사수도는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관리하고 있지만, 완도군은 이 섬이 완도군에 소속되어 있다고 주장한다.[23]
2005년, 북제주군(지금의 제주시)은 헌법재판소에 사수도의 관할권에 대한 권한쟁의심판을 제기하였으며, 2008년 12월 26일 헌법재판소는 사수도가 제주특별자치도에 속한다고 결정하였다.
4. 기후
완도군은 온화한 해양성 기후를 나타내며, 연평균 기온은 14.3°C이다.[24][25]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 |
---|---|---|---|---|---|---|---|---|---|---|---|---|---|
평균 기온 (℃) | 2.7°C | 3.9°C | 7.8°C | 12.9°C | 17.6°C | 21.2°C | 24.7°C | 26°C | 22.3°C | 16.9°C | 10.8°C | 4.9°C | 14.3°C |
평균 최고 기온 (℃) | 6.3°C | 8.3°C | 12.6°C | 17.9°C | 22.5°C | 25.4°C | 28.3°C | 29.8°C | 26.6°C | 21.6°C | 15.2°C | 8.8°C | 18.6°C |
평균 최저 기온 (℃) | -0.4°C | 0.2°C | 3.6°C | 8.5°C | 13.4°C | 17.9°C | 22.1°C | 23.2°C | 19°C | 13°C | 7°C | 1.4°C | 10.7°C |
최고 기온 기록 (℃) | 19.5°C | 20°C | 23°C | 27.6°C | 31.9°C | 31.9°C | 36.2°C | 36.9°C | 34°C | 29.9°C | 24.4°C | 20.3°C | 36.9°C |
최저 기온 기록 (℃) | -10.2°C | -10.7°C | -6.9°C | -0.9°C | 5.1°C | 9.9°C | 16.5°C | 13.9°C | 11°C | 2.1°C | -2.9°C | -10.2°C | -10.7°C |
강수량 (mm) | 34mm | 52.6mm | 103.7mm | 141.7mm | 147mm | 207.2mm | 257.2mm | 238.8mm | 176.4mm | 73mm | 62.7mm | 37.2mm | 1531.5mm |
평균 강수일수 (0.1 mm 이상) | 8.0 | 7.6 | 8.9 | 8.9 | 9.3 | 11.5 | 13.5 | 11.8 | 9.7 | 5.8 | 7.8 | 8.3 | 111.1 |
평균 상대 습도 (%) | 65.1 | 64.0 | 64.3 | 65.8 | 70.8 | 79.5 | 85.0 | 82.6 | 77.2 | 69.3 | 68.6 | 66.6 | 71.6 |
평균 일조시간 | 149.0 | 161.6 | 189.6 | 203.7 | 214.3 | 162.3 | 150.4 | 175.5 | 167.6 | 206.5 | 162.0 | 149.9 | 2092.4 |
5. 행정 구역
완도군의 행정 구역은 3읍 9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완도군의 면적은 396.13 km2이며, 2015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53,014명, 25,535 가구이다. 이 중 35.9%가 군청 소재지인 완도읍에 거주한다.[26]
읍·면 | 한자 | 면적 (km2) | 인구 (명) | 세대 |
---|---|---|---|---|
완도읍 | 莞島邑 | 54.11 | 19,031 | 8,429 |
금일읍 | 金日邑 | 28.14 | 3,947 | 2,051 |
노화읍 | 盧花邑 | 31.94 | 5,669 | 2,603 |
군외면 | 郡外面 | 42.78 | 3,540 | 1,897 |
신지면 | 新智面 | 31.31 | 3,650 | 1,865 |
고금면 | 古今面 | 46.38 | 4,602 | 2,376 |
약산면 | 藥山面 | 28.8 | 2,478 | 1,335 |
청산면 | 靑山面 | 41.88 | 2,514 | 1,373 |
소안면 | 所安面 | 28.37 | 2,745 | 1,338 |
금당면 | 金塘面 | 14.22 | 1,074 | 553 |
보길면 | 甫吉面 | 32.54 | 2,900 | 1,248 |
생일면 | 生日面 | 15.07 | 864 | 467 |
완도군 | 莞島郡 | 396.13 | 53,014 | 25,535 |
읍·면 | 법정리 |
---|---|
완도읍 | 가용리, 군내리, 대신리, 대야리, 망석리, 장사리, 정도리, 죽청리, 중도리, 화흥리 |
금일읍 | 동백리, 사동리, 신구리, 월송리, 장원리, 장정리, 척치리, 충동리, 화목리 |
노화읍 | 고막리, 구석리, 도청리, 동천리, 등산리, 신량리, 이포리, 충도리, 내리, 방서리 |
금당면 | 가학리, 육산리, 차우리 |
생일면 | 금곡리, 봉선리, 유서리 |
보길면 | 부황리, 예송리, 정자리, 중통리 |
군외면 | 당인리, 대문리, 불목리, 삼두리, 신학리, 영풍리, 원동리, 황진리 |
고금면 | 가교리, 농상리, 덕동리, 덕암리, 도남리, 봉명리, 상정리, 세동리, 청룡리, 회룡리 |
약산면 | 관산리, 득암리, 우두리, 장룡리, 해동리 |
신지면 | 대곡리, 동고리, 송곡리, 신리, 신상리, 월양리 |
청산면 | 국산리, 당락리, 도청리, 동촌리, 부흥리, 상동리, 신흥리, 양중리, 읍리, 지리, 청계리, 모도리, 여서리 |
소안면 | 가학리, 당사리, 맹선리, 미라리, 비자리, 이월리, 진산리, 횡간리 |
6. 인구
연도 | 총인구 |
---|---|
1960년 | 126,057명 |
1966년 | 140,051명 |
1970년 | 143,095명 |
1975년 | 141,070명 |
1980년 | 126,762명 |
1985년 | 111,205명 |
1990년 | 85,751명 |
1995년 | 64,764명 |
2000년 | 61,517명 |
2005년 | 51,325명 |
2010년 | 46,777명 |
7. 경제
완도군은 갯벌, 해조류 숲, 맥반석과 초석 등이 물을 정화하는 청정한 바다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수산생물이 풍부하다.[2] 김, 다시마, 톳, 전복, 매생이, 해삼 등이 생산된다.
7. 1. 주요 산업
완도군은 수산업이 발달한 전형적인 어촌 지역이다. 다시마를 비롯한 해조류 양식업이 활발하며, 특히 다시마는 한국 생산량의 70%를 차지한다.[13] 또한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해양 바이오산업을 육성하고 있다.[14]최고의 김은 완도 지역에서 생산된다. 김 양식은 2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완도는 전국 생산량의 22%를 차지하는 최대 생산 지역이다. 2006년 완도는 약 230만 톤의 파래김을 미국, 일본, 타이완으로 수출했다.[2]
광업은 활석 생산이 많아 연간 22만 톤이 생산되고 있으며, 주요 산지는 노화읍이다.[15]
이 외에도 쌀, 마늘, 포도, 배, 부지화, 유자, 딸기, 방울토마토, 삼지구엽초, 감자, 찰옥수수, 한우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건어물 가공공장, 선박제조, 플라스틱 제조업체 등이 있다.
8. 문화·관광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하는 완도는 수려한 해상경관과 다양한 문화유적을 보유하여 다도해의 주요 관광지로 꼽힌다. 신지해수욕장은 남해안 최고의 해수욕장으로 알려져 있으며, 보길도 윤선도 원림은 윤선도의 유적지로 유명하다. 청산도는 2007년 아시아 최초의 슬로시티로 인증되었고, 2008년에는 장보고기념관이 준공되었다.[20][22][28]
8. 1. 주요 관광지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하는 완도는 수려한 해상경관과 많은 문화유적을 보유한 다도해의 주요 관광지 중 하나이다. 완도읍 군내리 앞바다의 주도는 120여 종의 상록수림이 울창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고, 완도읍 죽청리 해안에는 울창한 동백나무 숲이 장관을 이루고 있다. 인근 정도리 해안에는 둥글둥글한 청돌로 이루어진 자갈밭 완도 정도리 구계등이 있다.완도군 신지면에 있는 신지해수욕장은 남해안 최고의 해수욕장으로 알려져 있다. 백사장 길이 3.8km에 이르고 모래를 밟으면 우는 소리가 난다고 하는 울모래가 거의 직선으로 동서 10리나 뻗어 있어 명사십리해수욕장이라 부른다. 이곳에서는 명사(明沙)를 울모래 '명사(鳴沙)'라고 쓰고 있다. 배후에는 송림으로 덮여 있고 전면에 훤히 트인 남해를 바라보는 이 해수욕장은 물이 맑고 경사가 완만해 수영 초보자에게도 적합하다. 여름철 수온은 21°C으로, 매년 여름에는 많은 피서객들이 찾고 있다. 여름철에 달구어진 모래로 찜질을 하면 신경통과 관절염, 피부 질환에 특효가 있다고 알려져 전국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다. 2005년 12월에 완도와 신지도를 잇는 신지대교가 완공되어 교통이 더욱 편리해졌다.
기암석으로 이루어진 소안군도의 해안을 지나면 윤선도의 유적지인 부용동(芙蓉洞) 정원이라 불리는 보길도 윤선도 원림이 있다. 노화도와 소화도를 지나 내륙쪽으로 오면 생일도·금일도의 수많은 작은 섬들이 급경사와 암벽을 이루면서 수림과 함께 천연의 해상경치를 이루고 있다.
청산도는 사시사철 푸른 섬이다. 2007년에는 신안 증도, 장흥 장평 유치면, 담양 창평면 등과 함께 아시아 최초의 슬로시티(Slow City)로 인증되었다. 소안도, 보길도, 청산도는 2008년에 행정안전부와 한국관광공사가 공동으로 선정한 "2008 휴양하기 좋은 섬 Best 30"에 선정되었다.[20][22]
2008년에 장보고기념관이 준공되었으며, 3년간의 공사 끝에 2009년 6월 3일 완도읍 옛 청해진 터에 좌대를 포함한 31.7m의 장보고 청동상이 세워졌다.[28]
- 완도 정도리 구계등 - 명승 제3호
- 보길도 윤선도 원림 - 명승 제34호
- 완도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 - 사적 제114호
- 완도 청해진 유적 - 사적 제308호
- 완도 주도 상록수림 - 천연기념물 제28호
- 완도 예송리 상록수림 - 천연기념물 제40호
- 완도 예작도 감탕나무 - 천연기념물 제338호
- 완도 미라리 상록수림 - 천연기념물 제339호
- 완도 맹선리 상록수림 - 천연기념물 제340호
- 완도 대문리 모감주나무 군락 - 천연기념물 제428호
- 완도 정자리 황칠나무 - 천연기념물 제479호
- 완도법화사지 - 전라남도 시도기념물 제131호
- 완도고금도지석묘군 - 전라남도 시도기념물 제231호
- 완도 수향사 목조관음보살좌상 -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319호
- 완도타워
- 장도청해진유적지
- 완도수목원
- 보길도 윤선도 원림
- 슬로시티 청산도
- 신지명사십리해수욕장
- 금당팔경
- 완도어촌민속전시관
8. 2. 문화재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하는 완도는 수려한 해상경관과 많은 문화유적을 보유한 다도해의 주요 관광지 중 하나이다. 완도읍 군내리 앞바다의 주도에는 120여 종의 상록수림이 울창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고, 완도읍 죽청리 해안에는 울창한 동백나무 숲이 장관을 이루고 있다. 인근 정도리 해안에는 둥글둥글한 청돌로 이루어진 자갈밭 완도 정도리 구계등이 있다.2008년에 장보고기념관이 준공되었으며, 3년간의 공사 끝에 2009년 6월 3일 완도읍 옛 청해진 터에 좌대를 포함한 31.7m의 장보고 청동상이 세워졌다.[28]
완도군에는 국가지정 명승 2곳, 사적 2곳, 천연기념물 7개가 있고 전라남도 지정 기념물 2곳, 무형문화재 1개, 유형문화재 1개, 문화재자료 2개가 지정되어 있다.[29]
종류 | 명칭 | 비고 |
---|---|---|
명승 | 완도 정도리 구계등 | 제3호 |
명승 | 보길도 윤선도 원림 | 제34호 |
사적 | 완도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 | 제114호 |
사적 | 완도 청해진 유적 | 제308호 |
천연기념물 | 완도 주도 상록수림 | 제28호 |
천연기념물 | 완도 예송리 상록수림 | 제40호 |
천연기념물 | 완도 예작도 감탕나무 | 제338호 |
천연기념물 | 완도 미라리 상록수림 | 제339호 |
천연기념물 | 완도 맹선리 상록수림 | 제340호 |
천연기념물 | 완도 대문리 모감주나무 군락 | 제428호 |
천연기념물 | 완도 정자리 황칠나무 | 제479호 |
전라남도 시도기념물 | 완도법화사지 | 제131호 |
전라남도 시도기념물 | 완도고금도지석묘군 | 제231호 |
전라남도 시도무형문화재 | 완도장좌리당제및당굿 | 제28호 |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재 | 완도 수향사 목조관음보살좌상 | 제319호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 완도향교 | 제107호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 읍리하마비 | 제108호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 읍리지석묘 | 제116호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 우수영전진도첩 | 제163호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 완도신흥사목조약사여래좌상 | 제213호 |
등록문화재 | 완도 청산도 상서마을 옛 담장 | 제279호 |
8. 3. 축제
- 완도국제해조류박람회 - 해조류의 다양한 자료를 관람하고 체험할 수 있는 행사이다.
- 청산도 슬로걷기축제 -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로 지정된 완도군 청산도에서 매년 4월에 진행되는 축제이다. 청산도의 슬로걷기 코스는 총 11코스로 되어 있다.
- 장보고 수산물축제 - 보고, 먹고, 체험하는 행복한 완도를 즐길 수 있는 축제이다. 매년 5월 중 완도해변공원과 청해진 유적지 일원에서 개최된다.
- 해맞이축제 - 일몰과 일출이 유명한 완도타워에서 매년 1월 1일 펼쳐지는 해맞이 행사이다.
- 청정완도 가을빛여행 - 매년 10월 중 완도해변공원과 완도수목원 일원에서 개최되는 완도의 가을 숲을 볼 수 있는 축제이다.
9. 주요 시설
완도군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시설이 있다.
완도군 보건의료원은 군 직속 공공의료기관으로 의료원, 보건지소, 보건진료소를 운영하며, 완도대성병원은 군 내 유일한 병원이다.[1][2]
9. 1. 행정

9. 2. 의료
완도군 보건의료원은 완도군 직속 공공의료기관으로 의료원 1개소, 보건지소 11개소, 보건진료소 18개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공중보건의사와 보건진료직 간호사가 진료 및 보건사업을 수행하고 있다.[1]완도대성병원은 군 내 유일한 병원으로, 지역 응급의료 및 산부인과, 소아과 등 취약지 지원 의료기관으로 선정되어 지역민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2]
10. 인물
11. 자매 도시
완도군은 다음 도시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국가 | 도시 |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서울특별시 강동구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서울특별시 노원구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인천광역시 연수구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충청남도 천안시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대구광역시 군위군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대전광역시 유성구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인천광역시 부평구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광주광역시 북구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울산광역시 북구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경기도 의왕시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충청남도 금산군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충청북도 충주시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경상남도 고성군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
중화인민공화국|중국중국어 | 산둥성 룽청시 |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뉴스
'김의 고장' 완도서 햇김 본격 출하
http://news.naver.co[...]
Newsis
2007-11-08
[3]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4]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5]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12-08
[6]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7]
웹사이트
Wando Biosphere Reserve, Republic of Korea
https://en.unesco.or[...]
2023-02-09
[8]
간행물
완도군(전라남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16-06-06
[9]
법률
朝鮮総督府令第297号
1943-09-29
[10]
법률
경기도시흥군의왕읍등35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80-10-21
[11]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완도(170)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03-25
[12]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완도(170)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10-02
[13]
뉴스
'해조류 왕국' 완도… 해양 헬스케어 이끈다
https://www.chosun.c[...]
2023-02-09
[14]
뉴스
'연평균 성장률 17%' 해양바이오산업…완도군, 집중 육성
https://www.yna.co.k[...]
2023-02-09
[15]
뉴스
전남도, '황금알' 납석 활용 산업화 추진
https://www.yna.co.k[...]
2023-02-09
[16]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7]
간행물
완도군(전라남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16-06-06
[18]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297호
1943-09-29
[19]
법률
경기도시흥군의왕읍등35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80-10-21
[20]
뉴스
<이번 여름 가볼만한 섬>테마② 바다체험-보령 삽시도, 완도 소안도, 신안 가거도
http://www.newsis.co[...]
뉴시스
2008-07-12
[21]
서적
전국여행 슈퍼정보
(주)교학사
2002-06-15
[22]
뉴스
<이번 여름 가볼만한 섬>테마① 답사기행-보길도, 청산도, 여수사도
http://www.newsis.co[...]
뉴시스
2008-07-12
[23]
웹인용
관할권 분쟁 끝낸 '사수도' 제주도기(旗) 게양
http://www.cbs.co.kr[...]
노컷뉴스
2009-03-12
[24]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완도(170)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25]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완도(170)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26]
간행물
주민등록 인구통계
행정자치부
2016-03-08
[27]
간행물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28]
뉴스
동양최대 장보고 동상 완도에 `우뚝`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09-12-23
[29]
웹사이트
문화재청 문화재검색 자료
http://www.cha.go.k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임영웅이 임영웅했다…'섬총각 영웅', 첫방부터 반응 폭발 '화요 예능 1위'
밤바다에 울려퍼린 "살려달라"…순찰하던 해경, 2명 구해
“8월8일은 섬의 날…섬의 무한(∞)한 가능성 상징”
“소멸 위기 극복·경제 효과”…‘무료 농어촌버스’ 전국 확산
광주·전남 100㎜ 안팎 많은 비···하천 통제·일부 항공기 차질
전남 완도 신지도 주민 125명 여순사건 군법회의 실형, 왜?
서귀포 1961년 관측 이래 6월 역대 최고기온 기록
“마을이 함께 키운다”…완도군 ‘육아 품앗이’ 가족 프로그램 눈길
“이불 빨래 엄두도 못 냈는디, 빨래방 덕분에”…전남도, 고향사랑기부제로 개설
사학연금, 완도군과 해양치유 활성화 업무협약 체결
가스 줄줄 새는데, 감지기는 ‘먹통’···‘집단 중독’ 리조트 사고 관리부실 무게
'가스중독 사고' 완도 리조트 감지기 작동 안 해…관리 책임 수사
여인숙 1층서 '활활'…80대 노모·60대 아들 사망
어린이날 놀러 왔다가...완도 리조트서 14명 일산화탄소 추정 가스 중독 | JTBC 뉴스
어린이날 완도 리조트서 가스 누출…아동 5명 등 14명 병원 이송
어린이날 연휴 완도 리조트 투숙객들 가스 중독…14명 경상
완도 리조트 숙박객 일산화탄소 추정 가스중독…14명 경상
어린이날 완도 리조트서 가스 중독 사고…투숙객 14명 병원 이송
전남 완도서 실종된 60대 남성, 바다에 빠진 차량서 발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