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잔잔주 (이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잔잔 주는 이란 북서부에 위치한 주로, 과거에는 캄세로 불렸다.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지에는 아간자나로, 사산 왕조 시대에는 샤힌으로 기록되었으며, 이후 장간을 거쳐 현재의 잔잔이 되었다. 아제르바이잔인이 다수를 차지하며 페르시아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며, 2016년 기준 인구는 105만 명 이상이다. 잔잔 주는 농업, 제조업, 수공예품 생산이 활발하며, 이란의 주요 연구 기관인 IASBS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란의 주 - 테헤란주
    테헤란주는 이란 북부에 위치하며, 이란의 수도 테헤란을 포함하고, 오랜 역사를 지닌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로서, 풍부한 자원과 많은 인구를 바탕으로 이란 국내총생산의 큰 부분을 차지하지만,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해 환경 및 사회 문제에 직면하고 있어 정치적 안정과 경제 개혁이 요구된다.
  • 이란의 주 - 후제스탄주
    후제스탄주는 고대 엘람 문명의 중심지이자 이란 남서부에 위치한 주로, 이란 원유 매장량의 57%를 차지하는 주요 석유 생산 지역이며, 고대 유적과 다양한 민족, 언어가 공존하지만, 물 부족, 환경 문제, 민족 갈등과 같은 사회 문제도 겪었다.
잔잔주 (이란)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이란 내 잔잔주의 위치
이란 내 잔잔주의 위치
기본 정보
로마자 표기Ostān-e Zanjān
유형
국가이란
지역제3지역
중심 도시잔잔
행정 구역
8개
통계
면적21,773 km²
인구 (2016년)1,057,461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정치 및 정부
주지사모흐센 사데기
언어
주요 언어페르시아어 (공식어)
지역 언어아제르바이잔어 (대다수)
타트어
경제
HDI (2017년)0.771 (높음)
HDI 순위23위
기타 정보
시간대IRST
UTC 오프셋+03:30

2. 역사

잔잔의 역사는 여러 시대를 거치며 다양한 이름으로 불려왔다.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에는 '아간자나'로 기록되어 있다.[4] 사산 왕조아르다시르 1세는 이 도시를 재건하고 '샤힌'이라 명명했다. 이후 '장간'으로 불리다가 현재의 '잔잔'이라는 아랍어식 이름으로 정착되었다. 잔잔은 과거 '5개의 부족이 있는 주'를 의미하는 '함세'라고도 불렸으며, 이전 게루스 주 지역을 포함한다.

잔드 왕조 시대 이후 잔잔과 그 주변 지역은 '캄세'라고 불렸다. ''모잘 알-타와리흐-에 골레스테네''는 카림 칸 잔드 시대 잔잔 주의 지역을 '마할-에 캄세'(문자 그대로 "캄세 지역")라고 언급한다.[4] 나데르 샤 사후 아프샤르 왕조의 붕괴와 함께 아프샤르-에 캄세 부족이 마할-에 캄세로 돌아오면서, '캄세'라는 명칭은 잔드 시대 이전부터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5] 즉, 나데르 샤 시대부터 이 지역은 캄세라고 불렸을 수 있다.

카림 칸 잔드가 아르다빌과 할할을 거쳐 카샨에서 자키 칸을 진압하기 위해 잔잔에 들어섰을 때, 아바르에서 마할-에 캄세 세 지역의 총독직을 졸파가르칸-에 술탄 이르루이-에 아프샤르에게 위임했다는 기록은[6][7] 이 지역이 잔드 왕조 시대에 캄세로 불렸음을 보여준다.

카자르 왕조 시대에도 잔잔 주는 캄세로 알려졌다. ''에스케르-올-타바리흐''에서 에테마드 알-술타네는 아가 모하마드 칸 카자르가 카자르 왕조 건국 직전 '하켐-에 캄세'(캄세의 총독)라는 칭호를 사용했다고 전한다.[8] 1814년경 미르자 아볼하산 칸 시라지의 여행기에도 캄세가 언급된다.[9]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파트 알리 샤 궁정에 파견한 피에르 아메데 자우베르는 1804년 잔잔 방문 시 이 지역을 캄세라고 처음 기록한 유럽 여행자이다.[10]

2. 1. 명칭의 변천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에서 이 도시는 아간자나로 언급된다.[4] 사산 왕조아르다시르 1세가 이 도시를 재건하고 샤힌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이후에는 장간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현재의 이름은 이를 아랍어화한 형태이다. 과거 잔잔의 이름은 "5개 부족이 있는 주"를 의미하는 함세였다. 잔잔 주는 이전 게루스 주의 지역을 포함한다.

잔드 왕조 시대 이후로, 잔잔과 그 주변 지역은 캄세라고 불렸다. ''모잘 알-타와리흐-에 골레스테네''라는 책에서는 카림 칸 잔드 시대의 사건을 논하며, 잔잔 주의 지역을 언급할 때 마할-에 캄세(문자 그대로 "캄세 지역")라고 언급하고 있다.[4] 잔잔에 대한 캄세라는 명칭은 잔드 시대 이전부터 사용되었을 수 있는데, 나데르 샤가 죽고 아프샤르 왕조 부족들의 대통합이 무너진 후, 아프샤르-에 캄세 부족이 마할-에 캄세로 돌아왔기 때문이다.[5] 따라서 이 부족의 이름은 이미 나데르 샤 시대부터 "캄세"라는 접미사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나데르를 따라 잔잔 지역을 떠나기 전부터 그랬을 가능성도 있다. 적어도 나데르와 아프샤르 왕조 시대부터 이 지역은 캄세라고 불렸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카림 칸 잔드가 아르다빌과 할할을 떠나 카샨에서 자키 칸을 진압하기 위해 잔잔에 들어섰고, 아바르에서 마할-에 캄세의 세 지역의 총독직을 졸파가르칸-에 술탄 이르루이-에 아프샤르에게 위임했다는 이야기가 있다.[6][7] 이는 이 지역이 잔드 왕조 시대에 캄세로 불렸다는 또 다른 증거이다.

이후 카자르 왕조 시대에도 잔잔 주는 캄세로 알려졌다. ''에스케르-올-타바리흐''라는 책에서 에테마드 알-술타네는 아가 모하마드 칸 카자르가 카자르 왕조를 세우기 직전에 ''하켐-에 캄세''(캄세의 총독)라는 칭호를 사용했다.[8] 또한, 미르자 아볼하산 칸 시라지는 1229 히즈리력(약 1814년)에 쓴 여행기에서 캄세를 언급하고 있다.[9] 유럽 여행자들 중, 잔잔이 위치한 주를 캄세라는 이름으로 처음 사용한 사람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파트 알리 샤의 궁정을 방문하도록 보낸 피에르 아메데 자우베르로, 1804년에 잔잔 시를 방문했다.[10]

3. 인구 통계

아제르바이잔인이 잔잔 주의 주요 민족이며, 타트족이 그 뒤를 잇는다.[11] 이란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페르시아어공용어이다. 2006년, 2011년, 2016년 세 차례의 인구 조사 결과는 하위 섹션 '인구 변화'에 표로 정리되어 있다.[12][13][14]

잔잔 주의 위치


2016년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67% 이상이 도시에 거주하며,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주요 도시'에서 확인할 수 있다.[14]

3. 1. 민족 구성

아제르바이잔인은 이 주의 주요 민족이며, 그 다음으로 타트족이 뒤를 잇는다.[11] 이란의 다른 모든 지역과 마찬가지로, 페르시아어가 ''공용어''이다.

3. 2. 인구 변화

2006년 인구 조사에서 잔잔 주의 인구는 235,771 가구에 942,818명이었다.[12] 2011년에는 286,806 가구에 1,015,734명,[13] 2016년에는 321,983 가구에 1,057,461명으로 조사되었다.[14]

잔잔주의 인구 변화
2006년[12]2011년[13]2016년[14]
아바르158,544169,176151,528
이즈루드35,66138,41636,641
호다반데161,696169,553164,493
호람다레60,02765,16667,951
마흐네샨41,22340,31239,425
솔타니예29,480
타롬42,93946,61646,641
잔잔442,728486,495521,302
합계942,8181,015,7341,057,461


3. 3. 주요 도시

도시인구
아브 바르8,091
아브하르99,285
아르마강카네2,149
차바르자크1,733
단디4,778
가르마브3,823
할라브956
헤이다즈13,840
카라사프3,083
코람다레55,368
마흐 네샨5,487
니크 페이455
누르바하르3,644
게이다르34,921
사잉 갈레12,989
소흐레바르드6,991
소자스7,037
솔타니예7,638
잔잔430,871
자르린 루드5,664
자르린아바드2,374



2016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잔잔 주 인구의 67% 이상인 711,177명이 위 도시에 거주하고 있다.[14]

4. 지리

잔잔 주의 풍경, 타롬


이란 북서부에 위치한 잔잔 주는 22164km2 면적으로 이란 영토의 1.34%를 차지하며, 평균 인구 밀도는 km2당 47명이다. 잔잔 주는 동아제르바이잔 주, 서아제르바이잔 주, 하마단 주, 쿠르디스탄 주, 길란 주, 가즈빈 주, 아르다빌 주의 7개 주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 잔잔 강은 이 지역의 유일한 주요 강이다.[16]

4. 1. 기후

잔잔은 겨울철 산간 지역에서는 춥고 눈이 많이 내리는 날씨를, 평야 지역에서는 온화한 기후를 보이는 고원 기후를 특징으로 한다. 여름에는 날씨가 따뜻하다. 잔잔의 평균 최고 기온은 약 27°C이며, 평균 최저 기온은 -19°C이다. 한편, 더운 날에는 기온이 32°C까지 올라가고, 추운 날에는 -27°C까지 떨어진다.[16]

봄 첫 달의 평균 연간 강수량은 72mm이고, 여름 두 번째 달에는 3.6mm이다. 오전의 습도율은 평균 74%이고, 정오에는 43%이다.[16]

5. 경제

잔잔주는 이란 중부를 북서부 지방과 연결하는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고 있다. 테헤란, 타브리즈, 튀르키예를 연결하는 철도와 고속도로가 이 지역을 통과하여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16] 과학계에서 잔잔은 이란에서 가장 생산적인 연구 센터 중 하나인 IASBS의 본고장이다.[17]

5. 1. 주요 산업

잔잔주의 경제는 이란 중부를 북서부 지방과 연결하는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고 있다. 이란의 수도 테헤란타브리즈, 그리고 튀르키예를 연결하는 철도와 고속도로가 이 지역을 통과한다.

농업이 주요 산업이며, 쌀, 옥수수, 유지 종자, 과일, 감자 등이 재배된다. 가금류, 소, 양도 사육된다.[16] 잔잔은 씨 없는 포도로 지역적으로 유명하다. 제조업 제품으로는 벽돌, 시멘트, 정미된 쌀, 카펫 등이 있다. 크롬, 납, 구리가 채굴된다.[16] 과학계에서 잔잔은 이란에서 가장 생산적인 연구 센터 중 하나인 IASBS의 본고장이다.[17]

6. 수공예

잔잔은 칼, '차루그'라고 불리는 전통 샌들, 그리고 '말릴레'(은선을 이용한 수공예품)와 같은 수공예품으로 유명하다. 잔잔의 예술가들은 장식용 접시와 특별한 덮개, 은 세공 장신구와 같은 많은 물건들을 생산한다. 고대 시대에 잔잔은 스테인리스강으로 된 날카로운 칼로 유명했지만, 더 저렴하고 숙련된 솜씨로 만들어진 중국 칼이 도입된 이후 그 전통은 점차 사라졌다.[1] 오늘날 많은 마을 사람들이 전통적인 양탄자 직조공이다.

7. 고등 교육

기초과학 고등연구원(IASBS)은 이란 잔잔시에 위치해 있으며, 순수 과학 분야에서 이란 최고의 고등 교육 및 연구 기관 중 하나이다. 잔잔에는 잔잔 대학교, 잔잔 의과대학교, 잔잔 이슬람 아자드 대학교가 있다. 첨단 기초 과학 대학은 이란에서 기초 과학 분야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연구 교육 기관으로 여겨진다.

참조

[1] 지도 Zanjan province https://www.openstre[...] 2024-09-09
[2]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18-09-13
[3] 보고서 Approval of the organization and chain of citizenship of elements and units of the national divisions of Zanjan province, centered in Zanjan city https://lamtakam.com[...] Ministry of the Interior, Defense Political Commission of the Government Council 2023
[4] 서적 مجمل التواریخ Tehran University 1356
[5] 서적 رستم التواریخ Donya-ye Ketab 1382
[6] 서적 گلشن مراد (تاریخ زندیه) Zarrin 1369
[7] 서적 تاریخ گیتی گشا 1363
[8] 서적 اکسیرالتواریخ Visman 1370
[9] 서적 سفرنامه به قلم میرزا محمد هادی علوی شیرازی، به کوشش محمدگلبن مرکز اسناد فرهنگی آسیا 1357
[10] 서적 مسافرت در ایران و ارمنستان بنیاد نشر فرهنگ ایران 1347
[11] 웹사이트 Government of Zanjan province (Persian) http://www.portal-zn[...]
[12] 보고서 Census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1385 (2006): Zanjan province http://www.amar.org.[...] The Statistical Center of Iran 2022-09-25
[13] 보고서 Census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1390 (2011): Zanjan province https://irandataport[...] The Statistical Center of Iran 2022-12-19
[14] 보고서 Census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1395 (2016): Zanjan province https://www.amar.org[...] The Statistical Center of Iran 2022-12-19
[15] 뉴스 Zanjan became the owner of a new city and county http://zanjan.irna.i[...] 1392-05-16
[16] 백과사전 Zanjan – region, Iran http://www.britannic[...]
[17] 웹사이트 Home http://www.iasbs.a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