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한국전력공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한국전력공사는 대한민국 한국전력공사법에 의해 설립된 기업으로, 1898년 한성전기회사를 모태로 하여 대한제국 시기 고종의 지원을 받아 설립되었다. 1982년 한국전력공사로 발족하여, 국내외 전력 사업을 수행하며 대한민국 전력 공급을 담당한다. 발전 자회사를 통해 전력을 생산하고, 송전, 변전, 배전, 판매 등을 담당하며, 국내에서는 산업체, 상업시설, 주택 등에 전력을 공급한다. 해외에서는 중국, 필리핀, 호주, 멕시코, 아랍에미리트 등에서 발전소 건설 및 운영, 송배전 기술 자문 사업 등을 수행한다. 2024년 1월에는 기간통신사업자로 등록되었다. 한국전력공사는 정부의 정책적 영향을 크게 받으며, 2023년 기준 총 794기의 발전 설비를 통해 83,235MW의 총 설비용량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전력공사 - 한국전력기술
    한국전력기술은 1975년에 설립된 발전소 설계 전문 회사이며, 한국원자력연구소와 미국의 번즈 앤 로우사의 합작으로 설립되어 한국전력의 자회사로 편입되었고, 원자력 및 화력 발전소 설계 분야를 주요 사업으로 한다.
  • 한국전력공사 - 한전KPS
    한전KPS는 한국전력공사가 전액 출자하여 설립한 발전플랜트 Total 서비스 전문 회사로서, 발전설비의 진단, 정비, 성능 개선, 신재생에너지 설비 O&M, 송변전 설비 정비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하며, 국내외 발전설비 유지보수 및 기술 용역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국전력공사 - [회사]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회사 이름한국전력공사
로마자 표기Hanguk Jeollyeok Gongsa
한자 표기韓國電力公社
영어 이름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약칭한국전력, 한전, KEPCO
설립일1898년 1월 26일 (한성전기회사), 1961년 7월 1일 (한국전력공사)
설립자대한민국 정부
본사 위치전라남도 나주시 전력로 55
산업전기 유틸리티
제품전력
서비스전력 배전
웹사이트한국전력공사 공식 웹사이트
한국전력공사 로고
서울의 옛 본사 건물
서울의 옛 본사 건물
재무 정보
매출88조 2200억 원 (2023년)
영업이익4조 5400억 원 (2023년)
순이익4조 7100억 원 (2023년)
총 자산239조 7100억 원 (2023년)
자본37조 2600억 원 (2023년)
주식 정보
주식 거래소,
소유 구조
주요 주주한국산업은행 및 대한민국 정부 (51.10%), 국민연금공단 (6.61%)
경영진
대표 이사김동철
직원 수
직원 수23,138명 (2023년)
관련 인물
주요 인물정승일 (사장)
연혁
1898년한성전기회사 설립
1908년일한와사
1915년경성전기
1927년남선전기
1943년조선전업
1961년한국전력
1975년한국원자력발전공사
1981년한국전력공사
1909년한성전기회사 매각
1915년일한와사 해체
1961년경성전기, 남선전기, 조선전업 합병
1980년한국원자력발전공사 해체
1982년한국전력 재출범
자회사
주요 자회사한국수력원자력
한국남부발전
한국중부발전
한국동서발전
한국서부발전
한국남동발전
한전KPS
한전KDN
한전산업개발
한전원자력연료
한국전력기술

2. 설립 근거


  • 한국전력공사법[45]

3. 연혁

한국전력공사의 역사는 대한제국 시기인 1898년 1월, 고종 황제의 전액투자로 설립된 '''한성전기회사'''에서 시작된다.[9] 한성전기회사는 1899년 서울에 전차 운행을 시작하고 1900년에는 종로에 가로등을 점등하며 한국 전력사의 첫 장을 열었다. 그러나 1909년 일제 계열 회사인 일한와사주식회사에 매각되었고,[14] 1915년에는 '''경성전기주식회사'''로 이름이 바뀌었다.

일제강점기 말기인 1943년, 태평양 전쟁 하의 전력 통제 정책에 따라 조선전업, 부령수력전기, 조선수력전기 등 3개사가 통합되어 '''조선전업주식회사'''가 설립되었다. 광복 이후 1961년 7월 1일, 박정희 정부는 기존의 조선전업, 경성전기, 남선전기 3개 회사를 통합하여 국가 기간산업으로서 전력 사업을 일원화한 '''한국전력주식회사'''(KECO)를 발족시켰다.[15] 이는 경제 개발 계획을 뒷받침하기 위한 조치였다.

1964년에는 광복 이후 처음으로 제한송전이 해제되었고, 1978년에는 대한민국 최초의 원자력발전소인 고리 1호기가 준공되었다. 1982년 1월, 한국전력주식회사는 공기업 형태의 '''한국전력공사'''(KEPCO)로 새롭게 출범하였다.[15][20] 1989년에는 국민주 형태로 한국거래소에 상장되었고, 1994년에는 한국 기업 최초로 뉴욕증권거래소에도 상장되었다.

2001년 4월, 정부의 전력 산업 구조 개편 계획에 따라 발전 부문이 한국수력원자력과 5개 화력 발전 자회사(한국남동발전, 한국중부발전, 한국서부발전, 한국남부발전, 한국동서발전)로 분할되었다. 2009년에는 아랍에미리트(UAE)에 원자력 발전소를 수출하는 계약을 체결하며 해외 원전 시장에 진출했고, 2014년 12월에는 본사를 서울특별시에서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혁신도시로 이전했다. 2024년 1월에는 기간통신사업자로 등록하여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46]

3. 1. 대한제국 시기

1898년경 한성전기회사 사장 이채연


한국전력공사(KEPCO)의 기원은 대한제국 시대인 1898년 1월 설립된 한성전기회사(Seoul Electric Companyeng)로 거슬러 올라간다.[9] 전기 사업에 특별한 관심을 가진 고종 황제가 전액을 투자하여 설립한 황실 기업이었고, 내부적으로는 한성전기 사장 이채연을 통해 자금이 조달되었다. 이후 미국인 사업가 헨리 콜브란(Henry Collbraneng)과 해리 라이스 보스윅(Harry Rice Bostwickeng)이 서울의 전차, 가로등, 전화 시스템 관리를 맡게 되었다.[10]

한성전기는 1899년 5월 동대문에 최초의 발전소를 완공했다. 같은 해 서대문과 동대문 사이에 최초의 전차 노선을 개통하여 운행을 시작했고,[11] 이듬해인 1900년 4월에는 종로 거리에 가로등 3개를 설치하여 대한민국 최초로 민간에 의한 공공장소 조명을 밝혔다. 서울의 전기와 전차 시스템 운영을 독점한 한성전기는 20세기 초까지 공공 조명 네트워크를 확장했고, 민간 주택에도 전력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11]

1900년경 전기 인프라를 사용하는 서울의 모습


회사는 또한 서울 도심과 여러 지역을 통과하는 전차 노선을 통해 갈 수 있는 영화관을 설립했는데, 이는 전차의 편리함을 홍보하고 승객을 유치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의 일환이었다. 총 3개 노선(서대문-종로-동대문-청량리 본선, 종로-남대문-용산 용산선, 서대문-남대문 의주선)이 건설되어 서울의 주요 지역을 연결했다.[12] 을사조약 체결 이전까지 회사는 성공적으로 사업을 확장해 나갔다. 이러한 확장에는 미국 공사관의 호러스 알렌(Horace Alleneng), 사장 이채연, 궁궐 내부 고문으로 임명되었던 전 비서 윌리엄 F. 샌즈(William F. Sandseng), 그리고 이윤용, 민영환, 민상호, 강석호 등 친미 성향의 대한제국 관리들의 적극적인 지원이 있었다.[13]

그러나 1900년 8월, 친미 성향의 지도자였던 사장 이채연이 사망하면서 상황이 변했다. 이후 비 친미 성향의 이용익이 한성전기회사 경영진에 합류하여 회사 자금을 엄격하게 통제하고 콜브란의 사업 확장 계획을 견제했다. 콜브란은 저당 계약 위반을 주장하며 철도 건설 프로젝트 관련 채무 상환을 요구하며 이용익을 압박했다. 이용익은 콜브란의 주장이 과장되었다는 문서를 근거로 그의 요구를 거부했고, 이로 인해 양측의 긴장이 고조되었다. 결국 한성전기회사의 채무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계약이 체결되었다. 고종은 양측의 모든 요구를 상호 철회하고, 1904년 2월 모든 권리와 자산을 이관하여 한미전기회사를 설립했다. 한미전기회사의 경영은 콜브란이 맡았고, 고종은 회사 지분의 50%를 인수하여 최대 주주로서 회사 경영에 대한 관여를 확보했다. 같은 해 8월, 한성전기는 공식적으로 한미전기로 체제를 전환했다.

한편, 1905년 6월에는 인천에서 일본인들을 중심으로 인천전기주식회사가 설립되었고, 같은 시기 평안북도 운산에는 미국 자본으로 한국 최초의 수력발전소인 운산수력발전소(660마력, 500 kW)가 준공되었다.

1905년 9월, 일본이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후 을사조약이 강제로 체결되면서 대한제국에 대한 일본의 영향력이 급격히 확대되었다. 일본은 대한제국의 여러 근대화 사업을 흡수하거나 해체, 장악하기 시작했으며, 근대 산업 발전의 기반인 전력 산업도 예외는 아니었다. 1908년 9월에는 일한와사주식회사가 설립되었고, 결국 1909년 6월, 콜브란은 한미전기를 이 일한와사주식회사라는 일본 기업에 매각하였다.[14] 이로써 대한제국 황실이 주도했던 한국 최초의 전기 회사는 일본 자본의 손에 넘어가게 되었다.

3. 2. 일제강점기

대한제국 시기 설립된 한성전기회사는 1904년 미국인 콜브란과의 합작회사인 한미전기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을사조약 이후 일제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변화를 맞이했다. 1908년 9월(융희 2년) 일본계 자본으로 '''일한와사주식회사'''가 설립되었고, 이듬해인 1909년 6월(융희 3년) 콜브란으로부터 한미전기를 매수했다.[14]

1915년 9월, 일한와사주식회사는 '''경성전기주식회사'''로 명칭을 변경했고, 1917년 4월에는 개성전기주식회사가 설립되었다. 일제강점기가 진행되면서 조선총독부는 전력 산업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여, 1931년 12월에는 5년간 전국의 54개 배전회사를 4개 회사로 통합한다는 내용의 전력통제계획을 발표했다.

전력 통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인프라 건설도 이루어졌다. 1935년 11월 조선송전주식회사는 154kV 평양 송전간선을 완성했으며, 1941년 6월에는 허천강~홍남 간 송전선에 이어 허천강~청진강 간 220kV 송전선이 준공되었다.

태평양 전쟁 말기인 1943년 2월, 전시 경제 통제의 일환으로 조선송전, 부령수력전기, 조선수력전기 3개사가 통합되어 '''조선전업주식회사'''가 설립되었다. 이어 같은 해 3월에는 조선전력관리령이 공포되어 전력 산업 통제가 더욱 강화되었다. 1944년 3월에는 당시 동양 최대 규모였던 수풍댐 발전소(60만kW)가 준공되었다.

3. 3. 광복 이후

광복 직후 혼란 속에서도 전력 설비는 증가하여 1946년 5월 발전설비용량 1000000kW를 돌파했다. 하지만 1948년 5월 북한의 일방적인 송전 중단 조치로 남한은 심각한 전력난에 직면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에서 발전함 자코나(eng, 20000kW)와 일렉트라(eng, 6900kW)를 도입하여 각각 1948년 2월 부산항, 5월 인천항에서 발전을 시작했고, 같은 해 5월 당인리화력발전소도 가동을 시작했다.

한국 전쟁 이후 전력 시설 복구를 위해 1953년 5월 대한민국 정부유엔군 사령부 간 '발전시설 및 송배전선 부흥계획에 관한 협정'이 체결되었고, 같은 해 11월 상공부에 전원개발위원회가 설치되어 12월 '1차 전원개발 3개년계획안'이 채택되었다.

원자력 발전의 기반도 마련되기 시작했다. 1956년 2월 한미원자력협정이 서명되었고, 1957년 8월 대한민국은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정식 회원국으로 가입했다.

1961년 7월 1일, 박정희 정부의 전력산업 통합 정책에 따라 기존의 조선전업, 경성전기, 남선전기 3개 회사가 통합되어 '''한국전력주식회사'''(KECO)가 발족했다.[15] 이는 국가 주도의 경제 개발 계획을 뒷받침하기 위한 조치였다. 같은 해 11월 전원개발 5개년 계획이 발표되고(1965년 말 최종 확정) 12월에는 전기사업법이 공포되었다.

전력 공급 안정을 위한 노력이 이어져 1964년 4월에는 광복 이후 처음으로 제한송전이 전면 해제되었으며, 당시 총 발전설비는 531354kW였다. 1965년 12월에는 농어촌 지역의 전기 보급을 위한 농어촌 전기화 촉진법이 공포되었다. 1968년 5월에는 발전설비용량이 다시 1000000kW를 돌파했다.

1970년대에는 대규모 발전소 건설과 전력 시스템 현대화가 이루어졌다. 1973년 11월 소양강댐 발전소(200000kW)가 준공되었고, 1977년 12월에는 100kW 이상 고객의 요금 조정 전산 처리가 시작되었으며, 산업용 전력 계약 500kW 이상 고객을 대상으로 동양 최초의 최대부하요금제가 도입되었다. 1978년 4월에는 대한민국 최초의 원자력 발전소인 고리원자력 1호기(587000kW)가 준공되었고, 같은 해 12월에는 최대 수요 전력이 5118000kW를 기록했다. 1979년 10월에는 전라남도 신안군 도서 지역 23개 섬, 1만 6천여 호를 잇는 대한민국 최초의 해저 케이블 전화 공사가 준공되었다.

1981년 12월, 기존의 한국전력주식회사가 해산되고 공기업 형태의 '''한국전력공사'''(KEPCO)가 설립 등기되어 1982년 1월 공식 출범했다.[15][20] 1983년 12월에는 정부투자기관관리법이 공포되어 공사 운영의 법적 기반이 마련되었다. 1986년 3월에는 권명광 교수가 디자인한 새로운 CI(심볼마크)가 도입되었다. 원자력 발전 기술 자립을 위한 노력으로 1987년 4월 원전 건설이 국내 주도형으로 전환되었고, 같은 해 6월 최대 수요 전력이 10000000kW를 돌파했다. 1989년 8월에는 국민주 2호로 한국거래소에 상장되어 민영화의 첫발을 내디뎠다.

1990년대에는 전력 산업 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경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었다. 1990년 1월 전기사업법이 개정 공포되었고, 1992년 12월에는 '새한전창달위원회'가 발족했다. 1993년 11월에는 2006년까지 원전 14기를 추가 건설하는 내용을 담은 '93 장기전력수급계획'이 의결되었다. 1994년 10월에는 한국 기업 최초로 뉴욕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3억달러)했으며, 한국방송공사(KBS)의 수신료 징수 업무를 통합했다. 해외 사업에도 진출하여 1995년 2월 필리핀 말라야 발전소 운영 사업을 수주했다. 같은 해 12월에는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와 북한 간 경수로 공급 협정이 뉴욕에서 서명되었고, 1997년 8월 함경남도 신포에서 KEDO 원전 착공식이 열렸다. 1996년 8월 최대 수요 전력은 32282000kW를 기록했으며, 1997년 10월에는 제주-육지 간 전력 계통 연계 사업이 시작되었다. 1998년 9월에는 한국 표준형 원전인 울진원자력 3호기가 준공되었고, 12월에는 필리핀 말라야 발전소(650000kW) 성능 복구 공사를 완료했다.

2000년대 들어 전력 산업 구조 개편이 본격화되었다. 2000년 7월 최대 수요 전력이 40000000kW를 돌파했고, 2001년 4월에는 발전 부문이 한국수력원자력과 5개 화력 발전 자회사(한국남동발전, 한국중부발전, 한국서부발전, 한국남부발전, 한국동서발전)로 분리되었다. 같은 해 9월 국내 발전 설비는 50000000kW를 넘어섰다. 해외 사업도 확장되어 2002년 6월 필리핀 최대 규모의 일리한 복합화력발전소를 준공했다. 2004년 2월에는 최대 수요 전력이 50000000kW를 돌파했으며, 2005년 11월에는 전국 배전 전압 220V 승압 사업이 완료되고 변전 설비 용량이 2억 kVA를 달성했다. 2006년 9월에는 독립사업부가 발족했다.

2009년 12월에는 아랍에미리트(UAE)에 원자력 발전소를 수출하며 최초의 해외 원전 수출 기록을 세웠다. 이후 2011년 6월 필리핀 세부 발전소, 2012년 2월 요르단 알카트라나 발전소를 준공하며 해외 발전 시장에서의 입지를 넓혔다. 2013년 10월에는 대구에서 세계 에너지 총회(WEC)를 개최했다. 2014년 12월 본사를 서울특별시에서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혁신도시로 이전했다. 2016년 5월에는 포브스가 선정한 '글로벌 2000' 기업 순위에서 전력 유틸리티 분야 1위를 달성했다. 2024년 1월에는 기간통신사업자로 등록했다.[46]

4. 역대 사장

wikitext

역대 한국전력공사 사장
대수이름임기
1대박영준1961년 ~ 1968년
2대정래혁1968년 ~ 1970년
3대김일환1970년 ~ 1971년
4대김상복1971년 ~ 1973년
5대민충식1973년 ~ 1976년
6대김영준1976년 ~ 1982년
7대성낙정1982년 ~ 1983년
8대박정기1983년 ~ 1987년
9대한봉수1987년 ~ 1989년
10대안병화1989년 ~ 1993년
11대이종훈1993년 ~ 1998년
12대장영식1998년 ~ 1999년
13대최수병1999년 ~ 2002년
14대강동석2002년 ~ 2004년
15대한준호2004년 ~ 2007년
16대이원걸2007년 ~ 2008년
17대김쌍수2008년 ~ 2011년
18대김중겸2011년 ~ 2012년
19대조환익2012년 ~ 2017년
20대김시호2017년 ~ 2018년
21대김종갑2018년 ~ 2021년
22대정승일2021년 ~ 2023년
23대김동철2023년 ~ 현재


5. 조직

(내용 없음)

5. 1. 주요 부서


  • 상임감사위원
  • * 감사실
  • 기획처
  • 전력시장처
  • 경영개선처
  • 재무처
  • * 전략기금사업단
  • 탄소중립전략처
  • 요금기획처
  • 수요전략처
  • * 경영연구원
  • 인사혁신처
  • 커뮤니케이션처
  • 법무실
  • ICT기획처
  • * 인재개발원
  • * ICT운영처
  • 노사협력처
  • 자재처
  • * 경영지원처
  • * 사옥건설처
  • * 자재검사처
  • * 수안보연수원
  • * 속초연구원

5. 2. 지역 본부

(작성할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관련 정보가 없습니다.)

6. 자회사

한국전력공사(KEPCO)는 전력 생산 및 관련 사업을 위해 여러 자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주요 자회사는 전력 생산을 담당하는 발전 부문 자회사와 전력 사업 관련 기타 부문 자회사로 나눌 수 있다.[21] 발전 자회사가 전력 생산을 담당하고, 한국전력공사는 생산된 전력의 송전, 변전, 배전, 판매 등을 담당한다.

6. 1. 발전 부문

2001년 전력 산업 구조 개편 계획에 따라 전력 시장 자유화를 대비하여 발전 부문이 6개의 자회사로 분할되었다.[21] 발전 부문 자회사가 전력을 생산하고 한국전력공사는 송전, 변전, 배전, 판매 등을 담당한다.

발전 부문에는 다음 6개의 자회사가 있다.

각 발전 자회사의 주요 현황은 다음과 같다 (2023년 12월 기준).[21]

한국수력원자력을 제외한 5개 화력발전 자회사의 경우, 발전소 분할 시 자산 가치와 설비 용량이 균등하게 배분되도록 조정되었다. 이 때문에 각 회사가 소유한 발전소는 특정 지역에 집중되지 않고 전국 각지에 분포되어 있다.

6. 2. 기타 자회사

발전 부문 외에 다음과 같은 기타 자회사를 두고 있다.

7. 국내 사업

한국전력공사(KEPCO)는 국내에서 주로 산업체, 상업시설, 주택, 교육기관 및 농업 관련 고객에게 전력을 공급한다. 2023년 12월 31일 기준으로, 한국전력공사는 원자력, 석유, 석탄, 액화천연가스, 수력, 풍력태양광 발전소 등 총 794기의 발전 설비를 통해 83,235MW의 총 설비용량을 보유하고 있다. 2023년 말 기준 한국전력공사의 송전선로 길이는 35,596 회로킬로미터에 달한다.[22][23][24]

8. 해외 사업

한국전력공사(KEPCO)는 1993년 중국 광동 원자력 발전소 유지보수 기술 자문 계약을 수주하며 해외 사업을 시작했다. 현재 전 세계 18개국에서 다양한 전력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29] 주요 사업 분야로는 필리핀, 중국, 멕시코 등지에서의 발전소 건설 및 운영 사업과 미얀마, 캄보디아, 베트남 등에서의 송배전 기술 자문 사업 등이 있다.[21][30]

8. 1. 주요 해외 사업

한국전력공사(KEPCO)의 해외 진출은 1993년 중국 광동 원자력 발전소 유지보수 기술 자문 계약 수주를 시작으로 이루어졌다.

1996년에는 말라야 화력 발전소 개보수 및 운영 계약을 수주하며 필리핀 전력 시장에 처음 진출했다. 같은 해 1200MW 규모의 일리한 가스터빈 복합화력 발전소 건설(BOT 사업) 입찰에서도 성공했다. 현재 한국전력공사는 나가 발전소 단지와 세부 순환유동층 연소 발전소를 포함하여 필리핀에서 총 4개의 발전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는 필리핀 전체 발전 설비 용량의 약 12%에 해당한다.[21]

2005년부터는 남북 경협의 일환으로 북한 개성공업지구에 전력을 공급하기 시작했다.[32]

중국에서는 2007년 감숙성 풍력 발전 프로젝트 1단계 공사 참여를 통해 풍력 발전 산업에 진출했으며, 이후 내몽골, 요녕성, 산서성(山西省중국어) 등 다른 지역의 풍력 발전 프로젝트에도 지분을 보유하며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2010년에는 삼성물산 및 한국 기업 테크인트와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멕시코 치와와주에 위치한 노르테 II 복합화력 발전소의 건설 및 운영 계약을 따냈다.[31]

2012년 4월에는 호주 부티크 콜(Boutique Coal)사의 지분 인수를 위해 ICPO와 계약을 맺고 4억달러 규모의 자금을 조달했다. 이는 연소 효율을 최대 30%까지 높이고, SOx와 NOx 배출을 80% 이상 줄이며 CO2 발생량도 감축할 수 있는 저렴한 무연탄 브리켓 기술 활용을 목표로 한 투자였다.

이 외에도 송배전 기술 자문 분야에서 미얀마, 캄보디아, 베트남, 인도네시아, 리비아, 우크라이나, 파라과이, 이집트 등 여러 국가에서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30]

현재 한국전력공사는 전 세계 18개국에서 다양한 전력 사업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29]

9. 스마트 그리드

2010년 초, 한국전력공사(KEPCO)는 2030년까지 스마트 그리드 사업에 70억달러 이상을 투자하여 전력 분배 효율을 높이고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겠다고 발표했다.[38] 한국전력공사는 2009년 한국의 국가 스마트 그리드 로드맵 발표 이후 시작된 제주 스마트 그리드 시범 사업에 참여하는 168개의 한국 및 외국 기업 중 하나이다.[39] 2011년 6월, 한국전력공사가 제주 스마트 그리드 시험장 시범 단지에 통합 운영 센터를 구축하기 위해 IBM과 협력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40]

10. 경영

정부와 정부계 금융기관이 주식의 과반수를 보유하는 반관반민 기업이기 때문에, 국가 정책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아랍에미리트에서 원자력발전소를 수주한 것도 이러한 국가 정책의 일환이다.

한국 정부는 수출 제조업 지원 등을 목적으로 아시아 국가들 중에서도 전력 요금을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하는 정책을 펴고 있다. 이로 인해 한국전력은 발전 비용을 전력 요금에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여 2018년과 2019년에 큰 규모의 적자를 기록하기도 했다. 문재인 정부 시기인 2020년에 수립된 『전력수급기본계획』안에는 2034년까지 발전원 구성에서 원자력발전 비중을 현행 20% 수준에서 10% 이하로 낮추고, 석탄 화력발전소는 60기에서 30기로 절반 줄이는 대신, 발전 단가가 높은 재생에너지 비중을 15%에서 40% 이상으로 늘리는 목표가 담겼다. 이러한 에너지 전환 정책에 대한 한국전력의 대응이 요구되었다.[41]

2020년대에 들어서도 비용이 수익을 넘어서는 역마진 구조가 개선되지 못했다. 특히 2022년에는 국제 원유 가격 급등과 국내 지방채 디폴트 사태 등이 겹치면서 재무 건전성이 악화되었다. 한국전력공사가 발행하는 회사채는 5%의 높은 금리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 전액 소화되지 못하는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42]

11. 공정거래법상 지위

기업집단 한국전력공사는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14조에서 규정하는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이다.[47] 소속 회사는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Korea Electric Power Corp Annual Report https://home.kepco.c[...] kepco.co.kr
[2] 웹사이트 Korea Electric Power Corp. ADR https://web.archive.[...] 2013-02-03
[3] 뉴스 IBM Expands Global Intelligent Utility Network Coalition to Advance Smart Grid Development https://web.archive.[...] 2013-02-02
[4] 뉴스 Fortune Global 500: 271. Korea Electric Power https://money.cnn.co[...] 2013-02-02
[5] 뉴스 Kepco keeps A-plus credit rating http://koreajoongang[...] 2013-02-02
[6] 웹사이트 Korea's 5% Electricity Tariff Hike Is Credit Positive for State-Run KEPCO https://web.archive.[...] 2013-02-02
[7] 뉴스 Move to Naju is part of governmental decentralization scheme https://www.koreatim[...] 2013-02-02
[8] 뉴스 Inefficient moves http://koreajoongang[...] 2013-02-02
[9] 논문 2007 IEEE Conference on the History of Electric Power 2007-08-03
[10] 웹사이트 Birth of the first electric company, Hansung Electric. https://home.kepco.c[...] kecpo.co.kr 2023-05-10
[11] 웹사이트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Kepco) https://www.encyclop[...] Encyclopedia.com 2023-04-12
[12] 논문 1898~1904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Changes of Hansung Electric Company 2007
[13] 논문 Korean Bureaucratic Intellectuals in the Korean Empire Period: Focusing on W. F. Sands, the Imperial Advisor 2005
[14] 웹사이트 Supplying electric railroads and electric lights to the capital city of Seoul http://contents.hist[...]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2023-05-10
[15] 뉴스 KEPCO Plays Key Role in South Korean Economy http://www.direction[...] 2013-02-02
[16] 뉴스 'KEDO to break ground on nuclear project in North Korea,' Statement by the Korean Peninsular Energy Organization (KEDO), 14 August 1997 https://web.archive.[...] 2013-02-02
[17] 웹사이트 About Us: Our History http://www.kedo.org/[...] 2013-02-02
[18] 뉴스 Power system and technical issues in South Korea http://oldsite.nauti[...] 2013-02-02
[19] 뉴스 S.Korea's KDIC raises $550 mln in upsized KEPCO sale-source https://www.reuters.[...] Reuters 2012-10-09
[20] 웹사이트 기록물 생산기관 변천정보 > 기관연혁 상세정보 http://theme.archive[...] 2018-04-09
[21] 웹사이트 Annual Report 2011 https://web.archive.[...] 2013-02-02
[22] 뉴스 Kazakhstan and South Korea negotiating on construction of a nuclear power plant http://en.tengrinews[...] 2013-02-02
[23] 웹사이트 Korea Electric Power Co. (KEP) https://finance.yaho[...] 2013-02-02
[24] 웹사이트 Korea Electric Power Corp (015760:Korea SE) https://web.archive.[...] 2013-02-03
[25] 뉴스 Power industry laid a solid foundation for growth https://www.koreatim[...] 2013-02-02
[26] 뉴스 Indictments for South Korea forgery scandal http://www.world-nuc[...] World Nuclear News 2013-10-14
[27] 뉴스 KEPCO confirms talks on joining Moorside Project https://www.ft.com/c[...] 2017-07-05
[28] 뉴스 Kepco E&C teams up with shipbuilder for floating reactors https://www.world-nu[...] World Nuclear News 2020-10-07
[29] 뉴스 KEPCO Aims to Become a Global Top 5 Energy & Engineering Company http://www.koreaitti[...] 2013-02-02
[30] 웹사이트 Profile: Korea Electric Power Corp (KEP) https://web.archive.[...] 2013-02-02
[31] 뉴스 Kepco completes deal to supply electricity in Mexico http://koreajoongang[...] 2013-02-02
[32] 뉴스 Kaesong Power Supply to Reverse Current After 57 Years http://english.chosu[...] 2013-02-02
[33] 뉴스 KEPCO aims to be world top-five energy firm https://www.koreatim[...] 2013-02-02
[34] 뉴스 Kepco Buys 100% Of Bylong Coal Mine For A$403 Million From Anglo http://www.advfn.com[...] 2013-02-02
[35] 뉴스 KEPCO to invest $512 mln in Bayan Resources https://www.reuters.[...] 2013-02-02
[36] 뉴스 Korea Electric Power buys into Indonesian coal producer http://english.yonha[...] 2013-02-02
[37] 뉴스 KEPCO Signs an Uranium Mining Partnership with Areva SA http://www.koreaitti[...] 2013-02-02
[38] 뉴스 KEPCO to invest $7.2 bln in smart grid by 2030 https://www.reuters.[...] 2013-02-02
[39] 웹사이트 South Korea: Smart Grid Revolution https://web.archive.[...] 2013-02-02
[40] 뉴스 Korea to Build Total Operations Center at Jeju Smart Grid Demo Complex http://tdworld.com/s[...] 2013-02-02
[41] 뉴스 ソウルの電気代、東京の半分以下 国策価格、韓国電力の悲哀 2020-10-29
[42] 웹사이트 〝借金地獄〟韓国の公営電力会社 来年には社債限度超過で…不渡りかブラックアウトか 日本の新聞にめったに載らない資金事情 https://www.zakzak.c[...] zakzak 2022-12-16
[43] 웹사이트 KEPCOの発電子会社設立と卸電力市場の創設|韓国の電気事業 https://www.fepc.or.[...] 電気事業連合会 2018-07-28
[44] 기타
[45] 법률
[46] 뉴스 한국전력공사, 기간통신사업자 등록 https://www.newsprim[...] 2024-01-30
[47] 웹인용 대규모기업집단 공개 시스템 http://groupopni.ftc[...] 공정거래위원회 2010-01-2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