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선우영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우영빈은 평안남도 출신의 인물로, 일제강점기 일본에서 활동하며 현양사에 들어갔다. 1920년대 일본 주먹계를 장악했으며, 만주사변 즈음에는 경성부 명치정에서 활동했다. 김두한과 대립했으나 이후 친분을 맺고 그를 도왔으며, 광복 후 월남하여 사업가로 활동했다. 반민족행위처벌법으로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며, 한국 전쟁 이후 건설산업주식회사를 설립하고 대한건설협회 서울지부장을 역임했다. 1974년 서울지하철 건설에 기여하여 철탑산업훈장을 받았으며, 1978년 사망했다. 영화 '장군의 아들'과 드라마 '야인시대'에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쿠자 조직원 - 기무라 도쿠타로
    기무라 도쿠타로는 도쿄제국대학 법학부 졸업 후 변호사, 검찰총장, 법무대신, 요시다 내각의 법무총재 및 방위청장관 등을 역임한 법조인이자 정치인이며, 반공주의 활동과 전일본검도연맹 초대 회장으로서 검도 부흥에 기여했다.
  • 야쿠자 조직원 - 사사카와 료이치
    사사카와 료이치는 일본의 사업가이자 정치인으로, 전쟁 전 파시즘 활동, 전후 A급 전범 용의자 수감, 모터보트 경주 사업을 통한 부 축적 및 일본재단 설립 등의 행적을 보였으나, 전쟁 책임 반성 부족과 통일교 지원 논란 등으로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공존하는 인물이다.
  • 현양사 관련자 - 히라오카 고타로
    히라오카 고타로는 일본 메이지 시대 자유민권운동에 참여하고 겐요샤를 발전시켜 규슈 철도 창설과 야하타 제철소 유치에 기여한 정치 운동가이자 기업인으로, 후쿠오카현 경제 발전에 공헌하고 중의원 의원을 6선 역임하며 쑨원을 지원하는 등 중국 혁명에도 관여했다.
  • 현양사 관련자 - 미야자키 도텐
    미야자키 도텐은 손문의 중국 혁명 운동을 지원하고 김옥균 등 한국 독립운동가와 교류하며 아시아 연대를 추구한 일본의 아시아주의 운동가이자 혁명가였다.
  • 태원 선우씨 - 선우종원
    선우종원은 일제강점기 평양고보와 경성제대 법학과를 졸업하고 검사, 국무총리 비서실장, 한국조폐공사 사장,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 국회사무총장, 평화통일자문회의 부의장 등을 역임한 법조인이자 행정가이다.
  • 태원 선우씨 - 선우중호
    대한민국의 토목공학자이자 교육자인 선우중호는 서울대학교, 명지대학교, 광주과학기술원 총장을 역임했으며, 서울대학교 총장 재임 시절 총장 직선제 폐지 강행과 평화의 댐 건설 관련 논란이 있었다.
선우영빈
기본 정보
선우영빈
선우영빈
출생1974년 9월 22일 (49세)
본관태원 선우씨
학력숭실대학교 (경영학 / 학사)
서강대학교 경영대학원 (MBA)
경력
현직제22대 국회의원
소속 정당국민의힘
지역구비례대표
의정 활동
주요 이력국민의힘 디지털정당위원회 부위원장
국민의힘 미디어법률단 부단장
국민의힘 소상공인위원회 디지털플랫폼혁신위원장
국민의힘 정책조정위원회 제5정조위 국토교통위원회 간사
제22대 국회 전반기 국토교통위원회 위원
제22대 국회 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2. 생애

평안남도 대동군에서 태어나 평양에서 소학교와 중학교를 졸업하고, 3·1 운동 즈음 부모를 따라 일본으로 건너갔다. 광복 후 1945년 8·15 광복 이후 일본인 부인과 부하들을 일본으로 보내고 자신은 조선에 남았으며, 1978년에 사망했다.[7]

2. 1. 일제 강점기 활동

평안남도 대동군에서 태어난 그는 소학교와 중학교를 평양에서 졸업 후 3·1 운동 즈음 어린 시절 부모를 따라 일본으로 건너갔으며, 일본에서 도야마 미쓰루의 눈에 띄어 발탁되어 현양사에 들어갔다. 1920년대 일본의 주먹세계를 점령했다고 한다. 그리고 하야시(はやし; 林일본어)라는 일본명 성씨로 불리었다. 이후 도야마 미쓰루의 일본 제국 침략 선전으로 만주, 한반도 등에 낭인들을 보냈는데, 대략 만주사변 즈음 한반도 대표 야쿠자로 경성부 명치정에서 활동했다.

1930년대 말 김두한과 대립하였다.[2] 하지만 그는 도야마 미쓰루와 같은 일본의 제국주의자들이나, 이들의 앞잡이 역할을 하던 다른 친일파들과는 상반된 활동을 펼쳐나가는 등 선우 종친회와 조선인들에게 신망이 두터웠다고 전해진다.[3] 그리고 대립 이후 김두한과 친분을 맺고 곤경에 처한 김두한을 도와주기도 하였다.

2. 2. 광복 이후 활동

はやし; 林일본어라는 일본명으로 불렸던 그는 1945년 8·15 광복 이후 일본인 부인과 부하들을 일본으로 보내고 자신은 조선에 남았다. 고향인 평양으로 올라갔으나 남북이 분단되고 북쪽에서 공산정권을 세우자 월남하였다. 그 후 사업을 하며 생활하다 반민족행위처벌법이 구성되자 친일 혐의로 1년 6개월형을 선고받았다.[4] 한국 전쟁 이후 한국인 여성과 재혼하였다. 건설산업주식회사를 설립, 경영하였고 대한건설협회 서울지부장을 역임하는[5] 등 기업인으로 활동하였다. 1974년에는 서울지하철 건설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철탑산업훈장을 수상하였다.[6] 그는 말년에 독실한 개신교 신자로 교회에 다니기도 했다고 하며 1978년에 사망한 것으로 전해진다.[7]

3. 대중 문화

선우영빈은 대중 문화에서 다음과 같이 묘사된다.

작품명배역배우방영/개봉 년도
장군의 아들선우영빈신현준1990년 ~ 1992년
야인시대선우영빈이창훈2002년


3. 1. 영화

3. 2. 드라마

참조

[1] 뉴스 産業人脈(산업인맥) (15) 建設業(건설업) <4> 成長期(성장기) http://dna.naver.com[...] 매일경제 1973-02-19
[2] 방송 제9화 장충공원에서 일본깡패와 겨루던일 http://dbs.donga.com[...] 동아방송 1969-10-23
[3] 뉴스 "하야시는 조선인 협객이었다" http://sports.chosun[...] 스포츠조선 2002-10-11
[4] 뉴스 김두한 자서전2 메트로서울홀딩스 2003-01-15
[5] 뉴스 建協(건협)서울支部長(지부장) 鮮于永(선우영)씨를 選出(선출) http://dna.naver.com[...] 매일경제 1968-06-22
[6] 뉴스 地下鐵有功者 등 표창 梁 서울市長, 現代建設 등에 http://dna.naver.com[...] 매일경제 2011-02-15
[7] 방송 하야시는 조선인이었다. http://tv.sbs.co.kr/[...] SBS 2002-1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