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저산소증 유도인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저산소증 유도 인자(HIF)는 산소 농도가 낮아지는 저산소 환경에 대한 세포의 적응 반응을 조절하는 전사 복합체이다. 1995년 그레그 L. 세멘자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2019년 세멘자는 윌리엄 캐린 주니어, 피터 J. 래트클리프와 함께 HIF가 산소 가용성에 대한 세포 반응을 감지하고 적응하는 기전을 밝힌 공로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HIF는 알파와 베타 서브 유닛으로 구성된 이형 복합체로, 다양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여 혈관 생성, 세포 생존, 물질대사 조절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한다. HIF는 빈혈, 염증, 암, 신경 질환 등 다양한 질병의 치료 표적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특히 HIF 프롤릴 하이드록실화 효소 억제제는 빈혈 치료에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간 14번 염색체상 유전자 - 에스트로겐 수용체
    에스트로겐 수용체는 세포 내에서 에스트로겐과 결합하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단백질로, ERα와 ERβ의 두 가지 주요 아이소폼이 존재하며, 유방암, 폐경, 비만 등 다양한 질병과 관련되어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의 표적이 되고 비유전체적 신호 전달 경로에도 관여한다.
  • 인간 14번 염색체상 유전자 - T세포 수용체
    T세포 수용체(TCR)는 T 세포 표면의 이량체 단백질 복합체로, MHC 분자에 결합된 펩타이드를 인식하며, CD3 분자와 복합체를 이루어 신호 전달을 매개하고, V(D)J 재조합을 통해 다양한 항원 특이성을 갖는 T 세포 생성에 기여하여, CAR-T 치료 등 면역 요법 발전에 기여했다.
  • 인간 19번 염색체상 유전자 - 페리틴
  • 인간 19번 염색체상 유전자 - 황체형성호르몬
    황체형성호르몬은 남녀 생식 기능에 중요한 이량체 당단백질 호르몬으로, 여성의 배란 및 프로게스테론 분비, 남성의 테스토스테론 생성을 촉진하며 뇌하수체에서 분비되고 시상하부의 GnRH에 의해 조절된다.
  • 전사인자 - 에스트로겐 수용체
    에스트로겐 수용체는 세포 내에서 에스트로겐과 결합하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단백질로, ERα와 ERβ의 두 가지 주요 아이소폼이 존재하며, 유방암, 폐경, 비만 등 다양한 질병과 관련되어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의 표적이 되고 비유전체적 신호 전달 경로에도 관여한다.
  • 전사인자 - 핵 수용체
    핵 수용체는 동물 특이적인 단백질로서, 친유성 물질과 결합하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고, 모듈형 구조를 가지며, DNA 결합 방식과 리간드 결합 여부에 따라 분류되어 다양한 질병과 관련된 유전자들을 조절하는 약물 표적이 된다.
저산소증 유도인자
개요
유전자 기호HIF1A
대체 기호HIF1B
bHLHe2
Entrez 유전자3091
OMIM603348
RefSeqNM_001530
UniProtQ16665
염색체14
q
21-q24
ARNT 정보
유전자 기호ARNT
대체 기호HIF1B
bHLHe2
Entrez 유전자405
OMIM126110
RefSeqNM_001668
UniProtP27540
염색체1
q
21
EPAS1 정보
유전자 기호EPAS1
대체 기호HIF2A
MOP2
PASD2
HLF
Entrez 유전자2034
OMIM603349
RefSeqNM_001430
UniProtQ99814
염색체2
p
21-p16
ARNT2 정보
유전자 기호ARNT2
대체 기호HIF2B
KIAA0307
bHLHe1
Entrez 유전자9915
OMIM606036
RefSeqNM_014862
UniProtQ9HBZ2
염색체1
q
24
HIF3A 정보
유전자 기호HIF3A
Entrez 유전자64344
OMIM609976
RefSeqNM_152794
UniProtQ9Y2N7
염색체19
q
13

2. 발견

HIF 전사 복합체는 1995년 그레그 L. 세멘자와 박사 후 연구원 광 왕에 의해 발견되었다.[5][6][7] 2016년, 윌리엄 캐린 주니어, 피터 J. 래트클리프, 그레그 L. 세멘자는 저산소 환경에서 HIF-1의 역할 규명과 산소 감지 역할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래스커상을 수상했다.[8] 2019년, 이 세 사람은 HIF가 산소 가용성에 대한 세포 반응을 어떻게 감지하고 적응하는지 규명한 공로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9]

3. 구조

대부분의 산소를 호흡하는 생물은 고도로 보존된 전사 복합체 HIF-1을 발현하는데, 이는 알파와 베타 서브 유닛으로 구성된 이형 복합체이고, 베타 서브 유닛은 아릴 탄화수소 핵 전위체(ARNT)로 구성된다.[6][10] HIF-1은 전사 인자 중 기본 나선-고리-나선(bHLH)에서 PER-ARNT-SIM(PAS)에 속한다. 알파와 베타 서브유닛은 구조적으로 비슷하며. 둘 다 다음 도메인을 포함한다.[11][12][13]


  • N-말단 - DNA 결합을 위한 bHLH 도메인
  • 중앙 영역 - Per-ARNT-Sim (PAS) 도메인, 이합체화를 촉진
  • C-말단 - 전사 보조 조절 단백질을 모집


HIF-1α는 유비퀴틴-프로테아좀계를 거친 단백질 분해에 의해 그 기능이 억제되며, 그 분해 과정에는 폰 히펠-린다우 유전자 산물(pVHL)이 관여한다.[88][89] HIF-1α는 PHD 단백질 도메인을 보유하는 효소에 의해 프롤린 (Pro) 잔기가 수산화된다. 저산소 상태에서는 프로테아좀 의존적인 HIF의 분해는 일어나기 어렵고, 정상 산소압 하에서 활발하게 진행된다. 분해를 면한 HIF-1α는 핵 내로 이동한 후 HIF-1β와의 헤테로이량체 형성 및 CBP/p300 등의 히스톤 아세틸화 효소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며[90], 이러한 복합체는 DNA 상의 저산소 반응성 영역(HRE)이라고 불리는 반응 엘리먼트 (5'-ACGTG-3')에 결합한다.

HIF-1α의 저산소 이외의 요인에 의한 유도 경로로서 증식 인자가 세포막에 존재하는 티로신 키나아제 관련형 수용체에 결합함으로써 발생하는 신호 전달이 있다. 리간드가 결합하면 PI3 키나아제-Akt 경로 및 MAP 키나아제 경로가 활성화되어 HIF-1α의 전사를 촉진한다.

HIF-2α는 Endothelial Per-ARNT-Sim(EPAS) 단백질 등으로 불리기도 하며, 그 아미노산 서열은 HIF-1α와 48%의 상동성을 가진다. HIF-1α가 전신 조직에 광범위하게 발현하는 데 반해, HIF-2α는 주로 폐나 상피 세포에서 발현이 높다.

HIF-3α는 HIF-1β와 이량체를 형성하고, DNA상의 HRE에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유전자의 전사를 활성화한다. HIF-3α의 스플라이싱 변이체로서 IPAS가 발견되었으며, 소뇌의 푸르키녜 세포나 각막 상피에서 발현하고 있다.[93] IPAS는 HIF-1α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DNA 결합을 억제하여 HIF-1의 기능을 억제한다.[93]

4. 구성

인간 HIF 계열의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구성원유전자단백질
HIF-1α저산소증 유도 인자 1, 알파 소단위체
HIF-1β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핵 전위체
HIF-2α내피 PAS 도메인 단백질 1
HIF-2β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핵 전위체 2
HIF-3α저산소증 유도 인자 3, 알파 소단위체
HIF-3β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핵 전위체 3



HIF-1α는 일반적인 산소압 조건에서는 유비퀴틴-프로테아좀계를 거친 단백질 분해에 의해 그 기능이 억제된다. 이 분해 과정에는 유비퀴틴 리가아제 복합체의 기질 인식 서브유닛으로 기능하는 폰 히펠-린다우 유전자 산물(pVHL)이 관여한다.[88][89] pVHL에 의한 단백질 인식에는 수산화가 관여하며, HIF-1α는 PHD 단백질 도메인을 보유하는 효소에 의해 아미노기 말단 측으로부터 402번째 및 564번째 프롤린 (Pro) 잔기가 수산화된다. 이러한 아미노산 잔기는 HIF-2α에서도 보존된다. PHD의 활성은 산소 농도에 의존하므로, 저산소 상태에서는 프로테아좀 의존적인 HIF 분해가 억제되고, 정상 산소압 하에서 활발하게 진행된다. 분해를 면한 HIF-1α는 핵 내로 이동하여 HIF-1β와 헤테로이량체를 형성하고 CBP/p300 등의 히스톤 아세틸화 효소와 결합한다.[90] 이 복합체는 DNA 상의 저산소 반응성 영역(Hypoxia Responsive Element, HRE)이라고 불리는 반응 엘리먼트 (5'-ACGTG-3')에 결합한다.

HIF-1α는 증식 인자가 세포막의 티로신 키나아제 관련형 수용체에 결합하여 발생하는 신호 전달을 통해 유도될 수 있다. 리간드가 HER2 등의 수용체에 결합하면 PI3 키나아제-Akt 경로 및 MAP 키나아제 경로가 활성화되어 HIF-1α의 전사를 촉진한다.

HIF-1α는 1992년에 그렉 세멘자 등에 의해 발견되었으며,[91], 세포의 산소 반응 분자 기작을 밝히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세멘자는 2019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92]

HIF-2α는 Endothelial Per-ARNT-Sim(EPAS) 단백질 등으로 불리기도 하며, 아미노산 서열은 HIF-1α와 48%의 상동성을 가진다. HIF-1α가 전신 조직에 광범위하게 발현하는 반면, HIF-2α는 주로 폐나 상피 세포에서 발현된다.

HIF-3α는 HIF-1β와 이량체를 형성하고, DNA상의 HRE에 결합하여 다양한 유전자의 전사를 활성화한다. HIF-3α의 스플라이싱 변이체인 IPAS는 소뇌의 푸르키녜 세포나 각막 상피에서 발현된다.[93] IPAS는 전사 활성을 나타내지 않지만 HIF-1α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DNA 결합을 억제하여 HIF-1의 기능을 억제한다.[93] 폐나 심장에서는 저산소 상태에서 IPAS가 유도된다는 보고가 있으며,[94] 이러한 조직에서는 음성 피드백 기전으로 기능할 가능성이 있다.

5. 기능

HIF(저산소증 유도인자) 신호는 세포에서 저산소 환경의 영향을 조정하며, 낮은 산소 농도는 종종 차별화로부터 세포를 보존한다.[17] 저산소 환경은 혈관 형성을 촉진하여 배아와 종양에서 혈관계 형성에 중요하며,[17] 상처에서는 각질 세포의 이동과 상피 세포의 회복을 촉진한다.[17] HIF-1 조절은 상처 치유의 유망한 치료 패러다임으로 확인되었다.[18]

일반적으로, HIF는 발달에 필수적이다. 포유동물에서 HIF-1 유전자를 제거하면 분만 상태에서 죽음에 이르게 된다.[19] HIF-1은 연골 세포의 생존에 필수적인 것으로 보이는데, 뼈의 판의 생존을 통해 세포가 저산소 상태에 적응하게 한다.[20] HIF는 사람의 물질대사 규칙에서 중심 역할을 한다.[20]

조혈 줄기 세포에서 HIF1α 발현은 줄기 세포의 휴지 상태를 설명하는데, 이는 생물체의 생명 주기 동안 줄기 세포의 효능을 오랫동안 보존하기 위해 대사적으로 낮은 속도로 유지되기 때문이다.[16]

HIF-1α는 세포핵으로 이동하면 HIF-1β와 결합한다. HIF-1β는 방향족 탄화수소 수용체(AhR)와 결합하여 수송 담체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95], AhR 수송 담체(Arnt)라고도 불린다. HIF-1α의 Asp803잔기는 히스톤 아세틸기 전이효소(HAT) 활성을 가진 분자 복합체 CBP/p300을 DNA상의 HRE로 운반하여, 목적 유전자의 전사를 촉진한다[96]。HIF는 혈관 신생 및 세포 증식, 당 대사, pH 조절 및 아폽토시스 등 다양한 유전자의 조절에 관여한다.[97] HIF에 의해 발현 조절을 받는 유전자로서 적혈구의 증식 촉진에 관여하는 에리스로포이에틴이 1995년에 처음 발견되었으며[97], 이어서 혈관 내피 성장 인자(VEGF) 또한 혈관 신생 및 세포 증식을 조절하는 유전자로서 발견되었다. 그 외에도 HIF-1α는 아드레노메듈린,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MMPs), 엔도텔린(ET)-1, 일산화 질소 합성 효소(NOS)2 등 다양한 유전자를 조절하고 있으며, 인간 동맥 내피 세포의 유전자를 마이크로어레이법으로 분석한 결과, 전체의 2%에 달하는 유전자가 HIF-1α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조절되고 있다는 것이 보고되었다[98]

6. 기작

2019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세포가 산소 가용성을 감지하고 적응하는 방법. 정상 산소 조건에서 HIF-1 α는 두 개의 프롤린 잔기에서 수산화된다. 그런 다음 VHL과 결합하여 유비퀴틴으로 표지되어 프로테아좀 분해를 유발한다. 저산소 조건에서는 HIF-1 α가 세포 핵으로 이동하여 HIF-1 β와 결합한다. 이 복합체는 DNA의 HRE 영역에 결합하여 적혈구 생성, 해당 작용 및 혈관 신생을 포함한 다양한 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전사를 유발한다.


정상 산소 조건에서 HIF의 알파 소단위체는 보존된 프롤린 잔기에서 HIF 프롤릴 수산화 효소에 의해 수산화된 후, VHL E3 유비퀴틴 연결 효소에 의해 인식되어 유비퀴틴화되고 프로테아좀에 의한 빠른 분해를 위해 표지된다.[21][22] 저산소 조건에서는 HIF 프롤릴 수산화 효소가 공기질소원으로서 산소를 사용하기 때문에 억제된다.[23][24] 숙신산 탈수소 효소 복합체에서 SDHB 또는 SDHD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한 전자 전달 억제는 HIF 프롤릴 수산화 효소를 억제하여 HIF-1α를 안정화시키는 숙신산의 축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를 ''가성 저산소증''이라고 한다.

저산소 조건에 의해 안정화되면 HIF-1은 해당 작용 효소와 혈관 내피 성장 인자 (VEGF)를 포함한 여러 유전자를 상향 조절하여 저산소 조건에서 생존을 촉진한다. 해당과정 효소는 산소 독립적인 방식으로 ATP 합성을 가능하게 하며, VEGF는 혈관 신생을 촉진한다. HIF-1은 시퀀스 5'-RCGTG-3'(R은 퓨린, A 또는 G)를 포함하는 프로모터의 저산소 반응 요소(HRE)에 결합하여 작용한다. 저산소증은 히스톤 메틸화를 조절하고 염색질을 재프로그래밍한다.[25] 이 연구는 2019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윌리엄 케일린 주니어의 논문과 함께 게재되었으며[26], 독립적인 사설에서 강조되었다.[27]

근육 A 키나아제-앵커링 단백질 (mAKAP)이 E3 유비퀴틴 연결 효소를 조직하여 핵 내 HIF-1의 안정성과 위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mAKAP의 고갈 또는 심장 근육 세포의 핵 주변 부위로의 표적화 중단은 HIF-1의 안정성과 저산소증과 관련된 유전자의 전사 활성을 변경하여, 산소 민감성 신호 구성 요소의 "구획화"는 저산소 반응에 영향을 줄 수 있다.[28]

NF-κB (핵 인자 κB)가 정상 산소압이 있는 상태에서 HIF-1α 발현의 직접적인 조절자임이 밝혀졌다. 개별 NF-κB 구성원에 대한 siRNA (small interfering RNA) 연구는 HIF-1α mRNA 수준에 대한 차별적인 영향을 보여 NF-κB가 기저 HIF-1α 발현을 조절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내인성 NF-κB가 TNFα (종양 괴사 인자 α) 처리에 의해 유도되면 HIF-1α 수준도 NF-κB 의존적 방식으로 변경되는 것으로 나타났다.[29] HIF-1과 HIF-2는 서로 다른 생리학적 역할을 하며, HIF-2는 성인기 에리트로포이에틴 생산을 조절한다.[30]

HIF-1α는 유비퀴틴-프로테아좀계를 거친 단백질 분해에 의해 그 기능이 억제되며, 이 과정에는 유비퀴틴 리가아제 복합체의 기질 인식 서브유닛으로 기능하는 폰 히펠-린다우 유전자 산물(pVHL)이 관여한다.[88][89] pVHL에 의한 단백질의 인식에는 수산화가 관여하며, HIF-1α는 PHD 단백질 도메인을 보유하는 효소에 의해 아미노기 말단 측으로부터 402번째 및 564번째 프롤린 (Pro) 잔기가 수산화된다. 이 잔기는 HIF-2α에서도 보존된다. PHD의 활성은 산소 농도에 의존하므로, 저산소 상태에서는 프로테아좀 의존적인 HIF의 분해가 일어나기 어렵고, 정상 산소압 하에서 활발하게 진행된다. 분해를 면한 HIF-1α는 핵 내로 이동한 후 HIF-1β와의 헤테로이량체 형성 및 CBP/p300 등의 히스톤 아세틸화 효소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며[90], 이러한 복합체는 DNA 상의 저산소 반응성 영역(Hypoxia Responsive Element, HRE)이라고 불리는 반응 엘리먼트 (5'-ACGTG-3')에 결합한다.

HIF-1α의 저산소 이외의 요인에 의한 유도 경로로서 증식 인자가 세포막에 존재하는 티로신 키나아제 관련형 수용체에 결합함으로써 발생하는 신호 전달이 있다. 수용체(HER2 등)에 리간드가 결합하면 PI3 키나아제-Akt 경로 및 MAP 키나아제 경로가 활성화되어 HIF-1α의 전사를 촉진한다.

HIF-1α는 1992년에 그렉 세멘자 등에 의해 발견되었으며[91], 세포의 산소 반응 분자 기작을 밝히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세멘자는 2019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92].

HIF-2α는 Endothelial Per-ARNT-Sim(EPAS) 단백질 등으로 불리기도 하며, 그 아미노산 서열은 HIF-1α와 48%의 상동성을 가진다. HIF-1α가 전신 조직에 광범위하게 발현하는 데 반해, HIF-2α는 주로 폐나 상피 세포에서 발현이 높다.

HIF-3α는 HIF-1β와 이량체를 형성하고, DNA상의 HRE에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유전자의 전사를 활성화한다. HIF-3α의 스플라이싱 변이체로서 IPAS가 발견되었으며, 소뇌의 푸르키녜 세포나 각막 상피에서 발현하고 있다.[93] IPAS는 그 자체로는 전사 활성을 나타내지 않지만 HIF-1α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DNA 결합을 억제하여 HIF-1의 기능을 억제한다.[93] 폐나 심장에서는 저산소 상태에서 IPAS가 유도된다는 보고가 있으며[94], 이러한 조직에서는 음성 피드백 기전으로 기능할 가능성이 있다.

7. 의학적 응용

7. 1. 빈혈 치료

최근, HIF 프롤린 하이드록실화효소 저해제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여러 약물이 개발되었다.[46][47] 이 약물들은 프롤린 하이드록실화효소 저해를 통해 신장에서 HIF-2α의 안정성을 높여 에리트로포이에틴의 내생성을 일으킨다.[63] 가장 주목할 만한 화합물은 록사두스타트(Roxadustat, FG-4592),[48] 바다두스타트(Vadadustat, AKB-6548),[49] 다프로두스타트(Daprodustat, GSK1278863),[50] 데시두스타트(Desidustat, ZYAN-1),[51] 몰리두스타트(Molidustat, Bay 85-3934)인데,[52] 모두 빈혈 치료를 위한 경구 투여 약물로 개발되었다.[53] 이 계열의 다른 중요한 화합물로는 MK-8617,[54] YC-1,[55] IOX-2,[56] 2-메톡시에스트라디올,[57] GN-44028,[58] AKB-4924,[59] Bay 87-2243,[60] FG-2216[61] 및 FG-4497[62] 등이 있으며, 연구에만 쓰이고 사람의 의약품 목적으로는 개발되지 않았다. 파이브로겐(FibroGen)의 두 화합물은 2상 임상시험까지 진행되었지만, 2007년 5월 FG-2216을 복용한 시험 참가자가 급성 간염(간부전)으로 사망하면서 일시 중단되었다. 그러나 사망 원인이 FG-2216 복용 때문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2008년 초, FDA는 파이브로겐의 대응을 검토하고 승인하여 FG-4592에 대한 추가 시험 중단이 해제되었다.[64] 록사두스타트, 바다두스타트, 다프로두스타트, 몰리두스타트는 신장성 빈혈 치료를 위한 3상 임상시험을 통과했다.[48][49][50]

7. 2. 염증 및 암 치료

최근의 연구는 정상 산소 상태에서의 HIF 도입이 만성 염증 성분이 있는 질병 환경에서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65][66][67] 만성 염증은 자급자족하고, 이상 활동을 보이는 전사 인자에 의해 미세 환경을 변형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 결과, 성장인자, 케모카인, 사이토카인, 활성산소(ROS) 균형에서의 변형이 세포적 환경에서 암의 새로운 발달과 전이에 필요한 성장과 생존의 축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NF-κB와 HIF, 두 중요한 핵심 번역 인자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는 약물 발달의 과정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생각된다.[29][74]

HIF 활동은 암과 종양의 성장에 필요한 혈관 신생 또한 포함한다. 그래서 페네틸 아이소티오시아네이트 및 아크리플라빈과 같은 HIF 방해 인자[75]가 항암 효과에 대해 연구되고 있다.[76][77][78]

7. 3. 신경 질환 치료

HIF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억제제를 사용하여 HIF를 안정화시키면 해마 기억력이 향상되며, 이는 에리트로포이에틴 발현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79] ML-228과 같은 HIF 경로 활성제는 신경 보호 효과가 있을 수 있으며, 뇌졸중 및 척수 손상의 잠재적 치료법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80][81]

7. 4. 폰 히펠-린다우병 관련 신세포암

벨주티판은 폰 히펠-린다우병 관련 신세포암 치료를 위해 연구 중인 저산소증 유도 인자-2α 억제제이다.[82][83][84][85][86]

8. 복구 및 재생

일반적인 상황에서 부상 후 HIF-1α는 프롤릴 수산화 효소(PHD)에 의해 분해된다.[31][32] 그러나 2018년 6월, 과학자들은 PHD 억제제를 통해 HIF-1α를 지속적으로 상향 조절하면 복구 반응을 보이는 포유류에서 손실되거나 손상된 조직을 재생시키고, HIF-1α를 지속적으로 하향 조절하면 이전에 조직 손실에 대한 재생 반응을 보였던 포유류에서 흉터 반응으로 치유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HIF-1α를 조절하는 행위는 포유류의 재생이라는 핵심 과정을 끄거나 켤 수 있다.[31][32]

HIF1A가 관여하는 재생 과정 중 하나는 피부 치유이다.[33] 스탠퍼드 의과대학의 연구원들은 HIF1A 활성화가 당뇨병 환자와 노령 쥐의 만성 상처를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쥐의 상처가 더 빨리 치유되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피부의 질이 원래 피부보다 훨씬 더 좋았다.[34][35][36] 또한, 노화된 피부 세포에 대한 HIF-1A 조절의 재생 효과가 설명되었고[37][38] 노화된 얼굴 피부에 대한 회춘 효과가 환자들에게서 입증되었다.[39] HIF 조절은 또한 탈모에 대한 유익한 효과와 관련이 있다.[40]

의사 도미니크 두셔와 약리학자 도미니크 토르가 2016년 비엔나에서 설립한 생명공학 회사 Tomorrowlabs GmbH는 이 메커니즘을 활용한다.[41] 특허 출원 중인 HSF("HIF 강화 인자") 활성 성분을 기반으로 피부와 모발 재생을 촉진하는 제품이 개발되었다.[42][43][44][45]

참조

[1] 논문 The human side of hypoxia-inducible factor 2008-05
[2] 논문 Targeting Protein-Protein Interactions in the HIF System 2016-04
[3] 논문 HIF1-α-mediated gene expression induced by vitamin B1 deficiency https://pubmed.ncbi.[...] 2013
[4] 논문 Hiding in Plain Sight: Modern Thiamine Deficiency 2021-09-29
[5] 논문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ypoxia-inducible factor 1 1995-01
[6] 논문 Hypoxia-inducible factor 1 is a basic-helix-loop-helix-PAS heterodimer regulated by cellular O2 tension 1995-06
[7] 서적 Angiogenesis in Brain Tumors 2004
[8] 웹사이트 Oxygen sensing – an essential process for survival http://www.laskerfou[...] Albert And Mary Lasker Foundation 2016
[9] 웹사이트 How cells sense and adapt to oxygen availability https://www.nobelpri[...] NobelPrize.org. Nobel Media AB 2019-10-07
[10] 논문 Dimerization, DNA binding, and transactivation properties of hypoxia-inducible factor 1 1996-07
[11] 논문 PAS domain S-boxes in Archaea, Bacteria and sensors for oxygen and redox 1997-09
[12] 논문 PAS: a multifunctional domain family comes to light https://ora.ox.ac.uk[...] 1997-11
[13] 논문 Functions of the Per/ARNT/Sim domains of the hypoxia-inducible factor 2005-10
[14] 논문 Structure of an HIF-1alpha -pVHL complex: hydroxyproline recognition in signaling 2002-06
[15] 논문 Structural basis for recruitment of CBP/p300 by hypoxia-inducible factor-1 alpha 2002-04
[16] 논문 Anaerobic Glycolysis and HIF1α Expression in Haematopoietic Stem Cells Explains Its Quiescence Nature 2015
[17] 논문 The magic of the hypoxia-signaling cascade 2008-04
[18] 논문 Comparison of the Hydroxylase Inhibitor Dimethyloxalylglycine and the Iron Chelator Deferoxamine in Diabetic and Aged Wound Healing 2017-03
[19] 논문 Fibroblast-Specific Deletion of Hypoxia Inducible Factor-1 Critically Impairs Murine Cutaneous Neovascularization and Wound Healing 2015-11
[20] 논문 Regulation of human metabolism by hypoxia-inducible factor 2010-07
[21] 논문 The tumour suppressor protein VHL targets hypoxia-inducible factors for oxygen-dependent proteolysis 1999-05
[22] 뉴스 Seeking a Cellular Oxygen Sensor https://www.the-scie[...] 2019-10-07
[23] 논문 Hydroxylation of HIF-1: oxygen sensing at the molecular level 2004-08
[24] 뉴스 Discovering HIF Regulation https://www.the-scie[...] 2019-10-07
[25] 논문 Hypoxia induces rapid changes to histone methylation and reprograms chromatin 2019-03
[26] 논문 Histone demethylase KDM6A directly senses oxygen to control chromatin and cell fate http://urn.fi/urn:nb[...] 2019-03
[27] 논문 Histone modifiers are oxygen sensors https://www.reposito[...] 2019-03
[28] 논문 mAKAP compartmentalizes oxygen-dependent control of HIF-1alpha 2008-12
[29] 논문 Regulation of hypoxia-inducible factor-1alpha by NF-kappaB 2008-06
[30] 논문 Hypoxic regulation of erythropoiesis and iron metabolism 2010-07
[31] 웹사이트 Scientist at LIMR leads study demonstrating drug-induced tissue regeneration http://www.eurekaler[...] Lankenau Institute for Medical Research (LIMR) 2015-07-03
[32] 논문 Drug-induced regeneration in adult mice 2015-06
[33] 논문 The Role of Hypoxia-Inducible Factor in Wound Healing 2014-05
[34] 논문 Transdermal deferoxamine prevents pressure-induced diabetic ulcers 2015-01
[35] 논문 Optimization of transdermal deferoxamine leads to enhanced efficacy in healing skin wounds 2019-08
[36] 간행물 Deferoxamine can prevent pressure ulcers and accelerate healing in aged mice 2018-05
[37] 웹사이트 duscher hif - Search Results - PubMed https://pubmed.ncbi.[...] 2020-12-04
[38] 간행물 Deferiprone Stimulates Aged Dermal Fibroblasts Via HIF-1α Modulation 2020-06
[39] 간행물 A single-center blinded randomized clinical trial to evaluate the anti-aging effects of a novel HSF-based skin care formulation 2020-11
[40] 간행물 Molecular Mechanisms of Hair Growth and Regeneration: Current Understanding and Novel Paradigms 2020
[41] 웹사이트 Tomorrowlabs https://www.tomorrow[...] 2020-12-04
[42] 웹사이트 Kosmetikbranche: Wie das Beauty-Start-up Tomorrowlabs den Markt erobert https://www.handelsb[...] 2020-12-04
[43] 웹사이트 Das neue Beauty-Investment von Michael Pieper - HZ https://www.handelsz[...] 2020-12-04
[44] 웹사이트 Milliardenmarkt Anti-Aging: Start-up aus Österreich mischt mit https://kurier.at/wi[...] 2020-08-03
[45] 웹사이트 Ein Protein gegen das Altern und für das Geldverdienen https://www.nachrich[...] 2020-12-04
[46] 간행물 Hydroxylation of hypoxia-inducible transcription factors and chemical compounds targeting the HIF-alpha hydroxylases
[47] 간행물 HIF prolyl hydroxylase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renal anaemia and beyond https://www.reposito[...] 2016-03
[48] 간행물 A New Approach to the Management of Anemia in CKD Patients: A Review on Roxadustat 2017-04
[49] 간행물 Vadadustat, a novel oral HIF stabilizer, provides effective anemia treatment in nondialysis-dependent chronic kidney disease 2016-11
[50] 간행물 Discovery and Preclinical Characterization of GSK1278863 (Daprodustat), a Small Molecule Hypoxia Inducible Factor-Prolyl Hydroxylase Inhibitor for Anemia 2017-12
[51] 간행물 Phase I Clinical Study of ZYAN1, A Novel Prolyl-Hydroxylase (PHD) Inhibitor to Evaluate the Safety, Tolerability, and Pharmacokinetics Following Oral Administration in Healthy Volunteers 2018-01
[52] 간행물 Mimicking hypoxia to treat anemia: HIF-stabilizer BAY 85-3934 (Molidustat) stimulates erythropoietin production without hypertensive effects
[53] 간행물 The latest advances in kidney diseases and related disorders http://journals.prou[...] 2007-12
[54] 간행물 Discovery of N-[Bis(4-methoxyphenyl)methyl]-4-hydroxy-2-(pyridazin-3-yl)pyrimidine-5-carboxamide (MK-8617), an Orally Active Pan-Inhibitor of Hypoxia-Inducible Factor Prolyl Hydroxylase 1-3 (HIF PHD1-3) for the Treatment of Anemia 2016-12
[55] 간행물 YC-1: a potential anticancer drug targeting hypoxia-inducible factor 1 2003-04
[56] 간행물 Impairment of hypoxia-induced HIF-1α signaling in keratinocytes and fibroblasts by sulfur mustard is counteracted by a selective PHD-2 inhibitor 2016-05
[57] 간행물 Cancer therapeutic agents targeting hypoxia-inducible factor-1
[58] 간행물 Discovery of Indenopyrazoles as a New Class of Hypoxia Inducible Factor (HIF)-1 Inhibitors 2013-02
[59] 간행물 A new pharmacological agent (AKB-4924) stabilizes hypoxia inducible factor-1 (HIF-1) and increases skin innate defenses against bacterial infection 2012-09
[60] 간행물 Hypoxia-Dependent HIF-1 Activation Impacts on Tissue Remodeling in Graves' Ophthalmopathy-Implications for Smoking 2016-12
[61] 간행물 Hypoxia-inducible factor stabilizers and other small-molecule erythropoiesis-stimulating agents in current and preventive doping analysis 2012-11
[62] 간행물 FG-4497: a new target for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2015-08
[63] 간행물 HIF prolyl hydroxylase inhibition results in endogenous erythropoietin induction, erythrocytosis, and modest fetal hemoglobin expression in rhesus macaques 2007-09
[64] 웹사이트 The FDA Accepts the Complete Response for Clinical Holds of FG-2216/FG-4592 for the Treatment of Anemia http://www.astellas.[...] 2008-10-28
[65] 간행물 Targeting hypoxia signalling for the treatment of ischaemic and inflammatory diseases 2014-11
[66] 간행물 AMPK and HIF signaling pathways regulate both longevity and cancer growth: the good news and the bad news about survival mechanisms 2016-08
[67] 간행물 Hypoxia-dependent regulation of inflammatory pathways in immune cells 2016-10
[68] 간행물 The role of HIF in immunity and inflammation
[69] 간행물 Hypoxia-Inducible Factor (HIF) as a Target for Novel Therapies in Rheumatoid Arthritis
[70] 간행물 Clinical importance of FASN in relation to HIF-1α and SREBP-1c in gastric adenocarcinoma https://www.scienced[...] 2019-05
[71] 논문 Overexpression of hypoxia-inducible factor and metabolic pathways: possible targets of cancer
[72] 논문 Hypoxia inducible factor (HIF) in the tumor microenvironment: friend or foe? 2017-10
[73] 논문 Downregulation of fatty acid oxidation by involvement of HIF-1α and PPARγ in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and its related clinical significance https://pubmed.ncbi.[...] 2021-05
[74] 논문 NF-κB and HIF crosstalk in immune responses 2016-02
[75] 논문 Acriflavine inhibits HIF-1 dimerization, tumor growth, and vascularization 2009-10
[76] 논문 In vivo modulation of 4E binding protein 1 (4E-BP1) phosphorylation by watercress: a pilot study 2010-11
[77] 논문 Evaluation of HIF-1 inhibitors as anticancer agents 2007-10
[78] 논문 Inhibiting hypoxia-inducible factor 1 for cancer therapy 2006-09
[79] 논문 Hypoxia inducible factor stabilization leads to lasting improvement of hippocampal memory in healthy mice 2010-03
[80] 논문 HIF-1α Activation Attenuates IL-6 and TNF-α Pathways in Hippocampus of Rats Following Transient Global Ischemia
[81] 논문 Effect of hypoxia-inducible factor-1/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signaling pathway on spinal cord injury in rats 2017-03
[82] 논문 Inhibition of hypoxia-inducible factor-2α in renal cell carcinoma with belzutifan: a phase 1 trial and biomarker analysis 2021-04
[83] 웹사이트 Belzutifan https://www.sps.nhs.[...] 2021-03-18
[84] 간행물 MHRA awards first 'innovation passport' under new pathway https://www.raps.org[...]
[85] 간행물 Merck Receives Priority Review From FDA for New Drug Application for HIF-2α Inhibitor Belzutifan (MK-6482) https://www.business[...] Merck 2016-03-16
[86] 웹사이트 FDA Grants Priority Review to Belzutifan for von Hippel-Lindau Disease–Associated RCC https://www.cancerne[...] 2021-03-16
[87] 뉴스 ノーベル医学・生理学賞にグレッグ・セメンザ氏ら3人 https://web.archive.[...] NHK
[88] 논문 Identification of the von Hippel-lindau tumor-suppressor protein as part of an active E3 ubiquitin ligase complex.
[89] 논문 The von Hippel-Lindau tumor suppressor protein is a component of an E3 ubiquitin-protein ligase activity.
[90] 논문 Molecular regulation of the endothelin-1 gene by hypoxia. Contributions of hypoxia-inducible factor-1, activator protein-1, GATA-2, AND p300/CBP.
[91] 논문 A nuclear factor induced by hypoxia via de novo protein synthesis binds to the human erythropoietin gene enhancer at a site required for transcriptional activation. https://www.ncbi.nlm[...] 1992-12
[92]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2019 https://www.nobelpri[...]
[93] 논문 Inhibitory PAS domain protein is a negative regulator of hypoxia-inducible gene expression.
[94] 논문 Inhibitory PAS domain protein (IPAS) is a hypoxia-inducible splicing variant of the hypoxiainducible factor-3 locus.J.Biol.Chem
[95] 논문 Identification of the Ah receptor nuclear translocator protein (Arnt) as a component of the DNA binding form of the Ah receptor.
[96] 논문 Hypoxia-Inducible Factor-1 (HIF-1)
[97] 논문 Hypoxiainducible factor 1 is a basic-helix-loop-helix-PAS heterodimer regulated by cellularO2 tension.
[98] 논문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vascular endothelial cell responses to hypoxia by HIF-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