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곡선사박물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곡선사박물관은 1978년 한탄강변에서 발견된 아슐리안형 주먹도끼를 계기로 건립된 대한민국 최초의 선사 전문 박물관이다. 2011년 4월 25일 개관했으며, 프랑스 건축가 Anouk Legendre와 Nicolas Desmazieres가 설계하여 2012년 대한민국 건축문화대상을 수상했다. 주요 전시로는 '인류 진화의 위대한 행진'과 '예술의 기원' 등이 있으며, 동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도끼를 비롯한 다양한 구석기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또한, 구글 아트 앤 컬처 플랫폼에 참여하고 국제 디자인 우수성상 동메달을 수상하는 등 사회적, 문화적 기여를 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1년 설립된 박물관 - 울산과학관
    울산과학관은 2011년 3월 30일에 개관한 울산광역시의 과학관이다.
  • 2011년 설립된 박물관 - 울산박물관
    울산박물관은 2011년 6월 22일에 개관하여 다양한 유물을 소장하고 있으며, 정기 휴관일과 임시 휴관일을 제외하고 매일 09시부터 18시까지 관람 가능하다.
  • 연천군의 건축물 - 연천역
    연천역은 1912년 개업한 경원선 철도역으로, 2023년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장 개통으로 전철 운행이 시작되었으며, 한국전쟁 관련 시설물과 등록문화재 급수탑을 보유하고 있고,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운영 중이다.
  • 연천군의 건축물 - 전곡역
    전곡역은 경기도 연천군에 있는 경원선 철도역으로, 1912년 영업을 시작하여 남북 분단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 경원선 최남단 역이 되었으며, 2023년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연장되어 복선 전철이 개통되었다.
  • 경기도의 박물관 - 국립민속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은 대한민국 민속 문화를 연구하고 전시하는 박물관으로, 1993년 경복궁 내 건물로 이전하여 개관했으며, 한국인의 일상, 농경 생활, 생애 주기를 다루는 상설 전시와 야외 전시장, 교육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98,000점이 넘는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 경기도의 박물관 - 한국민속촌
    한국민속촌은 한국 전통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조선시대 마을을 재현한 한국 최초의 야외 박물관으로, 전통 공연과 체험 프로그램, 놀이시설, 식당 등을 제공하며 드라마 촬영지로도 활용된다.
전곡선사박물관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전곡선사박물관
원어 이름Jeon-gok Prehistory Museum
유형선사 박물관
위치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평화로 443번길 2
좌표38.011582, 127.063781
개관
개관일2011년 4월 25일
관리
관리 주체경기도, 경기문화재단
소장품
소장 유물선사 시대 유물
웹사이트
웹사이트전곡선사박물관

2. 역사

연천군 한탄강에서 발굴된 아슐리안 주먹도끼 등 고고학 유물을 보존하기 위해 전곡선사박물관이 설립되었다.[2] 경기문화재단이 4820만을 들여 건립하였으며, 2011년 당시 한반도에서 가장 큰 선사 박물관이었다.[3]

프랑스 건축가 아누크 르장드르와 니콜라 데마지에르가 설계했고, 2012년 대한민국 건축문화대상을 받았다.[4] 2016년부터 구글 아트 앤 컬처(Google Arts & Culture)에 참여하며,[5] 2019년 국제 디자인 우수성상(International Design Excellence Awards) 동메달을 한국 박물관 최초로 수상했다.[6]

2. 1. 설립 배경

1978년 한탄강에서 아슐리안 주먹도끼가 발견된 이후, 전곡리 유적에서 지속적으로 구석기 유물이 출토되면서 이를 보존하고 전시하기 위한 박물관 건립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경기문화재단의 지원을 받아 4820만을 들여 2011년 4월 25일 전곡선사박물관이 개관하였으며, 이는 당시 한반도에서 가장 큰 선사 박물관이었다.[2][3]

2. 2. 건축

프랑스 건축가 아누크 르장드르(Anouk Legendre)와 니콜라 데마지에르(Nicolas Desmazieres)가 설계하였다.[4] 2012년 대한민국 건축문화대상을 수상하였다.[4]

2. 3. 연혁


  • 2011년 4월 25일 개관.[2] 경기문화재단이 자금을 지원하여 건설되었으며, 건설 비용은 48.2억이었다.[3] 개관 당시 한반도에서 가장 큰 선사 박물관으로 여겨졌다.[3]
  • 2016년부터 구글 아트 앤 컬처(Google Arts & Culture) 플랫폼에 참여하고있다.[5]
  • 2019년 국제 디자인 우수성상(International Design Excellence Awards) 동메달을 수상했으며, 이 상을 받은 최초의 한국 박물관이다.[6]


연도구분전시 제목
2011년기획전〈음악의 기원〉
2011년기획전〈한국인의 기원 Origin of Korean People 〉
2012년개관 1주년 기념〈기증유물 공개전 매머드와 친구들〉
2012년기획전〈빙하시대 사람들 Man in Ice Age〉
2013년기획전〈선사시대 기술_사냥展〉
2014년기획전〈구석기 발굴전〉
2014년경기도어린이박물관 기획순회전〈나는 우리 집 귀염둥이〉
2014년기획전〈돌, 철을만나다展〉
2015년기획전〈인류의 기원을 찾아 고고씽展〉
2015년기획전〈2015 건축의 비밀〉
2015년초대전〈질경윤의 즐거운 발견〉
2015년초대전〈Old Wood, Steel, Stone age〉
2015년초대전〈“實 ≧≦ 美” 실용과 아름다움, 그 사이 2015〉
2016년기획전〈조선여행 – 선비, 금강산을 가다〉
2016년기획전〈선사시대 화석 동물전〉
2016년기획전〈교과서 속 선사여행, 선사시대 화석 동물전〉
2017년연천 구석기 축제 25주년 기념 특별전〈구석기 비너스가 부르는 노래〉
2017년오픈갤러리 PHx 개관 기념〈흙, 달이 되다〉
2017년초대전〈연천군筵遷麇 프로젝트 : 결박하여 옮긴 장소〉
2017년초대전〈함께이기에 행복한 길, 동행同幸〉
2018년초대전〈김윤선의 색실누비전시회, 한지를 품은 색실누비〉
2018년기획전〈경기천년×주먹도끼1000〉
2018년기획전〈매장유구 특별전시, 열렸다 수장고〉
2018년경기북부사립박물관 연합전시〈지구는 거대한 돌덩이다〉
2018년특별전〈돌과 나무의 시대〉
2018년기획전〈NEPAL, I AM IN JEONGOK NOW (네팔 학술지표조사 성과전)〉
2019년전곡 발굴 40주년 기념전〈E1979S2019〉
2019년초대전〈예술과 암호 : 고구려의 기와 문양〉
2019년기획전경기구석기 시리즈 1 〈전곡리 윗마을 사람들〉
2020년PH-X아트섹션_학술지표조사성과전2〈네팔사진전, 팔팔하게〉
2020년기획전〈석기시대 아이들〉
2020년PH-X아트섹션_신규소장품 공개전〈시간을 품은 돌〉
2021년개관 10주년 기념전〈오!구석기〉
2021년PH-X아트섹션_개관 10주년 기념전〈열개의 물건, 열개의 이야기〉
2021년반구대 암각화 발견 50주년 기념 교류전〈반구대 암각화 ; 고래〉
2021년기획전〈왜냐하면 우리는 우리를 모르고〉
2022년초대전〈전곡선사박물관 5인 5색 지역작가 초대전〉
2022년기획전〈선사꾸러기의 방이 돌아옵니다!〉
2022년기획전〈호모 사피엔스 : 진화∞ 관계& 미래?〉
2022년기획전〈풀멍돌멍 첫번째 이야기- 이달의 소장품〉


3. 주요 전시

박물관에는 동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도끼 중 하나와 석기 시대 유물 여러 점, 평양에서 살았던 사헬란트로푸스와 현생 인류의 화석이 소장되어 있다. 인류 진화와 석기 도구에 대한 전시물, 발굴된 전곡리 유물과 함께 인류 모형이 전시되어 있다.[10]

2021년 10월, 박물관은 불교 미술가 태황 스님의 용 그림 "태황 용성영도"를 기증받았다.[12]

3. 1. 상설 전시

'''인류 진화의 위대한 행진'''

전곡선사박물관 상설전시실의 중심 콘텐츠로 사헬란트로푸스 차덴시스 '투마이'에서부터 호모 하빌리스, 호모 에렉투스, 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 호모 사피엔스 등 13종의 다양한 고인류와 함께 매머드, 털코뿔소 등 고동물이 함께 전시되어 있다.[7][9][10] 각 고인류와 동물은 국내외 복원 전문가를 통해 실제 크기로 제작되어 사실성이 높으며, 인류 진화를 한자리에서 볼 수 있다.

'''예술의 기원'''

선사시대 사람들의 예술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콘텐츠로, 선사시대 사람들이 사용한 악기에서부터 동굴벽화까지 재현되어 있다.[8]

그 외에도 박물관에는 동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도끼 중 하나와 석기 시대 유물 여러 점, 평양에서 살았던 사헬란트로푸스와 현생 인류의 화석, 한국 초기 인류 생활에 대한 동굴 벽화와 원시 가옥, 5,000년 된 미라와 함께 동굴곰, 원시 말, 검치호랑이, 매머드 등 빙하기 동물 화석이 소장되어 있다.[9]

3. 2. 기획 전시

전곡선사박물관은 매년 1~2회, 선사문화, 기술문화, 미디어 아트, 현대 미술 등 다양한 주제의 기획전/특별전을 개최한다. 2021년에는 구석기 시대 특별전이 열려 선사 시대 의복, 매장 유물, 미술품, 석기 도구 등 120점의 유물이 전시되었다.[11]

역대 기획전 및 특별전 목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제목
2011년〈음악의 기원〉
2011년〈한국인의 기원 Origin of Korean People 〉
2012년〈기증유물 공개전 매머드와 친구들〉
2012년〈빙하시대 사람들 Man in Ice Age〉
2013년〈선사시대 기술_사냥展〉
2014년〈구석기 발굴전〉
2014년〈나는 우리 집 귀염둥이〉
2014년〈돌, 철을만나다展〉
2015년〈인류의 기원을 찾아 고고씽展〉
2015년〈2015 건축의 비밀〉
2015년〈질경윤의 즐거운 발견〉
2015년〈Old Wood, Steel, Stone age〉
2015년〈“實 ≧≦ 美” 실용과 아름다움, 그 사이 2015〉
2016년〈조선여행 – 선비, 금강산을 가다〉
2016년〈선사시대 화석 동물전〉
2016년〈교과서 속 선사여행, 선사시대 화석 동물전〉
2017년〈구석기 비너스가 부르는 노래〉
2017년〈흙, 달이 되다〉
2017년〈연천군筵遷麇 프로젝트 : 결박하여 옮긴 장소〉
2017년〈함께이기에 행복한 길, 동행同幸〉
2018년〈김윤선의 색실누비전시회, 한지를 품은 색실누비〉
2018년〈경기천년×주먹도끼1000〉
2018년〈매장유구 특별전시, 열렸다 수장고〉
2018년〈지구는 거대한 돌덩이다〉
2018년〈돌과 나무의 시대〉
2018년〈NEPAL, I AM IN JEONGOK NOW (네팔 학술지표조사 성과전)〉
2019년〈E1979S2019〉
2019년〈예술과 암호 : 고구려의 기와 문양〉
2019년〈전곡리 윗마을 사람들〉
2020년〈네팔사진전, 팔팔하게〉
2020년〈석기시대 아이들〉
2020년〈시간을 품은 돌〉
2021년〈오!구석기〉
2021년〈열개의 물건, 열개의 이야기〉
2021년〈반구대 암각화 ; 고래〉
2021년〈왜냐하면 우리는 우리를 모르고〉
2022년〈전곡선사박물관 5인 5색 지역작가 초대전〉
2022년〈선사꾸러기의 방이 돌아옵니다!〉
2022년〈호모 사피엔스 : 진화∞ 관계& 미래?〉
2022년〈풀멍돌멍 첫번째 이야기- 이달의 소장품〉


3. 3. PH-x 갤러리

지역 문화와 참여를 위해 열린 공간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매년 다양한 전시를 소개하고 있다.[1]

4. 역대 전시 정보

연도전시 제목기간
2011년〈음악의 기원〉2011.04.25 ~ 09.25
2011년〈한국인의 기원 Origin of Korean People〉2011.10.02 ~ 2012.07.15
2012년〈기증유물 공개전 매머드와 친구들〉2012.04.25 ~ 2012.09.02
2012년〈빙하시대 사람들 Man in Ice Age〉2012.09.24 ~ 2013.03.10
2013년〈선사시대 기술_사냥展〉2013.04.25 ~ 2014.02.28
2014년〈구석기 발굴전〉2014.04.25 ~ 2014.08.31
2014년〈나는 우리 집 귀염둥이〉2014.09.02 ~ 2014.11.30
2014년〈돌, 철을만나다展〉2014.10.01 ~ 2015.02.28
2015년〈인류의 기원을 찾아 고고씽展〉2015.04.25 ~ 2016.02.28
2015년〈2015 건축의 비밀〉2015.06.25 ~ 2015.12.31
2015년〈질경윤의 즐거운 발견〉2015.07.01 ~ 2015.08.31
2015년〈Old Wood, Steel, Stone age〉2015.10.12 ~ 2015.12.31
2015년〈“實 ≧≦ 美” 실용과 아름다움, 그 사이 2015〉2015.10.20 ~ 2015.11.12
2016년〈조선여행 – 선비, 금강산을 가다〉2016.04.26 ~ 2017.02.28
2016년〈선사시대 화석 동물전〉2016.04.26 ~ 2017.02.28
2016년〈교과서 속 선사여행, 선사시대 화석 동물전〉2016.04.26 ~ 2017.03.31
2017년〈구석기 비너스가 부르는 노래〉2017.05.02 ~ 2018.02.28
2017년〈흙, 달이 되다〉2017.08.07 ~ 2017.08.27
2017년〈연천군筵遷麇 프로젝트 : 결박하여 옮긴 장소〉2017.11.07 ~ 2017.11.26
2017년〈함께이기에 행복한 길, 동행同幸〉2017.12.23 ~ 2018.02.25
2018년〈김윤선의 색실누비전시회, 한지를 품은 색실누비〉2018.03.06 ~ 2018.04.01
2018년〈경기천년×주먹도끼1000〉2018.05.03 ~ 2018.08.26
2018년〈매장유구 특별전시, 열렸다 수장고〉2018.10.02 ~ 2018.10.31
2018년〈지구는 거대한 돌덩이다〉2018.10.08 ~ 2018.10.31
2018년〈돌과 나무의 시대〉2018.11.29 ~ 2019.08.18
2018년〈NEPAL, I AM IN JEONGOK NOW (네팔 학술지표조사 성과전)〉2018.11.29 ~ 2019.03.03
2019년〈E1979S2019〉2019.05.03 ~ 2019.09.15
2019년〈예술과 암호 : 고구려의 기와 문양〉2019.08.30 ~ 2019.09.29
2019년〈전곡리 윗마을 사람들〉2019.11.08 ~ 2020.08.23
2020년〈네팔사진전, 팔팔하게〉2020.04.15 ~ 2020.08.02
2020년〈석기시대 아이들〉2020.09.30 ~ 2021.03.28
2020년〈시간을 품은 돌〉2020.09.25 ~ 2021.04.11
2021년〈오!구석기〉2021.04.25 ~ 2021.10.04
2021년〈열개의 물건, 열개의 이야기〉2021.04.25 ~ 2021.08.22
2021년〈반구대 암각화 ; 고래〉2021.09.03 ~ 2021.10.24
2021년〈왜냐하면 우리는 우리를 모르고〉2021.10.26 ~ 2022.03.28
2022년〈전곡선사박물관 5인 5색 지역작가 초대전〉2022.05.03 ~ 2022.05.29
2022년〈선사꾸러기의 방이 돌아옵니다!〉2022.05.14 ~ 2022.06.26
2022년〈호모 사피엔스 : 진화∞ 관계& 미래?〉2022.07.29 ~ 2022.10.10
2022년〈풀멍돌멍 첫번째 이야기- 이달의 소장품〉2022.07.29 ~ 2022.10.10


5. 부대 시설 및 관람 정보

전곡선사박물관은 주차장, 뮤지엄숍, 카페테리아, 야외 쉼터 등의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다.

5. 1. 고고학체험실

2019년과 2021년에 리모델링을 통해 실감콘텐츠와 다양한 미디어를 소개할 수 있는 체험공간으로 꾸며졌다.[1]

5. 2. 관람 안내

개관 시간은 평일, 주말, 공휴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다. 휴관일은 매주 월요일(공휴일 제외), 매년 1월 1일, 설날과 추석 당일이다.[1]

참조

[1] 웹사이트 Shiny Serpentine Jeongok Prehistory Museum in Korea Now Complete https://inhabitat.co[...] 2021-11-13
[2] 웹사이트 "[변화 바람부는 경기도 문화예술·(4)]전곡선사박물관 ([Culture and Arts in Gyeonggi-do, Winds of Change (4)] Jeongok Prehistory Museum)" http://www.kyeongin.[...] 2021-11-13
[3] 웹사이트 경기도 전곡 선사박물관 (Gyeonggi-do Jeongok Prehistory Museum) http://www.kscnews.c[...] 2021-11-13
[4] 웹사이트 전곡선사박물관, 한국건축문화대상 우수상 수상 (Jeongok Prehistory Museum won the Excellence Award at the Korean Architecture Awards) http://www.tournews2[...] 2021-11-13
[5] 웹사이트 천 년 역사의 경기도 문화와 예술을 구글 컬처럴 인스티튜트를 통해 만나보세요! https://korea.google[...] 2021-11-13
[6] 웹사이트 우주선 '아이디어' 통했다 (Spaceship 'Idea' was through) http://www.incheonil[...] 2021-11-13
[7] 웹사이트 "[2020 경기도 박물관·미술관 다시보기] 1. 연천 '전곡선사박물관' ([2020 Gyeonggi-do Museum and Art Museum Review] 1. Yeoncheon 'Jeonggok Prehistory Museum')" http://www.kyeonggi.[...] 2021-11-13
[8] 웹사이트 Jeongok Prehistory Museum Opens Doors to Public http://www.arirang.c[...] 2021-11-13
[9] 웹사이트 "[쉼표] 아득히 먼 선사시대로의 여행 전곡리 '선사유적지'를 가다 ([Comma] Travel to a far prehistoric road, go to Jeonggok-ri'Prehistoric Ruins')" http://www.newscj.co[...] 2021-11-13
[10] 웹사이트 국내 최대 규모의 선사 박물관, 전곡 선사 박물관 (The largest prehistoric museum in Korea, Jeongok Prehistoric Museum) http://www.consumerp[...] 2021-11-13
[11] 웹사이트 경기문화재단 전곡선사박물관, "구석기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관람객이 직접 선정한 주제 전시한다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Jeongok Prehistory Museum, "How did the Paleolithic People Live?" Subjects selected by the audience will be displayed) http://www.ctimes.co[...] 2021-11-13
[12] 웹사이트 전곡선사박물관, 태황스님에 용 기운 담긴 '태황용선경도' 기증받아 (Jeongok Prehistory Museum received a donation of 'Taehwang Yongseongyeongdo' containing dragon energy from Monk Taehwang) http://www.kgnews.co[...] 2021-1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