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전 (오스만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기전은 1591년부터 1606년까지 오스만 제국과 합스부르크 군주국 사이에서 벌어진 전쟁이다. 1593년 시사크 전투에서 기독교 군대가 승리하며 백년 크로아티아-오스만 전쟁이 종결된 이후, 오스만 제국의 팽창 정책과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반격으로 인해 전쟁이 발발했다. 전쟁은 초기 전투, 발칸 반도의 전투, 공방전의 지속을 거쳐 1606년 지트바토로크 조약으로 종결되었다. 이 조약으로 오스만 제국은 에게르, 에스테르곰, 커니저 요새를 획득했지만, 바츠 지역을 오스트리아에 넘겨주었다. 장기전은 오스만 제국의 팽창을 저지하고 합스부르크-오스만 국경의 상황을 안정시켰으며, 합스부르크 가문 내부의 권력 다툼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돌프 2세 (신성 로마 황제) - 루돌프 표
루돌프 표는 요하네스 케플러가 티코 브라헤의 관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작한 천문표로, 1,005개의 별과 행성의 위치, 세계 지도를 포함하며 수성 및 금성의 태양면 통과 예측과 중국 역법 개혁에 영향을 미쳤다. - 루돌프 2세 (신성 로마 황제) - 개신교 제후동맹
개신교 제후동맹은 1608년 팔츠 선제후 프리드리히 4세의 주도로 아우크스부르크 화의의 불안정과 가톨릭 세력 확장에 대응하여 결성된 신성 로마 제국 내 개신교 제후들의 연합체였으나, 내부 갈등과 30년 전쟁 초기 중립 선언으로 1621년 해산되었다.
장기전 (오스만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 |
---|---|
분쟁 개요 | |
분쟁 이름 | 장기전 (헝가리의 15년 전쟁) |
다른 이름 | 독일어: Langer Türkenkrieg (긴 튀르크 전쟁) 헝가리어: Hosszú háború (장기전), Tizenöt éves háború (15년 전쟁) 크로아티아어: Dugi turski rat (장기 튀르크 전쟁) 세르비아어: Дуги рат (장기전) 튀르키예어: 1593–1606 Osmanlı-Avusturya Savaşı (1593–1606 오스만-오스트리아 전쟁) |
일부 | 오스만-합스부르크 전쟁, 유럽의 오스만 전쟁 |
시기 | 1593년 7월 29일 – 1606년 11월 11일 (13년 3개월 13일) |
장소 | 헝가리 왕국, 왈라키아 공국, 발칸 반도 |
결과 | 결론 없음, 지트바토로크 화약 체결 |
![]() |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합스부르크 군주국 신성 로마 제국 작센 선제후국 만토바 공국 사보이아 공국 카르니올라 공국 헝가리 왕국 크로아티아 왕국 토스카나 대공국 성 스테파노 기사단 트란실바니아 공국 왈라키아 공국 몰다비아 공국 프랑스 왕국 스페인 제국 페라라 공국 자포로제 카자크 세르비아 하이두크 교황령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
교전국 2 | 오스만 제국 크림 칸국 |
지휘관 및 지도자 | |
교전국 1 지휘관 | 루돌프 2세 빈첸초 1세 곤차가 헤르만 크리스토프 폰 루스부름 (처형) 카를 폰 만스펠트 (전사) 미하이 용감한 (암살) 루프레히트 폰 에겐베르크 조르조 바스타 이슈트반 보츠카이 스타리나 노바크 (처형) 카를 폰 부르가우 페르디난트 2세 |
교전국 2 지휘관 | 무라트 3세 메흐메트 3세 아흐메트 1세 코자 시난 파샤 Cığalazade Yusuf Sinan Pasha 라라 메흐메트 파샤 트리야키 하산 파샤 다마트 이브라힘 파샤 텔리 하산 파샤 (전사) 이슈트반 보츠카이 |
병력 규모 | |
교전국 1 병력 | 100,000명 이상 |
교전국 2 병력 | 160,000–180,000명 |
피해 규모 | |
교전국 1 피해 | 알 수 없음, 막심한 피해 |
교전국 2 피해 | 알 수 없음, 막심한 피해 |
2. 배경
1591년부터 합스부르크-오스만 국경을 따라 산발적인 전투가 격화되었다. 1592년, 비하치 요새는 비하치 공방전 이후 오스만 제국에 함락되었다.
(요약 및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장기전은 1593년 시난 파샤가 이끄는 오스만 군대가 합스부르크 군주국을 상대로 원정을 시작하면서 발발했다.[12] 초기에는 베스프렘 포위전과 바르팔로타 포위전이 있었고, 1594년에는 죄르와 코마롬이 함락되었다.[12]
1593년 봄, 보스니아 에야레트의 오스만군은 크로아티아의 시사크 시를 포위하여 시사크 전투를 시작했고, 결국 1593년 6월 22일 기독교 군대의 승리로 끝났다. 이 승리는 백년 크로아티아-오스만 전쟁 (1493–1593)의 종말을 알렸다.[1]
3. 원인
4. 전개 과정
1594년, 바나트의 세르비아인들이 성전의 성격을 띤 봉기를 일으켰다.[13] 이들은 성 사바의 성상이 그려진 전쟁 깃발을 들었고, 오스만 제국은 성 사바의 유해를 소각하는 등 탄압했다.[14]
1601년 구루슬러우 전투에서 합스부르크 군이 승리했지만, 너지커니저 포위전에서는 패배했다. 이후 브라쇼브 전투에서 트란실바니아 귀족들이 다시 패배했다.
1604년부터 1606년까지는 스테판 보치카이의 반란이 일어났다. 보치카이는 헝가리인들을 모아 합스부르크에 대항했고, 하이두크의 지원을 받아 여러 승리를 거두었다. 그는 트란실바니아 공작(1605년 2월 21일)과 헝가리 공작(1605년 4월 17일)으로 선언되었고, 빈 조약 (1606년)을 체결했다.
4. 1. 1593년-1594년: 초기 전투
1593년 7월 29일, 시난 파샤가 이끄는 오스만 군대가 합스부르크 군주국을 상대로 원정을 시작하면서 장기전쟁이 시작되었다.[12] 첫 전투는 베스프렘 포위전이었고, 1593년 10월에는 바르팔로타 포위전이 이어졌다. 1594년에는 죄르와 코마롬이 함락되었다.[12]
1594년 초, 바나트의 세르비아인들이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봉기했다.[13] 이들은 성전의 성격을 띠고 성 사바의 성상이 그려진 전쟁 깃발을 들고 다녔다.[14] 이 깃발은 총대주교 요반 칸툴이 축성했고, 봉기는 세르비아 정교회 대주교인 체티네 대교구의 루핌 네구쉬와 헤르체고비나 대교구의 비사리온의 지원을 받았다.[15] 오스만 대재상 코자 시난 파샤는 다마스쿠스에서 예언자 무함마드의 녹색 깃발을 가져와 세르비아 깃발에 대항하게 하고, 밀레셰바 수도원에 있던 성 사바의 유해가 담긴 석관을 군사 호송대를 통해 베오그라드로 옮기도록 명령했다.[14] 오스만 호송대는 가는 길에 반군에게 경고하기 위해 길에 있는 모든 사람들을 죽였다.[14] 1594년 4월 27일, 오스만군은 브차르 고원 꼭대기에서 성 사바의 유해를 공개적으로 소각하고 재를 흩뿌렸다.
4. 2. 1601년-1606년: 전쟁의 전환점
1601년 8월, 구루슬러우 전투에서 조르조 바스타와 미하이 용감공은 오스만과 폴란드의 보호를 받던 트란실바니아의 지그문트 바토리가 이끄는 헝가리 귀족들을 격파했다. 미하이 용감공은 바스타의 명령에 따른 용병들에 의해 암살되었다.[24] 이후 모제스 세케이가 이끄는 트란실바니아 귀족들은 1603년 브라쇼브 전투에서 합스부르크 제국과 왈라키아 공작 라두 세르반이 이끄는 왈라키아 군대에게 다시 패배했다.
1601년 9월, 신성 로마 제국 군대는 너지커니저를 포위했다. 수적 우위에도 불구하고, 연합군은 심각한 손실로 인해 두 달 후 포위를 포기해야 했다.
전쟁의 마지막 단계(1604년부터 1606년까지)는 트란실바니아 공작 스테판 보치카이의 반란에 해당한다. 루돌프가 주로 허위 혐의에 근거하여 궁정의 고갈된 재정을 채우기 위해 수많은 귀족들을 기소하기 시작하자, 교육받은 전략가인 보치카이는 저항했다. 그는 절망에 빠진 헝가리인들을 귀족들의 실망한 구성원들과 함께 모아 합스부르크 통치자에 대항하여 봉기를 시작했다. 군대는 서쪽으로 진군했고, 헝가리의 하이두크의 지원을 받아 몇 번의 승리를 거두었으며 보치카이가 처음 트란실바니아 공작으로 선언될 때까지(마로스바샤르헤이, 1605년 2월 21일) 합스부르크 군대에 잃었던 영토를 되찾았다. 이후 세렌치에서 1605년 4월 17일에 헝가리 공작으로도 선언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보치카이에게 왕관을 지원했지만, 그는 기독교인이었기에 이를 거절했다. 헝가리의 공작으로서 그는 루돌프 2세와 협상을 받아들여 빈 조약 (1606년)을 체결했다.
5. 주요 전투
- 베스프렘 포위전 (1593)
- 바르팔로타 포위전 (1593)
- 세게슈페헤르바르 전투 (1593)
- 롬하니 전투 (1593)
- 바나트 봉기 (1594)
- 죄르 포위전 (1594)
- 컬루게레니 전투 (1595)
- 주르주 전투 (1595)
- 에스테르곰 포위전 (1596)
- 브레스트 전투 (1596)
- 에게르 포위전 (1596)
- 케레슈테스 전투 (1596)
- 1596-97년 세르비아 봉기
- 바르팔로타 포위전 (1597)
- 죄르 포위전 (1598)
- 부다 포위전 (1599)
- 미러슬로 전투 (1600)
- 너지커니저 포위전 (1601)
- 구루슬로 전투 (1601)
- 세게슈페헤르바르 포위전 (1601)
- 셸림버르 전투 (1601)
- 브라쇼브 전투 (1603)
- 부다 포위전 (1603)
6. 결과
1606년 11월 11일 지트바토로크 조약으로 전쟁이 끝났다. 오스만 제국은 에게르, 에스테르곰, 커니저 요새를 얻었지만, 1541년부터 점령했던 바츠 지역을 오스트리아에 넘겨주었다. 이 조약으로 오스만 제국은 합스부르크 영토를 더 이상 침략할 수 없게 되었다. 또한 트란실바니아는 합스부르크의 세력 밖에 있음이 확인되었다. 루돌프 황제는 전쟁 목표를 달성하지는 못했지만, 오스만 제국에 저항한 덕분에 전쟁을 승리로 제시하여 명성을 얻었다. 이 조약은 합스부르크-오스만 국경의 상황을 안정시켰다. 스테판 보치카이는 독립을 유지했지만, '헝가리 왕'이라는 칭호는 포기하기로 했다.[25]
루돌프는 장기전에서 자신이 승리했다고 묘사했지만, 이는 합스부르크 가문 내부의 정치적 문제로부터 그를 보호하지는 못했다. 루돌프는 전쟁 말기에 많은 빚을 졌고, 채권자, 국경 수비대, 야전군에게 빚을 졌으며, 헝가리 귀족들에게 양보했고, 합스부르크-오스만 국경을 지원했던 신성 로마 제국의 제후들을 실망시켰다. 오스만 제국과 평화가 체결되자 합스부르크 가문은 서로에게 등을 돌렸다. 이 갈등은 가문이 루돌프의 후계자 문제를 해결하도록 강요했고, 결국 자녀가 없는 루돌프 황제와 그의 동생 마티아스가 형제의 다툼에서 맞붙게 되었다.[25]
7. 영향
장기전은 1606년 11월 11일 지트바토로크 조약으로 종결되었으며, 오스만 제국과 합스부르크 양측 모두 큰 영토 획득은 없었다. 오스만 제국은 에게르, 에스테르곰, 커니저 요새를 얻었지만, 1541년부터 점령했던 바츠 지역을 오스트리아에 넘겨주었다. 이 조약으로 오스만 제국은 더 이상 합스부르크 영토로 진출할 수 없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트란실바니아 공국은 합스부르크의 세력권을 벗어나 자치권을 인정받게 되었다.
루돌프 황제는 전쟁 목표를 달성하지는 못했지만, 오스만 제국에 대한 저항을 통해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다고 주장하며 명성을 얻었다. 이 조약은 합스부르크-오스만 국경의 상황을 안정시켰다. 스테판 보치카이는 독립을 유지했지만, "헝가리 왕"이라는 칭호는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25]
루돌프는 장기전에서 자신이 승리했다고 주장했지만, 이는 합스부르크 가문 내부의 정치적 갈등으로부터 그를 보호하지는 못했다. 전쟁 말기에 루돌프는 많은 빚을 졌고, 채권자, 국경 수비대, 야전군에게 빚을 졌으며, 헝가리 귀족들에게 양보해야 했다. 또한 합스부르크-오스만 국경을 지원했던 신성 로마 제국 제후들을 실망시켰다. 오스만 제국과 평화가 체결되자 합스부르크 가문은 서로에게 등을 돌렸다. 이러한 갈등은 결국 루돌프 황제와 그의 동생 마티아스 간의 형제의 다툼으로 이어졌다.[25]
8. 전쟁 자금 조달
신성 로마 제국의 제국 회의에서 상당한 규모의 세금 지원이 투표되었다. 1594년에 소집된 제국 회의에서 약 이 약속되었고, 그 중 최소 5분의 4가 실제로 황실 재무부에 도달했다. 이 지원은 4년 후와 1603년에 다시 갱신되었다. 루돌프 2세가 제후 회의에 호소하여 에서 이 추가로 지급되어, 독일의 소공들은 총 에서 을 조달했다.[11]
합스부르크 군주국 자체는 약 을 모금했다. 이탈리아에서는 황제의 공식 통치 밖의 제국 이탈리아, 교황령, 스페인 영토뿐만 아니라 스페인 자체를 포함하여 이 추가로 조달되었다.[11]
9. 평가
루돌프 황제는 전쟁 목표를 완전히 달성하지는 못했지만, 오스만 제국에 대한 저항 덕분에 전쟁을 승리로 제시하여 명성을 얻었다.[25] 이 조약은 합스부르크-오스만 국경의 상황을 안정시켰다. 또한 스테판 보치카이는 독립을 유지했지만, "헝가리 왕"이라는 칭호는 포기하기로 동의했다.
루돌프는 장기전에서 자신이 승리했다고 묘사했지만, 이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내부 정치로부터 그를 보호하지 못했다.[25] 루돌프는 전쟁 말기에 대규모 채무를 졌고, 채권자, 국경 수비대, 야전군에게 빚을 졌으며, 헝가리 귀족들에게 양보했고, 합스부르크-오스만 국경을 지원했던 신성 로마 제국의 제후들을 실망시켰다. 오스만 제국과 평화가 체결되자 합스부르크 가문은 서로에게 등을 돌렸다. 이 갈등은 가문이 루돌프의 후계자라는 미결 문제를 해결하도록 강요했고, 결국 자녀가 없는 루돌프 황제와 그의 동생 마티아스가 형제의 다툼에서 맞붙게 되었다.[25]
참조
[1]
서적
Magyarország Képes Története
Hungarian Book-Club
[2]
서적
Military history of Hungary
Zrínyi Military Publisher
[3]
서적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4]
서적
Csaták kislexikona (Small lexicon of the Battles)
Maecenas Publisher
[5]
서적
The Encyclopaedia of Islam Vol. 6 Mahk-Mid
[6]
서적
Magyarország hadtörténete I.
[7]
서적
Magyarország története 1526–1686
[8]
서적
The age of wars of religion, 1000–1650: an encyclopedia of global warfare and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2-03-23
[9]
뉴스
Türkçe Bilgi: 1593–1606 Osmanlı-Avusturya Savaşı
https://www.turkcebi[...]
[10]
웹사이트
Great Turkish War (1683–1699)
https://www.helion.c[...]
Helion
2023-03-19
[11]
서적
Europe's Tragedy: A History of the Thirty Years War
Allen Lane
[12]
서적
The A to Z of the Ottoman Empire
https://g.co/kgs/iyP[...]
Rowman & Littlefield
[13]
서적
(1219–1766). Udžbenik za IV razred srpskih pravoslavnih bogoslovija. (Yu 68–1914)
https://books.google[...]
Sv. Arh. Sinod Srpske pravoslavne crkve
[14]
서적
The Life of St. Sava
https://books.google[...]
St. Vladimir's Seminary Press
1989
[15]
서적
Editions speciales
https://books.google[...]
Naučno delo
[16]
서적
Der Lange Türkenkrieg (1593–1606): The long Turkish War
Soldiershop Publishing
[17]
서적
The Mediterranean and the Mediterranean World in the Age of Philip II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8]
서적
Constantinople: the story of the old capital of the empire
J.M. Dent & Co
[19]
서적
Piracy and the Decline of Venice, 1580–1615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
서적
Istoria Românilor
Editura All
[21]
문서
Coln, Emporungen so sich in Konigereich Ungarn, auch in Siebenburgen Moldau, in der der bergischen Walachay und anderen Oerten zugetragen haben
1596
[22]
문서
Marco Venier, correspondence with the Doge of Venice
1595-07-16
[23]
서적
O istorie sinceră a poporului român
Editura Univers Enciclopedic
[24]
웹사이트
Michael | prince of Walachia
https://www.britanni[...]
2024-03-27
[25]
서적
The Thirty Years War: Europe's Tragedy
[26]
웹사이트
Győr ostroma. | Borovszky Samu: Magyarország vármegyéi és városai | Kézikönyvtár
https://www.arcanum.[...]
2018-09-26
[27]
서적
Magyarország hadtörténete I.
[28]
서적
Magyarország története 1526–1686
[29]
서적
Istoria Românilor
Editura All
[30]
문서
Coln, Emporungen so sich in Konigereich Ungarn, auch in Siebenburgen Moldau, in der der bergischen Walachay und anderen Oerten zugetragen haben
1596
[31]
문서
Marco Venier, correspondance with the Doge of Venice
1595-07-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