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리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리아는 나이지리아의 도시로, 처음에는 자자우로 알려졌으며 하우사 왕국 자자우의 수도였다. 사하라 사막 대상 교역지이자 하우사 노예 무역의 중심지였으며, 13세기부터 하우사족의 도시 국가로 발전했다. 1450년대 후반 이슬람교가 전파되었고, 16세기 아미나 여왕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이후 소코토 제국, 영국 식민 지배를 거쳤다. 현재는 농업이 주요 경제 기반이며, 아흐마두 벨로 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교육 기관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두나주 - 이카라
    나이지리아 카두나 주의 지방 정부 구역인 이카라는 1976년 설립되어 하우사족과 풀라니족이 주를 이루고 이슬람교가 지배적이며 농업과 축산업이 중심인 지역이다.
  • 나이지리아의 도시 - 카두나
    카두나는 나이지리아 중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1900년 영국 식민지 개척자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북부 나이지리아 보호령의 수도 역할을 하다가 현재는 카두나 주의 주도로, 섬유, 기계, 철강 등 다양한 산업과 농업이 발달했으며, 다양한 민족과 종교 집단이 거주하는 곳이다.
  • 나이지리아의 도시 - 마이두구리
    마이두구리는 나이지리아 보르노주의 도시로, 역사적으로 카네무-보르누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영국 식민지 시대에 중심 도시로 성장했으나, 2000년대 이후 보코하람의 활동으로 종교 갈등과 테러를 겪었으며, 다양한 민족과 종교가 공존하는 무역 중심지이자 교육 기관이 위치한 도시이지만 대기오염 문제가 심각한 지역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자리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자리아 에미르 궁전 정문
일반 정보
공식 명칭자리아
원어 명칭비르닌 자리아
별칭자자우
표어비르닌 일리미 (지식의 도시)
국가나이지리아
카두나 주
도시 유형도시
지리
좌표11°04′N 7°42′E
면적563km²
인구
인구 (2023년)766,007명
시간대
시간대WAT
협정 세계시 (UTC) 오프셋+01:00
기타 정보
기후Aw

2. 역사

궁전 경비병


자리아는 처음에는 자자우로 알려졌으며, 하우사 왕국 자자우의 수도였다.[10] 자자우는 1536년경에 건국된 것으로 여겨지며, 16세기 말에는 아미나 여왕의 여동생 자리아의 이름을 따서 개명되었다.[3] 자자우가 등장하기 전에도 인간 정착이 있었는데, 이 지역은 주변 지역과 마찬가지로 정착 하우사인의 역사를 가지고 있었으며, 제도적인 시장 교환과 농업이 이루어졌다.

자리아는 하우사 도시 국가 중 가장 남쪽에 위치했다. 사하라 사막 대상들의 교역지였으며, 하우사 노예 무역의 중심 도시이기도 했다. 1450년대 후반, 자리아에는 자매 도시인 카노카치나를 통해 이슬람교가 전파되었다.[10] 이슬람교와 함께 도시 간 무역이 번성하여 상인들이 소금으로 가득 찬 낙타 대상들을 가지고 와 노예와 곡물과 교환했다.

13세기 무렵, 이 지역에 거주하던 하우사족이 도시 국가를 각지에 건설했는데, 그중 자리아도 건설되었다. 14세기 무렵에는 강성해져 하우사 제국 중 최대 세력을 가졌으나, 15세기 무렵에는 케비에 밀려 다소 쇠퇴했다. 1490년대에는 인근 카노, 카치나 등과 함께 이슬람교를 받아들여 이후 사하라 무역으로 번영하게 되었다.

도시 국가는 아미나 여왕 치하에서 절정에 달했는데, 그녀의 군사 작전은 카노와 카치나 왕국을 포함하는 조공 지역을 구축했다. 16세기 말, 아미나 여왕 사후, 자리아는 주쿤 왕국의 영향을 받아 결국 조공국이 되었다.[10] 15세기와 16세기 사이에 이 왕국은 송가이 제국의 조공국이 되었다.

1805년, 소코토 제국의 지하드에 의해 정복당해 독립을 잃었다. 풀라니족이 풀라니 지하드 기간 동안 이 도시를 점령했다.[4] 1901년, 프레데릭 루가드가 이끄는 영국군이 이 도시를 점령했다.[4]

자자우 에미르 AHM. 알하지 아흐메드 누후 바말리


Ansaru라는 이슬람주의자 단체에 의해 자리아에 억류된 프랑스인 인질[5]은 2013년에 탈출하여 도시의 경찰서에 도착했다.

2015년 12월, 나이지리아 군은 300명의 시아파 무슬림을 살해하고 시신을 집단 매장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정부는 이 사건을 부인했지만, 이 사건은 학살로 묘사되었다.[6]

2. 1. 초기 역사

자자우로 처음 알려진 자리아는 하우사 왕국 자자우의 수도였다.[10] 자자우는 1536년경에 건국된 것으로 여겨지며, 16세기 말에는 아미나 여왕의 여동생 자리아의 이름을 따서 개명되었다.[3] 자자우가 등장하기 전에도 이 지역에는 정착 하우사인의 역사를 가지고 있었으며 제도적인 시장 교환과 농업이 이루어졌다.

자리아는 하우사 도시 국가 중 가장 남쪽에 위치했으며, 사하라 사막 대상들의 교역지이자 하우사 노예 무역의 중심 도시였다.[10] 1450년대 후반, 자리아에는 자매 도시인 카노카치나를 통해 이슬람교가 전파되었다.[10] 이슬람교와 함께 도시 간 무역이 번성하여 상인들이 소금으로 가득 찬 낙타 대상들을 가지고 와 노예와 곡물과 교환했다. 13세기 무렵, 이 지역에 거주하던 하우사족이 도시 국가를 각지에 건설했는데, 그중 자리아도 건설되었다. 14세기 무렵에는 강성해져 하우사 제국 중 최대 세력을 가졌으나, 15세기 무렵에는 케비에 밀려 다소 쇠퇴했다. 1490년대에는 인근 카노, 카치나 등과 함께 이슬람교를 받아들여 이후 사하라 무역으로 번영하게 되었다.

도시 국가는 아미나 여왕 치하에서 절정에 달했는데, 그녀의 군사 작전은 카노와 카치나 왕국을 포함하는 조공 지역을 구축했다. 16세기 말, 아미나 여왕 사후, 자리아는 주쿤 왕국의 영향을 받아 결국 조공국이 되었다.[10] 15세기와 16세기 사이에 이 왕국은 송가이 제국의 조공국이 되었다. 1805년, 소코토 제국의 지하드에 의해 정복당해 독립을 잃었다. 1901년, 프레데릭 루가드가 이끄는 영국군이 이 도시를 점령했다.[4]

2. 2. 이슬람교 전파와 번영

자리아는 처음에는 자자우로 알려졌으며, 하우사 왕국 자자우의 수도였다.[10] 1536년경 건국된 자자우는 16세기 말 아미나 여왕의 여동생의 이름을 따서 자리아로 개명되었다.[3] 자리아는 하우사 도시 국가 중 가장 남쪽에 위치했으며, 사하라 사막 대상들의 교역지이자 하우사 노예 무역의 중심 도시였다.

1450년대 후반, 자리아에는 자매 도시인 카노카치나를 통해 이슬람교가 전파되었다.[10] 13세기 무렵, 이 지역에 거주하던 하우사족이 도시 국가를 각지에 건설했는데, 그중 자리아도 건설되었다. 14세기 무렵에는 강성해져 하우사 제국 중 최대 세력을 가졌으나, 15세기 무렵에는 케비에 밀려 다소 쇠퇴했다. 1490년대에는 인근 카노, 카치나 등과 함께 이슬람교를 받아들여 이후 사하라 무역으로 번영하게 되었다.[4] 이슬람교와 함께 도시 간 무역이 번성하여 상인들은 소금 낙타 대상들을 가지고 와 노예와 곡물을 교환했다.

도시 국가는 아미나 여왕 치하에서 절정에 달했다. 그녀의 군사 작전은 카노와 카치나 왕국을 포함하는 조공 지역을 구축했다. 16세기 말, 아미나 여왕 사후, 자리아는 주쿤 왕국의 영향을 받아 조공국이 되었다.[10] 15세기와 16세기 사이에는 송가이 제국의 조공국이 되기도 했다. 1805년 풀라니족이 풀라니 지하드 기간 동안 이 도시를 점령했다.[4] 1805년, 소코토 제국의 지하드에 의해 정복당해 독립을 잃었다.

2. 3. 아미나 여왕과 전성기

자리아는 처음에는 자자우로 알려졌으며, 하우사 왕국 자자우의 수도였다.[10] 자자우는 1536년경에 건국된 것으로 여겨지며, 16세기 말에는 아미나 여왕의 여동생 자리아의 이름을 따서 개명되었다.[3] 자자우가 등장하기 전에도 인간 정착이 있었는데, 이 지역은 주변 지역과 마찬가지로 정착 하우사인의 역사를 가지고 있었으며, 제도적인 시장 교환과 농업이 이루어졌다.

자리아는 하우사 도시 국가 중 가장 남쪽에 위치했다. 사하라 사막 대상들의 교역지였으며, 하우사 노예 무역의 중심 도시이기도 했다. 1450년대 후반, 자리아에는 자매 도시인 카노카치나를 통해 이슬람교가 전파되었다.[10] 이슬람교와 함께 도시 간 무역이 번성하여 상인들이 소금으로 가득 찬 낙타 대상들을 가지고 와 노예와 곡물과 교환했다. 도시 국가는 아미나 여왕 치하에서 절정에 달했는데, 그녀의 군사 작전은 카노와 카치나 왕국을 포함하는 조공 지역을 구축했다. 16세기 말, 아미나 여왕 사후, 자리아는 주쿤 왕국의 영향을 받아 결국 조공국이 되었다.[10]

2. 4. 외세의 영향과 식민 지배

자리아는 처음에는 자자우로 알려졌으며, 하우사 왕국 자자우의 수도였다.[10] 자자우는 1536년경에 건국된 것으로 여겨지며, 16세기 말에는 아미나 여왕의 여동생 자리아의 이름을 따서 개명되었다.[3] 자자우가 등장하기 전에도 인간 정착이 있었는데, 이 지역은 주변 지역과 마찬가지로 정착 하우사인의 역사를 가지고 있었으며, 제도적인 시장 교환과 농업이 이루어졌다.

자리아는 하우사 도시 국가 중 가장 남쪽에 위치했다. 사하라 사막 대상들의 교역지였으며, 하우사 노예 무역의 중심 도시이기도 했다. 1450년대 후반, 자리아에는 자매 도시인 카노카치나를 통해 이슬람교가 전파되었다.[10] 이슬람교와 함께 도시 간 무역이 번성하여 상인들이 소금으로 가득 찬 낙타 대상들을 가지고 와 노예와 곡물과 교환했다.

13세기 무렵, 이 지역에 거주하던 하우사족이 도시 국가를 각지에 건설했는데, 그중 자리아도 건설되었다. 14세기 무렵에는 강성해져 하우사 제국 중 최대 세력을 가졌으나, 15세기 무렵에는 케비에 밀려 다소 쇠퇴했다. 1490년대에는 인근 카노, 카치나 등과 함께 이슬람교를 받아들여 이후 사하라 무역으로 번영하게 되었다.

도시 국가는 아미나 여왕 치하에서 절정에 달했는데, 그녀의 군사 작전은 카노와 카치나 왕국을 포함하는 조공 지역을 구축했다. 16세기 말, 아미나 여왕 사후, 자리아는 주쿤 왕국의 영향을 받아 결국 조공국이 되었다.[10] 15세기와 16세기 사이에 이 왕국은 송가이 제국의 조공국이 되었다.

1805년, 소코토 제국의 지하드에 의해 정복당해 독립을 잃었다. 풀라니족이 풀라니 지하드 기간 동안 이 도시를 점령했다.[4] 1901년, 왕립 니제르 회사에 의해 영국령이 되었다. 프레데릭 루가드가 이끄는 영국군은 1901년에 이 도시를 점령했다.[4]

Ansaru라는 이슬람주의자 단체에 의해 자리아에 억류된 프랑스인 인질[5]은 2013년에 탈출하여 도시의 경찰서에 도착했다.

2015년 12월, 나이지리아 군은 300명의 시아파 무슬림을 살해하고 시신을 집단 매장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정부는 이 사건을 부인했지만, 이 사건은 학살로 묘사되었다.[6]

2. 5. 현대의 자리아



자리아는 처음에는 자자우로 알려졌으며, 하우사 왕국 자자우의 수도였다.[10] 자자우는 1536년경에 건국된 것으로 여겨지며, 16세기 말에는 아미나 여왕의 여동생 자리아의 이름을 따서 개명되었다.[3] 자자우가 등장하기 전에도 인간 정착이 있었으며, 이 지역은 주변 지역과 마찬가지로 정착 하우사인의 역사를 가지고 있었고, 제도적인 시장 교환과 농업이 이루어졌다.

자리아는 하우사 도시 국가 중 가장 남쪽에 위치했다. 사하라 사막 대상들의 교역지였으며, 하우사 노예 무역의 중심 도시이기도 했다. 1450년대 후반, 자리아에는 자매 도시인 카노카치나를 통해 이슬람교가 전파되었다.[10] 이슬람교와 함께 도시 간 무역이 번성하여 상인들이 소금으로 가득 찬 낙타 대상들을 가지고 와 노예와 곡물과 교환했다.

13세기 무렵, 이 지역에 거주하던 하우사족이 도시 국가를 각지에 건설했는데, 그중 자리아도 건설되었다. 14세기 무렵에는 강성해져 하우사 제국 중 최대 세력을 가졌으나, 15세기 무렵에는 케비에 밀려 다소 쇠퇴했다. 1490년대에는 인근 카노, 카치나 등과 함께 이슬람교를 받아들여 이후 사하라 무역으로 번영하게 되었다.

1805년, 소코토 제국의 지하드에 의해 정복당해 독립을 잃었다. 1901년에는 프레데릭 루가드가 이끄는 영국군이 도시를 점령했다.[4]

Ansaru라는 이슬람주의자 단체에 의해 자리아에 억류된 프랑스인 인질[5]은 2013년에 탈출하여 도시의 경찰서에 도착했다.

2015년 12월, 나이지리아 군은 300명의 시아파 무슬림을 살해하고 시신을 집단 매장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정부는 이 사건을 부인했지만, 이 사건은 학살로 묘사되었다.[6]

3. 지리

3. 1. 기후

자리아는 쾨펜 기후 구분 Aw에 따른 열대 사바나 기후로, 연중 온화한 날씨를 보이며 4월부터 9월까지는 우기, 10월부터 3월까지는 건기이다.[22] 연평균 기온은 25.6°C이며, 연간 강수량은 1117.6mm이다.[29] 습도는 연평균 69%로, 우기에는 84%~94%로 높고 건기에는 34%~54%로 낮다.[29]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29.832.836.036.634.031.229.328.530.131.732.230.231.9
평균 최저 기온 (°C)14.617.421.223.422.721.520.820.520.620.117.014.819.6
평균 강수량 (mm)0.00.35.632.7121.9147.9232.1301.9208.066.40.10.01116.7
평균 강수일수 (≥ 1.0 mm)0.00.00.52.98.410.613.516.613.94.90.00.071.4
평균 상대 습도 (%)37.231.132.751.369.277.682.485.883.673.453.144.960.2

[23]

3. 2. 환경

3. 2. 1. 대기 질

2019년 자리아의 대기 오염 연구에 따르면, 오염 농도는 예상되는 국가 대기 오염 기준 내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4]

3. 2. 2. 토지 이용

자리아의 지리와 이전의 토지 이용은 도시 역사상 토지 피복의 상당 부분이 황무지였음을 의미했다.[25] 2020년 연구에 따르면 황무지는 1990년부터 2020년까지 감소한 반면, 건축 환경은 66%, 식생 토지는 29% 증가했다.[25] 식생은 1990년부터 2005년까지 감소했지만, 연구 지역에서는 그 이후 농업과 재조림으로 인해 극적인 증가를 보였다.[25] 지역 정책 및 도시 개발 동향을 기반으로 한 예측 모델링은 도시 및 식생 토지 피복의 증가가 2050년까지 계속될 것으로 예측했다.[25]

카두나주 자리아시, 카두나에서 자리아, 카노로 가는 고속도로의 한 장소

3. 2. 3. 상수도 및 위생

자리아의 물 공급원


자리아 시에 공급되는 물은 카두나 주 수도 위원회(Kaduna State Water Board)에서 공급된다.[26] 2012년 기준으로 자리아 시는 깨끗한 물 공급 접근성이 30%였다.[26] 아프리카 개발 기금(African Development Fund)은 2013년에 4억 8천만 달러 중 1억 달러 규모의 확장 프로젝트 자금을 지원했다.[26][27] 이 프로젝트는 일부 현지 계약업체와 관련된 문제로 인해 아프리카 개발 은행이 4개 회사의 은행 자금 지원 프로젝트 참여를 금지하는 결과를 낳았다.[28] 2020년 8월 기준으로 시스템 내 물의 60%는 불법 연결, 열악한 계량 관행, 부실한 유지 관리로 인해 행방불명되었다.[28]

4. 경제

자리아의 경제는 주로 농업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주식은 기니 옥수수와 수수이다. 현금 작물로는 목화, 땅콩담배가 있다.[10] 자리아는 주변 지역의 시장 도시일 뿐만 아니라, 가죽 세공, 염색, 모자 제작과 같은 전통 공예부터 땜장이, 인쇄소, 가구 제작자에 이르기까지 장인들의 고향이기도 하다.[7] 200년 이상 나이지리아와 서아프리카 전역의 남성들이 입는 정교한 손으로 수놓은 로브를 제작해 온 섬유 산업의 중심지이기도 하다.[11]

자리아 시티 로드, 카두나


자리아는 카두나의 철도 분기점 북쪽에 위치해 라고스와 포트 하커트의 해상 항구로 동일한 철도 접근성을 가진다. 그러나 나이지리아 철도 네트워크의 동부 노선이 운행되지 않기 때문에 라고스와 카노 사이의 철도만 기능하고 있다. 즉, 자리아는 현재 라고스와 북쪽의 카노로 철도 접근이 가능하지만 포트 하커트로는 불가능하다.[12][13]

1914년부터 1927년까지 자리아는 조스의 주석 광산으로 가는 바우치 경철도의 궤간 변경역이었다.[14] 인근에서 생산되는 면화, 담배, 잡곡, 땅콩 등의 집산지이다.

5. 문화

5. 1. 전통 축제

자리아는 나이지리아에서 연례 문화 두르바 축제를 기념하는 북부 도시 중 하나이다.[2] 이 축제는 1년에 두 번 열리며, 라마단 종료를 기념하고, 이드 알 아드하와 이드 알 피트르와 같은 무슬림 축제와 일치한다.[11] 자리아에서는 이 축제가 단계별로 진행된다. 첫째 날은 하완 살라(Hawan sallah)로 알려져 있으며, 이드 기도와 함께 에미르가 이드 행사장에서 관할 구역 대표들과 왕실 경호원들을 대동하고 궁궐까지 도시를 순회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둘째 날은 하완 바리키 살라(Hawan Bariki sallah)로 알려져 있고, 셋째 날은 하완 다우셰(Hawan Daushe)로 알려져 있으며, 에미르가 축제를 위해 도시를 순회하는 마지막 날이다.[6][12]

자리아 2021년의 두르바 축제

5. 2. 건축

자리아 시티라고도 알려진 도시의 구시가지(Birnin Zazzau[7])는 원래 성벽과 요새로 둘러싸여 있었으나 대부분 제거되었다.[8] 에미르 궁전은 구시가지에 있으며, 구시가지와 인접한 투둔 와다(Tudun Wada) 지역에서는 사람들이 전통적인 흙벽돌 주택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다. 이 두 지역은 주로 토착 하우사족이 거주한다.[7]

자리아의 건축 양식은 매우 다양하며, 하우사 스타일의 흙으로 지은 건물과 현대적인 다층짜리 대학교 및 정부 건물이 나란히 있다.[3]

실크 코튼 나무는 자자우 에미레이트에서 가장 큰 나무 중 하나이며, 자리아에 거주하는 사람들, 특히 에미르, 지구장, 구역장, 마을장을 위해 카후(Kahu)를 만드는 앙구완 카후(Anguwan Kahu) 사람들의 정신적, 경제적 삶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실크 코튼 나무의 학명은 ceiba pentandra이다. 앙구완 카후는 면화를 사용하여 지역 매트리스, 베개, 셔츠 등을 만들던 상업 지역으로 알려져 있었다. 와킬린 카후 자자우(Wakilin Kahu Zazzau)는 앙구완 카후 사람들의 대표이며 에미르 궁전의 대표이다. 앙구완 리만(Anguwan Liman) 구역은 자리아 궁전 북쪽에 위치해 있다.[9]

자리아 거리에서 놀고 있는 아이들

6. 교육

아흐마두 벨로 대학교


자리아에는 나이지리아에서 가장 크고 아프리카 대륙에서 두 번째로 큰 대학교인 아흐마두 벨로 대학교가 있다. 1962년에 설립되었으며,[15] 농업, 과학, 금융, 의학 및 법학 분야에서 매우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15] 이 학교는 고 우마루 무사 야라두아 대통령을 포함한 5명의 나이지리아 국가 원수를 배출하는 등 많은 엘리트 졸업생을 배출한 것으로 유명하다.[16]

자리아는 나이지리아 항공 기술 대학,[17] 국립 화학 기술 연구소,[18] 나이지리아 육군 기지,[19] 나이지리아 군사 학교, 바사와 병영, 자리아 연방 교육 대학의 기지이기도 하다.[20] 전 연방 군사 정부 수반 야쿠부 고원이 거주하는 인접 도시 우사사에는 세인트 바르톨로뮤 학교와 과학 학교 쿠페나(구 세인트 폴 칼리지), 그리고 자자우 에미르 셰후 이드리 박사가 설립한 학교인 MAISS-GIWA 등 역사적인 중등학교가 있다. 바레와 칼리지(구 카치나 중학교)와 알후다후다 칼리지도 이 도시의 다른 유명한 중등학교이다.[21]

참조

[1] 웹사이트 Zaria population https://worldpopulat[...] 2021-07-13
[2] 웹사이트 Zaria Population 2021 (Demographics, Maps, Graphs) https://worldpopulat[...] 2021-07-13
[3] 뉴스 Zaria {{!}} Nigeria https://www.britanni[...] 2016-11-05
[4] 웹사이트 Zaria Town in Kaduna Nigeria Guide https://www.nigeriag[...] 2023-05-15
[5] 뉴스 Le Monde, 13 March 2015 http://www.lemonde.f[...] Le Monde 2015-03-13
[6] 뉴스 Mass graves for '300 Shia Nigerians' in Zaria https://www.bbc.com/[...] 2016-11-05
[7] 논문 Intraurban Activity Patterns among Entrepreneurs in a West African Setting 1984
[8] 웹사이트 Welcome to Zaria http://www.abu.edu.n[...]
[9] 서적 History of Birnin Zaria from 1350 -2902 Ahmadu Bello University, Zaria
[10] 웹사이트 The Britannica Encyclopedia http://www.britannic[...] 2007-02-04
[11] 간행물 New Technologies of Embroidered Robe Production and Changing Gender Roles in Zaria, Nigeria, 1950–2005 2007
[12] 웹사이트 Can Nigeria's renovated railway unite north and south? https://www.bbc.co.u[...] BBC News 2013-12-11
[13] 웹사이트 Trains in Nigeria: A slow but steady new chug https://www.economis[...] The Economist 2014-03-04
[14] 웹사이트 The Bauchi Light https://www.britishe[...] 2023-05-15
[15] 웹사이트 History {{!}} Ahmadu Bello University https://www.abu.edu.[...] 2023-01-04
[16] 웹사이트 Biography: The life and times of Umaru Musa Yar' Adua https://plustvafrica[...] 2023-01-04
[17] 웹사이트 About Us http://www.ncatz-ng.[...] Nigerian College of Aviation Technology 2010-03-27
[18] 웹사이트 National Research Institute for Chemical Technology (NARICT, Nigerian Institute of Transport Technology (NITT), National Research Institute for Chemical Technology): About Us http://narict.gov.ng[...] 2010-06-27
[19] 웹사이트 Photos: Nigerian Army recruits in training at Depot in Zaria https://www.vanguard[...] 2023-01-04
[20] 웹사이트 About Us – Federal College Of Education, Zaria https://fcezaria.edu[...] 2023-01-04
[21] 웹사이트 After 101 years, new challenges stare Barewa College in the face https://dailytrust.c[...] 2023-01-04
[22] 웹사이트 Ahmadu Bello University {{!}} Hotels.ng https://hotels.ng/pl[...] 2016-11-05
[23]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 Zaria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4-01-09
[24] 논문 Determination of selected air quality parameters in Zaria and its environs, Kaduna State, Nigeria https://www.ajol.inf[...] 2019-09-11
[25] 논문 Monitoring and Predicting Spatio-Temporal Land Use/Land Cover Changes in Zaria City, Nigeria, through an Integrated Cellular Automata and Markov Chain Model (CA-Markov) 2020-01
[26] 웹사이트 Nigeria - Zaria Water Supply Expansion and Sanitation Project https://projectsport[...] 2021-08-06
[27] 웹사이트 AfDB-Assisted Zaria Water Supply, Expansion and Sanitation Project Launched - Nigeria https://reliefweb.in[...] 2021-08-06
[28] 웹사이트 AfDB bans four companies for fraud in Zaria Water Supply Expansion https://www.esi-afri[...] 2021-08-06
[29] 웹인용 Klimatafel von Zaria / Nigeria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016-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