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연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연송은 함경북도 길주군 출신으로, 니혼 대학 경제과를 졸업했다. 일제강점기에는 자유장과 이중 재봉 바늘을 발명하고, 영구 기관인 '무연료 원동 환동기'를 제작하여 특허를 취득했다. 또한, 개인주의를 주장하는 논문을 발표하고, 일본의 압박에 대한 시를 짓는 등 독립운동을 했다. 해방 후에는 한국민주당 중앙위원과 과도 정부 입법 의원을 역임했으며,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어 국회의원이 되었다. 한국전쟁 중 납북되어 사망했으며, 2006년 건국포장을 추서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경북도 출신 - 오극렬
    오극렬은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3대에 걸쳐 북한 핵심 요직을 역임한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군사 및 정치 분야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며 불법 활동 의혹으로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
  • 함경북도 출신 - 김동하 (1918년)
    김동하는 일제강점기 만주군 장교이자 대한민국 해병대 창설에 참여한 군인, 정치인으로, 5·16 군사정변에 가담하여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을 역임했으나 반혁명사건에 연루되었고, 만주군 복무 경력으로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었다.
  • 1956년 사망 - 뤼시앵 페브르
    뤼시앵 페브르는 마르크 블로크와 함께 아날 학파를 창시하여 총체적 역사와 심성사를 개척하고 다양한 사료 활용 및 학문 간 협력을 강조하며 20세기 역사학에 큰 영향을 미친 프랑스의 역사학자이다.
  • 1956년 사망 - 김창룡
    김창룡은 일제강점기 관동군 헌병으로 항일 조직 색출에 참여한 군인으로, 해방 후 대한민국 육군에서 정보 및 방첩 업무를 담당하며 숙군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지만, 특무부대장으로서 인권 침해 및 사건 조작 의혹, 김구 암살 사건 연루 의혹 등 각종 논란 속에 암살당해 역사적 평가가 엇갈린다.
  • 대한민국의 제2대 국회의원 - 김시현 (1883년)
    김시현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2대 및 제5대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후보로,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당선되었다.
  • 대한민국의 제2대 국회의원 - 권중돈
    권중돈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무소속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민주당, 신민당 등 야당에서 활동하며 5선 국회의원을 지낸 인물이다.
장연송
기본 정보
건국포장
건국포장
이름장연송
한자 표기張連松
출생1881년 1월 27일
사망1950년 (69세)
출생지황해도 해주시
묘소국립서울현충원
독립운동 공훈
훈격건국포장 (1990년)
주요 공적대한민국 임시정부 군자금 지원
납북
납북 시기6.25 전쟁 중
가족 관계6.25전쟁 납북인사 가족협의회 등록
기타 정보
관련 인물안재홍, 이광수 등

2. 생애

장연송은 함경북도 길주군 출신으로, 니혼 대학 경제과를 졸업했다. 해방 전에는 독립운동으로 투옥되기도 했으며, 해방 후에는 한국민주당 중앙위원, 과도 정부 입법 의원 의원을 역임하고 제2대 총선거에서 무소속으로 당선되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한국전쟁 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납북되어 그곳에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독립운동

함경북도 길주군 길상리에서 태어났다.[10] 일본 대학 경제학부를 졸업했다.[7] 일제강점기에는 자유장[5], 이중 재봉 바늘[6]을 발명했으며, 20년 이상을 들여 나무로 영구 기관인 '무연료 원동 환동기(恒動機[4])'를 제작하여 1939년에 특허청으로부터 특허를 받았다. '선과 도둑'이라는 논문에서 개인주의를 주장하면서 자유와 자연주의를 존중함으로써 인종 간, 민족 간의 대립을 해소하고 공존공영·상호부조해야 함을 지적했다. 일본의 착취와 압박을 받고 있는 고국의 현실을 읊은 시와, 영구 기관을 완성하여 세계에 물자를 풍요롭게 함으로써 전쟁 없는 평화롭고 자유로운 평등 사회를 하루빨리 실현하고 싶다는 내용의 시도 지었다. 이로 인해 1942년 3월 17일 용산경찰서에 체포되었고, 1943년 3월 3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징역 2년형을 선고받아 서대문형무소에서 복역했으나, 같은 해 형 집행이 정지되어 출옥했다.[2]

2. 2. 해방 이후 정치 활동

해방 후 장연송은 한국민주당 중앙위원, 과도 정부 입법 의원 의원을 역임했다.[7] 1950년 제2대 총선거에서는 동대문구 선거구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이 외에도 중앙경제통신사 사장, 충무공 기념사업회 이사, 국풍연구회 회장 등 다양한 단체의 대표직을 맡았다.[1]

1950년 한국전쟁 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납북되었다. 같은 해 7월 4일 오전, 자택에서 북한 측 관계자에게 납치되어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 결성 대회에 참가한 후, 지병이던 심장병과 폐병이 재발하여 그곳에서 치료받던 중 55세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8] 사망 날짜에 대해서는 1956년 11월 6일이라는 기록[9]과 같은 해 10월 30일이라는 기록[10]이 있다.

2006년에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2]

2. 3. 납북과 사망

한국전쟁 중이던 1950년 7월 4일 오전에 자택에서 북한 측 관계자에게 납치되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갔다.[8] 1956년 7월 2일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 결성 대회에 참가한 후, 지병이던 심장병과 폐병이 재발하여 병원에서 치료를 받다가 같은 해 11월 6일에 사망했다는 기록[9]과 10월 30일에 사망했다는 기록[10]이 있다.

3. 사후

1950년 7월 4일 오전, 장연송은 자택에서 북한 측 관계자에게 납치되어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 결성 대회에 참가했다. 이후 지병이던 심장병과 폐병이 재발하여 그곳에서 치료받던 중 55세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8]

2006년에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2]

4. 사상

장연송은 '선과 도둑'이라는 논문에서 자유와 자연주의를 존중함으로써 인종 간, 민족 간의 대립을 해소하고 공존공영과 상호부조를 해야 한다는 개인주의를 주장했다.[2] 또한, 일본의 착취와 압박을 받는 고국의 현실을 읊은 시와, 영구 기관을 완성하여 세계에 물자를 풍요롭게 함으로써 전쟁 없는 평화롭고 자유로운 평등 사회를 하루빨리 실현하고 싶다는 내용의 시를 지었다.[2]

5. 평가

장연송은 일제 강점기에 여러 발명과 특허 취득으로 주목받았다. 특히 20년 이상을 들여 제작한 영구 기관 '무연료 원동 환동기'는 1939년 특허를 받았다.[4] 또한, '선과 도둑'이라는 논문에서 개인주의를 주장하며 자유와 자연주의를 존중하고, 인종 및 민족 간 대립 해소와 공존공영을 강조했다.[2] 그는 일본의 착취와 압박을 받는 고국의 현실을 비판하고, 영구 기관을 통해 전쟁 없는 평화롭고 평등한 사회를 실현하고자 하는 시를 짓기도 했다.[2]

광복 후에는 정치 및 사회 활동을 했다. 한국민주당 중앙위원, 과도 정부 입법 의원 의원을 역임했으며,[7] 제2대 총선에서는 동대문구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되었다.[1] 중앙경제통신사 사장, 충무공 기념사업회 이사, 국풍연구회 회장 등도 역임했다.[1]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직후 북한 측에 납치되어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에 강제 참여했고, 지병으로 사망했다.[8]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06년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2]

6. 역대 선거 결과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48년총선무소속11,006표 (27.86%)2위낙선
1948년10.30 재보선무소속9,200표 (20.92%)3위낙선
1950년총선무소속15,074표 (36.41%)1위당선초선


참조

[1] 웹사이트 2830.장연송 -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 http://www.kwafu.org[...] 2023-08-29
[2] 웹사이트 공훈전자사료관 -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장연송 https://e-gonghun.mp[...] 国家報勲部 2023-08-29
[3] 웹사이트 62기 중 안재홍 이광수 김효석 조헌영...등 좌우 인사 39명 묘소 최초 공개 http://www.minjog21.[...] 2007-10-06
[4] 웹사이트 韓民族獨立運動史資料集 68 68권 戰時期 反日言動事件Ⅲ 張山連松 신문조서(제四회) https://db.history.g[...] 1942-04-16
[5] 웹사이트 多方面에 利用될 自由杖을 發明, 東京잇는 張連松씨의 발명 五個國에 特許願을 提出[肖] https://db.history.g[...] 1930-02-07
[6] 웹사이트 二重縫針 張連松君이 發明 https://db.history.g[...] 1935-01-08
[7]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3-08-29
[8] 웹사이트 정치 : 인터넷한겨레 http://legacy.www.ha[...] 2023-08-29
[9] 웹인용 납북 제헌ㆍ2대 국회의원 현황 http://www.hani.co.k[...] 2007-10-03
[10] 웹인용 평양룡성구역 '재북인사들의 묘'를 가다 - 62기 중 안재홍 이광수 김효석 조헌영...등 좌우 인사 39명 묘소 최초 공개 http://www.minjog21.[...] 2007-1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