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넨스키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넨스키아는 복잡한 명명 역사를 가진 용각류 공룡의 속이다. 1907년 에버하르트 프라스에 의해 발견된 화석은 처음에는 기가토사우루스 아프리카누스와 기가토사우루스 로부스투스로 명명되었지만, 리처드 슈테른펠트에 의해 토르니에리아로 변경되었다. 이후 베르너 자넨슈는 기가토사우루스 로부스투스라는 이름을 고수했지만, 루퍼트 와일드에 의해 자넨스키아로 최종 명명되었다. 자넨스키아는 한때 티타노사우루스과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최근의 연구에서는 용각류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쥐라기 후기 아프리카의 공룡 - 켄트로사우루스 (검룡)
    켄트로사우루스는 쥐라기 후기 탄자니아에서 서식한 몸길이 4~5m의 비교적 작은 검룡류 공룡으로, 스테고사우루스와 유사하지만 크기, 갑옷 형태, 유연성에서 차이를 보이며 꼬리 가시로 방어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쥐라기 후기 아프리카의 공룡 - 케라토사우루스
    케라토사우루스는 쥐라기 후기에 북미, 유럽, 아프리카 등지에서 서식했으며 머리 뿔과 몸 중앙선의 골편, 강력한 뒷다리를 가진 이족보행 육식 공룡으로, 다른 대형 수각류와 공존하며 먹이 경쟁을 피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1991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아마르가사우루스
    아마르가사우루스는 백악기 전기에 아르헨티나에 살았던 몸길이 9~13m의 디크라에오사우루스과 용각류 공룡으로, 목과 등에 있는 길고 갈라진 척추 가시가 특징이며 그 기능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존재한다.
  • 1991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타이사우루스
    타이사우루스는 트라이아스기 초기에 태국에서 발견된 기저 어룡류로, 독특한 두개골과 주둥이를 가지며, 고래와 유사한 외형의 육식성 해양 파충류로 추정되나, 유효성과 계통학적 위치에 대한 논쟁이 있다.
  • 용각하목 - 오메이사우루스
    오메이사우루스는 중국 쓰촨성에서 발견된 용각류 공룡의 한 속으로, 쯔궁 지역에서 많은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마멘키사우루스과에 속한다.
  • 용각하목 - 니게르사우루스
    니제르사우루스는 백악기 전기에 현재의 니제르 지역에 살았던 레바키사우루스과 용각류 공룡으로, 특이한 치아 구조와 짧은 목을 가지며 독특한 먹이 섭취 방식으로 인해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
자넨스키아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얀엔시아의 상완골, 요골, 척골 (베를린 자연사 박물관)
화석 범위쥐라기 후기 (1억 5천 5백만 년 전 ~ 1억 4천 5백만 년 전)
얀엔시아속 (Janenschia)
명명자빌트 (Wild), 1991년
J. robusta
종 명명자(에버하르트 프라스, 1908년)
분류
상목공룡상목
용반목 (Saurischia)
아목용각아목 (Sauropodomorpha)
하목용각하목 (Sauropoda)
하목 계급 없음티타노사우루스형류 (Titanosauriformes)
학명 정보
속명얀엔시아 (Janenschia)
명명자빌트, 1991년
종소명robusta
종 명명자(프라스, 1908년)
원래 속명기간토사우루스 (Gigantosaurus)
이전 학명기간토사우루스 로부스타 (Gigantosaurus robusta, 프라스, 1908년)
토르니에리아 로부스타 (Tornieria robusta, 슈테른펠트, 1911년)
바로사우루스 로부스타 (Barosaurus robusta, 야넨슈, 1922년)
기타 정보
발견 지역탄자니아 린디 지역

2. 발견 및 명명

Janenschiade는 복잡한 명명 역사를 가지고 있다. 1907년, 에버하르트 프라스는 탄자니아 텐다구루 언덕 남동쪽 900m 지점인 "P 지점"에서 거대한 용각류 뼈대 두 점을 발견했다. 이들은 각각 "골격 A"와 "골격 B"로 지정되었고, 독일 슈투트가르터 자연사 박물관으로 옮겨졌다.[1]

프라스는 1908년에 두 골격을 하나의 에 속하는 서로 다른 으로 보고, 골격 A는 ''Gigantosaurus africanus'', 골격 B는 ''Gigantosaurus robustus''로 명명했다. ''G. robustus''의 종명은 육중한 체형에서 영감을 얻었으며, 부분 골격 '''SMNS 12144'''(오른쪽 뒷다리)가 모식표본이 되었다.[1]

하지만 ''Gigantosaurus''라는 속명은 이미 1869년 해리 고비어 실리가 ''Gigantosaurus megalonyx''에 사용했기 때문에 문제가 되었다. 프라스는 실리의 설명이 제한적이고 해당 표본이 리처드 리데커에 의해 ''Ornithopsis''로 옮겨졌다는 점을 들어 자신의 명명을 정당화하려 했다.[2][3][4][5][6]

1911년, 리처드 슈테른펠트는 프라스의 주장이 근거가 없다고 지적하며 ''Gigantosaurus'' 1908을 ''Tornieria''로 변경했다. ''Tornieria africana''는 새로운 속의 모식종이 되었고,[7] ''G. robustus''는 ''T. robusta''가 되었다. 그러나 슈테른펠트의 이러한 조치는 프라스의 동의 없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독일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922년, 베르너 자넨슈는 ''Gigantosaurus robustus''라는 이름을 계속 사용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는 ''G. megalonyx''는 잊혀진 이름(''nomen oblitum'')이며, 잘 알려진 이름을 새로운 이름으로 대체하면 혼란을 야기하므로 동물 명명법 규칙을 무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동시에 그는 ''Tornieria''를 ''Barosaurus''와 같은 종으로 취급하여 ''Barosaurus africanus''로 만들었다.[8] 1928년, 시드니 헨리 호턴은 ''Tornieria robusta''를 ''Barosaurus''에 포함시켜 ''Barosaurus robustus''로 만들었다.[9]

1930년, 프란츠 노프차는 자넨슈의 주장을 반박했다. 그는 슈테른펠트가 무례하게 행동한 것은 사실이지만, 1927년이 되어서야 국제 동물 명명 규약(ICZN)에서 그러한 이름 변경에 원래 저자가 관여해야 한다고 권고했기 때문에 1911년의 논문에 이의를 제기하는 것은 옳지 않으며, 무례함은 이름의 유효성과는 관계가 없다고 지적했다. 노프차는 ''G. megalonyx''에 대한 여러 기록을 발견하여 이 이름이 잊혀진 이름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했고, ''Gigantosaurus robustus'' 또한 1922년 이전에는 널리 알려진 이름이 아니었다고 밝혔다. 그는 ''Tornieria''를 유효한 이름으로 간주할 수밖에 없다고 결론 내렸다.[10]

1991년, 슈투트가르트 자연사 박물관의 루퍼트 와일드는 ''G. robustus''가 ''Tornieria''와는 다른 속이라고 결론 내리고, 베르너 자넨슈를 기리기 위해 ''Janenschia''라는 새로운 속명을 부여했다.[15]

2. 1. 기간토사우루스

에버하르트 프라스는 1908년에 ''Gigantosaurus africanus''와 함께 ''Gigantosaurus robustus''를 명명했다. ''G. robustus''의 종명은 육중한 체형에서 영감을 얻었다.[1] 그러나 ''Gigantosaurus''라는 이름은 이미 1869년 해리 고비어 실리에 의해 ''Gigantosaurus megalonyx''에 사용되었기 때문에, 1911년 리처드 슈테른펠트는 프라스의 ''Gigantosaurus'' 1908을 ''Tornieria''로 변경했다.[7]

1922년, 베르너 자넨슈는 ''G. megalonyx''가 잊혀진 이름(''nomen oblitum'')이라 주장하며 ''Gigantosaurus robustus''라는 이름을 계속 사용했다.[8] 그러나 1930년, 프란츠 노프차는 ''G. megalonyx''에 대한 여러 언급을 발견하여 ''nomen oblitum''이 아니며, ''Gigantosaurus robustus''는 1922년 이전에 잘 알려진 이름도 아니라고 반박했다.[10]

1991년, 루퍼트 와일드는 ''G. robustus''가 ''Tornieria''와 속(屬)적으로 다르다고 결론 내리고, 베르너 자넨슈를 기리기 위해 ''Janenschia''로 변경했다.[15] 이후 ''Janenschia''로 분류되었던 표본 중 일부는 다른 속(屬)으로 인식되었는데, 2개의 앞쪽 등뼈와 뒤쪽 목뼈는 2000년에 ''Tendaguria''로 명명되었고,[16] 미추(꼬리뼈) 연쇄 '''MB.R.2091.1–30'''은 맘엔키사우루스과 분류군인 ''Wamweracaudia''로 밝혀졌다.[17][18] 최근의 분지학적 분석은 ''Janenschia''를 티타노사우루스형류가 아닌 용각류로 분류한다.[19][18]

2. 2. 토르니에리아와 바루사우루스

에버하르트 프라스가 1908년에 ''기가노토사우루스 로부스투스''(Gigantosaurus robustus)라고 명명했던 종은, 1911년에 리처드 슈테른펠트에 의해 ''토르니에리아 로부스타''(Tornieria robusta)로 재명명되었다.[7] 그러나 베르너 자넨슈는 ''기가노토사우루스''라는 이름을 계속 사용하려 했고,[8] 1930년에 프란츠 노프차가 이를 반박했다.[10] 1991년, 루퍼트 와일드는 이 종이 ''토르니에리아''와는 다른 속(屬)이라고 결론 내리고, 베르너 자넨슈를 기려 ''자넨스키아''로 명명했다.[15]

이전에 ''자넨스키아''로 분류되었던 표본들 중 일부는 다른 속으로 재분류되었다. 예를 들어, 2개의 앞쪽 등뼈와 뒤쪽 목뼈는 2000년에 ''텐다구리아''(Tendaguria)로 명명되었고,[16] 꼬리뼈 화석 '''MB.R.2091.1–30'''은 맘엔키사우루스과에 속하는 ''왐웨라카우디아''(Wamweracaudia)로 재분류되었다.[17][18]

2. 3. 자넨스키아

에버하르트 프라스는 1907년 텐다구루 언덕 남동쪽 900m 지점 "P 지점"에서 거대한 용각류 뼈대 두 점(각각 "골격 A", "골격 B")을 발견했다. 이 화석들은 독일 슈투트가르터 자연사 박물관으로 옮겨졌다. 1908년 프라스는 두 골격을 한 속에 속하는 다른 종으로 보고, 골격 A는 ''Gigantosaurus africanus'', 골격 B는 ''Gigantosaurus robustus''로 명명했다. ''G. robustus''의 종명은 육중한 체형에서 유래했으며, 부분 골격 '''SMNS 12144'''(오른쪽 뒷다리)가 모식표본이 되었다.[1] 프라스는 ''Gigantosaurus''라는 속명이 이미 1869년 해리 고비어 실리의 ''Gigantosaurus megalonyx''에 의해 선점되었음을 알고 있었지만, 실리의 설명이 제한적이고 해당 표본이 리처드 리데커에 의해 ''Ornithopsis''로 옮겨졌다는 점을 들어 자신의 명명을 정당화했다.[2][3][4][5][6]

1911년 리처드 슈테른펠트는 프라스의 주장이 무의미하다고 지적하며 ''Gigantosaurus'' 1908을 ''Tornieria''로 변경했다. ''Tornieria africana''는 새로운 속의 모식종이 되었고,[7] ''G. robustus''는 ''T. robusta''가 되었다. 슈테른펠트의 조치는 프라스의 동의 없이 이루어져 독일에서 환영받지 못했다. 1922년 베르너 자넨슈는 텐다구루에서 추가 자료를 수집한 후, ''Gigantosaurus robustus''라는 이름을 계속 사용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는 ''G. megalonyx''는 잊혀진 ''nomen oblitum''이며, 잘 알려진 이름을 새로운 이름으로 대체하면 불안정성이 초래되므로 동물 명명법 규칙을 무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동시에 ''Tornieria''를 ''Barosaurus''와 동종이명 처리하여 ''Barosaurus africanus''로 만들었다.[8] 자넨슈는 이후 ''Gigantosaurus robustus''라는 이름을 일관되게 사용했다. 1928년 시드니 헨리 호턴은 ''Tornieria robusta''를 ''Barosaurus''에 할당하여 ''Barosaurus robustus''로 만들었다.[9]

1930년 프란츠 노프차는 자넨슈의 주장을 거부했다. 그는 슈테른펠트가 무례했지만, 1927년에야 국제 동물 명명 규약(ICZN)이 그러한 이름 변경에 원래 저자가 관여해야 한다고 권고했으므로 1911년 논문에 이의를 제기하는 것은 터무니없으며, 무례함은 이름의 유효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노프차는 ''G. megalonyx''에 대한 여러 언급을 발견하여 ''nomen oblitum''이 아님을 확인했고, ''Gigantosaurus robustus''도 1922년 이전에는 잘 알려진 이름이 아니었다. 그는 ''Tornieria''를 유효한 이름으로 간주하는 것이 불가피하다고 결론 내렸다.[10] SMNS 12144는 이후 다른 저자들에 의해 ''Tornieria''로 언급되었다.[11][12][13][14]

1991년 슈투트가르트 자연사 박물관의 루퍼트 와일드는 ''G. robustus''가 ''Tornieria''와 속(屬)적으로 다르다고 결론 내리고, 베르너 자넨슈를 기려 ''Janenschia''로 명명했다. ''Janenschia''는 티타노사우루스과에 속하며 티타노사우리아의 가장 오래된 구성원이 되었다.[15]

이전에 ''Janenschia''로 분류되었던 표본 중 일부는 별개의 속(屬)으로 인식되었다. 2개의 앞쪽 등뼈와 뒤쪽 목뼈는 2000년에 ''Tendaguria''로 명명되었고,[16] 미추(꼬리뼈) 연쇄 '''MB.R.2091.1–30'''은 SMNS 12144와 겹치지 않아 아시아 외부에서 발견된 최초의 맘엔키사우루스과 분류군인 ''Wamweracaudia''를 나타낸다.[17][18] 최근의 분지학적 분석은 ''Janenschia''를 티타노사우루스형류가 아닌 용각류로 분류한다.[19][18]

2. 4. 추가 연구

에버하르트 프라스가 1908년에 ''Gigantosaurus robustus''를 명명한 이후, 여러 학자들이 이 화석을 다양한 속으로 분류했다. 1911년 리처드 슈테른펠트는 ''Tornieria robusta''로, 1928년 시드니 헨리 호턴은 ''Barosaurus robustus''로 재분류했다. 그러나 1922년 베르너 자넨슈는 ''Gigantosaurus robustus''라는 이름을 계속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8]

1930년 프란츠 노프차는 자넨슈의 주장을 반박하며 국제 동물 명명 규약(ICZN)에 따라 ''Tornieria''가 유효한 이름이라고 결론 내렸다.[10] 1991년 루퍼트 와일드는 ''G. robustus''가 ''Tornieria''와 속이 다르다고 판단하여 베르너 자넨슈를 기리기 위해 ''Janenschia''라는 새로운 속명을 부여했다.[15]

이전에 ''Janenschia''로 분류되었던 일부 표본들은 다른 속으로 재분류되었다. 2000년에 2개의 앞쪽 등뼈와 뒤쪽 목뼈는 ''Tendaguria''로 명명되었고,[16] 꼬리뼈 '''MB.R.2091.1–30'''은 맘엔키사우루스과인 ''Wamweracaudia''로 재분류되었다.[17][18] 최근 연구에서는 ''Janenschia''를 티타노사우루스형류가 아닌 용각류로 분류하고 있다.[19][18]

참조

[1] 논문 Dinosaurierfunde in Ostafrika 1908
[2] 논문 Ostafrikanische Dinosaurier 1908
[3] 논문 Dinosaurier in Deutsch-Ostafrika 1908
[4] 논문 Die ostafrikanischen Dinosaurier 1911
[5] 논문 Die ostafrikanischen Dinosaurier 1912
[6] 서적 Catalogue of the Fossil Reptilia and Amphibia in the British Museum (Natural History). Part I. Containing the Orders Ornithosauria, Crocodilia, Dinosauria, Squamata, Rhynchocephalia, and Proterosauria British Museum (Natural History), London 1888
[7] 논문 "Zur Nomenklatur der Gattung Gigantosaurus Fraas [On the nomenclature of the genus Gigantosaurus Fraas]" 1911
[8] 논문 "Das Handskelett von ''Gigantosaurus robustus'' und ''Brachiosaurus brancai'' aus den Tendaguru-Schichten Deutsch-Ostafrikas" 1922
[9] 간행물 On some reptilian remains from the Dinosaur Beds of Nyasaland 1928
[10] 논문 "Zur Systematik und Biologie der Sauropoden" 1930
[11] 논문 "Ergebnisse der Forschungsreisen Prof. E. Stromers in den Wüsten Ägyptens. II. Wirbeltierreste der Baharîje-Stufe (unterstes Cenoman). 11. Sauropoda" 1932
[12] 서적 Part 14. Saurischia. ''Handbuch der Paläoherpetologie/Encyclopedia of Paleoherpetology'' Gustav Fischer Verlag, Stuttgart 1970
[13] 논문 "Some characteristics of Barapasaurus tagorei, a sauropod dinosaur from the Lower Jurassic of Deccan, India" Hindustan Publishing Corporation, Delhi 1979
[14] 논문 Une vertèbre de Dinosaure Titanosauridé dans le Cénomanien du Mans et ses implications paléobiogéographiques [A titanosaurid dinosaur vertebra in the Cenomanian of Le Mans and its paleobiogeographic implications] 1989
[15] 논문 "Janenschia n. g. robusta (E. Fraas 1908) pro Tornieria robusta (E. Fraas 1908) (Reptilia, Saurischia, Sauropodomorpha) [Janenschia n. g. robusta (E. Fraas 1908) for Tornieria robusta (E. Fraas 1908) (Reptilia, Saurischia, Sauropodomorpha)]" 1991
[16] 간행물 Review of Janenschia Wild, with the description of a new sauropod from the Tendaguru beds of Tanzania and a discussion on the systematic value of procoelous caudal vertebrae in the Sauropoda https://www.schweize[...] 2000
[17] 간행물 Osteology of the Late Jurassic Portuguese sauropod dinosaur ''Lusotitan atalaiensis'' (Macronaria) and the evolutionary history of basal titanosauriforms http://docentes.fct.[...] 2013
[18] 간행물 Taxonomic affinities of the putative titanosaurs from the Late Jurassic Tendaguru Formation of Tanzania: phylogenetic and biogeographic implications for eusauropod dinosaur evolution 2019
[19] 간행물 The Anatomy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Pelorosaurus" becklesii'' (Neosauropoda, Macronaria) from the Early Cretaceous of England 2015
[20] 논문 "Janenschia n. g. robusta (E. Fraas 1908) pro Tornieria robusta (E. Fraas 1908) (Reptilia, Saurischia, Sauropodomorpha) [Janenschia n. g. robusta (E. Fraas 1908) for Tornieria robusta (E. Fraas 1908) (Reptilia, Saurischia, Sauropodomorpha)]" 1991
[21] 논문 Dinosaurierfunde in Ostafrika 19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