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군의 아들 2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군의 아들 2》는 1930년대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종로를 장악하려는 하야시 패거리와 맞서는 김두한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이다. 김두한은 하야시 패거리와의 갈등, 송채환과의 로맨스, 일본 기녀 세쯔꼬의 도움을 받아 하야시 패거리의 습격 계획을 알아내는 등 여러 사건들을 겪는다. 영화는 김두한과 하야시 패거리의 종로 격돌, 종로 상인들의 도움으로 김두한이 위기를 벗어나는 내용으로 전개된다. 1991년 개봉하여 흥행에 성공했지만, 역사적 사실과 다른 내용, 폭력 미화 등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액션 드라마 영화 - 나쁜 녀석들 : 악의 도시
나쁜 녀석들 : 악의 도시는 2017년 방영된 한정훈 작가와 한동화 연출의 드라마로, 박중훈, 주진모, 양익준, 김무열, 지수 등이 출연하며 검사, 전직 폭력 조직원, 형사, 형받이 등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 액션 드라마 영화 - 장군의 아들 3
임권택 감독의 영화 장군의 아들 3은 김두한이 종로를 떠나 원산, 만주를 거쳐 다시 종로로 돌아와 하야시 패와 마지막 대결을 벌이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이며 박상민, 오연수, 신현준, 김승우, 독고영재 등이 출연했고 오연수는 이 영화로 청룡영화상 신인여우상을 수상했다. - 김두한 - 미와 와사부로
미와 와사부로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경찰 관료로, 항일 운동가들을 탄압하여 "염라대왕"이라 불렸으며 조선어에 능통했고, 해방 이후 행적은 불분명하다. - 김두한 - 김을동
김을동은 배우로 데뷔하여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서울시의회 의원과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 임권택 감독 영화 - 취화선
《취화선》은 2002년에 개봉한 임권택 감독의 영화로, 조선 말기의 천재 화가 장승업의 삶을 다룬 작품이며, 최민식이 주연을 맡아 예술혼을 표현했으며, 칸 영화제에서 감독상을 수상했다. - 임권택 감독 영화 - 씨받이 (영화)
《씨받이》는 1987년 개봉한 임권택 감독의 영화로, 조선시대 씨받이 제도를 통해 가문을 잇고자 하는 양반 집안과 가난한 여성의 비극적인 삶을 그리며 여성 묘사 논란과 함께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는 등 국제적인 호평을 받았다.
장군의 아들 2 - [영화]에 관한 문서 | |
---|---|
영화 정보 | |
제목 | 장군의 아들 2 |
원제 | The General's Son 2 |
로마자 표기 | Jangguneui adeul 2 |
감독 | 임권택 |
제작 | 태흥영화 |
제작자 | 이태원 |
각본 | 홍성유 |
원작 | 홍성유 |
음악 | 신병하 |
촬영 | 정일성 |
편집 | 박곡지 박선덕 |
주연 | 박상민 이일재 송채환 |
배급사 | 태흥픽처스 |
개봉일 | 1991년 7월 20일 |
상영 시간 | 103분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일본어 |
관람 등급 | 15세 이상 관람가 |
영화 시리즈 | |
이전 작품 | 장군의 아들 |
다음 작품 | 장군의 아들 3 |
포스터 | |
![]() |
2. 줄거리
1930년대 말, 일제강점기에 김두한은 종로 거리를 장악하려는 하야시와 맞서 싸워 이긴다. 하야시 패거리의 오른팔인 김동회와 김두한은 송채환이라는 여인을 사이에 두고 갈등한다. 채환은 김동회와 사랑에 빠지지만, 김두한은 일본 장교와 시비가 붙어 헌병대 취조실로 끌려간다.[1]
채환은 김두한을 구하기 위해 헌병대장에게 몸을 바치고 사라진다. 김두한이 아편 밀수를 하는 일본 회사를 습격하자 하야시 패거리에 비상이 걸리고, 김두한을 짝사랑하는 일본 기녀 세쯔꼬는 김두한에게 하야시 패거리의 습격 계획을 알려준다. 조선 상권을 지키려는 김두한과 하야시 패거리는 종로에서 격돌한다. 헌병을 때리고 도망가는 김두한을 구하기 위해 종로 상인들은 힘을 합쳐 헌병을 막는다.[1]
3. 등장인물
3. 1. 주연
3. 2. 조연
4. 제작진
역할 | 이름 |
---|---|
감독 | 임권택 |
연출부 | 박광인, 임상수, 진계동, 윤태용, 신철승, 김홍준 |
스크립터 | 김명화 |
각색 | 이윤택 |
원작 | 홍성유 |
촬영 | 정일성 |
촬영부 | 이후곤, 단혁태, 이기원, 이동수 |
조명 | 차정남 |
조명부 | 김태인, 김세근, 임형빈, 황종화, 박진천, 박영출 |
기획, 제작 | 이태원 |
제작상무 | 전융행 |
제작주임 | 김성룡 |
녹음 | 강대성 |
음악 | 신병하 |
미술 | 김유준 |
소품 | 김호길 |
소품팀 | 장석훈, 황인식, 김광태 |
특수효과 | 박광남 |
미용 | 조경애 |
분장 | 홍동은 |
코디네이터 | 박미정, 김승우 |
의상 | 박상문, 영화의상실, 씨티보이, 세기모자 |
편집 | 박순덕 |
편집보 | 김미정 |
네가편집 | 박곡지 |
무술감독 | 김영모 |
스틸 | 양기주 |
사진 | 구본창 |
옵티컬 | 윤종두 |
일본어 | 오꾸조노 히데끼 |
색보정 | 김승호 |
효과 | 양대호 |
현상 | 영화진흥공사 |
5. 개봉
1991년 7월 20일에 극장 개봉되었으며, 1992년 1월 6일에는 미디아트에서 VHS 비디오로 출시되었다. ''장군의 아들 2''는 1992년 서울에서 흥행 상위 10위 안에 든 영화 중 하나였다.[3]
6. 평가 및 영향
續 將軍의 아들|속 장군의 아들일본어은 1992년 서울에서 흥행 상위 10위 안에 드는 영화 중 하나였다.[3]
참조
[1]
서적
Im Kwon-Taek: The Making of a Korean National Cinema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2]
서적
Rising Sun, Divided Land: Japanese and South Korean Filmmakers
Wallflower Press
[3]
간행물
Variety International Film Guide
https://books.google[...]
19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