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신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신대학교는 1939년 김대현 장로가 설립하고 김재준 목사가 실질적으로 주도하여 조선신학교로 개교한 대한민국의 사립 대학이다. 1947년 대한민국 최초의 신학대학으로 정규대학 인가를 받았으며, 한국전쟁 중 부산으로 이동하여 학업을 이어갔다. 1973년 유신독재에 맞서 삭발투쟁을 벌였으며, 1980년 한신대학으로 개명 후 오산으로 이전했다. 1992년 현재의 한신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했다. 현재 학부와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21개국 76개 대학과 국제 교류를 맺고 있다. 주요 동문으로는 강원용, 함태영, 문익환, 장준하, 최두석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신대학교 - 송창근
    일제강점기 목사이자 사회사업가였던 송창근은 진보적 신학 사상으로 산정현교회와 갈등 후 성빈학사를 설립하여 민족의식을 고취했고, 해방 후 조선신학교 설립 참여 및 바울교회 설립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으나 친일 논란과 6.25 전쟁 중 납북으로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
  • 오산시의 학교 - 성심학교
    성심학교는 1982년 초등부 개설 이후 중학부, 유치부, 고등부, 전공과를 추가하며 확장된 특수학교이다.
  • 서울 강북구의 학교 - 서울사이버대학교
    서울사이버대학교는 2000년 교육과학기술부 인가를 받아 설립된 4년제 사이버대학교로, 온라인 교육 시스템과 콘텐츠 개발을 통해 교육의 질을 높이고 국내외 협력 및 사회공헌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 서울 강북구의 학교 - 성신여자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는 1936년 이숙종 박사가 설립한 사립 종합대학으로, 서울 성북구 수정캠퍼스와 강북구 운정그린캠퍼스에서 10개의 단과대학과 5개의 대학원을 운영하며 교육 및 연구 활동을 지원한다.
한신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신대학교 로고
이름한신대학교
로마자 표기Hansin Daehakgyo
한자 표기韓神大學校
학교 종류사립
설립일1939년
개교일1940년
종합대학 개교일1980년
학교법인한신학원
위치한신대학교 경기캠퍼스 경기도 오산시 한신대길 137
한신대학교 서울캠퍼스 서울특별시 강북구 인수봉로 159
종교한국기독교장로회
웹사이트한신대학교 홈페이지
캠퍼스오산캠퍼스 경기도 오산시 양산동
서울캠퍼스 서울특별시 강북구 인수봉로 159
규모2캠퍼스, 7대학, 7대학원
조직
대학신학대학
인문대학
중국문화정보학부
사회과학대학
경상대학
정보과학대학
공과대학
대학원일반대학원
신학대학원
문예창작대학원
사회복지실천대학원
교육대학원
국제평화인권대학원
스포츠리활과학대학원
현황
학생 수 (학부)5,259명 (2024년 4월)
학생 수 (대학원)384명 (2024년 4월)
교원 수164명 (2024년 4월)
직원 수147명 (2024년 4월)
주요 인물
총장강성영

2. 연혁

1939년 설립자인 서울 승동교회의 노석 '''김대현''' 장로가 사재를 헌금하여 설립하였지만, 장공 김재준 목사가 실질적으로 설립을 주도했다. 1940년 4월 19일, 조선신학교라는 이름으로 개교하였고, 1947년 대한민국 최초의 신학대학으로 정규대학 인가를 받았다. 1951년 '''한국신학대학'''으로 이름을 바꾸었으며, 한국전쟁 중에는 부산으로 이동하여 학업을 지속하였다. 1958년 수유리 캠퍼스를 열었다.

1973년에는 유신독재에 맞서 삭발투쟁을 벌였고, 1975년 문교부의 휴교령을 받기도 했다. 1980년 종합대학으로 개편되면서 '''한신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고, 대부분의 학부 과정을 현재의 경기캠퍼스(수원·오산)로 이전했다. 1986년에는 교수들이 시국선언을 발표하고 대한민국 최초의 대학 평교수 협의회를 조직하는 등 민주화 운동에 앞장섰다.

1992년 '''한신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20년 개교 80주년 기념 행사를 가졌다.

2. 1. 설립과 초기 발전 (1939-1958)

1939년 설립자인 서울 승동교회의 노석 '''김대현''' 장로가 사재를 헌금하여 설립하였지만, 장공 김재준 목사가 실질적으로 설립을 주도했다. 1940년 4월 19일에 동 교회에서 개교하였고 제1대 학장 겸 재단 이사장으로 김대현 장로가 선출되었다. 한신대학교의 출발은 '''조선신학교'''에서 시작되었다. 1947년 대한민국 최초의 신학대학으로 정규대학 인가를 받았고, 1951년에 옛 이름이자 본말에 해당되는 '''한국신학대학'''으로 이름을 바꿨으며, 한국전쟁 당시 부산으로 이동하여 학업을 지속하였다. 1958년에 수유리 캠퍼스(현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사회혁신경영대학원)를 열었다.

2. 2. 한국전쟁과 수유리 캠퍼스 (1950-1979)

1950년 조선신학교는 한국신학대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다. 1954년에는 대학원이 설치되었다. 1958년 서울특별시 수유리에 새 캠퍼스가 완공되어 이전하였다. 1979년 경기도 화성군 오산읍(현재의 오산시) 양산동으로 이전하고, 1980년 대학으로 개편되어 한신대학으로 교명이 변경되었다.

2. 3. 민주화 운동과 종합대학으로의 발전 (1973-1992)

1973년 삭발투쟁으로 유신독재에 맞섰으며, 1975년 문교부의 휴교령을 받아야 했다. 1979년 경기도 화성군 오산읍(현재의 오산시) 양산동으로 이전했다. 1980년 종합대학으로 개편되어 '''한신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고, 현재의 경기캠퍼스(수원·오산)로 대부분의 학부과정을 옮겼다. 1986년에는 교수들이 시국선언을 발표하였으며, 대한민국 최초의 대학 평교수 협의회를 조직하였다.

2. 4. 현재 (1992-현재)

1992년, 한신대학은 한신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3. 교육 및 연구

한신대학교는 학부 과정과 대학원 과정을 모두 운영하고 있다. 학부 과정은 신학대학, 인문융합대학, 글로벌융합대학, 경영·미디어대학, 휴먼서비스대학, AI·SW대학, 미래아우름대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대학에서는 다양한 전공을 개설하고 있다.

대학원 과정으로는 일반대학원, 신학대학원, 문예창작대학원, 사회복지실천대학원, 교육대학원, 국제평화인권대학원, 스포츠재활과학대학원이 있다. 일반대학원에서는 신학,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등 다양한 분야의 석·박사 과정을 제공한다.

3. 1. 학부 과정

2025학년도 신입생 모집 요강을 기준으로, 학부 과정은 다음과 같이 개설되어 있다.

구분모집단위대학
학부신학·인문융합계열신학, 인문융합
경제통상·국제·공공인재융합계열글로벌융합
경영·미디어계열경영·미디어
휴먼서비스계열휴먼서비스
특수체육학계열
첨단융합계열AI·SW
AI·SW계열
자유전공학부미래아우름



한신대학교 학부 과정 전공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신학대학'''

: 신학

  • '''인문융합대학'''

: 철학, 영미문화학, 독일어문화학, 한국어문학, 한국사학, 문예창작학, 디지털영상문화콘텐츠학, 중국어문화콘텐츠학, 일본학

  • '''글로벌융합대학'''

: 경제금융학, 국제관계학, 동아시아통상학, 공공인재빅데이터융합학

  • '''경영·미디어대학'''

: 경영학, IT경영학, 글로벌비즈니스학, 미디어영상광고홍보학

  • '''휴먼서비스대학'''

: 사회학, 사회복지학, 심리·아동학, 재활상담학, 특수체육학

  • '''AI·SW대학'''

: 금융공학, 빅데이터융합학, AI·SW학, AI시스템반도체학

  • '''미래아우름대학'''

: 자유전공학부

3. 2. 대학원 과정

학부와 대학원 과정이 모두 개설되어 있으며, 2025년 신입생 모집 요강을 기준으로 개설되어 있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구분캠퍼스설치 과정
대학원경기캠퍼스일반대학원 · 교육대학원 · 정신분석대학원
서울캠퍼스일반대학원 · 신학대학원 · 사회혁신경영대학원 · 휴먼케어융합대학원


  • 일반대학원
  • 신학과, 기독교교육과, 국사학과, 철학과, 재활학과, 종교문화학과, 국어교육과, 영어영문학과, 독어독문학과, 사회복지학과, 경제학과, 경영학과, 일본학과
  • 컴퓨터공학과, 정보통신학과, 특수체육학과
  • (협동과정) 영상문화학과, 국가와 시민사회, 노동정책 및 사회정책, 기록관리학
  • 신학대학원
  • 신학과
  • 문예창작대학원
  • 시 전공, 소설 전공, 드라마 전공, 문학비평 전공
  • 사회복지실천대학원
  • 사회복지실천 전공, 정책분석·기관행정 전공, 재활 및 지역복지 전공, 아동 및 가족복지 전공, 청소년학교사회복지 전공, 노인복지 전공, 장애인복지 전공, 기독교사회복지 전공
  •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 전공, 영어교육 전공, 국민윤리교육 전공, 역사교육 전공, 수학 전공, 컴퓨터교육 전공, 체육교육 전공, 교육행정 전공, 일본어교육 전공, 교육상담 전공
  • 국제평화인권대학원
  • 스포츠재활과학대학원

4. 국제 교류

2024년 기준 21개국 76개 대학교와 교류·친선관계를 맺고 있다.


5. 주요 동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