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하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하석은 대한민국의 과학철학자로, 1967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하버드 대학교 연구원을 거쳐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강사, 교수를 역임했으며, 2010년부터 케임브리지 대학교 한스 라우싱 과학사 및 과학철학 석좌교수로 재직했다. 《온도계의 철학》으로 라카토스 상, 《물은 H₂O인가?》로 페르난도 길 국제 과학철학상을 수상했다. 과학 대중화를 위해 미디어 활동을 하였으며, 저서로는 《온도계의 철학》, 《물은 H₂O인가?》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진섭 가 - 장하준
    장하준은 제도주의적 정치경제학을 연구하고 신자유주의와 자유 무역을 비판하는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케임브리지 대학교 경제학과 교수이며, 《사다리 걷어차기》 등의 저서로 뮈르달 상과 레온티에프 상을 수상했다.
  • 장진섭 가 - 장하성
    장하성은 대한민국의 경영·경제학자이자 정무직 공무원으로, 고려대학교 교수와 참여연대 위원장을 지내며 소액주주 운동과 기업 지배구조 개선을 주도했고, 문재인 정부에서 정책실장과 주중국 대사를 역임했으나, 소득주도성장 정책 추진과 여러 논란으로 비판을 받았다.
  • 영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김종창
    김종창은 대한민국의 공무원, 금융인으로서 제7대 금융감독원장을 역임하며 글로벌 금융위기 대응, 금융 시스템 안정화, 기업 구조조정, 서민금융 지원 강화,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제도 개선에 힘썼다.
  • 영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신해철
    신해철은 1988년 무한궤도로 데뷔하여 독보적인 음악적 입지를 구축하고 사회 문제에 비판적 목소리를 내 '마왕'이라는 별명을 얻은 뮤지션, 방송인이자 사회 운동가였으나, 2014년 의료 과실로 사망하여 신해철법 제정으로 이어졌다.
  • 과학사학자 - 에른스트 마이어
    에른스트 마이어는 20세기 후반의 저명한 진화생물학자이자 조류학자로, 생물학적 종 개념을 명확히 제시하고 진화생물학의 환원주의를 거부하며 진화론적 종합에 크게 기여했고, 100세 넘는 나이까지 활발한 연구활동을 하며 다수의 상을 수상하고 그의 업적은 다양한 생물 종의 학명에 그의 이름이 사용되는 것으로 기념되고 있다.
  • 과학사학자 - 에른스트 마흐
    에른스트 마흐는 음속과 충격파 연구로 유명하며 뉴턴의 개념을 비판하고 마흐의 원리를 제시하여 아인슈타인에게 영향을 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출신 물리학자이자 과학 철학자이다.
장하석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Hasok Chang
장하석
출생일1967년 3월 26일
출생지서울특별시, 대한민국
국적미국
로마자 표기Jang Haseok
학문 분야
분야과학사, 과학철학
직장하버드 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케임브리지 대학교
교육노스필드 마운트 허먼 스쿨, 햄프셔 칼리지
학력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B.S.)
하버드 대학교
스탠퍼드 대학교 (Ph.D.)
배우자Gretchen Siglar
수상
수상 내역BSHS 슬레이드 상 (2005년)
라카토스 상 (2006년)
페르난도 길 국제 과학 철학상 (2013년)
윌킨스-버널-메다워 강연 (2015년)
웹사이트
웹사이트장하석 웹사이트

2. 어린 시절과 교육

장하석은 1967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장재식은 공무원 출신 정치인이며, 어머니 최우숙은 교사였다. 형은 저명한 경제학자 장하준이며, 사촌 형은 고려대학교 교수이자 대통령 비서실 정책실장을 역임한 장하성이다.[15][3]

장하석은 매사추세츠주 노스필드 마운트 허몬 학교를 1985년에 수석으로 졸업하였다. 매사추세츠 주 햄프셔 칼리지에서 교환 학생으로 공부하였고, 하버드 대학교에서 객원 대학원생으로도 공부했다.[1] 1989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이론 물리학과 과학 철학을 전공하여 이학사(B.S.) 명예 학위를 받았다.[16][1] 1993년 스탠포드 대학교에서 "측정과 양자물리학의 분열"을 주제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6][1]

3. 경력과 수상

장하석은 하버드 대학교에서 1993년 7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물리학 연구자로 일했으며, 1995년 영국으로 이주하여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과학 기술학 학부에서 강사로 일하였다.[16] 2010년에는 케임브리지 대학교로 이직하여 한스 라우싱(Hans Rausing) 과학사 및 과학철학 석좌교수가 되었다.[14]

BBC 포의 프로그램인 《쇼크 앤드 오》(Shock and Awe: The Story of Electricity|충격과 공포: 전기 이야기영어), 채널 4의 《지니어스 오브 브리튼》(Genius of Britain: The Scientists Who Changed the World|영국의 천재: 세상을 바꾼 과학자들영어)의 자문으로 일하였다.[17] 2011년 BBC의 《호라이즌》(Horizon|호라이즌영어)에서 방영된 〈왓 이즈 원 디그리?〉(What Is One Degree?|1도는 무엇인가?영어) 에피소드에도 출연하였다.[17] 2014년 2월부터 5월까지 EBS에서 방영된 《장하석의 과학, 철학을 만나다》에 출연하였다.[18]

통합 과학사 및 과학철학 위원회와 실천 과학철학회의 창립 회원이다.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영국 과학사학회 회장, 2014년부터 2015년까지 부회장을 역임하였다. 2006년에 《온도계의 철학》(''Inventing Temperature: Measurement and Scientific Progress'')으로 러커토시 상을 수상하였으며,[19] 《물은 H₂O인가?》(''Is Water H₂O?'')로 페르난도 길 국제 과학철학상을 수상하였다.[20] 2016년 5월 10일 왕립학회에서 윌킨스 버널 메더와 강의(Wilkins-Bernal-Medawar Lecture)를 진행하였다.[21] 2021년 미국 물리학회로부터 아브라함 페이스 물리학사상을 수상했다.[9]

4. 저서 목록


  • Inventing Temperature: Measurement and Scientific Progress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영어, 2004년 7월)
  • Is Water H₂O?: Evidence, Realism and Pluralism영어 (Springer|슈프링어영어, 2012년)
  • 장하석의 과학, 철학을 만나다 (지식채널, 2014년 11월)
  • 인문의 길, 인간의 길 (한길사, 2016년 9월)

4. 1. 영어 저서


  • Inventing Temperature: Measurement and Scientific Progress영어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2004년 7월)[2]
  • Is Water H₂O?: Evidence, Realism and Pluralism영어 (슈프링어, 2012년)[2]
  • Realism for Realistic People: A New Pragmatic Philosophy of Science영어 (2022)[10]

4. 2. 한국어 저서


  • 《온도계의 철학》 (동아시아, 2013년 10월)
  • 《물은 H₂O인가? : 증거론, 실재론, 다원주의》 (김영사, 2021년)
  • 《인문의 길, 인간의 길》 (한길사, 2016년 9월)
  • 《장하석의 과학, 철학을 만나다》 (지식채널, 2014년 11월)[11]

5. 가족 관계

관계이름출생사망비고
증조부장진섭
조부장병상1899년1958년독립운동가, 상하이 임시정부 활동
백부장정식전남대 의대 교수
사촌장하종1959년조선대 의대 교수
백부장충식1929년전 도의원, 한국닉스 대표이사
사촌장하진1951년전 여성가족부 장관, 전 충남대 교수
사촌장하성1953년고려대 경영학과 교수, 대통령 비서실 정책실장, 주중대사
사촌장하용사업가
사촌장하경1957년광주대 교수
사촌장하원1959년옥스퍼드대 경제학 박사, 하나금융 경영연구소장, 전 열린우리당 정책실장
백부장영식1932년뉴욕대 교수, 전 한국전력 사장
사촌장하상보잉 이사
사촌장진애변호사
친부장재식1935년3선 국회의원
장하준1963년케임브리지대 경제학 교수, 경제학자
본인장하석1967년



그는 심리 치료사인 그레첸 시글러와 결혼했다.[3]

6. 미디어 출연

장하석은 과학 대중화를 위해 다양한 미디어 활동을 펼쳤다. BBC 포의 《쇼크 앤드 오》(''Shock and Awe: The Story of Electricity''), 채널 4의 《지니어스 오브 브리튼》(''Genius of Britain: The Scientists Who Changed the World'') 자문으로 참여했다.[17][4] 2008년 미국 과학 텔레비전 프로그램 《노바》(''Nova'')에 출연했고,[17][4] 2011년 BBC 《호라이즌》(''Horizon'')의 〈왓 이즈 원 디그리?〉("What Is One Degree?") 에피소드에 출연했다.[17] 2014년 2월부터 5월까지 EBS 《장하석의 과학, 철학을 만나다》에 출연하여 한국 시청자들에게 과학철학을 소개했다.[18][5]

참조

[1] 웹사이트 Hasok Chang CV https://cambridge.ac[...] 2014-09-10
[2] 웹사이트 Hasok Chang biography http://www.people.hp[...]
[3] Youtube "Scientific Pluralism and the Mission of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4] IMDb
[5] 웹사이트 다시 보기 http://home.ebs.co.k[...] EBS
[6] 웹사이트 Lakatos Award http://www.lse.ac.uk[...] 2014-09-19
[7] 웹사이트 2013 Winner http://fernando-gil.[...]
[8] 웹사이트 Who cares about the history of science? https://royalsociety[...] 2016-05-10
[9] 웹사이트 2021 Abraham Pais Prize for History of Physics Recipient https://www.aps.org/[...] American Physical Society 2022-01-09
[10] 웹사이트 Realism realistic people new pragmatist philosophy science https://www.cambridg[...]
[11] 웹사이트 http://www.kyobobook[...]
[12] 서적 Inventing temperature: measurement and scientific progress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13] 논문 Rumford and the Reflection of Radiant Cold: Historical Reflections and Metaphysical Reflexes http://link.springer[...] 2002-05
[14] 웹사이트 Hasok Chang biography http://www.people.hp[...] 2017-02-12
[15] Youtube Scientific Pluralism and the Mission of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https://www.youtube.[...]
[16] 문서 Hasok Chang CV http://www.ucl.ac.uk[...] University College London 2016-06-11
[17] IMDb
[18] 웹인용 다시 보기 http://home.ebs.co.k[...] 2017-01-22
[19] 웹인용 Lakatos Award http://www.lse.ac.uk[...] London School of Economics 2016-05-14
[20] 웹인용 2013 Winner http://fernando-gil.[...] Fernando Gil International Prize for the Philosophy of Science 2016-05-14
[21] 웹인용 Who cares about the history of science? https://royalsociety[...] 왕립학회 2016-05-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